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Copied!
33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 (2/3차년도)

Strategies for Activating Online Platforms for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Year 2 of 3)

김성우 김병률 김종진 정은미 김동휘 R 961 l 2022. 12. l

(2)

R 961 | 2022. 12.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

(2/3차년도)

Strategies for Activating Online Platforms for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Year 2 of 3)

김성우 김병률 김종진 정은미 김동휘

(3)

연구 담당

김성우︱연구위원︱연구 총괄

김병률︱선임연구위원︱농산물 물류 유형별 실태 및 방안 도출 김종진︱연구위원︱농산물 물류의 경제 효과 분석

정은미︱연구위원︱국내 사례 조사

김동휘︱연구원︱설문조사 분석, 국내 사례조사

연구보고 R961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22. 12.

발 행 인︱김홍상

발 행 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321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 쇄 처︱크리커뮤니케이션

I S B N︱979-11-6149-577-4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4)

i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한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농산물 유통도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거래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농산물 유통구조에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으로 거래하는 유통구조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 다. 이러한 새로운 유통 개념, 새로운 형태의 유통 업태, 신유통시대에는 상품 경 쟁력보다 물류산업에서의 경쟁력이 유통시장에서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총 3개년에 걸쳐 수행되며, 본 보고서는 2차년도로 온라인 플랫폼 기 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1차년도(2021년)에는 유 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도 출하였으며, 마지막 3차년도(2023년)에는 농산물 유통의 온-오프라인 채널의 미 래를 전망하고 농산물 유통정책 제언과 발전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동안 자료의 조사와 분석에 매진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하며, 설문에 성실 히 응해주신 응답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더하여 분석 방법과 내용에 대해 아 낌없이 조언해주신 원내외 전문가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무 쪼록 이 연구가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농산물 유통구조의 이해증진과 관 련 정책 수립에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2022.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홍 상

머리말

(5)
(6)

iii 연구 배경과 목적

○ 3년에 걸쳐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소비자들이 비대면 구매를 선호 하고, 거래에서도 온라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농식품법인과 통합마케 팅조직, 협동조합 등 공급 부문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한 판매가 증가 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물류는 상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인프라이다. 즉, 소비자 유통환경이 상류를 중심으로 온라인화, 디지털화(DX)가 급진전함에 따라 이에 맞는 물류 시스템 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유통 개념, 새로운 형태의 유통 업태, 신유통 시대에는 더 빠르고 개인화된 물류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 상품 경쟁력보다 물 류산업에서의 경쟁력이 유통시장에서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물류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 농산물은 상온 유통이 가능한 쌀 등 곡물의 상온 저장 및 운송 물류도 있으나, 채소, 과일 등 대부분 상품의 생산, 저장, 하역, 운송 등에서 일관된 정온 물류 관리(Cold-chain System)가 필요한 상품으로, 저온저장, 운송 시설, 장비, 기술 등의 부족으로 공산품 물류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으며, 농산물 산지 유통과 도매유통에서는 여전히 기존의 후진적인 물류 운송(화물차, 운송장비), 물류 시설 및 장비(유통센터, 물류센터 및 장비), 물류체계(물류정보시스템)에 머물 러 있어 물류 효율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산지와 도매, 소매 단계의 물류 연계가 약하고 물류 단절이 심해 물류 비용의 중복과 비효율이 나타나고, 품목 특성에 따라 등급선별, 포장규격 등 표준화가 여전히 미흡하여 온라인 거래 확대에 장애가 되고 있다. 전통적인 운송 관행이

요 약

(7)

iv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부가세 등 제도적인 문제도 잔존하고 있다. 온라 인 거래단위와 거래 규모가 작고 분산되어 있어 판매자인 농가나 소비자들에 게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 이와 같은 농산물 물류 문제는 물류 단계를 비롯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기반의 물류, 온라인 유통 형태에 따른 물류, 유통 주체에 따른 애로사항 등 좀 더 세분화 된 조사와 실태 분석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물류 효율화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 3년 동안 추진하는 이 연구의 목적은 1차년도(2021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에 서 거래되는 농산물(농식품)의 유통 비율 및 유통실태를 파악하여, 온라인 플 랫폼 채널과 다른 유통 채널과의 유통 비용 등을 비교·분석하고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의 효율적 추진과 확대를 위한 유통 서비스 개선 및 혁신 (스마트화 등) 과제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2차년도(2022년)에는 농산물 의 상적 거래와 물류 서비스는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에 있어 온라인 플랫폼 기 반의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물류 서비스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 3차년도(2023년)에는 유통산업과 농산물 유통의 온라인, 오프라인 유통채널에 대한 미래 전망을 분석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의 발전 방 향을 제시하고, 농산물의 온-오프라인 유통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자 한다.

연구 방법

○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 도출을 위하여 우선 다수의 문헌을 검토 하였으며, 스마트 물류 기술 도입 가능성과 물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된 문헌과 전문가 심층 조사를 하였다.

(8)

v

○ 설문조사는 소비자, 생산자조직, 유통인 등 총 4개 부문으로 이루어졌다. 소비 자 대상 설문조사는 온라인을 통하여 1,00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생산 자조직은 농업법인 101개소, 통합마케팅조직 50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하였다. 또한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 366명을 대상으로 도매시장에서의 농산 물 물류 운영 현황 및 온라인 거래에 따른 물류 운영 방식과 향후 전망을 조사 하였다.

○ 농산물 물류 업체들의 실질적인 운영 방식과 온라인 거래에 따른 물류 부문 문 제점 및 효율화 방안 도출을 위하여 지역 물류 알선업체, 농산물 물류 전문 업 체, 물류 대기업 및 신생 농산물 물류 플랫폼 실무자들과의 협의를 실시하여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온라인 플랫폼 업체 관계자, 온라인 플랫폼 납품 전문 벤더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운영 및 납품 전반에 있어 물류 과정 을 조사하였다. 지역 공무원 및 농협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물류 관련 정 부 지원 정책의 운영 실태 및 발전 방향을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

○ 제2장에서는 1차년도에서 파악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실태를 재점검하기 위해 최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최근의 추세를 나타 내기 위해 소비자와 공급자(농식품법인, 통합마케팅조직, 공영도매시장 중도 매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에도 온라인쇼핑몰 거래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가구는 온라인 유통채널 이용을 더 늘릴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급 부문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농산물을 공 급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다.

(9)

vi

○ 제3장에서는 농산물 물류의 기본 개념과 물류단계에 대해 살펴보고,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현황을 파악하였다.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는 크게 4 가지 운송 유형으로 자차운송, 물류주선업체, 콜업체, 대형물류기업 계약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현황 및 사례를 다뤘다.

