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창의교육을 위한 현황과 과제

5

공간정보 기반

창의교육을 위한 현황과 과제

강영옥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머리말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우리 생활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그 가운데에 서도 Web 2.0의 개념과 발달은 그 이전의 웹과는 다른 측면의 발전을 가져왔다.

사용자의 참여와 협업, 공유를 표방하는 웹의 진화는 공간정보에 있어서도 지오 웹의 개념을 가져왔고, 이는 공간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검색, 접근, 이용 을 가능하게 했다. 가장 대표적인 선발주자라 할 수 있는 구글은 구글맵과 구글 어스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그들이 제작한 사진, 동영상, 기록들을 쉽 게 매시업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이는 세계적인 인터넷 포털 기업들이 지도시장 에 진입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강영옥. 2008). 국내에 서도 네이버, 다음 등이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며, 국토교통부에서도 브이월드 (VWorld)라는 3차원 지도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공간정보를 과거 일부 전문가만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일반인도 누 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놓았으며, 일반인이 자신이 만든 지도기 반 매시업들을 공유하고 활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공간정보 기술과 관련 자료들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하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 구글을 비롯하여 국가적 차원의 공공기관 에서 기 구축한 공간자료들을 교육 목적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를 구축하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해외 의 몇몇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창

,

and Tanner. 1980; Jacobs. 1989; Drake. 1993).

국내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한 (Arts)을 더한 융합인재교육( 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Mathematics: STEAM)의 중 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Veletsianos(2008)는 교실환경에서 웹 지도를 이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높여 수업

5

학자들이 제시하였다(Boszin and Cirucci. 2009; Chun. 2010).

최근 국내에서도 지오웹 기반으로 수업자료를 제작하거나, 수업모듈을 제작 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혜경(2008)은 초등 사회 교과 중 지도학습 단원에서 교과에 수록된 다양한 주제지도 정보를 구글맵에 매 시업(mashup)하여 나타낸 후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콘텐츠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선주(2010)는 중학교 사회과의 중부지방 단원을 사례로 지리교육 사이트를 구축한 바 있으며, 김남신(2006)은 웹GIS를 구축하여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지리학습을 할 수 있도록 웹기반 학습 교재를 개발한 바 있다. 김상지(2011)는 구글어스를 기반으로 인문지리 및 자연지리 단원의 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적용한 바 있으며, 이지숙(2011)은 구글어스 매시업을 통해 지 리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지리교육 콘텐츠의 개발 가능성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뿐 아니라, 권동희(2012)는 네 이버 항공뷰 기능을 활용하여 국내 지형사진으로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는 연구 를 수행한 바 있으며, 한경섭(2012)은 수도권 지역 학습을 위해 브이월드를 활용 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한 바 있다.

한편 김형숙(2010)은 구글어스 KML을 활용한 해외 석유자원 개발지역을 찾 는 모듈을 만들어 교육현장에 적용해본 결과 최적입지 선정 교수-학습 모듈이 지리적 개념을 배울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 글어스는 공간적 사고를 분석하고 종합할 수 없다는 Patterson(2007)의 주장과는 달리 KML을 활용하여 공간적 사고를 분석하고 종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종 원(2011)도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풍력발전단지의 입지선정, GPS와 경위도 좌 표를 활용한 보물찾기 등의 문제를 다루는 모듈을 개발하고, 교사연수에 적용해본 결과 공간정보기술이 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특정 주제를 가지고 진 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듈이 부족한 실정이며(김형숙. 2010), 실제 학교 현장 에서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교육자료도 매우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 다(이지숙. 2011). 또한 일선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 가운데 지오웹 기반의 교 육가능성을 알고 있는 교사도 적을 뿐더러 실제 관련교육을 실시하는 여건도 매 우 취약함을 알 수 있다.1)

,

1) 필자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공간정보거점대학으로 지정된 학교에서 일선 중등교 사를 대상으로 ‘지오웹기반 수업모듈만들기 과정’을 운영해왔으며, 이때 수업을 들은 일선 교사들과의 인터뷰 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공간정보 기반 교육사이트 구축 및 활용현황

앞선 사례연구에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이 탐구중심의 학습, 문제중심 학습에 도움 이 된다는 선행 분석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게 한 것은 외국 의 경우 민간 및 공공부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플랫폼의 제공과 관련 웹사이트 운영, 그리고 다 양한 지원서비스를 통해서였다. 구글의 지도서 비스(google earth, google map)를 필두로 미국 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미국 항공우주국(NASA), 영국 국립지 리원(Ordnance Survey) 등 대량의 공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관들은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

혹은 지오웹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인 지하고 유아, 초·중등, 고등 교육에서 공간정보 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와 수업모 듈을 제공하고 있다(<표 1> 참조).

