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네트워크 도시론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46-49)

(1) 네트워크 도시형성 배경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도시간 연계에 의한 다중심도시체계 혹은 네트워크 도시이론이 등장하였다. 과거 도시 발전은 단일중심으로 동심원이론, 토지이용이론, 중심지 이론 등이 있었으나, 교외지역이 다양한 기능의 중심부로 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네트워크 도시(Network City)의 개념이 까마니와 카펠로 (Camagni and Capello, 2004)에 의해서 제기되었다. 까마니(Camagni, 1993)는 20세 기 후반 지식기반 제조업으로 대변되는 신산업들과 고차 생산자서비스업이 경제 의 중심에 자리를 잡으면서 더 이상 중심지이론에 의한 도시체계의 설명력이 유 의하지 않다고 설명하였다. 카펠로(Capello, 2000)는 중심지이론과 달리 실제의

제 2 장∙도시권 정책의 필요성 및 관련이론 17

도시들은 도시별로 특화를 통한 기능상의 차이로 인해, 저차 도시에서 고차기능 들이 제공되기도 하고, 유사한 기능을 가진 도시들 사이에도 수평적인 연계가 존 재한다고 설명하면서 네트워크도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손정렬, 2011). 이들 의 연구는 이후 복잡한 도시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들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면 서 최근에는 도시권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2) 네트워크 도시의 개념

네트워크 도시(Network City)는 2개 이상의 도시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고 상호 협력적 활동 속에서 시 너지 효과를 내는 도시이다(Capello,2000). 메가시티지역과 네트워크 도시는 도시 권의 양상을 설명해 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메가시티지역은 세계경제와의 연계와 산업구성 등을 강조하는 반면, 네트워크 도시의 경우는 지 역 경제시스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손정렬, 2011).

네트워크 도시는 공간적, 기능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구분된다. Batten(1995)은 하나의 수위도시가 중심이 되는 단핵도시, 두 도시가 수평적 네트워크를 형성하 는 연담도시, 셋 혹은 그 이상의 도시들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도시로 구분하였다. Champion(2001)은 도시권이 성장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함을 지적하며, 도시권의 유형을 중심형(centrifugal mode), 결합형(incorporation mode), 융합형(fusion mode)으로 구분하였다. Schaick(2005)은 도시네트워크의 공간구조 를 사회적 공간, 교통이용정보의 흐름, 도시디자인 등 부문별 레이어(layer)로 구 분하였다. Van Oort et al.(2010)은 도시내, 도시권내, 도시권간의 연계를 유형화하 여 도시내에서 이루어지는 연계, 중심-주변지역간 연계, 교외도시간 연계, 도시권 간 중심도시 연계, 중심도시와 다른 도시권 교외지역과 연계, 교외지역과 다른 도시권 교외지역과의 연계 등으로 구분하였다.

18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그림 2-5> 네트워크 도시와 중심지 도시의 비교

출처: Hohenberg and Lees(1985)

<표 2-3> 네트워크 도시의 공간구조 유형

구분 단핵-연담-네트워크 공간구조

Batten (1995) 중심형-결합형-융합형 공간구조 Champion (2001)

네트워크 공간구조

구분 부문별 계층형(layer) 공간구조 Schaick (2005)

도시내-도시권내-도시권간 연계 공간구조

Van Oort et al.(2010)

네트워크 공간구조

(3)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는 외부성(externalities) 증대, 도시간 전문화·분업화를 통한 경쟁 력 제고, 교통 및 통신 인프라로 연결된 범위의 경제, 중심지 도시체계의 기능 보완, 경제 적 불확실성 감소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그러나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제 시한 연구는 많지 않다. Hohenberg and Lees(1985)는 중심지 도시와 네트워 크 도시간의 성장률 체계를 비교하

제 2 장∙도시권 정책의 필요성 및 관련이론 19

<그림 2-6> 란스타드의 주요 도시 <그림 2-7> 란스타드의 도시간 업무통행 네트워크

출처: Meijers, 2007 츨처: Lambregts, 2009

였다. 이에 중심지도시체계는 도시간 외부연결성을 기반으로 성장하며, 네트워크 도시체계는 도시 내부구조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지속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분석 하였다. Frenken and Hoekman(2006)은 유럽 1,088개 지역을 분석한 결과, 소득, 인구밀 도 이외에도 네트워크 변수가 성장률에 영향을 미침을 밝혀내었다. Limtanakool et al.(2007)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도시들 사이에 전문화, 보완관계, 공간분업, 혁신 등의 외부효과가 발생하고 여러 도시가 네트워크화 되어 공동 목표와 전략을 추 진함으로서 통합된 경쟁력이 생성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와 관련하여 네델란드 란스타드(Randstad)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Batten(1995)은 란스타드의 중심도시인 로테르담에 인프라가 집적해 있으며, 경제 성장률이 네덜란드 평균성장률보다 높은 것을 통해 네트워 크 도시의 효과를 주장하였다. Meijers(2005)는 란스타드 분석결과, 네트워크도시 는 수평적 네트워크와 도시간 기능 보완을 통해 협력 시너지 효과가 증대된다고 주장하였다. Lambregts(2009)는 란스타드의 각 지역들이 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있 어, 이러한 연계가 란스타드의 발전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였다.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4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