○ 제4장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유형을 나눴다. 1차로 온라인과 오프 라인으로 나눴으며, 2차 분류는 각각의 물류 형태에서 대표적인 물류로 나눴 다. 오프라인 기반의 농산물 물류는 ① 도매시장 경유 물류, ② 산지-소매업체 직거래 물류, ③ 산지-소비자 직거래 물류이며, 온라인 기반의 농산물 물류는

④ 오픈마켓형 물류, ⑤ 풀필먼트형 물류로 나눴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른 설명 과 예시를 들었다. 한편 최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비대면거래가 크게 증가 하면서 산지공급자(농가, 법인 등)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오픈마켓이나 풀 필먼트 등으로 출하처를 확대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산지유통정책 대부분 은 산지 조직화와 규모화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에 온라인의 특성상 소포장 다품목 납품에는 포장시설 등이 부족하다. 또한 대부분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 의 물류센터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산지공급자의 APC 등은 각 지역 에 위치해 있어 물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온라인 판매를 위해서는 사진 과 스토리텔링 등의 마케팅 능력이 필요한데, 대부분 산지공급자는 벤더들을 이용하고 있어 산지공급자에게 마케팅 교육 등을 통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지 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제5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으로 한 농산물 물류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농협의 온라인 농산물 거래소의 최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으로 출하할 경우 오프라인으로 출하한 거래단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류비

(10)

vii 용도 온라인으로 출하했을 경우 오프라인보다 약 4%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후생효과 분석 결과, 온라인 유통채널의 물 류비용 감소는 소비자와 공급자의 후생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거래는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제6장에서는 제2장부터 제5장까지의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현황 및 실태 분석, 경제성 효과 분석을 통한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본 방향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물 류 효율화를 통한 농가수취가격 제고, 소비자 후생 증대, 농산물 물류 서비스 향상(물류 인프라 구축 및 디지털 전환)이며, 이를 토대로 총 3개 부문에서 10 개의 온라인 플랫폼 기반 세부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 첫째,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오픈마켓 출하의 물류 효율화 부문이다. 오픈마켓 판매를 위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품질관리를 위해 공급자 교육 서비스를 제 공해야 한다.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진, 스토리텔링 등 마케팅 능력이 중요하고 농산물 특성상 반품 등이 어렵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공급자의 택배 단가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공공형 택배 시스 템 구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급자들이 오픈마켓을 이용하고 싶어도 정보의 한계 등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농산물 벤더와 생산자를 위한 매칭 플랫폼 구축도 고려해야 한다.

○ 둘째, 풀필먼트 물류 효율화 부문이다. 풀필먼트 물류는 쿠팡, SSG 등 온라인 기업의 물류 형태이다. 공급자가 온라인 기업의 물류센터로 운송하는데, 온라

(11)

viii

인 기업의 물류센터는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해 있다. 수도권 지역에 새롭게 건 립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중부지방의 만인산 농협 등과 같은 중부 거점 APC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충남, 전남, 제주 등 각 광역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농산물 공동 물류 시스템을 확대하여 물류비 를 절감시켜야 한다.

○ 셋째,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를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물류 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이해 농산물 스마트물류 기술 도입과 농산물 물류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공산품 및 일반 물류에 활용 되고 있는 스마트물류 기술을 농산물 물류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들을 분석 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농산물 물류 정보화 시스템 구축 방안으로 데이터 기반 의 농산물 물류정보 통합관리 체계 구축과 농산물 물류 데이터 수집 및 표준화 의 필요성 및 방법, 물류 빅데이터 수집 및 고도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 농산물의 공영도매시장으로의 출하 비율이 여전히 50%를 상회하고 있다. 1995년 WTO 체결 이후 대형유통업체가 생겨나면서 공영도매시장의 유일한 경쟁 채널 이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직거래, 학교급식, 농협 계열화, 통합마케팅조직 육성 등 규모화와 출하처 다변화로 인한 다양한 유통채널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였으 나, 정보의 비대칭성과 지역적인 한계, 산지 대응 열악, 마케팅 능력 저하 등으로 효과가 미비하였다.

○ 이제 온라인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유통채널과 경쟁 할 수 있는 다양한 출하처가 나타나고 있다. 온라인 거래도 다양한 형태의 유 형이 나오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생산자들은 중간벤더를 통해 온라인

(12)

ix 플랫폼 기반의 오픈마켓과 온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출하하고 있으며, 다양한 포장 규격 및 스토리텔링 등으로 온라인 거래 물량을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 해 기존의 전통적인 출하처에서 다양한 온라인 채널로 이동하고 있다.

○ 반면, 풀필먼트 물류 유형에서 재고 부담을 공급자(생산자, 법인, APC)가 부담 하는 것과 과도한 물류센터 수수료, 비효율적인 검수로 인한 전량 회수 조치, 고객 대응의 미숙함, 마케팅 등의 전문성 결여, 온라인 시스템 활용의 미숙함, 정보 습득의 한계, 온라인 거래 특성에 맞지 않은 시설, 비효율적인 물류비 등 은 온라인 거래 확대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 결국,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해서는 산지의 인식 및 기술의 변화, 유통인의 인식 변화, 소비자의 합리적 판단, 그리고 정부의 정합 성 높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13)

x

Strategies for Activating Online Platforms for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Year 2 of 3)

Background and Purpose

○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year-long COVID-19 pandemic, consumers have come to prefer non-face-to-face purchase, which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online transactions. In the supply sector, such as agrifood corporations, integrated marketing organizations, cooperatives, etc., their sales to online platform businesses are increasing, and such trend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 Logistics is infrastructure for facilitating commercial distribution.

Agrifood distribution requires a logistics system sui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online operation and digitalization. In the era where a new concept of distribution, new forms of distribution businesses, and new methods of distribution are prevalent, logistic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the extent that the success in the distribution market relies on competitiveness in logistics rather than on product competitiveness amidst the expansion of the demand for more rapid, personalized logistics services.

○ As for agricultural products, there are grains such as rice that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at normal temperature. Still, most of the products require a consistent cold-chain system in the process of

ABSTRACT

(14)

xi production, storage, loading and offloading, and transportation.

Currently, the way of handling agricultural products is much behind that of handling industrial products,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equipment, and relevant skills associated with adequ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production areas and through wholesale remains backward in terms of transportation vehicles/equipment, logistics facilities, and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The logistics connection is weak among the places of production and the wholesale and retail stages, with redundant cost and inefficiency.

Product standardization has a long way to go due to problems in classification and packing standards, etc. and it poses a stumbling block in the expansion of online transactions. There are also other problems like sticking to traditional practices of transport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systematic problems like VAT. Online transactions are small in size and are scattered, acting as a factor burdening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Such problems require more detailed survey and analysis to come up with ways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of logistics.

