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모두 7개의 장(chapters)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을 제외 한 6개 장의 구성과 주요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제2장은 가계부채에 대한 이론적 검토로 이 문제가 갖는 다양한 특성 을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접근방법을 강조하는 이 연구의 목 적과도 관련성이 있는 대목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 전해 왔으며, 현재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어떻게 경제사회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밖에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 과중채무 및 다중채무 문제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하였다. 그리고 근로빈곤층의 특성을 언급함으로써 왜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서 근로빈 곤층에 집중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제3장은 주요국 가계부채 문제의 현황과 대책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이 장은 가계부채 대책 일반보다는 저소득층 및 근로빈곤층 대상 가계부 채 대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서 다루고 있는 외국은 영국과 프랑 스 그리고 일본으로 제한하였다. 이 세 국가를 선정한 이유는 가계부채 문제, 특히 빈곤층 가계부채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국가들이 금융정책과 고용정책 그리고 복지 정책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음을 의 미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빈곤층 및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정책과 고용정책 그리고 복지정책이 어떻게 연계되어 야 하는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4장은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의 실태와 문제점을 저소득계층에 초 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있다. 하지만 이 장은 실태분석에서 저소득층에 국 한된 분석을 하기보다, 전체 소득계층과 저소득층 가계부채 문제를 비교 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것은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문제가 다른 소득계 층 및 자산계층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장에서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 부담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도 다른 소득계층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제5장은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양적 분석에 할애하고 있 다. 제4장에서 소득분위별로 양적 분석을 하였다면, 여기서는 전체 소득 계층을 빈곤선을 기준으로 네 개의 집단(빈곤층, 중하층, 중상층, 상위층) 으로 구분하고, 그중에서도 근로연령층 가구주가 있는 빈곤가구, 즉 근로 빈곤층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왜 근로빈곤층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가를 설명하기 위해, 근로빈곤층의 취약한 소득능력(가구 주의 불안정한 고용지위와 가구 내 취업가능인구의 부족 등)과 다른 가구 와 큰 차이가 없는 지출 욕구 등을 대비시키고자 하였다. 그 밖에도 이 장 은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힘든 문제를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제6장은 근로빈곤층 중 과중채무자에 대한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작성 한 질적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여기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내용은 가계 부채 문제가 이들의 노동과 소비 그리고 가족관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근로빈곤층은 대부분 가족을 부양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동을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들이 도덕적 해이나 사치 등 으로 인해 그러한 문제에 직면하였거나,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는 일부의 주장이 실제 그러한지 확인하는 목적 또한 갖고 있다. 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근로빈곤층 개별 가구들이 안고 있는 문제의 복잡성을 드러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계부채 대책과 고용정책 그리고 복 지정책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제7장은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와 정책 제안 을 하고 있다. 다소 긴 분량으로 작성된 이 장에서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에 대한 언급, 몇 가지 구체적인 가계부채 대책 관련 제안, 그리고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등을 담고 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