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 현장실습 목적의 다양화

이상을 종합하여 현장실습을 정의하면, 학교와 산업체가 공동의 계획과 지도로 학교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의 체험 획득, 새로운 기 술 습득,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의 적용 능력 습득 그리고 기대되는 교 육성과 달성을 위해 추진하는 공동의 계획 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현 장실습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들이 갖추어 져야 하는데, ① 현장실습의 목적 ② 산업체와 학교의 현장실습 계획 및 지 원 협약 ③ 현장실습 프로그램 ④ 현장실습 지원 체제 등의 요소이다. 특히, 현장 실습의 목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에 따라 현장실습의 운영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현장 실습의 목적은 산업사회 및 학교 경영 목표를 고 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현장실습의 목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 해 보면,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산업체가 공유하고 있는 큰 틀은 유사 하다고 보여지나 세부항목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실업 계 고등학교를 살펴보면, 교사들의 경우 ① 산업체 현장 적응력의 신장 (52.1% ) ② 취업 정보 획득 (19.7% ) ③ 학생들의 진로 탐색 기회 (12.7% )의 순으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경우에는 ① 산업체 적응력의 신장 (31.3% ) ② 적성 탐색 (21.2% ) ③ 진로 탐색 (19.5%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실습의 기존의 목적인 산업체 현장 적응력 신장의 기 회라는 데는 동의하면서도 교사와 학생들의 입장에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교사들의 경우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를 취업에 중점을 둔 종국 교육의 시각에 있는 반면, 학생들은 진학에 대한 요구가 증 가한 것에 기인한다고 보여진다(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발간 보고서). 따라서 학생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적성 탐색과 진로 탐색에 대한 요구가 40.7%로, 산업체 현장 적응력 신장의 기회 에 대한 요구를 상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선택의 시기를 연장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대학을 살펴보면, 교수들의 경우 ① 산업체 현장 적응력 신장의 기회 (54.6% ) ② 전공 지식과 기술의 적용 기회 (13.5% ) ③ 취업 정보의 습득

(12.8%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경우 ① 산업체 적응력 신장 (34.7% )

② 진로 탐색의 기회(16.1% ) ③ 전공 지식과 기술의 적용 기회(14.0% )의 순 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학교 경영 목표가 중견 기술 인력의 양성에 두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요구 조사 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나 현장실 습의 목적에 취업 정보의 습득이라는 항목이 추가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현장실습의 목적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요구에 진로탐색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는 측 면에서도 현장실습에 대한 다변화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요구는 현장실습 에 대한 요구라고 보기보다는 취업 정보의 습득 기회가 학생들에게 부재하 고, 진로 지도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측면과 학교와 산 업체 현장이 괴리되어 있다는 측면이 타당한 이유라고 보인다.

이에 반해 산업체의 현장실습에 대한 요구는 전혀 상반된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① 기능 및 기술 인력으로의 활용(47.0% ) ② 우수한 기능 및 기술 인력 미리 확보(36.4% ) 등에 두고 있다. 이러한 산업체들의 현장실습에 대 한 요구는 현장실습이 가지고 있는 근본 목적과는 전혀 일치하지 않으며, 산업체에서 현장 실습이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업체는 현장실습에 대한 근본 목적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현장 실습을 취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은 각 이해 당사자들에 따라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으며, 공동의 목적과 계획 하에 운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해 당사자들의 편의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 교에서는 현장실습이 법규정에 따라 최소한의 형식만을 갖추어 운영하고 있 으며, 산업체는 인력 양성이 아닌 기능 인력 확보라는 단기의 목표로 운영 하고 있고, 학생들은 자신들의 진로에 따라 현장실습에 대한 목적의 인식을 달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장실습 운영에 관한 법적 목적은 명확하게 제 시되어 있으나 이의 적용 단계에서는 서로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는 실정이다.

현장실습은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근본 목적이 획일적인 목적 아래 있지

않으며, 학교가 추구하고 있는 학교 경영 목표와 학생들이 추구하는 진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와 같은 획일적인 현장실습 의 목적과 적용 방법은 파행적인 운영을 계속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학교 현 장이 산업체와 괴뢰 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학생들에게 현 장실습을 나가기 전에 산업체 현장에 대한 적응 기간 및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현장실습의 목적은 학교의 경영 목표, 학생들의 진로에 따라 다양 한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하며, 그 적용 방법도 같은 기간에 모든 학생 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기간으로 산정하기 보다는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의 경우와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의 경 우를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산업체 현장 적응력 신장의 기회 및 학교에서 배운 전공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목표를 두고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을 위해서는 자신의 흥미, 적성 및 능력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회로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현장실습을 학교 교육과 정상에 편성・운영하되, 그 실시 시기 및 영역은 방학을 이용한 다양한 전 공영역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마련해 주어 학생들의 체험의 기회를 넓혀 주 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학교 교육목표가 계속 교 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상태에서 현장실습이 현재의 종 국 교육의 모델에 따라 운영된다는 것은 실업계 고등학교가 추구하는 목표 와 상반되는 운영 형태이다.

또한, 전문대학의 경우에도 산업체 현장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획일적으로 1개월 동안 동일한 시기에 현장 실습을 적용하기보 다는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영역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통해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 주고, 취업 정보 습득, 자신의 적성 탐색 등을 통해 자 신의 명확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실제 현장에 취

업하고 난 후에 이직율을 줄이고,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 대한 나름대로의 비젼 (v ision )을 가지고 직업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 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현장실습 목적의 설정은 교양 교육으로서의 현장 작업 관찰이냐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실무 경험에 있느냐 아니면 직업교육으로서의 워크 스 터디, 인턴쉽, 산학협동 교육이냐가 명확히 정립되어야만 한다(이무근 외, 1989 ). 이러한 목표가 명확히 설정되었을 때, 학교, 학생, 고용주, 지역 사회, 학부모들이 목적 의식을 가지고 현장실습에 임하고, 각자 맡은 역할을 올바 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