○ In the first year (2021) of this three-year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agricultural products (agrifood) distribution;

compared and analyzed factors like distribution expenses occurring in online platform channels and other channels; and presented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innovation of distribution services for the more

(15)

xii

efficient promotion of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In this second year (2022), we focused on strategies to improve logistics servic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activation of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In the last year (2023) of the study,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utlook for on/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of agricultural products, along with policy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on/offline distribution of the products.

Research Methodology

○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come up with ways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of platform-based logistics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n an in-depth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xper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ur sectors including consumers, producer organizations, and distributors. The survey targeting consumers was done online among a total of 1,001 people. The survey of producer organizations was conducted among 101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50 integrated marketing organizations. The survey of distributors targeted 366 intermediate wholesalers in public wholesale markets concerning the status of logistics ope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methods of logistics operation in online transactions, along with future prospects.

○ To identify logistics-related problems in online transactions and to

(16)

xiii come up with ways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discussion sessions were held with local logistics-related agencies, businesses specializing in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and working-level employees of large-sized logistics businesses and emerging platforms engaging in agricultural logistics. A survey about the overall process of logistic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mployees of online platform businesses/vendors. Finally, the status of operation concerning the government’s logistics policies was derived from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those in charge at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Federation (Nonghyup).

Key Findings

○ In Chapter 2, we analyzed recent data to review the status of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consumers and suppliers (i.e., agrifood corporations, integrated marketing organizations, intermediate wholesalers in public wholesale markets) to identify the recent trends.

The survey showed that the volume of online transactions continued to increase recently and consumers would increase their use of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It also appeared that the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to online platform businesses would continue to increase.

○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basic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We also analyzed the status and cases concerning the merits/demerits of the following four types of

(17)

xiv

transportation used by platform-based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transportation using their own vehicles, logistics-related agencies, call businesses, and large-sized logistics businesses.

○ In Chapter 4, types of platform-based agricultural logistics wer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first. We classified offline-based agricultural logistics into ① logistics through wholesale markets, ② logistics through direct transactions between production areas and retailers, and

③ logistics through direct transactions between production areas and consumers. We also divided online-based agricultural logistics into ④ open market-type logistics and ⑤ fulfillment-type logistics. Meanwhile, producers (such as farmers and corporations) are expanding their shipping destinations to online platform-based open markets or fulfillment, etc. amid the recent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non-face-to-face transactions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However, those engaging in the supply of small packages and a large number of items lack packing facilities, since most of the policies concerning distribution from production areas were focused on organizing and scaling up production areas. In addition, most online platform businesses’ logistics centers are concentrated in the Greater Seoul area, while producers’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s (APCs) are located in rural areas, resulting in a low efficiency of logistics. Producers also require marketing capability associated with photo skills and storytelling for online sale, but most producers are using vendors. Thus,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a policy to help producers to build their relevant capability.

(18)

xv

○ In Chapter 5, we analyzed the economic efficiency of online platform- based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ecent data from Nonghyup’s Online Exchange for Agricultural Products, the unit price of products shipped out online was higher than offline. Also, logistics expenses for products shipped out online were about 4%p lower than offlin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welfare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reduction of logistics expenses in the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enhanced welfare for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 Chapter 6 presents ways to make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logistics more efficient based on results from Chapters 2 through 5.

The basic directions are: first, raise the prices received by farmers;

second, increase consumer welfare; third, improve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s. This study came up with a total of ten detailed methods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of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logistics.

○ First, it is needed to improve operations in open markets. Expertise in open market sale should be improved, and education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suppliers for quality management. Marketing capabilities such as photo skills and storytelling are important to sell products through open markets. More efforts should be made for quality management,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return agricultural produc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stablishing a public-type door-to-door delivery system to help suppliers enhance their

(19)

xvi

negotiating power.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matching platform for both vendors and suppliers of agricultural products, as it is difficult for suppliers to use open markets.

○ Second, we proposed methods to enhance fulfillment logistics.

Fulfillment logistics is a type of operation used by online businesses such as Coupang, SSG, etc. Suppliers should transport their products to online businesses’ logistics centers, most of which are located in the Greater Seoul area. It is realistically not easy to build new logistics centers in the Greater Seoul area, so suppliers should consider using hub APCs in the central region like Maninsan Nonghyup. They should also reduce logistics expenses by expanding the joint logistics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 Third, we proposed methods to improve agricultural logistics servic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mart logistics technologies and establish a relevant logistics informatization system. This study introduced the smart logistics technologies currently used in industrial products that can be applied to agricultural logistics. Establish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requires a system for standardiz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logistics information.

○ The share of agricultural products traded in public wholesale markets exceeds 50% of all agricultural products. Large-sized distribution businesses came to appear after the signing of the WTO in 1995, and

(20)

xvii they have emerged as the only channel competing with public wholesale markets.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a variety of distribution channels over the last 30 years through the adoption of direct transaction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school meals, systematization of Nonghyup, promotion of integrated marketing organizations, and diversification of shipping destinations, but the effects have remained insufficient due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regional limitations, production areas’ insufficient responses, and lack of marketing capability. It appears that online operators can now perform such roles. Diverse shipping destinations are emerging, and they can compete with existing distribution channels.

○ As for online transactions, new diverse types of trade are emerging, and they are continuing to evolve. Producers ship out their products to online open markets through intermediate vendors, and are expanding the volume of their online transactions by adopting diverse packing sizes and storytelling skills. It is causing a change from traditional shipping destinations to diverse online channel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for the expansion of online transactions: excessive logistics center fees, inefficient inspection, insufficient customer service, lack of professional marketing skills, poor ability to use the online system, limited ability to acquire the necessary information, facilities not suited for online transactions, burdensome logistics expenses, etc.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of online agricultural logistics, the following are required: change of

(21)

xviii

producers’ and distributors’ perceptions; development of the relevant skills; consumers’ reasonable judgment; and the government’s consistent policy.

Researchers: Kim Seongwoo, Kim Byungryul, Kim Jongjin, Jeong Eunmee, Kim Donghwi Research period: 2022. 1. - 2022. 12.

