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나. 장소 및 체제적 관점에서 본 방안

4) 중국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중국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통한 직업교육훈련분야의 교류 및 협력은 다 른 지역보다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조선족 자치주의 지리적 특성과 같은 민족, 같은 언어의 사용, 산업 및 교육훈련 수준에서 남 북한의 중간 위치, 같은 사회주의 경험, 남북한 주민의 자유로운 왕래 가능 성 등으로 남북한이 직접적으로 교류 및 협력을 추진하기 전 단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몇몇 기업에서는 이 지역에 진출하여 조선족 인력을 활용한 사업 을 추진하면서 조선족은 물론 북한 지역의 근로자들에 대한 직업훈련을 실 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방안이 갖는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직업교육훈련의 환경 차이를 극복하는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남북한은 직업교육훈련체제, 산업구조의 차이, 자 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에서 오는 직업관 및 직업의식 등 문화적인 이질 감, 경제적인 여건 등등 많은 격차가 있다. 그러나 북한과 조선족자치주는 그 역사적인 배경을 보면 큰 무리 없이 교류 및 협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까지 지리적인 인접성과 중국과의 외교적인 관계유지를 통하여 왕래가 잦았으며, 상호 이해의 폭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조선족 자치주는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는 경험을 갖 고 있어 북한주민에 대한 저항감 없는 직업교육훈련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북한과 조선족 자치주와의 직 업교육훈련의 환경 차이는 남북한의 큰 격차보다 적기 때문에 북한의 근로 자들이 심리적 혹은 현실적인 갈등이나 자존심의 손상이 없이 쉽게 적응하 여 직업교육훈련의 효과가 있을 것이고, 또한 남북한의 직접적인 교류와 협 력의 전 단계로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조선족 자치를 통한 교류 및 협력은 민족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남북한간의 직업교육훈련분 야의 교류 및 협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조선족 자치주에 거주하 는 200만 주민의 대부분이 한반도에서 이주한 후손들로서 언어와 습관 및

가치관 등에서 큰 차이가 없어 남북한에 대한 중재자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남북한 모두 이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과거 이주사와 항일투 쟁사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및 협력의 초기에 이들을 통한 교류와 협력은 큰 이견 없이 가능하고 볼 수 있다.

셋째, 조선족 자치주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실태에서 이 지역을 통한 남북 한간 직업교육훈련분야의 교류 및 협력의 가능성 및 장점을 찾을 수 있다.

통계(연길시 통계국, 1999)에 의하면 1998년 조선족 자치주의 주도인 연길시 의 경제현황과 산업은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체시의 국내생산총가치는 35.0억 원(인민폐, 이하 단위는 인민폐임)에 달하여 지난해에 비해 9.8% 신장 하였고, 주민의 1인당 국민소득은 8,976원으로 7.1% 신장하였다. 국내총생산 중에 제1차 산업의 증가치는 0.8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8.7% 하강하였고, 제2 차 산업의 증가치는 16.1억 원으로 12.6% 증가하였으며, 제3차 산업의 증가 치는 18.1억 원으로 7.4% 증가하였다. 산업구조의 변화는 제1 3차 산업의 비 중이 하강하였고, 제2차 산업의 비중이 상승하였다. 1 2 3차 산업의 증가치 비중은 지난해의 각각 2.9%, 42.6%, 54.5%에서 2.3%, 46.0%, 51.7%로 변화하 였다. 이러한 변화의 수치는 이 지역의 산업구조가 점차 2차 산업 중심으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점차 자본주의 국가의 형태로 변하는 과도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점은 앞으로 북한의 산업구조 의 변화를 예측해 볼 때, 북한도 같은 과정으로 간다고 예상할 수 있어 이 지역의 경험과 산업환경은 북한주민의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거나 교류 및 협력의 차원에서 보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중국 조선족 자치주의 직업교육훈련시설 및 교사를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조선족 자치주는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교육환경이 개선되고, 과거 사회주의적 요소들이 많이 사라지고 새로운 자본주의적 교육여건이 마련되 고 있다. 따라서 이들 시설과 변화된 환경은 북한의 근로자들이 큰 심리적 충격이 없이 적응하면서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래 <표 Ⅳ-3>에서 보듯이 전문기술 인원이 27,837명에 이르고, 각 산업 별로 다수의 인력이 있어 북한 근로자들에 대한 기술 이전이 가능한 충분한 인적자원이 확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들이 모두 북한 근로자 인

적자원개발에 활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술교육훈련의 환경으로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표 Ⅳ-3> 연길시 전체의 전문 기술인원 현황

(단위: 명)

기술

인원 총계

학과 영역 구분

중급 이상

농림 기술 인원

공업 기술 인원

기타 자연 기술 인원

사회 과학 기술 인원 중급

이상 중급

이상 중급

이상 중급

이상 27837 14345 959 657 6354 3314 10255 4991 10269 5383 시 소속 11075 5078 381 250 2215 1121 2125 2109 3354 1598 국유경제 22755 12083 799 541 4514 2318 9573 4755 7869 4469 시 소속 7852 3651 264 166 166 1086 525 4650 1941 1019 집체경제 1336 483 33 27 267 128 277 93 759 235 시 소속 966 305 24 20 151 71 227 62 564 152 기타 각종경제 3746 1779 127 89 1573 868 405 143 1641 679 주식제 1875 876 34 25 463 244 94 34 788 325

