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체 경력자의 교사채용 제도 등 다양한 제도들이 있다. 이러한 제도들은 직업교육훈련이 보다 산업체의 요구와 긴밀히 연계되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영되어 왔다. 다음에서는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제도 중 현장 실습과 주문식 교육을 산학일체형 직업교육훈련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직업교육훈련촉진법」에서는 현장실습의 적용범위를 실업계고등학교, 실 업계학과(또는 과정) 설치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산업대학, 대학의 농・

공・상・수산업 등 기타 산업에 종사하는 학과 및 기술대학으로 정하고 있 다. 또한 계열별 현장실습 이수기간 및 이수학생 평균 현장실습기간을 명시 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표 Ⅱ-17>과 같다.

좀더 구체적으로 실업계고등학교의 현재 현장실습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우선 교육목적보다는 취업경로 개발 및 인력공급을 위한 경제논리에 편중된 현장실습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3~6개월 이상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실 업계고등학교의 경우는 1개 학기 동안 편성된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 지 못하게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산업체의 참여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현장실습을 실행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체의 현실적인 여건 미비로 현장실습에 산업체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표 Ⅱ-17> 계열별 현장실습 이수기간 및 이수학생 평균 현장실습기간 실습기간 실업계고교 전 문 대 대 학 교

공업・농업계열 1월~1년 142일 44일 9일

상업・가사・실업・관광

계열 1월~6월 116일 -

-수산해양계열 1월~1년 180일 - 180일(선택)

자료: 교육부 산업교육정책과(1999). 현장실습 제도개선방안, p .2.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각급학교현장실습운영에관한규칙」에서는 각급 학교가 지역 및 학교의 여건을 감안하여 자율적으로 선택에 따라 교과 또는 학기제로 도입하여 학습 인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실습을 교 과 형태로 운영하도록 평가・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현장 실습의 운영방법, 현장실습업체 선정 방법, 현장실습의 학습인정 범위 및 방 법, 지원・촉진체제 구축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특히, 지원・촉진 체제 구축에서는 각급 학교가 현장실습 운영에 필요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담당할 지원체제(산학협동센터)의 운영이 가능하다고 나와 있으며,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학교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그 결과에 따

라 차등지원하는 체제를 제시하고 있다. 현장실습에 대한 평가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현장실습 대상자 선발 및 산업체 모집・운영 현황

② 현장실습의 학습 인정 과정

③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실태

④ 기타 학교장 및 시・도 교육감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사항

평가방법은 서면평가, 현장평가, 관계자 면담 및 설문지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학교 중 우수 학교에 대하여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현장 실습 시범학교로 운영하고 고등학 교 담당 교원의 경우에는 가산점을 부여한다.

2) 운영 및 지원체제

현장실습의 운영은 크게 현장실습 계획, 현장실습업체 선정, 현장실습 프 로그램 개발,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현장실습 평가의 5개 단계로 나뉘어 진다(강종훈, 1999).

첫째, 현장실습의 계획 단계에서는 전담조직의 설치 및 전담 교원을 배치 하고, 현장실습 담당 교원을 선정한다. 그리고 현장실습 실시 여건 및 학생, 학교, 산업체의 요구를 조사하며, 현장실습의 목적을 설정한다. 둘째, 현장실 습업체 선정 단계에서는 현장실습 대상업체를 조사하고, 산업체와 현장실습 사전 협의를 하게 된다. 셋째,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직무 내 용을 개발하여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넷째,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 영 단계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실습생을 파견하여 교육하며, 현장실습 담당 교원이 순회 지도를 실시한다. 다섯째, 현 장실습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실습 대상과 주체별로 평가를 실시하고, 프로그 램을 평가하여 향후 현장실습에 평가결과를 반영하도록 한다.

이러한 현장실습의 운영과 더불어 실제로 현장실습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현장실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현장실습 지원 체제는 현장실습

을 계획, 운영, 평가하는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원활한 진행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행정・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원 체제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강종 훈 외, 1999).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와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장실습은 정형화된 지원체제를 갖지 못하고 단위 학교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 라 단위 학교에서 새로운 현장실습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법으로는 현장실습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명문화하였 지만 실제적으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수립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실제로 현장실습의 운영은 단위 학교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인력 양성 방향에 대해 어떠한 방향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현장실습의 운영 형 태는 매우 다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가 단위에서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인력 양성에 대한 방향이 정립되어야 일관된 인 력 양성이 유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직업교육훈련 인력 양성으 로 인해 이해 집단간에 마찰이 발생했을 때, 이를 조정해 줄 수 있는 것은 국가가 담당해야 할 몫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현장실습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입장에서 는 단위 학교에 대한 지원, 산업체에 대한 현장실습 참여에 대한 유인가 제 공 및 직업교육훈련기관이나 다양한 영역의 관련 기관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도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직업교육훈련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 인적・물적・정보 자원에 관한 지원이 실업계 고등학교, 대학 및 전문 대학에서 매우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단위 학교와 괴리되어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단위 학교에서 인력 양성 방향 설정, 취업 정보 및 직업의 세계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하는 데 많은 애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실습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 단위 의 조직 체계 안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서 지원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향성에 기초해서 현장실 습 지원 체제를 제시하면 [그림 Ⅱ-7]과 같다.

[그림 Ⅱ-7]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지원 체제

자료: 강종훈 외(1999). 단위학교의 현장실습 운영 평가방안, p .37.

지금까지 현장실습 제도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는데, 현장실습은 우 리나라에서 공식적인 교육기간에 학교와 산업체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직업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제도라고 볼 수 있다. 즉, 현 장실습은 산업체가 자신이 원하는 인력을 스스로 훈련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는 제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현장실습의 운영 은 산업체 중심의 운영이 아닌, 학교가 중심이 된 현장실습이어서 산업체의 선정이 어려운 실정이며, 산업체의 요구 또한 교육내용에 적극 반영하기 힘 든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현장실습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학교와 산업체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기구의 운영이 우선적으로 필요하 며, 법률상 규정되어 있는 현장실습의 여러 지원 체제를 현실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