E-mail address: swkim@krei.re.kr

(22)

xix 제1장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3. 연구 범위 ···14 4. 연구 내용 ···15 5. 연구 방법 ···16 6. 연구 추진 체계 ···17

제2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현황 ···19 1. 플랫폼 구성 요소 ···21 2.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현황 ···22 3. 소결 및 시사점 ···66

제3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현황 ···69 1. 농산물 물류의 개념 정립 ···71 2.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현황 ···76

제4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유형 및 실태 ···99 1.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유형 구분 ···101 2. 오프라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유형 및 실태 ···105 3.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유형 및 실태 ···119 4. 소결 및 시사점 ···153

제5장 온라인 플랫폼 농산물 물류의 경제 효과 분석 ···157 1. 온-오프라인 물류비용 ···159

차 례

(23)

xx

2. 온라인 물류비용 감소의 후생효과 분석 ···168 3. 농산물 택배 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179 4. 소결 및 시사점 ···185

제6장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 ···187 1. 기본 방향 ···189 2.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 세부 방안 ···192

제7장 요약 및 결론 ···221 1. 연구 결과 요약 ···223 2.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28

부록

1. 택배(배송) 서비스 지불 의향 가격 추정 ···231 2. 양파 및 쌀 수요함수 추정 결과 ···241 3. 온-오프라인 농축산물 세부 유통채널의 구매액 결정요인 추정 ···244 4. 농식품법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실태 설문조사표 ···250 5. 통합마케팅조직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실태 설문조사표 ···265 6. 중도매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실태 설문조사표 ···282 7.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 농산물 구매 및 택배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표 ···289

참고문헌 ···301

(24)

xxi 제1장

<표 1-1> 최근 물류 분야 트렌드 ···5

<표 1-2> 선행연구 검토 ···8

제2장

<표 2-1> 온라인 식료품 관련 거래액 추이 ···26

<표 2-2> 농식품 온라인쇼핑 해외직접구매액 규모 및 비율 추이 ···29

<표 2-3> 농축산물 유통채널 구분 ···32

<표 2-4> 농축산물 월평균 구입액 ···36

<표 2-5>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간의 경쟁 관계 추정 결과 ···44

<표 2-6> 농식품법인 설문대상 일반 현황 ···46

<표 2-7> 주 취급 상위 5개 품목 ···46

<표 2-8> 농식품법인 3년간 매출액 변화 및 온라인 판매 비율 ···47

<표 2-9> 농식품법인 3년간 매출액 변화 및 온라인 판매 비율 ···48

<표 2-10>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만족/불만족 이유 ···53

<표 2-11> 오픈마켓 판매 만족/불만족 이유 ···54

<표 2-12> 통합마케팅조직 설문대상 일반 현황 ···55

<표 2-13> 주 취급 상위 5개 품목 ···56

<표 2-14> 통합마케팅조직 3년간 매출액 변화 및 온라인 판매 비율 ···56

<표 2-15> 통합마케팅조직 온라인 매출액 비율 ···57

<표 2-16> 벤더를 통한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만족 이유 ···62

<표 2-17> 직접 오픈마켓 판매 만족 이유 ···63

<표 2-18> 중도매인(법인) 조사 대상 ···64

<표 2-19> 중도매인의 거래처별 판매액 비율 ···64

<표 2-20> 중도매인의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의 거래 전망 ···65

<표 2-21> 중도매인의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의 거래 비율 변화 ···65

표 차례

(25)

xxii 제3장

<표 3-1> 농산물 유통서비스의 오프라인, 온라인 비교 ···73

<표 3-2> GDP 대비 국가물류비 비율 ···76

<표 3-3> 물류 기능별 톤당 단위물류비 ···78

<표 3-4> 국내시장 택배 물동량 추이 ···78

<표 3-5> 국내 택배시장 매출액 추이 ···79

<표 3-6> 국내 택배시장 단가 추이 ···80

<표 3-7> 연간 택배 이용 횟수 추이 ···81

<표 3-8> 유통비용 중 직접비(물류비) 구성 ···84

<표 3-9> 농산물 유통비용 및 물류비용 ···85

<표 3-10> 연도별 유통비용과 물류비 ···86

<표 3-11> 물류 기능별 비용 현황 ···86

<표 3-12> 2019년 14개 주요 품목 기능별 물류비 비율 ···87

<표 3-13> 도매시장, 물류센터 운송 수단별 장단점 ···98

제4장

<표 4-1> 대형유통업체의 농산물 공급선별 비율 ···110

<표 4-2> 한살림생협 사업연합회 물류센터의 발주 사례 ···115

<표 4-3> 한살림생협 사업연합회 물류센터의 입고 사례 ···115

<표 4-4> 생협 물류 활동 ···116

<표 4-5> 택배 건당 배송 비용 및 포장 비용 ···123

<표 4-6> 택배 건당 배송 비용 및 포장 비용 ···126

<표 4-7> 중도매인의 거래처 판매 시 물류 방식 ···129

<표 4-8> 중도매인의 분산 등 물류작업에 투입하는 인원 ···130

<표 4-9> 중도매인의 물류비 증가 원인 ···130

<표 4-10> 공영도매시장 내에서의 물류 효율화 과제 ···131

<표 4-11> 중도매인의 공공형 온라인 거래소 참여 및 불참 이유 ···131

<표 4-12> 공공형 온라인 거래소의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132

(26)

xxiii

<표 4-13> 온라인 거래소 물류비 주체 ···132

제5장

<표 5-1> 온-오프라인 농협 양파 거래(2021. 1. 1.~2022. 10. 14.) ···160

<표 5-2> 양파의 월별 가락시장 오프라인 경매 단가 대비 월별 온라인 거래단가 ····163

<표 5-3> A농식품법인 온-오프라인 양파 출하 실적(2022. 1. 3.~2022. 9. 30.) ···164

<표 5-4> A농식품법인 온라인/오프라인 정산 현황(2022. 1. 3.~2022. 9. 30.) ··· 167

<표 5-5> 파라미터에 대한 정의 ···172

<표 5-6> 양파와 쌀의 온-오프라인 탄성치 추정 결과 ···175

<표 5-7> 파라미터 추정치 ···176

<표 5-8> 온라인 유통비용 감소 시나리오별 양파와 쌀 시장 내생변수 변화율 ···177

<표 5-9> 온라인 유통비용 감소 시나리오별 양파와 쌀 시장 후생 변화 ···178

<표 5-10> 택배 서비스 속성 구분 ···181

<표 5-11> 선택실험 문항 구성을 위한 택배(배송) 서비스의 속성 및 수준 ···184

<표 5-12> 택배(배송) 서비스 품질 속성별 한계지불의사금액 추정치 ···185

제6장

<표 6-1> 농식품법인/통합마케팅 조직 택배 포장 비용 실태 ···194

<표 6-2> 농산물 스마트 기술 정의 및 용도 ···201

부록

<부표 1-1> 다항로짓모형 추정 결과 ···236

<부표 1-2> 사회·경제적 변수 포함 다항로짓모형 추정 결과 ···238

<부표 1-3> 혼합로짓모형 추정 결과 ···240

<부표 2-1> 양파 및 쌀 가구당 구매량 및 가격 ···241

<부표 2-2> 양파 수요함수 추정 결과 ···242

<부표 2-3> 쌀 수요함수 추정 결과 ···243

<부표 3-1> 온-오프라인 농축산물 구매액 결정요인 분석 ···244

(27)

