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 현장실습의 목표

현장실습을 통해 학생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익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산업체에서 적응력 신장에 31.3% , 적성 탐색에 21.2% , 진로 탐색에 19.5% , 전공 지식 및 기술 적용에 10.5%가 응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현장 실습의 궁긍적인 목표를 취업에 필요한 산업체 적응력 신장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는 것(< 표 Ⅳ- 2> 참조) 달리 현장실습의 목표를 직무 인식, 진로 탐 색, 취업 등 다양하게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Ⅳ- 14> 참조). 실업계 고등학교의 궁극적 목표가 과거의 취업 중심에서 취업과 진학을 동시에 추 구하는 성격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다시 한번 실업계 고등학교의 현장실습 목표가 취업을 위한 산업체에서의 적응력 신장, 산업체의 일반적 직무 인식, 진로나 적성 탐색의 기회 제공 등 으로 다양하게 설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 표 Ⅳ- 14>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단위 : 명, % )

항목 빈도 백분율

산업체에서의 적응력 신장 146 31.3

전공 지식과 기술 적용 49 10.5

실습 보충 30 6.4

취업 정보 획득 44 9.4

진로 탐색 91 19.5

적성 탐색 99 21.2

기타 8 1.7

467 100.0

2 ) 숙식 형태

현장실습시 숙식 형태에 대한 조사 결과, 자기 집에서 다니는 경우가 58.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현장실습산업체의 기숙사에서 숙식을 해 결하는 경우가 22.6%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바람직한 숙식 형태를 조사 한 결과와 비교하여 기숙사와 자취 및 하숙을 선호하는 빈도가 약간 높을 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 Ⅳ- 15> 참조). 현장실습생의 대부분이 본인 의 전공과 부합되는 현장실습을 주거지에 인접한 산업체에서 받고 있거나, 원거리 지역에 위치한 산업체에서 현장실습을 받는 경우 산업체 기숙사에서 숙식을 제공받고 있다면 이러한 결과는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만, 현장실습산업체를 선정할 때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능력에 대한 판단 없이 단순히 학교 근처에 소재한 산업체를 편의 위주로 선정하였다면 심각 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 표 Ⅳ- 15> 숙식 형태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단위 : 명, %)

문항 항목 빈도 백분율

현재 현장실습 시 숙식 형태

실습산업체의 기숙사 130 28.2

자치나 하숙 37 8.0

자기집 271 58.8

기타 23 5.0

461 100.0

바람직한 숙식 형태

실습산업체의 기숙사 158 33.5

자치나 하숙 67 14.2

자기집 240 51.0

기타 6 1.3

471 100.0

3 )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 전반에 대해 표준계약서에서 기본적으로 포 함하여 지켜져야 할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는 사항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 표 Ⅳ- 16> 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된다. 우선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현장실습 담당자는 비교적 잘 배치되고 있는 편이나(69.6% ) 현장실습생의 전공에 따라 배치가 잘 되고 있지 않으며 (67.7% ), 순환 실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51.4% ), 교양 교육 및 생활 지도 도 잘 실시되고 있지 못하며(60.0% ), 대부분 교재 없이(54.2% ) 운영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실습생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보면, 산재보험 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가(54.2% ) 많았으며 안전・보건 교육을 잘 실시하는 않는 경우가(53.4% )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복리 후생 시설 이용 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46.0% ), 현장실습 담당자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30.4% ), 필요한 시설 및 부대 장비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31.0% ), 현장실습 시간 및 휴식 시간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26.7% )가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 수당은 71.4%가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 16>

참조).

이와 같은 결과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장실습 전담 조직과 교사 없이 현장실습이 계획되고 운영되는 데서 오는 한계점으로 사전 조사 및 사전 협의를 통해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능력이 있는 산업체를 선정하여 학생의 적성과 전공을 고려한 현장실 습 파견이 어렵고, 산업체가 얻을 수 있는 유인가가 부족하여 현장실습을 교육 측면보다는 인력 활용 측면에 더 비중을 두고 운영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내실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장 실습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의 참여 의식과 동기 유발의 부족으로 적 응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 표 Ⅳ- 16>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단위 : 명, % )

4 )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

바람직한 현장실습 기간에 대한 조사의 결과, 3~4개월이 41.1%로 대부분 을 차지하고 1~2개월이 27.8% , 6개월 이상이 16.5% , 5~6개월이 14.6%를 차지하였다(< 표 Ⅳ- 17> 참조). 이와 같은 경향은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 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사는 현재와 같이 5~6개월에 가 장 많은 빈도를 보인 반면 학생은 3~4개월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 으며, 다음으로 교사는 3~4개월에, 학생은 1~2개월에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표 Ⅳ- 6> 참조).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학생이 교사보다는 현재의 현장 실습 기간을 축소하여 주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답 결과는 일시에 현장실습을 실시하는 현재의 운영 방법에서 오 는 한계와 열악한 현장실습산업체 환경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현장실습 기간을 분할하여 실시하는 것에 대한 조사의 결과는 응 답자의 50.6%가 찬성하고 있어(< 표 Ⅳ- 17> 참조) 88.3%가 반대 의견을 보 인 교사와 많은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표 Ⅳ- 6> 참조). 앞의 조사 결과에 서와 같이 교사가 현장실습 분할 실시를 반대하는 주된 이유로 교육과정 운 영의 어려움으로 응답하고 있기 때문에 분할 실시를 위한 상세한 운영 모형 과 지침을 개발하여 다양하게 현장실습을 운영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 한 다양한 운영은 일시에 현장실습을 실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표 Ⅳ- 17>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단위 : 명, %)

문항 항목 빈도 백분율

바람직한 현장실습 기간

1~2개월 132 27.8

3~4개월 195 41.1

5~6개월 69 14.6

6개월 이상 78 16.5

474 100.0

분할 실습

찬성 239 50.6

반대 233 49.4

472 100.0

5 ) 학교내 현장학습

학교내 현장학습을 현장실습의 대안으로서 적합한가에 대한 조사 결과, 모형 실습의 경우 62.4% , 생산품 제작이나 서비스 활동의 경우 66.8% , 프로 젝트 실습의 경우 43.7%가 매우 적합하거나 적합하다고 응답하여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다(< 표 Ⅳ- 18> 참조). 이와 같 은 결과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학교내 현장학습을 현장실습의 대안적 기법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 의견을 보이고 있는 것과(< 표 Ⅳ - 13> 참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은 적정한 현장실 습산업체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 여건이 가능한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선택 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법의 적용을 위한 상세한 운영 지침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표 Ⅳ- 18>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단위 : 명, % )

문항 항목 빈도 백분율

학교 내에서 모형실습

매우 적합 150 31.9

적합 148 31.5

보통 117 24.9

부적합 47 10.0

매우 부적합 8 1.7

470 100.0

학교 내에서 생산품 제작 또는 서비스 활동

매우 적합 123 26.2

적합 190 40.4

보통 104 22.1

부적합 45 9.6

매우 부적합 8 1.7

470 100.0

학교 내에서 프로젝트 실습

매우 적합 62 13.2

적합 143 30.5

보통 187 39.9

부적합 58 12.4

매우 부적합 19 4.1

469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