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산·울산도시권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25-133)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5

5) 부산·울산도시권

96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② 산업집적지 현황

Moran's I지수를 이용하여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산·울산도시권의 제 조업과 지식기반 제조업의 경우는 2000년과 2009년 사이에 집적이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동안 도시권내 여러 지역에 분산되었다.

<표 4-26> 부산·울산도시권의 공간적 자기상관관계(Moran's I 지수)

구분 2000년 2009년

제조업 0.12 0.37

(지식기반제조업) (0.149)1 (0.3644)

서비스업 0.5334 -0.2103

(지식기반서비스업) (0.0380) (-0.1506)

주: Moran's I지수는 -1에서 +1의 값을 가지며 -1은 완전한 공간 분산, +1은 완전한 집중을 나타냄

LISA값을 이용하여 산업 집적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식기반 제조업 은 2000년에 김해시에 집적했으나, 2009년에는 김해시와 창원시로 집적이 확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기반 서비스업은 2000년 부산광역시의 부산진구와 동구 에 집적했으며, 2009년에는 부산광역시의 동구에 집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2000년 2009년

지식기반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범례

<그림 4-37> 부산·울산도시권의 산업별 LISA 군집지도(2000-2009)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7 구분

도로서비스 공항서비스 항만서비스

중심도시 도시권 중심도시 도시권 중심도시 도시권

면적 755.20 3,918.81 755.20 3,163.61 755.20 3,163.61

10분 면적 133.38 133.38 138.38 207.88 143.48 0.06

비율 17.66 3.40 18.32 6.57 19.00 0.00

30분 면적 695.51 1,201.57 650.54 1,829.08 529.56 654.16

비율 92.10 30.66 86.14 57.82 70.12 20.68

60분 면적 704.04 3,200.57 703.86 2,896.70 702.92 2,556.70

비율 93.23 81.67 93.20 91.56 93.08 80.82

<표 4-27> 부산·울산도시권의 도로·공항·항만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단위 : ㎢, %)

③ 교통인프라 현황

부산·울산도시권에서는 도로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청에서 1시간내에 부산도 시권 전체 면적의 약 81%까지 접근할 수 있다. 30분내에는 부산도시권 전체 면적 의 약 30%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부산광역시 면적의 약 93%에 거주하는 사람들 과 부산도시권 전체 면적의 약 91%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시간내 김해국제공항 이 이용이 가능하다. 부산광역시 면적의 약 93%와 부산도시권 전체면적의 약 80%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시간내 부산항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림 4-38> 부산·울산도시권의 도로 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그림 4-39> 부산·울산도시권의 공항·항만 서비스 접근시간 분포

자료: 도로망 : 국가교통DB, 2007, 공항 및 항만 : 해당기관 홈페이지

98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④ 주요 성장거점 현황

부산·울산도시권의 주요 거점으로 대학교는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동의대 학교, 신라대학교 등이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입지해 있으며, 이외에 경남대학 교, 창원대학교,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 등이 부산·울산도시권지역에 분산되어 분포되어 있다. 국가산업단지는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창원국가산업단지, 진해 국가산업단지 등이 부산광역시와 창원시 등에 입지해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금 융, 국제비지니스, 물류 등에 특화된 부산혁신도시가 조성중이다. 또한 부산광역 시 강서구와 창원시 진해구 일원에는 신항만을 갖춘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이 있다. 교통측면에서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를 비롯하여 창원시는 KTX를 이 용한 전국 주요지역의 접근이 가능하다.

부산·울산도시권은 대학교, 국가산업단지,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등이 부산 광역시에 주로 입지해 있어 부산광역시의 경쟁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에 자동차, 조선 분야의 울산광역시, 메카트로닉스 분야의 창원시 등 지식기반제 조업의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그림 4-40> 부산·울산도시권의 주요 성장거점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99

(2) 연계실태

① 인구이동 분석

부산·울산도시권은 지역간 인구이동 연계는 1995-2010년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시·군간 연계를 보여주는 링크수가 1995-2010년 기간 동안 30개로 동일 하였다. 하지만 부산·울산도시권의 중심성지수는 1995년 0.50에서 2010년 0.41로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4-28> 부산·울산도시권의 인구이동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 지수