xxiv 제1장

<그림 1-1> 물류산업 발전단계 ···6

<그림 1-2> 2차년도 온라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연구 범위 ···14

<그림 1-3> 연구 추진 체계도 ···18

제2장

<그림 2-1> 온라인 플랫폼의 구성 형태 및 구성 요소 ···22

<그림 2-2> 최근 6년간 온라인쇼핑몰 거래액 추이 ···23

<그림 2-3> 업태별 음식료품 판매액 지수(2015=100) ···24

<그림 2-4> 온라인 식료품 관련 거래액 ···24

<그림 2-5> 온라인 식료품 관련 거래액 지수(2017년 1분기=100) ···25

<그림 2-6> 음·식료품 온라인쇼핑몰 판매매체별 거래액 비율 추이 ···26

<그림 2-7> 농축산물 온라인쇼핑몰 판매매체별 거래액 비율 추이 ···27

<그림 2-8> 음·식료품 온라인쇼핑몰 운영 형태별 거래액 비율 추이 ···27

<그림 2-9> 농축산물 온라인쇼핑몰 운영 형태별 거래액 비율 추이 ···28

<그림 2-10> 상품 구입에서 온라인 지출 비율 ···29

<그림 2-11> 식료품 구입 경험률 ···30

<그림 2-12> 온라인 채널 이용 경험률 ···31

<그림 2-13> 가구의 주당 외식 횟수 ···33

<그림 2-14> 가정 내 조리 음식으로 식사한 횟수 ···33

<그림 2-15> 가구의 농축산물 주 구입처 ···34

<그림 2-16> 농축산물 품목별 구매 시 고려 요인 ···34

<그림 2-17> 농축산물 품목별 구매빈도 ···35

<그림 2-18> 농축산물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한 구입액 비율 ···36

<그림 2-19> 오프라인 세부 유통채널별 농축산물 구입액 비율 ···37

<그림 2-20> 오프라인 유통채널별 이용 이유(1순위) ···37

<그림 2-21> 온라인 세부 유통채널별 농축산물 구입액 비율 ···38

그림 차례

(28)

xxv

<그림 2-22> 온라인 유통채널별 이용 이유(1순위) ···39

<그림 2-23> 온라인 유통채널별 구매액 비율 전망 ···39

<그림 2-24> 온라인 유통채널별 구매액 비율 증감 이유(1순위) ···40

<그림 2-25> 온라인 농축산물 구매 시 결제 방법 ···40

<그림 2-26> 온-오프라인 농축산물 유통채널별 이용률 및 이용 횟수 ···41

<그림 2-27>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이용 만족도 ···42

<그림 2-28>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속성별 만족도 ···42

<그림 2-29> 오프라인 판매처별 매출액 비율 ···47

<그림 2-30>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의 장점 ···49

<그림 2-31>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에 있어 애로사항 ···49

<그림 2-32> 오프라인 판매처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최종 수취가격 ···50

<그림 2-33> 오픈마켓 이용 이유 ···50

<그림 2-34> 오픈마켓 이용 시 장점 ···51

<그림 2-35> 오픈마켓 이용 시 애로사항 ···51

<그림 2-36> 오프라인 판매 대비 오픈마켓 판매의 동일 품목, 동일 단위

최종 수취가격 ···52

<그림 2-37> 오픈마켓 이용 시 벤더 이용 이유 ···52

<그림 2-38>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만족도 ···53

<그림 2-39> 오픈마켓 판매 만족도 ···54

<그림 2-40> 오프라인 납품 유형별 매출액 비율 ···57

<그림 2-41> 오프라인 납품처 대비 온라인 플랫폼 납품 시 장점 ···58

<그림 2-42> 온라인 플랫폼 납품 시 애로사항 ···58

<그림 2-43> 오프라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납품 시 최종 수취가격 정도 ···59

<그림 2-44> 오픈마켓 이용 이유 ···59

<그림 2-45> 오픈마켓 이용 시 장점 ···60

<그림 2-46> 오픈마켓 이용 시 애로사항 ···60

<그림 2-47> 오프라인 납품 대비 오픈마켓 납품 시 최종 수취가격 ···61

<그림 2-48> 벤더 이용 이유 ···61

(29)

xxvi

<그림 2-49> 벤더를 통한 온라인 플랫폼 기업 물류센터 납품 만족도 ···62

<그림 2-50> 직접 온라인 오픈마켓 상품 판매 만족도 ···63

제3장

<그림 3-1> 농산물 유통 기능(유통서비스) 구성 ···73

<그림 3-2> 농산물 물류의 흐름 ···75

<그림 3-3> 국가물류비 추이 ···77

<그림 3-4> 국내시장 택배 물동량 추이 ···79

<그림 3-5> 국내 택배시장 매출액 추이 ···80

<그림 3-6> 국내 택배시장 단가 추이 ···81

<그림 3-7> 택배이용 횟수 추이 ···81

<그림 3-8> 택배시장 규모 ···82

<그림 3-9> 2020년 품목별 택배 물량 비율 ···83

<그림 3-10> 2020년 농식품 택배 물량 전년 대비 증가율 ···83

<그림 3-11> 도매시장 및 물류센터 운송의 네 가지 유형 ···88

<그림 3-12> 24시콜 ···93

<그림 3-13> 센디 운영 방식 ···94

<그림 3-14> 강원연합 통합물류 ···95

<그림 3-15> 충남도의 통합물류 효과 ···97

제4장

<그림 4-1> 온-오프라인 농산물 물류 유형 ···102

<그림 4-2> 거래유형별 물류 방식 ···103

<그림 4-3> 농산물 산지-소비지 주 유통경로 ···106

<그림 4-4> 도매시장 경로 유통주체와 물류 단계 ···107

<그림 4-5> 산지-대형유통업체 직거래 경로 유통주체와 물류 단계 ···111

<그림 4-6> 한살림생협 사업연합회의 물류센터 내 업무 개요 ···115

(30)

xxvii

<그림 4-7> 한살림생협의 물류 개요 ···117

<그림 4-8> iCOOP생협의 물류 개요 ···118

<그림 4-9> 생협연합회의 전국 배송 ···118

<그림 4-10> 오픈마켓 판매 및 물류 프로세스 ···121

<그림 4-11>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된 상품 배송 방식 ···122

<그림 4-12> 지난 3년 택배 건당 평균 배송비 변화 ···123

<그림 4-13> 지난 3년 택배 건당 포장 비용 변화 ···124

<그림 4-14> 지난 3년 택배 건당 포장 비용 증가 이유 ···124

<그림 4-15> 주거래 택배업체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125

<그림 4-16> 오픈마켓 거래 활성화를 위해 물류 부문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 ···125

