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구도시권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18-125)

88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4) 대구도시권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89

② 산업집적지 현황

Moran's I지수를 이용하여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구도시권의 제조업과 지식기반 제조업은 도시권내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며 2000년과 2009년 사이에 큰 변화는 없었다. 반면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제조업 보다는 전반적으로 집적되어있으나 2000년에 비해 2009년에는 다소 분산되는 추세를 보였다.

<표 4-21> 대구도시권의 공간적 자기상관관계(Moran's I 지수)

구분 2000 2009

제조업 -0.025 -0.1166

(지식기반제조업) (-0.1594) (-0.1501)

서비스업 0.0279 0.1992

(지식기반서비스업) (0.2639) (0.1111)

주: Moran's I지수는 -1에서 +1의 값을 가지며 -1은 완전한 공간 분산, +1은 완전한 집중을 나타냄

대구도시권내 산업 집적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면, 지식기반 제조업은 도시 권내 집적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반면 지식기반 서비스업은 2000년에는 대구광 역시 서구, 중구, 남구에 집적되었으며, 2009년에는 대구광역시 중구와 남구에서 성장이 두드러졌다.

구분 2000년 2009년

지식기반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범례

<그림 4-30> 대구도시권의 산업별 LISA 군집지도(2000-2009)

90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③ 교통인프라 현황

대구도시권에서 도로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청으로부터 1시간내에 도시권 전체 면적의 약 90%까지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분내에는 도시권 전체 면적 의 약 41%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대구도시권 면적의 약 89%에 거주하는 사람 들은 1시간내 대구국제공항의 접근이 가능하다.

<그림 4-31> 대구도시권의 도로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그림 4-32> 대구도시권의 공항·항만 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구 분

도로서비스 공항서비스

중심도시 도시권 중심도시 도시권

면적 882.51 4,965.02 882.51 4,082.51

10 분

면적 212.97 213.11 217.08 1.19

비율 24.13 4.29 24.60 0.03

30 분

면적 817.57 2,053.76 769.17 1,264.72

비율 92.64 41.36 87.16 30.98

60 분

면적 882.51 4,503.11 882.51 3,634.07

비율 100.00 90.70 100.00 89.02

<표 4-22> 대구도시권의 도로·공항·항만 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단위 : ㎢, %)

자료: 도로망 : 국가교통DB, 2007, 공항 및 항만 : 해당기관 홈페이지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1

④ 주요 성장거점 현황

대구도시권의 주요 거점으로 대학교는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한의대학 교, 영남대학교, 대구카톨릭대학교 등이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등에 주로 입지해 있다. 국가산업단지는 대구국가산업단지와 구미국가산업단지 등이 대구광역시 와 구미시에 입지해 있으며, 혁신도시는 대구혁신도시가 대구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KTX는 동대구역과 김천구미역에 정차하고 있어 전국 주요지역과의 신속 한 접근이 가능하다. 대구도시권에는 교육, 의료, R&D 등 기반을 구비하여 글로 벌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을 지향하는 대구·경북 경제 자유구역이 대구광역 시, 영천시, 경산시 등에 지정되어 있다.

종합하면, 대구도시권은 중심도시인 대구광역시에 대학교, 국가산업단지, 혁신 도시, 경제자유구역 둥이 다수 입지해 있다. 경산에는 다수의 대학시설이 입지해 있으며 구미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등 IT 분야의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는 등 권역내 시·군 특화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4-33> 대구도시권의 주요 성장거점

92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2) 연계실태

① 인구이동 분석

대구도시권은 1995-2010년 기간 동안 시·군간 인구이동 연계는 다소 강화되었 다. 시·군간 인구이동 연계를 나타내는 링크수는 1995년 33개에서 2010년 34개로 변화하였으며, 밀도는 0.300에서 0.309로 높아졌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1995년 0.74에서 2010년 0.71로 약화되었다. 이는 대구도시권내 인근 시·군간 연 계가 강화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4-23> 대구도시권의 인구이동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 지수

링크수 밀도

1995년 33 0.300 0.74

2000년 34 0.309 0.72

2005년 35 0.318 0.72

2010년 34 0.309 0.71

대구도시권의 인구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위 6개 시·군간 인구이동량 을 살펴보면, 1995년에는 대구광역시와 칠곡군, 영천시, 경산시간의 인구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에는 대구광역시와 칠곡군, 경산시간의 인구이동 이 많았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영천시와 성주시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하였다.

1995년 2010년

<그림 4-34> 대구도시권의 인구이동 연계 변화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3

② 통근통행 분석

대구도시권의 통근 연계는 2002-2011년 기간 동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시·군간 링크수가 48개에서 2011년 43개로 줄어들었다. 중심성지수도 2002년 0.74에서 2011년 0.66으로 약화되어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되고 인 근 시·군간 통근 연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4-24> 대구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 지수

링크수 밀도

2002년 48 0.436 0.74

2011년 43 0.391 0.66

대구도시권의 통근량 상위 6개의 시·군을 살펴보면, 2002년에는 대구광역시와 영천시, 칠곡군, 경산시와의 통근통행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는 대구광역시와 칠곡군과 경산시간의 통근통행이 여전히 강한 반면, 대구광역시에서 영천시 및 성주군으로의 통근통행이 많아져 대구광역시의 중심 성이 낮아졌다.

<그림 4-35> 대구도시권의 통근 연계 변화

2002년 2011년

94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3) 대구도시권 현황분석 종합

대구도시권에서는 대구광역시의 인구집중도가 높고, 도시권내 인근 시·군의 대 구광역시에 대한 전입·전출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업적으로는 도시권내 서비 스업 집적현상이 나타나 제조업중심에서 서비스업으로 산업 구조의 변화가 일어 나고 있다. 또한 대구광역시청에서 1시간내 도시권 전체 면적의 약 90%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인근 경산시에 대부분의 대학시설이 집적되어 있으며, 구미시에는 디스플레이, 모바일에 특화된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는 등 으로 특화되어 있다.

연계특성을 살펴보면, 지역간 인구이동연계는 다소 많아졌으며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되었다. 또한 지역간 통근통행 연계는 감소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되어 인근 시·군간 통근통행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4-25> 대구도시권의 현황 및 연계 분석 종합

구분 특징

현황 분석

인구 - 대구광역시의 인구집중도가 높음

- 인근지역의 대구광역시에 의존성이 도시권외 지역보다 높음 산업 - 제조업과 지식기반 제조업은 공간적 분산

-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공간적으로 분산되는 경향

인프라 - 도로를 이용해서 1시간내 대구광역시청에서 도시권면적의 90%까지 접근이 가능

거점시설

- 중심도시인 대구광역시에 다수의 거점시설이 입지

- 경산에는 주로 대학시설 등이 입지하고 구미에는 국가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이 지정되어 있음

연계 분석

인구이동 - 지역간 인구이동연계는 강화되고,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됨 - 2010년 기준 대구광역시와 칠곡군, 경산시간의 인구이동이 많음

통근통행 - 지역간 통근 연계는 약화되고, 대구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됨 - 2010년 기준 대구광역시와 칠곡군, 경산시간의 통근통행이 증가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5

5) 부산·울산도시권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1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