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창출을 위한 플랫폼 구축전략

최병남 |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장

공간정보 융·복합 개념정의1)

1. 융·복합의 개념

최근 융·복합이라는 용어를 사회문화,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융·복 합의 개념정의가 아직 명확하지 않은 채 다양한 의 미로 사용되고 있다. 융합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 여지거나 그렇게 만들거나 그런 일이며, 화학적 결 합을 통해 가치가 커진 새로운 개체 창조를 말한다 (최병남·이영주 외. 2010). 복합의 사전적 의미는

두 가지 이상이 하나로 합침, 또는 두 가지 이상을 하나로 합침으로 물리적 결합이다.

우리말의 융·복합에 해당하는 영어단어 컨버 전스(convergence)의 사전적 의미는 한 점으로 집 합, 집중성, 수렴이다. 디지털 컨버전스에서 컨

버전스는 정보통신 분야의 단위기술들이 결합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가 만들어지는 상태 혹은 그런 경향을 나타내는 시대어로 사용되고 있다. 디 지털 컨버전스라는 말은 일차적으로 다양한 정보 통신기술과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들의 융합, 하드 웨어 간 융합, 소프트웨어 간 융합, 하드웨어와 소 프트웨어의 융합, 인간과 기계의 융합, 가상공간 과 물리공간의 융합 등으로 이해된다(LG CNS.

2010).

따라서 융·복합의 개념을 단순하게 다수 요 소들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단 순 개념정의의 핵심은 결합 요소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최병남·이영주 외(2010)는 공간정보 융·복합 요소로 공간정보(콘텐츠), 지식(용역), S/W, H/W, 플랫폼 등을 제시하고 있다. 공간정보 융·복합 활동은 공간정보가 생산·소비되는 일련 의 가치사슬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1) 이 부분은 최병남·이영주 외. 2010.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석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의 내용 일부를 발취한 것이다.

(최병남. 2008)으로 정의된다. 공간정보 융·복합

국 토 논 단

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시켜 기존

국 토 논 단

간정보플랫폼이 살아서 발전할 수 있고, 제대로 된

국 토 논 단

맺음말

공간정보 융·복합은 공간정보 활용이 양적·질적 으로 확산되고 고도화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정보 활용 촉진을 위한 국가의 첫 접근방법은 공간정보 공유체계 구축이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 해 체계적인 전략으로 공간정보인프라 개념이 제 시되었다. 이와 같은 접근개념은 사회경제적인 수 요특성 변화와 기술발전에 한계를 나타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제시되고 있는 접근개념이 플 랫폼이다.

공간정보 융·복합은 정치, 경제, 기술, 사회 등 의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와 같 은 환경요인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는 정보가 치사슬로, 공간정보 융·복합은 환경변화에 대응 한 메커니즘을 형성해야 하고, 이를 통해서 공간 정보생태계의 지속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 다. 따라서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하고 고도화 하는 장으로 플랫폼은 매우 중요한 국가공간정보 정책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공간정보 관련 지식, 기술, 정보 등을 공유하고 교류하기 위한 장 으로서의 공간정보플랫폼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콘텐츠 등을 갖춘 통합정보시스템을 의 미한다. 따라서 공간정보 관련 지식, 기술, 정보 등 을 제공하는 기존의 관련 정보시스템과 공간정보 플랫폼의 중복을 사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플랫폼과 관련 정보시스 템의 역할관계를 정립하고, 물리적·논리적 통합방 안을 마련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선빈ㆍ김창욱ㆍ예상한ㆍ윤순봉ㆍ윤영수ㆍ이갑수ㆍ채승병. 2006. 한국 정 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김창욱ㆍ김선빈 외. 2008. 시스템사고에 입각한 정책설계방안-정책 부작용의 예방을 중심으로.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채승병ㆍ양재석ㆍ김선빈. 2006. 12. 1. “정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의 행 위자기반 접근”. 제1회 복잡계 컨퍼런스-복잡계 이론과 현실, 생산 적 적용의 모색.

최병남. 2008. “공간정보서비스 전략-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와 비즈니 스모델을 중심으로”. 지적 제38권 제2호. pp53-73.

최병남·강혜경·한선희·성혜정·김대종. 2012. 개발도상국 공간정보인프 라 구축 및 활용 연구: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를 중심 으로. 경기 : 국토연구원.

최병남·박종택·한선희·강혜경. 2011.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정책 정립방 안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최병남ㆍ신상회ㆍ남광우. 2011. 오픈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 랫폼 구축방안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최병남ㆍ이영주ㆍ강혜경. 2010. 공간정보 융ㆍ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 석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최병삼. 2010. 성장의 화두, 플랫폼.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히라노 아쓰시 칼·안드레이 학주. 2011. 플랫폼 전략 - 장(場)을 가진 자가 미 래의 부를 지배한다. 천채정 역. 서울 : 더숲.

LG CNS. 2010. Beyond Promise August+September.

국 토 논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