<그림 4-17>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된 상품 배송 방식 ···126

<그림 4-18> 지난 3년 택배 건당 평균 배송비 변화 ···127

<그림 4-19> 지난 3년 택배 건당 포장 비용 변화 ···127

<그림 4-20> 주거래 택배업체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128

<그림 4-21> 오픈마켓 거래 활성화를 위해 물류 부문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 ···129

<그림 4-22> 네오 물류센터 자동화 시스템 ···136

<그림 4-23> 컬리넥스트마일 새벽배송 택배 서비스 ···137

<그림 4-24> 새벽배송 택배 프로세스 ···137

<그림 4-25> 새벽배송 택배 프로세스 ···138

<그림 4-26> 새벽배송 택배 프로세스 ···138

<그림 4-27> 쿠팡의 B2C 유형 ···139

<그림 4-28> 온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상품을 운송하는 방식: 농식품법인 ···141

<그림 4-29>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운송 방식별 만족도(5점 평균) ···142

<그림 4-30>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 포장 단위(복수응답) ···142

<그림 4-31> 판매액 대비 물류 기능별 비용 비율 ···143

<그림 4-32> 지난 3년 선별/포장/가공 비용 변화 ···143

<그림 4-33> 지난 3년 운송/하역 비용 변화 ···144

<그림 4-34> 지난 3년 운송/하역 비용 변화_증가 이유 ···144

(31)

xxviii

<그림 4-35> 지난 3년 보관 비용 변화 ···145

<그림 4-36> 지난 3년 보관 비용 증가 이유 ···145

<그림 4-37> 도매시장 및 대형마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선별, 포장, 가공 비용 정도 ···146

<그림 4-38> 도매시장 및 대형마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운송, 하역 비용 정도 ···146

<그림 4-39> 도매시장 및 대형마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보관 비용 정도 ···147

<그림 4-40>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물류 부문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 ···148

<그림 4-41> 현재 진행하는 상품화 작업 방식 ···148

<그림 4-42> 향후 상품화/공동 물류를 위한 시설 확충 의향(복수응답) ···149

<그림 4-43> 온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상품을 운송하는 방식 ···150

<그림 4-44> 오프라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선별, 포장, 가공 비용 정도 ···151

<그림 4-45> 오프라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운송, 하역 비용 정도 ···151

<그림 4-46> 도매시장 및 대형마트 납품 대비 온라인 플랫폼 기업 납품을 위한 보관 비용 정도 ···152

<그림 4-47>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물류 부문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 ···152

제5장

<그림 5-1> 일자별 양파 거래단가 추세(2021. 1. 1.~2022. 10. 14.) ···161

<그림 5-2> 양파의 월간 품위별 단가 추세(2021. 1.~2022. 9.) ···162

<그림 5-3> A농식품법인 일자별 거래단가 추세(2022. 1. 3.~2022. 9. 30.) ···165

<그림 5-4> A농식품법인 온라인/오프라인 물류비용 정산방식 ···166

<그림 5-5> 물류비용 감소의 후생효과 ···169

(32)

xxix

<그림 5-6> 온라인 물류비용 감소(→) 효과 ···170

<그림 5-7> 농산물 택배 관련 피해 경험 및 피해 내용 ···180

<그림 5-8> 농산물 택배 사후서비스 경험 및 만족도 ···180

<그림 5-9> 농산물 택배 서비스 속성별 만족도와 중요도(5점 척도) ···181

<그림 5-10> 농산물 택배 서비스 적정 및 최대 지불가능 비용 ···182

제6장

<그림 6-1>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 기본 방향 및 세부 방안 ···191

<그림 6-2> 농산물 물류정보 생성 및 연계체계 ···208

<그림 6-3> 물류정보통합관리 시스템 주요 기능 ···210

<그림 6-4> 스마트 APC 표준 모델 전후 데이터 비교(양파) ···211

<그림 6-5> 온라인 거래플랫폼 기반 상류/물류 분리 거래를 위한 데이터 연계 ···212

<그림 6-6> 농식품 물류정보 시스템과 농업 관련 거래시스템 연계 방안 ···212

<그림 6-7> GS1 표준 체계 ···213

<그림 6-8> 유통 물류 단계별 GS1 코드관리 체계 적용 ···214

<그림 6-9> GS1 표준 기반의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215 부록

<부도 1-1> 선택실험문항 예시 ···232

(33)
(34)

제1장

서론

(35)
(36)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1장

제1장 서론 | 3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4차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메타버스, 로봇 등 기술 간 융복합 이 되고 산업 간 경계 파괴와 연계 가속화,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디지털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DX)이 가속화되면서 농산물 유통의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범용기술들의 유통산업 적용 확대로 농산물 상품과 서비스 관련 유통 정보가 디지털화되고, 유통의 네트워크화 진행으로 유통과정(Marketing Process)의 디지털화, 나아가 농산물 유통 전반의 운영 방식과 서비스에서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농식품 상품과 서비스 거래가 온라인 인터넷상 전자상거래(e커머스)를 통해 수 행되는 비율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으로 발전하 고 있다. 즉, 유통의 디지털화 진전으로 플랫폼 경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으로, 3년에 걸쳐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소비자들이 비대면 구매를 선호하고, 거래에서도 온라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농식품법인과 통합마케팅조직, 협동조합 등 공급 부문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한 판매

(37)

4 |

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1차년도(2021년)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소매유통업은 대형유통업 체, 백화점 등 오프라인 거래가 최근 들어 크게 위축되는 반면, 쿠팡, 네이버, 마켓 컬리 등 온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무게중심이 크게 이동하고 있다. 미국의 아마존, 중국의 알리바바 등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소매유통업이 기존의 오프라인 소매유 통을 흡수하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유통산업은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채널 등을 병행 운영하는 멀 티채널이 점차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 업태는 오프라인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온라인 채널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아마존, 알리바바 같은 온 라인 유통업체들은 홀푸드와 허마센셩 같은 오프라인 유통업체를 인수하여 온라 인 사업에서 오프라인 사업으로 영역을 넓히는 등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지 고 있다. 이를 빅블러(Big Blur) 현상이라고 한다.

