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Copied!
18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 Study on the Methods to Activate Gyeonggi Creation Center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김성하 외

Gyeonggi Research Institute 정책연구 2020-43

(2)

정책연구 2020-43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2020년 11월 2020년 11월 이한주 경기연구원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031)250-3114 / 팩스 031)250-3111

www.gri.kr

등록번호제 99-3-6호 ⓒ 경기연구원, 2020 연구책임 김성하(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김기용(경기연구원 비상임연구위원)

이수철(경기연구원 비상임연구위원)

황선아(경기연구원 연구원)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의견으로서

(3)

정책건의

□ 경기창작센터 활성화를 위하여 ‘창작 역량 강화’, ‘지역연계를 통한 사회적 역할 확대’ 필요

○ 예술인의 창작 역량 강화가 창작 공간의 일차적인 목적이며, 예술 창작의 사회적 가 치 환원 필요에 따른 창작센터의 사회적 역할 강조에 따라 경기창작센터 활성화를 위하여 ‘창작역량 강화’와 ‘지역연계를 통한 사회적 역할 확대’ 요구

○ 창작 역량 강화를 통한 경기창작센터 활성화를 위하여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 ▲예술창작 다양성 확보를 위한 교류 및 네트워크 기반 조성

⋅확대 ▲예술인 중심 지속가능 창작 생태계 기반 조성 필요

-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을 위하여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환경 지 원,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경기창작센터 내 소통 활성화 추진

- 예술창작 다양성 확보를 위한 교류 및 네트워크 기반 조성⋅확대를 위하여 국제적 입지 제고를 위한 사업 다각화, 예술인간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예술 공유 플랫폼 구 축, 도내 관계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 추진

- 예술인 중심 지속가능 창작 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하여 입주작가 자립 지원, 입주작 가 후속관리 및 지원 추진

○ 지역 연계를 통한 경기창작센터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예술교 육 기획 강화 ▲열린 공간으로서 경기창작센터와 지역(31개 시⋅군) 상생발전 도모 필요

- 지역문화 활성화 및 예술교육 기획 강화를 위하여 기획(교육) 레지던시 입주작가 역 량 강화 및 후속 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화⋅특화 지원 추진

- 열린 공간으로서 경기창작센터와 지역(31개 시⋅군) 상생발전 도모를 위하여 경기도 문화가치 재창조를 위한 기획사업 추진, 지역 협력 네트워크 구축, 지역 협력 네트 워크 사업 추진, 경기창작센터 공간 개방 그리고 경기만 에코뮤지엄 사업과 연계를 통한 지역문화 정체성 구축 추진

(4)

키워드 경기창작센터, 창작역량, 지역연계협력

□ 경기창작센터 창작 역량 강화, 지역 연계를 통한 사회적 역할 확대 위한 경기도 역할

○ 경기도는 문화예술 관련 계획 및 정책과 연계하여 도내 관계기관과 경기창작센터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사업 추진 기반 지원 필요

- 창작 역량 강화를 위하여 ‘경기도 문화예술진흥 중단기 종합계획(2020~2024)’,

‘제2차 경기도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2020~2024)’ 등 경기도 문화예술 관련 계획 및 정책과 연계하여 도내 문화예술 관계기관과 경기창작센터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연계 협력사업 추진 기반 조성

- 지역 연계를 통한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하여 ‘제2차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 (2020~2024)’, ‘경기 문화예술교육 기본계획(2020~2024)’ 등 관련 계획 및 정책과 연 계하여 도내 문화예술교육 관계기관과 경기창작센터 기획(교육) 레지던시 간 네트워 크 구축 및 프로그램 연계사업 지원 추진

○ 경기문화재단은 경기창작센터 운영 안정화 도모 및 경기문화재단 소속기관간 연계협 력 지원 필요

- 창작 역량 강화를 위하여 경기문화재단 소속기관(경기도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등) 과 경기창작센터간 협업 활성화 지원, 학예연구직 최소 인원 보장 등 추진 - 지역 연계를 통한 경기창작센터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하여 소속기관과 경기창작

센터 기획(교육) 레지던시 간의 인적⋅물적 자원 공유를 통한 경기도형 문화예술교 육 기획⋅운영 추진

○ 경기창작센터는 전문인력 확보와 더불어 창작 기반을 토대로 한 지역 연계의 질적 고도화 도모 필요

- 경기창작센터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통하여 센터 내 큐레이터, 프로그램 매니 저 등 전문인력 확보 추진 필요

-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지역 문화사업 발굴⋅

기획을 위한 전문인력(에듀케이터, 문화기획자 등) 확보 필요

(5)

차 례

제1장 서론 /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제2장 경기창작센터 현황 분석 / 9 1. 조성 배경 및 목적 ··· 9