삼자(三資) 297 146 2 132 76 54 24 137 71

시 소속 2257 1122 93 64 978 525 248 106 938 427 총계 중

1.농림목어업 631 355 313 210 255 117 27 13 36 15

2.채굴업 50 48 1 1 31 29 18 18

3.제조업 2537 1232 78 46 1108 577 151 89 1200 515 4.전력・가스・수

생산 및 공급업 1024 457 1 1 695 286 34 19 294 151 5.건축업 2261 773 7 7 1374 541 137 25 743 200 6.지질・수리업 431 244 3 3 325 176 53 35 50 30 7.교통・통신업 950 447 45 45 314 158 129 26 462 218 8.도・소매업 1496 659 44 18 150 87 241 113 1061 441 9. 금융・보험업 2329 1024 104 56 167 40 2058 928 10.부동산업 211 109 10 1 111 67 27 16 63 25 11.사회 서비스업 725 410 22 15 232 121 109 54 362 220 12.위생・체육

・복지업 3562 1703 6 5 32 20 3239 1551 285 127 13.교육・방송사업 9170 5191 311 238 580 338 5517 2705 2762 1910 14.과학기술 서비스

업 952 726 10 6 611 482 159 110 172 128 15.정당・기관 및

사회단체 1199 722 106 55 367 206 205 152 521 309 16. 기타 산업 309 245 2 1 65 53 60 43 182 148 자료: 연길통계연감(2001), 중국통계출판사.

과학기술 인력의 민족 구성에서도 아래 <표 Ⅳ-4>에서 나타나듯이 조선족 이 총 인원의 과반수를 넘는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표 Ⅳ-4> 과학기술 인원의 민족 구성 현황

(단위: 명)

민 족 기술 인원 합계

중급 이상

의림 기술 인원

공정 기술 인원

기타 자연 기술 인원

사회 과기 중급 인원

이상 중급

이상 중급

이상 중급

이상 합 계 27837 14345 659 657 3314 10255 4991 10269 5383 5938 조선족 16835 9379 661 477 3303 2005 3621 5954 3276 3535 한족(漢族) 10675 4790 286 169 2982 1277 3228 1319 4179 2025

만 족 265 140 9 7 61 30 87 38 108 65

회 족 47 27 3 2 5 1 18 10 21 12

기타 15 9 3 1 5 3 7 5

자료: 연길통계연감(2001), 중국통계출판사.

한편 북한 근로자들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에 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관련 학교를 살펴보면, 아래 <표 Ⅳ-5>에서 보듯이 기공(技工)학교 수가 3개교(연 길 방직학교, 연길 담배제조학교, 중한연변건축학교)와 직업중학이 민간학교 가 4개교, 시 고급직업중학교가 1개교, 국제기술합작학교가 1개교, 동방예술 학교, 해양학교 등이 있다.

<표 Ⅳ-5> 기공학교, 직업중학 현황

학 교 연말

학교수 졸업생수 (명)

입학생수 (명)

연말재학

생수(명) 연말교직

원수(명) 전임교사

기공학교 3 114 171 35 35 21

연길방직학교 1 26 100 13 13 8

연길담배기술학교 1 7 7 5

중한연변건축학교 1 88 71 15 15 8

직업중학 4 1130 2709 470 470 273

민간(사립) 2 84 573 130 130 65

시고급직업중학 1 1046 1716 309 309 188

국제합작기술학교 1 420 31 31 20

동방예술학교 1 295 40 40 25

해양학교 1 84 278 90 90 40

자료: 연길통계연감(2001), 중국통계출판사.

또한 연길시에 성인고등교육기관과 중등 전문학교가 있어 이들 시설과 교 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표 Ⅳ-6> 참조).

<표 Ⅳ-6> 성인고등・중등학교 기본 현황

학 교 졸업생수

(명)

입학생수 (명)

연말재학생

수(명) 연말교직원

수(명) 전임교사

성인직공고등학교 216 296 679 239 150

연변방송대학교 77 74 217 39 27

연변직공대학교 139 222 462 99 64

연변교육대학 101 59

성인직공

중등전문학교 552 363 1261 153 83

기타학교부설중업반 318 193 398

연변 도로직공중전 150 150 778 43 27

연변 농업직공중전 84 20 85 52 26

연길시 교사 양성학교 58 30

자료: 연길통계연감(2001), 중국통계출판사.

그러나 종합적으로 볼 때, 사실 연변지역에서 이상의 시설과 교사 등으로 북한 근로자들을 교육훈련 시키기에는 모든 면에서 부족한 감이 있다. 따라 서 이 지역에서 북한 근로자들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이 실시될 경우 많은 인

적・물적・재정적・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