물류는 상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인프라이다. 즉, 소비지 유통환경이 상류를 중 심으로 온라인화, 디지털화(DX)가 급진전됨에 따라 이에 맞춘 물류 시스템을 요 구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유통 개념, 새로운 형태의 유통 업태, 신유통시대에는 보다 빠르 고 개인화된 물류서비스 수요가 늘어나, 상품 경쟁력보다 물류산업에서의 경쟁력 이 유통시장에서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물류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더욱이 4차산업혁명 기술, 디지털 전환 기술이 물류산업에 활용도를 높여 신융합 물류서 비스의 도입이 확산됨에 따라 물류 패러다임이 변하고, 물류산업은 자동화와 지 능화, 첨단화, 맞춤화가 진행되어 스마트 물류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물류센터에 서 최종소비자까지 소량 단위로 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형태로 물류가 진화하고 있 기에 물류 효율화를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의 도입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물류는 화물운전자가 상품을 물리적으로 장소를 이동하는 단순한 운송물류 (Distribution)를 벗어나 보관, 재고관리, 하역, 피킹과 패킹(Picking & Packing) 등 상품화 물류를 포함한 로지스틱스(Logistics)이며, 노동집약적 산업이 아니라 자 본집약적, 기술집약적 산업이다.

(38)

제1장 서론 | 5 물류산업은 운송장비, 차량, 집합 시설, 조직망, 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형 장치산업이자 네트워크산업이다. 물류산업의 후방산 업은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SW, 정보보호산업으로 4차산 업혁명과 함께 성장 잠재력이 크며, 전방산업은 홈쇼핑, 인터넷쇼핑, 도·소매 등으 로 온-오프라인 도·소매유통이 모두 해당된다.

<표 1-1> 최근 물류 분야 트렌드

핵심 트렌드 주요 내용

온라인 채널의 우세 -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채널 경쟁에서 온라인 채널 우세 - 오프라인 유통기업들이 온라인 채널로 진입하는 노력 쇼루밍(showrooming) 현상

증가

- 스마트폰 사용 증가로 오프라인 점포가 단순 쇼룸으로 변화 - 가격경쟁력 우세를 나타내는 온라인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O2O 비즈니스의 출현 - 정보기술 발전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의 O2O 비즈니스모델 출현 라스트마일 배송 강조 - 최종소비자 접점 배송이 비즈니스의 경쟁력 추세

정보 플랫폼 공급자의 확장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지속적인 수렴으로 정보 플랫폼 비즈니스의 확대 데이터 예측력 중요 -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데이터 예측과 분석 기술이 물류혁신의 경쟁력이 됨.

물류센터의 자동화와 발전

-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급하기 위한 효율적인 물류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 고, 배송규모 확대와 다량의 소액 주문 증가

- 근로자 임금 인상과 지가 상승에 따른 물류센터 자동화 요구 증대 자료: 박정현 외(2019, p62). Table 1. 7 Trends in Logistics 영문 표를 번역하여 저자 작성.

물류 발전의 첫 단계는 1차산업혁명의 증기기관 발명과 산업, 교통의 증기 기계 화를 바탕으로 한 물류 1.0시대의 화물자동차 실용화였다. 이후 물류 2.0시대는 1960년대 산업 전기화와 교통발달에 따른 대량생산, 이로 인한 자동창고, 자동분 류기 실용화, 하역기계화, 자동화로 대표된다. 물류 3.0시대는 1980년대 이후 3차 산업혁명 정보통신 시대로, IT 기술 기반 ERP(전사적 자원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OMS(수주관리시스템, Order Management System), WMS(창고관리 시스템, Warehouse Management System), TMS(운송관리시스템,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등 통합 운영 물류 관리시스템 시대이며, 물류 4.0은 생산공 정과 물류공정으로 나누어진 공급체인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인 동시에 업계 전체가 고객니즈에 맞는 최적 물류를 제공하고 CPS(가상물리시스템, Cyber Physical System) 에 근거한 스마트 물류 시대이다.

(39)

6 |

<그림 1-1> 물류산업 발전단계

자료: 저자 작성.

농산물은 상온 유통이 가능한 쌀 등 곡물의 상온 저장 및 운송 물류도 있으나, 채 소, 과일 등 대부분 상품의 생산, 저장, 하역, 운송 등에서 일관된 정온 물류 관리 (Cold-chain System)가 필요한 상품으로, 그동안 저온저장, 운송 시설, 장비, 기술 등의 부족으로 공산품 물류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비대면 농식품 구매 등 농식품의 온라인 거래 가 대폭 증가하면서 유통업체, 물류업체들이 신선 상품의 물류, 콜드체인시스템 에 관심을 보여 농식품 물류 시스템이 크게 확대되고 첨단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소매유통업체, 물류업체에서 신선 상품에 대한 물류 고도화, 첨단화를 추 진하고 있는 반면, 농산물 산지유통과 도매유통에서는 여전히 기존의 후진적인 물류 운송(화물차, 운송장비), 물류 시설 및 장비(유통센터, 물류센터 및 장비), 물 류체계(물류정보시스템)에 머물러 있어 물류 효율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산지와 도매, 소매 단계의 물류 연계가 약하고 물류 단절이 심해 물류비용의 중 복과 비효율이 나타나고, 품목 특성에 따라 등급선별, 포장규격 등 표준화가 여전 히 미흡하여 온라인 거래 확대에 장애가 되고 있다. 전통적인 운송관행이 지역적

(40)

제1장 서론 | 7 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부가세 등 제도적인 문제도 잔존하고 있다. 온라인 거래단 위와 거래 규모가 작고 분산되어 있어 판매자인 농가나 소비자들에게 비용부담으 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농산물 물류 문제는 물류 단계를 비롯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기반의 물류, 온라인 유통 형태에 따른 물류, 유통주체에 따른 애로사항 등 좀 더 세분화된 조사와 실태 분석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물류 효율화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1.2. 연구 목적

3년 동안 추진하는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변하는 유통환경에서 온라인 플랫 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뒤 활성화 방안을 제시 하고, 미래 전망을 바탕으로 농산물의 온-오프라인의 유통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 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1차년도(2021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농산물의 유통 비율 및 유통실태를 파악하여, 온라인 플랫폼 채널과 다른 유통 채널과의 유통 비 용 등을 비교·분석하고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의 효율적 추진과 확대 를 위한 유통서비스 개선 및 혁신(스마트화 등) 과제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으로 유통 채널 간 경쟁 관계를 통한 농가소득 제고, 온라인 거래의 공정한 질서 확립, 온-오 프라인 상생발전 등 생산, 유통, 소비, 서비스 총 4개 부문에서 10개 세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2차년도(2022년)에는 농산물의 상적 거래와 물류 서비스는 불가분의 밀 접한 관계에 있어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물류서비스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온라인 농산물 유통의 변 화 추세를 살펴보고, 온라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현황을 면밀하게 조사, 분석 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온라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의 단계별로 현황

(41)

8 |

을 분석하였다. 또한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의 물류 실태를 진단한 후 농산물 물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요인을 도출하여 온라인 플랫 폼 기반 농산물 물류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3차년도(2023년)에는 유통산업과 농산물 유통의 온라인, 오프라인 유 통채널에 대한 미래 전망을 분석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농산물의 온-오프라인 유통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1. 선행연구 검토

<표 1-2> 선행연구 검토

구분 연구 주요 내용

1 농산물

물류체계 개선 및 효율화 방안

관련 연구

김경환, 위태석 (2014)

물류인프라 구축 정책으로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전 과정의 일관시스템 구축이 필 요함.