예를 들면 구글은 구글맵과 구글어스를 공간 정보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글맵·구글 어스의 활용매뉴얼, 구글어스 및 구글맵을 기반 으로 한 130여 개의 수업모듈을 소개하고 있다 (<그림 1> 참조). 웹사이트(www.google.com/

educators)는 교사용, 학생용, 비영리조직용으로 구분하여 필요한 자료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수업모듈의 경우 지리, 역사, 수학, 지구과학, 생물,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사 례를 제공하고, 교사나 학생이 제작한 수업모듈

<표 1> 공간정보 기반 교육사이트 사례

주관 기관 주제 수업모듈

미국

Google For Educator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한 교육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맵, 구글어스, 스케치업, 피카사 등의 서 비스를 연령대별로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 제시

미국

USGS Education USGS의 자료를 활용한 교육

USGS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해수면 상승으로 인 한 시뮬레이션 동영상, 기후변화, 토지이용변화 등의 학습자료 제시 미국

NASA Education 위성영상을 활용한 교육, 로봇 공학 교육, 우주 교육

공간, 해양, 지구에 대한 최근의 과학적 발견과 관련된 교육자료 (강연 비디오, 인쇄물) 제공, 연령대별 학습자에 맞는 교육프로 그램 및 위성영상 자료 제시

미국 Lehigh University’s Environmental Literacy and

Inquiry Working Group

구글어스를 이용한 환경교육

구글어스를 이용해 환경에 최소로 영향을 미치는 쇼핑몰 입지분 석, 과거와 현재의 기후변화 탐구, 대체에너지의 입지조건 탐색, 판구조론 등과 관련된 커리큘럼 제시

<그림 1> 구글어스를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한 사례(좌: 실시간 지진데이터를 이용한 지진지역 분석, 가운데: ‘Sugaer Changed the World’라는 문학작품과 구글어스 연계한 교육, 우: 지형단면도 프로필 작성)

출처: www.google.com/educators/index.html.

5

을 쉽게 공유하고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구글맵이나 구글어스 에 대한 활용매뉴얼은 온라인 튜토리얼뿐 아니라 오프라인 교육도 실시하고 있으 며, 주기적으로 경진대회도 개최하고 있다.

미국의 USGS는 미국 영토 내의 육상 및 해저의 천연자원, 지형, 자연재해 등을 측정하고, 지형도와 지질도를 제작하며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USGS에서는 기후변화, 생태계, 자연재해 등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 및 시뮬레 이션 툴을 제공하고, 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USGS Education(education.usgs.gov)을 통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USGS Education 의 웹사이트는 크게 초등, 중등, 고등교육으로 구분되며, 학년별 교육내용은 생 물, 지리, 지질, 물과 관련된 하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그림 2>

참조).

NASA는 우주계획 및 장기적인 항공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과학, 기술, 수학 분야에 대한 수업모듈을 NASA Education(www.nasa.gov/offices/education)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My NASA DATA(mynasadata.larc.nasa.gov)를 통해 NASA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학년별로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그림 3> 참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듈은 학년급별로 기후변화, 대기영향, 허리케인, 지구탐색, 인간의 영향 등으로 구분되며, 100여 개의 수업모듈을 제공하고 있다. 각 수업모듈은 수업의 목적, 수업 가능 학년, 소요시간,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용, 해당과목, 학습방법 및 평가, 향후 학습내용 등으로 구분된다. 영국의 Ordnance Survey 웹사이트에서도 구축한 공간정보를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Education & Research 분류하에 디지털지도, OS에서 제공하는 오픈데이터, 교육자료, 지도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NASA는 우주계획 및 장기적인 항공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과학, 기술, 수학 분야에 대한 수업모듈을 NASA Education(www.nasa.gov/offices/education)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My NASA DATA(mynasadata.larc.nasa.gov)를 통해 NASA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학년별로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그림 3> 참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듈은 학년급별로 기후변화, 대기영향, 허리케인, 지구탐색, 인간의 영향 등으로 구분되며, 100여 개의 수업모듈을 제공하고 있다. 각 수업모듈은 수업의 목적, 수업 가능 학년, 소요시간,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용, 해당과목, 학습방법 및 평가, 향후 학습내용 등으로 구분된다. 영국의 Ordnance Survey 웹사이트에서도 구축한 공간정보를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Education & Research 분류하에 디지털지도, OS에서 제공하는 오픈데이터, 교육자료, 지도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