•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전도시권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4-111)

① 인구현황

2010년 대전광역시에는 대전도시권 인구의 53.0%인 150만 명19)이 거주하고 있다. 1995-2010년 기간 동안 대전도시권의 인구증가율은 14.8%를 나타내었다.

2010년 대전광역시로의 전입인구는 도시권 전체인구 대비 약 5.7%이며, 이중 대전광역시 인근지역으로부터의 전입비율은 1.2%, 대전도시권 외부지역으로부 터의 전입비율은 4.5%로 나타났다. 전입인구는 1995년에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하였다. 2010년 대전광역시로부터의 전출인구도 전체인구 대비 약 5.8%로 전입 인구 비율과 비슷하며, 대전도시권내 인근지역으로의 전출비율은 1.2%, 도시권 외부지역으로의 전출비율은 4.6%를 기록하였다.

2010년 대전도시권내 인근지역의 전입인구는 전체인구 대비 6.8%이며, 이중 대전광역시로부터의 전입인구는 1.4%, 도시권 외부지역으로부터의 전입인구 비 율은 5.2%로 나타났다. 2010년 대전도시권내 인근지역에서 대전광역시로의 전출 인구 비율은 1.4%로 도시권 외부지역으로의 전출인구 비율인 4.8% 보다 낮았다.

전반적으로 대전도시권의 인구이동은 도시권내 대전광역시와 인근지역간의 전입·전출보다는 도시권 외부지역과의 전입·전출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인근 시·군

<그림 4-15> 대전도시권의 전입·전출 비율(1995-201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통계 및 국내인구이동통계 19) 주민등록인구 기준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75

② 산업집적지 현황

Moran's I지수를 이용하여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전도시권의 제 조업과 지식기반제조업의 경우는 2000-2009년 기간 동안 집적이 강화되었다. 반 면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도시권내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는 추세가 나 타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표 4-11> 대전도시권의 공간적 자기상관관계(Moran's I 지수)

2000년 2009년

제조업 0.2027 0.4077

(지식기반제조업) (0.1285) (0.5194)

서비스업 0.0441 -0.0773

(지식기반서비스업) (0.1246) (-0.0914)

주: Moran's I지수는 -1에서 +1의 값을 가지며 -1은 완전한 공간 분산, +1은 완전한 집중을 나타냄

산업 집적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LISA값을 이용한 군집지도 (cluster map)를 살펴보았다. 대전도시권의 지식기반제조업은 청주시와 청원군에 집적해 있으며, 지식기반서비스업은 도시권내 집적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구분 2000년 2009년

지식기반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범례

<그림 4-16> 대전도시권의 산업별 LISA 군집지도(2000-2009)

76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③ 교통인프라 현황

대전도시권의 경우 도로를 이용하여 대전광역시 시청으로부터 1시간내에 전 체 도시권 지역의 약 92%까지 접근할 수 있으며, 30분내에는 전체 도시권 면적의 약 34%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대전광역시 면적의 약 95%, 전체 대전도시권 면적의 약 57%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시간내 청주국제공항의 접근이 가능하다.

<그림 4-17> 대전도시권의 도로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그림 4-18> 대전도시권의 공항·항만 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구분

도로서비스 공항서비스

중심도시 도시권 중심도시 도시권

면적 540.39 5,126.03 540.39 4,585.64

10분 면적 173.21 174.11 0.00 145.45

비율 32.05 3.40 0.00 3.17

30분 면적 538.53 1,783.35 22.04 988.88

비율 99.66 34.79 4.08 21.56

60분 면적 540.39 4,738.22 517.87 2,646.97

비율 100.00 92.43 95.83 57.72

<표 4-12> 대전도시권의 도로·공항·항만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단위 : ㎢, %)

출처: 도로망 : 국가교통DB, 2007, 공항 및 항만: 해당기관 홈페이지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77

④ 주요 성장거점 현황

대전도시권은 중심도시인 대전광역시에 대학교, 국가산업단지, KTX역 등 다 수의 거점시설이 입지해 있다. 대학교는 대전광역시와 청주시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 대전광역시에는 충남대학교, 배재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으며, 청주시에는 충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서원대학교 등이 입지해 있다. 국가산업단 지로는 대덕특구, 오송생명과학단지, 보은국가산업단지 등이 대전광역시, 청주시 그리고 보은군에 입지해 있다. KTX는 오송역, 대전역, 공주역에 정차하고 있어, 이를 통한 전국 주요지역의 신속한 접근이 가능하다.