2 김재령

(2020)

하차거래 통한 물류체계 개선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연간 10,918백만 원의 체 증·체화비용이 감소함.

3

김혜진, 여기태 (2018)

소비자가 온라인 농산물 직거래 시, 물류부분이 소비자 구매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밝힘.

4

농산물 물류 시스템

구축 방안 관련 연구

김숙경 외 (2013)

도매물류업의 효과적인 수행이 가능한 운영주체를 육성하여 정보시스템을 구축 해야 한다고 주장함.

5 오재윤

(2017)

공동물류 체계 개선을 통한 공동집하·운송·배송 등 공동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 현과 물류개선이 필요함.

6 이정희

(2012)

공동물류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보수집 능력 제고와 유통환경 변화에 신속 대처가 필요함.

7 전창곤 외

(2014a)

공급사슬상 중복 기능 및 참여주체를 배제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공급사슬 길이 단 축이 필요함.

8 전창곤 외

(2014b)

도매시장 공간 확보를 통한 물류 원활화 도모와 저온저장고 및 소포장 시설을 시장 공동으로 건립하여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9 전창곤 외

(2015)

도매시장 공간 확보를 통한 물류 원활화와 저온저장고·소포장시설 건립을 통한 공 동 이용이 바람직함.

(42)

제1장 서론 | 9 (계속)

구분 연구 주요 내용

10

농산물 품목별 물류 효율화

관련 연구

김동환 외 (2013)

농산물은 산지부터 소포장하거나 컨테이너 상자 출하를 통해 이중 지출구조를 절 감해야 한다고 주장함

11 전창곤 외

(2009)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해 산지 및 소비지의 일관하역기계화, 수송물류 효율화 및 공차율 감소가 필요함

12 한관순

(2017)

수박은 파렛트 유통을 통한 물류 효율화를 위해 산지선별·등급포장화를 위한 주산 지 물류시설 확충이 필요함

13 한관순

(2019)

파렛타이제이션과 공동물류 활성화, 철도·연안해운 등 모달 시프트로 전환,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14

농산물 수출 물류 개선 방안 관련 연구

임장혁, 한영근 (2013)

3PL이 주체가 되어 수출업체, 생산자, 수입업체를 연계한 공급망 관리가 가능한 체계를 구축해야 함

15

조성제, 최혁준 (2011)

공급사슬관리(SCM) 도입으로 물류정보를 통한 거래자 간 효율적 의사결정 지원 과 공정한 정보배분이 필요함.

16 조성제

(2019)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저온물류 시설 확충과 ICT 도입 신선물류 보관 및 재고관 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자료: 저자 작성.

2.1.1. 농산물 물류체계 개선 및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환, 위태석(2014)은 도매시장 내 물류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AHP 분석기 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의 순위를 분석하였다. 먼저 공동선별 및 공동계산을 원칙으로 하는 규모화된 산지 유통조직 육성이 필요하며, 물류인 프라 구축 정책이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산물 물류 효율화 달성을 위해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전 과정의 일관 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 였다. 마지막으로 상품분류, 보관, 하역의 전 자동화와 정보화를 촉진할 수 있는

‘도매시장종합물류개선사업’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김재령(2020)은 가락도매시장의 하차거래 도입 이후 2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하 차거래를 통한 물류체계 개선의 경제적 효과를 품목별 체증·체화비용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차거래로 인하여 농산물 운송 차량의 시장 내 대기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무, 양파, 총각무에 대하여 연간 10,918백만 원의 체증·체화비용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하자의 수취가격은 무, 양파에 대하여 하차거래

(43)

10 |

시행 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류개선에 의한 가격 변화보다 작황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물가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진, 여기태(2018)는 소비자가 농산물을 평가하고 구매를 진행하는 단계와 동일하게 물류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으로 농산물을 직거 래할 때 물류부분이 소비자 구매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주장하였 다.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 시장은 가격, 수량, 배송 등을 직접 책임지는 개인 사업 자가 많이 참여하는 만큼 물류 부문에서 생산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비용구 조를 낮추기 위해 소비자 만족과 관련한 물류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2.2.2. 농산물 물류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숙경 외(2013)는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건립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정 부의 물류정책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물류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 다. 정책 방향으로 도매물류업의 효과적인 수행이 가능한 운영주체를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보시스템 구축은 상당 부분 기술적인 문제와 시스템 활용 을 위해 전문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통물류 부문에 특화된 정책자금 을 조성하여 물류시설의 표준화·자동화 및 시설 개선, 신기술 개발, 집배송 센터 건립 등에 투자할 때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오재윤(2017)은 농산물 산지물류 개선을 위해 농산물 산지물류 참여주체의 규 모화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해 산지물류를 효율화할 수 있는 주체로 육성해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또한,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개별 및 일반화물업체 중심의 개별 운 영 물류를 공동물류 체계로 개선하여, 공동집하·운송·배송 등 공동화를 통해 규모 의 경제를 실현하고 물류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이정희(2012)는 서울시 내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농산물도매시장 연계 공 동물류시스템의 인식과 예상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공동물류시스 템 구축을 통한 다음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저자는 첫째, 전통시장 경쟁력 제 고와 농산물 취급 소매점의 참여 확대, 둘째, 정보수집 능력 제고로 유통환경 변화

참조

관련 문서

○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을 위하여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환경 지원 ,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 경기창작센터 내 소통 활성화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또한 최근에 제작 되어진 전기철도 차량의 특성상 inverter, converter 등의 전력변환장치의 사 용이 많기 때문에 고조파 발생으로 인한 전력의 품질저하, 보호계전기의

ㅇ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식생활교육 확대가 필요하고, 교육콘텐츠의 지속적 개발 , 매체의 다양화, 온라인 플랫폼 활용

2019년도에 발표한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은 이와 같 은 지배력을 남용하여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이윤압착

⑥ 심지어 기존 금융업체들 대부분 TechFin 들의 기존 금융업체에 대한 마케팅 플랫폼 사업, 금융 플랫폼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상호 협업을 통한 시너지도 추구하고

정광희(2018). 중등교육 온라인 개방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 교육기회 보장을 위한 학력·수업 인정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