2. 현황 분석 ··· 11

3. 입주작가 의견수렴 ··· 41

4. 시사점 ··· 49

제3장 창작스튜디오 사례 조사 / 55 1. 국내 창작스튜디오 사례 ··· 55

2. 국외 창작스튜디오 사례 ··· 95

3. 시사점 ··· 124

제4장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 133 1. 기본방향 ··· 133

2. 활성화 방안 ··· 141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55 1. 결론 ··· 155

2. 제언 ··· 160

(6)

참고문헌 / 163 Abstract / 165 부록 / 167

(7)

표차례

<표 1-1> Res Artis 레지던시 정의 ··· 3

<표 2-1> 경기창작센터 시설 현황 ··· 12

<표 2-2> 경기창작센터 1단계 리모델링 결과 ··· 13

<표 2-3> 경기창작센터 2단계 리모델링 결과 ··· 13

<표 2-4> 경기창작센터 3단계 리모델링 결과 ··· 13

<표 2-5> 경기창작센터 시설 관련 진단⋅점검 결과 ··· 16

<표 2-6> 경기창작센터 시설 개선 필요 사업 내용 (단기) ··· 16

<표 2-7> 경기창작센터 시설 관련 개선 필요사업 내용 (중기) ··· 17

<표 2-8> 경기창작센터 운영인력 현황 요약 (2013~2020) ··· 24

<표 2-9>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프로그램 입주작가 공모 경쟁률 ··· 28

<표 2-10>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프로그램 참여 관련 실적 현황 ··· 35

<표 2-11> 경기창작센터 소장품 현황 (2013.9.30. 기준) ··· 36

<표 2-12> 경기창작센터 창의예술캠프 운영 현황 (2014~2019) ··· 38

<표 2-13> 경기창작센터 예술나눔 프로그램 운영 현황 (2015~2019) ··· 39

<표 2-14> 경기창작센터 창의연수 프로그램 운영 현황 (2015~2018) ··· 39

<표 3-1> 창동레지던시, 고양레지던시 시설개요 ··· 56

<표 3-2>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레지던시 운영예산 (천 원) ··· 58

<표 3-3> 2019 기술 지원 특강 프로그램 ··· 60

<표 3-4>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시설 현황 ··· 62

<표 3-5> 2020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14기 프로그램 추진계획 ··· 63

<표 3-6>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행정협조 ··· 64

<표 3-7> 2019년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13기 프로그램 예산 (천 원) ··· 65

<표 3-8> 2019년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13기 작가 워크숍 ··· 68

<표 3-9> 금천예술공장 시설 현황 ··· 70

<표 3-10> 2020 금천예술공장 11기 입주작가 정기공모 요강 내 지원 내용 ··· 72

<표 3-11> 2019년 금천예술공장 입주작가 예술가 역량강화 프로그램 ··· 73

<표 3-12> 2019년 금천예술공장 운영위원회 운영 내용 ··· 75

<표 3-13> 인천아트플랫폼 미션과 과제 ··· 76

<표 3-14> 인천아트플랫폼 개별 시설 현황 ··· 77

(8)

<표 3-15> 2019년 인천아트플랫폼 프로그램 예산 (백만 원) ··· 79

<표 3-16> 최근 5년간 인천아트플랫폼 국내 및 국외 입주 경쟁률 ··· 80

<표 3-17> 팔복예술공장 시설 현황 ··· 84

<표 3-18> 대구예술발전소 시설개요 ··· 90

<표 3-19> 대구예술발전소 예술감독 공모 지원 관련 프로그램 기획안 제안사항 · 91 <표 3-20> 2020년 대구예술발전소 10기 입주작가 모집 분야 ··· 92

<표 3-21> 2019년 대구예술발전소 입주작가 프로그램 추진현황 ··· 93

<표 4-1> 다장르 예술 창작 환경 조성안 ··· 142

<표 4-2> 다장르 예술 창작 모집 공모안 ··· 142

(9)

그림차례

<그림 2-1> 경기창작센터 시설 전경 ··· 14

<그림 2-2> 경기창작센터 예산 현황 (2010~2020) ··· 18

<그림 2-3> 경기창작센터 사업유형별 예산 현황(2010~2020) ··· 19

<그림 2-4> 경기창작센터 총 사업비 대비 유형별 사업비 비중 ··· 20

<그림 2-5> 경기창작센터 사업비(레지던시, 교육, 지역연계, 홍보) 세부 현황 (2010~2020) ··· 21

<그림 2-6> 경기창작센터 고유목적사업, 대행위탁사업 예산 현황 (2014~2019) · 21 <그림 2-7> 경기창작센터 조직도 (2010~2014) ··· 22

<그림 2-8> 경기창작센터 조직도 (2015~2019) ··· 23

<그림 2-9> 경기창작센터 정규직 팀원 직급 현황 (2017~2020) ··· 24

<그림 2-10>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현황 (2010~2019) ··· 25