거점시설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면, 대전광역시를 제외하고 대전도시권의 북 쪽에 위치한 청주시와 청원군 등에 거점시설이 다수 입지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19> 대전도시권의 주요 성장거점

78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2) 연계실태

① 인구이동 분석

대전도시권20)의 시·군간 인구이동은 1995-2010년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 다. 시·군간 인구이동 연계를 나타내는 링크수는 1995년과 2019년 모두 48개로 동일하였다. 하지만 대전도시권에서 대전광역시가 차지하는 중심성지수는 1995 년 0.50에서 2010년 0.48로 약화되었다. 이는 대전광역시보다 인근 시·군간 인구이 동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 지수

링크수 밀도

1995년 48 0.681 0.50

2000년 52 0.722 0.49

2005년 48 0.667 0.50

2010년 48 0.681 0.48

<표 4-13> 대전도시권의 인구이동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대전도시권의 인구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간 인구이동량 상위 6개를 분석해보면, 1995년에는 대전광역시와 논산시, 금산군간의 인구이동이 많았으며, 청주시와 청원군간 인구이동도 많았다. 2010년에는 대전광역시와 청주시, 논산시간 의 인구이동이 많았으며, 청주시와 청원군간의 인구이동은 여전히 높았다.

1995년 2010년

<그림 4-20> 대전도시권의 인구이동 연계 변화

20) 계룡시는 2003년 계룡출장소에서 계룡시로 승격되어서 1995-2010년 인구이동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79

② 통근통행 분석

대전도시권내 통근연계는 2002-2011년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시·군간을 연계하는 링크수는 2002년 69개에서 2011년 76개로 증가하였 으며, 밀도 역시 2002년 0.627에서 2011년 0.911로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대전도 시권에서 대전광역시의 중심성은 2002년 0.45에서 2011년 0.36으로 줄어들었다.

<표 4-14> 대전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지수

링크수 밀도

2002년 69 0.627 0.45

2011년 76 0.911 0.36

상위 6개의 통근량을 통해 대전도시권의 통근특성을 살펴보면, 2002년에는 논산 시, 청주시와 중심도시인 대전광역시와의 통근통행이 많았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간의 통근통행도 활발하였다. 2011년에는 대전광역시와 계룡시간의 통근통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전광역시에서 공주시와 논산시로의 통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근통행 역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02년 2011년

<그림 4-21> 대전도시권의 통근 연계 변화

80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3) 대전도시권 현황분석 종합

대전도시권은 도시권내 전출입보다는 도시권 외부지역의 전출입이 강하며, 최 근 세종시의 건설과 맞물려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산업적으로는 제 조업과 지식기반제조업이 청주시와 청원군에 집적해 있다. 대전광역시에는 과학 기술분야 연구개발(R&D)기능이 집적된 대덕연구단지가 있고, 인근에는 과학산 업단지 등이 위치하고 있어 이러한 제조업 특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교통측면에 서는 도로를 통해 대전광역시청으로부터 1시간내 전체 도시권 면적의 92%까지 접 근 가능하다.

연계측면에서 대전도시권은 지역간 인구이동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전광역 시의 중심성은 약화되고 인근 시·군간 인구이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통근 연계는 증가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인근 시·군간 통근이 활 발해지고 있다. 종합하면, 대전도시권은 인구이동과 통근통행 측면에서 대전광 역시의 중심성이 약화되면서 인근 시·군간 이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15> 대전도시권의 현황 및 연계 분석 종합

구분 특징

현황 분석

인구 -도시권내 전입, 전출 약화

도시권외 지역과의 전입, 전출이 활발함 산업

-제조업과 지식기반제조업은 공간적으로 청주시와 청원군에 집적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분산 인프라 -도로를 통해서 1시간내 대전광역시청에서

전체 도시권면적의 92%까지 접근 가능

거점시설 -다수의 거점시절이 대전광역시, 청주시, 청원군 등에 입지

연계 분석

인구이동

-지역간 인구이동 연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전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됨

-2010년 기준 대전광역시와 청주시, 논산시간의 인구이동이 많음

통근통행

-통근연계는 증가하였으며 대전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됨 -2010년 기준 대전광역시와 계룡시간, 청주시와 청원군간의 통근통행이 많음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81

3) 광주도시권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