링크수 밀도

1995년 30 0.273 0.50

2000년 30 0.273 0.47

2005년 30 0.273 0.45

2010년 30 0.273 0.41

부산·울산도시권의 인구이동량 상위 6개 시·군을 살펴보면, 1995년에는 부산광 역시와 창원시, 양산시간의 인구의 유입 및 유출이 많았으며 울산광역시와 김해 시에서 부산광역시로 유입되는 인구도 많았다. 2010년에는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양산시간의 인구이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창원시와 울산광역시에서 부 산광역시로의 인구 유입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2010년

<그림 4-41> 부산·울산도시권의 인구이동 연계 변화

100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② 통근통행 분석

부산·울산도시권의 2002-2011년 기간 동안 통근통행량을 살펴보면, 지역간 연 계는 다소 약화되었다. 2002년 링크수는 30개에서 2011년 28개로 감소하였다. 또 한 부산광역시의 중심성도 역시 약화되어, 중심성지수는 2002년 0.49에서 2011년 0.44로 감소하였다.

<표 4-29> 부산·울산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지수 및 중심성 분석

구분 네트워크 지수

중심성 지수

링크수 밀도

2002년 30 0.273 0.49

2011년 28 0.255 0.44

부산·울산도시권의 통근량 상위 6개 시·군을 살펴보면, 2002년에는 부산광역 시와 울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상호간의 통근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는 부산광역시와 김해시와 창원시간의 통근통행이 활발하였으며, 부산 광역시에서 울산광역시와 양산시로의 통근통행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2년 2011년

<그림 4-42> 부산·울산도시권의 통근 연계 변화

제 4 장∙도시권 현황 분석 101

(3) 부산·울산도시권 현황분석 종합

부산·울산도시권의 인구이동의 특징은 도시권 외부지역과의 인구이동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산업적으로는 제조업집적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부산광역시는 국제항만시설을 갖춘 물류와 국제비즈니스, 울산광역시는 자동차, 조선, 석유화 학, 창원시는 로봇과 기계 등 분야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산업이 발달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산·울산도시권은 부산광역시청으로부터 1시간내 도시권 전체 면적의 약 81%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측면에서 살펴보면, 도시권내 지역간 인구이동과 통근통행은 변화가 없거나 줄어들고 있다. 또한 부산광역시의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은 줄어들고 울산광역시, 통합창원시의 경쟁력 증가로 인해 다핵형의 도시권 발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표 4-30> 부산·울산도시권의 현황 및 연계 분석 종합

구분 특징

현황 분석

인구 - 도시권내 인구이동비율보다

도시권 외부 지역과의 인구이동 비율이 높음 산업 - 제조업과 지식기반 제조업은 공간적 집중 강화

-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공간적 분산 인프라 - 부산광역시청으로부터 1시간내

도시권 면적의 약 81%까지 접근 가능

거점시설 - 주요 거점시설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창원시에 주로 입지

연계 분석

인구이동

- 지역간 인구이동 연계는 변화가 없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되었음

- 2010년 기준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양산시간의 인구이동이 많음

통근통행

- 지역간 통근통행 연계는 감소하였으며 부산광역시의 중심성은 약화

- 2010년 기준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창원시간의 통근통행이 많음

제 5 장∙도시권 연계·협력 정책 및 추진 실태 103

5

C · H · A · P · T · E · R · 5

도시권 연계·협력 정책 및 추진 실태

본 장에서는 중앙정부차원에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권 연계·협력 정책의 전반적인 상 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도시권 차원의 연계·협력 정책 현황을 분석 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간 연계·협력 실태와 도시권 육성의 추진 방식 등 도시권 육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도출된 국내 도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해 극 복해야 할 과제로는 지자체의 관심과 참여 확대, 지자체간 경쟁의식과 이기주의 해소, 협력을 위한 법·제도 강화, 지자체의 협력 예산 발굴 및 집행 체계 구축, 협력을 위한 추진조직 구비 등이다.

1. 지역간 연계·협력 정책 현황과 문제점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25-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