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학 협동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며 학자간에 상호 합의가 이루어지 지 않고 있으며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산학협동에 관한 본 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부터 활발히 시도되어 왔으며(정우현 외, 1993) 산학 협동의 근본 원리와 기초 이론에 접근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몇 몇 학자들의 산학협동에 관한 개념 정의를 학계의 참여 범위와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 학계의 참여 범위에 따른 분류

고범준(1979)은 산학협동이란 사회가 요구하는 인력 및 기술 개발을 위하 여 산업계와 학계 사이에서 시도되는 일정한 범주의 직접적인 협동 교육을 지칭한다. 즉, 학계의 지식, 인력, 연구 시설 또는 연구 결과를 산업계에서 활용하는 반면 산업계의 경험, 인력, 시설 또는 재정적인 지원을 학교가 이 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협동 체제라고 정의하고 있다. 어윤배(1980)는 대학 과 산업체가 상호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형성한 하나의 협동 체제라 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 반해 김기현(1979)은 학계와 산업계가 교육과 연구

에서 상호 협력에 의하여 학계의 입장에서는 기술 교육과 연구 활동을 촉진 하고, 산업계에서는 실무에 유능한 기술 사원을 용이하게 확보・유지 할 수 있고 생산과 직결되는 기술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현대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중요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한상준(1979)은 대학을 중심으로 학계와 산업계가 교육과 연구의 면에서 서 로 협력하고 보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산업 기술의 향상을 꾀하고 나아가서 는 국민 생활 향상에 이바지하려는 학계와 산업계 사이의 협동 활동이라 정 의하고 있다. 그리고 정진환(1989)은 산업 사회의 기술 혁신을 위해서 학교 또는 대학이 재정 보조를 받는 대가로서 산업체가 위탁한 산업 예비 인력 양성 및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상호 협력 체제를 유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학자들의 산학협동에 관한 개념 정의에서의 공통점 은 산학협동의 각 주체 중 학계를 대학 이상의 고등 교육기관으로 본다는데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산학협동의 주체 중 학계의 범위를 좀 더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학자들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김상호(1982)는 산학협동 이란 학계, 산업계 및 유관 기관 사이에 공동 계획과 지도하에 장차 산업계 에서 일하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상호 협동하여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산업 경영에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일체의 노력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또한 이무근(1986)은 산업계와 학계가 상호 발전과 사회 및 국가 발전을 위하여 인적, 물적 및 제반 가용 자원을 상호 보완적으로 교육, 훈 련, 연구, 지원 등의 형태로 교류하는 체계적인 협력 관계라고 정의하고 있 고, 정철영(1986)은 산업계와 학교의 상호 발전과 한 걸음 나아가 국가 발전 을 위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상호 교류하는 유기적인 협력 관계라고 정의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학계란 모든 수준의 학교를 말한다. 김진순(1986)도 앞의 정철영과 산학협동에 대한 정의를 같이 하고 있으며 고등학교와 대학 을 포함하고 있다. 1997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의 제 2 조 5항에 따르면 산학협동이라 함은 직업교육훈련기관과 산업체(산업체 단 체 및 연구 기관을 포함한다)가 산업 인력의 양성과 산업 기술의 개발을 위

하여 서로 협력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상의 정의들은 산학협동 의 주체 중 학계의 범위를 고등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각급 학교 등 여타의 교육 기관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하계 의 범위를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광의의 개념 정의에 따르기로 한다.

2 ) 목적에 따른 분류

이무근(1990)은 산학협동의 정의를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다. 산학협 동을 산업계와 학계간의 교육 활동만을 지칭하는 개념, 산업계와 학계간의 연구 활동만 지칭하는 개념, 학계와 산업계 사이의 교육 및 협력 활동으로 보는 개념 등이 바로 그것이다.

첫째, 산학협동을 교육 활동만을 지칭하는 입장이다. 산학협동을 학계, 산 업계 유관 기관 사이에 공동 계획과 지도하에 장차 산업계에서 일하고자 하 는 학생을 상호 협동 하여 교육훈련의 실리를 추구함과 동시에 산업 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일체의 노력(김상호, 1982)이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이 에 해당된다. 그리고 산학협동을 장차 산업계에서 종사할 학생을 재학 중에 산업계와 연계에 의하여 실습은 산업계에서 하고 이론은 학교에서 배우는 제도(허위, 1974 ; 정우현 외, 1996에서 재인용)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마찬가 지이며, 학계, 산업계 및 유관 기관이 상호 협력 하에 참여하여 직업 지도 및 직업 경험을 제공하고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인력을 양성하고 배치하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다(김병숙, 1991)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이에 해 당된다.

둘째, 산학협동을 주로 연구 활동으로만 정의하는 경우이다. 산학협동을 학계에서 연구한 결과와 지식을 산업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이로 인한 기술의 혁신과 생산성의 제고를 이룩함과 아울러 재정적 투자 등으로 상호 협동하는 것(김종철 외, 1969 ; 정우현 외, 1996에서 재인용)이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셋째, 광의의 정의로서 산학협동을 학계와 산업계 사이의 교육 및 협력 활동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러한 경우로 산학협동을 산업계와 학계가 서로 공동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협동하는 일체의 노력(유형진 외, 1971 ; 정우 현 외, 1996에서 재인용)이라고 보는 경우, 기성 세대가 다음 세대의 주인공 이 될 산업형 인간성을 육성한다는 공통된 책임감을 가지고 국민 발전의 구 성 분자로서의 개개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호혜적으로 발전을 시도하는 것(박 민식, 1976 ; 정우현 외, 1996에서 재인용)이라고 보는 경우, 학계의 지식, 인 력, 연구 시설 및 연구 결과를 산업체에서 활용하는 반면에 산업계의 경험, 인력, 시설 또는 재정적인 지수를 학교가 이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협동 체 제(고범준, 1972)라고 보는 경우, 산업 사회에 있어서 기술 혁신을 위해서 학교 또는 대학이 재정 보조를 받는 대가로서 산업체가 위탁한 산업 예비 인력 및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상호 협력 체제를 유지하는 과정(정진환, 1989 ) 등으로 정의하고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동 활동의 영역을 연구 활동보다는 교육 활동에 중 점을 두는 개념 정의를 따르며 이와 아울러 광의의 정의를 따르기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문대학 및 실업계 고등학교의 현장실습이며 학교의 시 설・설비의 수준이 산업체의 발전 속도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직접 실습해 보기보다는 오히려 발전된 산업 계의 선진 시설・설비를 이용해 현장 경험을 축적한다는 의미에서 교육 활 동에 중점이 두는 개념 정의를 따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