<그림 2-11>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국적 현황 (2010~2019) ··· 25

<그림 2-12>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입주 유형 비중 (2010~2019) ··· 26

<그림 2-13>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레지던시 구분 (2010~2019) ··· 27

<그림 2-14>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공모 국적 (2010~2019) ··· 28

<그림 2-15>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초청/교류⋅협력 국적 (2010~2019) ··· 29

<그림 2-16>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입주기간 (2010~2019) ··· 30

<그림 2-17>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장르 (2015~2019) ··· 30

<그림 2-18> 경기창작센터 창의예술(Cre+Art) 학교 신규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과정 ·· 37 <그림 3-1> 대구예술발전소 비전 ··· 89

<그림 3-2> 스와치 호텔 주요 공간 (좌: 공동 작업공간, 우: 개인거주공간) ··· 96

<그림 3-3> 주요 공간 (좌: 워크샵 공간 우: 프로젝트 스페이스) ··· 99

<그림 3-4> 주요 공간 – Andrei Roiter, Inscape, Greenhouse Studios, 2013 103 <그림 3-5> 주요 공간 – 야도의 정원 ··· 103

<그림 3-6> 공간 및 세부 설비 ··· 106

<그림 3-7> 테크니컬 워크숍을 위한 공간 ··· 109

<그림 3-8> 공간 및 세부설비 ··· 112

<그림 3-9> 공간 및 세부설비 ··· 115

(10)

<그림 3-10> 공간 (상: Tsung-Yeh Artist Village, 하: Tsung-Yeh Arts and Cultural Center) ··· 118

<그림 3-11> 공간 및 세부설비 ··· 123

<그림 4-1> 예술가치체계 모델(안) ··· 134

(11)

제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13)

제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레지던시 역할 및 중요성 확대

○ 레지던시(Artist-in-Residency)는 ‘작가들이 본래의 생활권을 떠나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숙사를 겸비한 아카데미’이자 ‘무료 또는 실비로 창작공간을 제공하고 작가들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을 의미1)

○ 레지던시에 대한 명칭, 해석은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반면 최근 몇 년간은 창작 공간 제공과 함께 프로그램 운영을 우선으로 하는 ‘레지던시(Artist in Residency)’ 개념을 지향

- 영어권에서는 ‘Artist in Residency’, ‘Artist Community’ 등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며 국내 일부와 한자 문화권에서는 ‘마을’ 개념으로 예술가가 모여서 지내는 ‘창 작촌, 예술촌’ 또는 스튜디오 개념의 ‘창작 스튜디오’, ‘창작 공간’ 등으로 불리움2)

○ 레지던시 주요 역할 및 기능을 토대로 레지던시를 표방하고 있는 기관들을 설명할 수 있도록 레지던시 프로그램 국제 네트워크 기구 ‘Res Artis’에서는 레지던시를 정의

세부내용

∙ 체계적이고 충분한 시간과 공간, 자원을 제공한다

∙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 장소에 거주하는 행위의 특성을 갖는다

∙ 실험과 교류, 대화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 지역과 세계를 연결한다

∙ 예술생태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다른 예술분야는 물론 비예술 분야와의 가교 역할을 한다

∙ 문화 간 이해 강화를 돕는다

∙ 예술가의 자기개발 기회를 제공한다

∙ 예술가의 글로벌 이동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한다

∙ 문화 정책 및 문화 외교의 중요한 공헌자로 역할 한다 자료 : Res Artis 홈페이지(http://www.resartis.org/en/residencies/about_residencies) 검색일:2016.12.

김민지(2017). 미술 레지던시 기록 정보 연계를 위한 데이터 모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 재인용.

<표 1-1> Res Artis 레지던시 정의

1) 양건열 외(2004).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p.12.

2) 양건열 외(2004).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p.12.

(14)

○ 한국에서는 1990년대 들어 레지던시를 향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국공립 레지던시는 1995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조성한 ‘팔각정 창작스튜디오’ 이후 2000년대 들어 본 격적으로 설립

○ 경기창작센터는 예술가에 대한 기본적 창작공간 기반 조성과 일반인에 대한 예술적 창의성 고양, 예술 향수 기회 증진을 위해 2009년 개관

○ 현재 문화예술 환경 및 정책의 주요한 변화는 지역문화의 잠재력을 발견하여 지 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재생을 도모하고자 하는 움직임과 실현 방안에 대 한 활발한 모색임

○ 이에 따라 초창기 국내 레지던시는 예술가 창작지원을 핵심 역할로 하였으나 점차 시민문화예술향유,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 등 지역에서의 역할에 대한 정책적 관심 대두

○ 점차 작가들이 모인 창작의 산실 레지던시는 작가뿐만 아니라 작가와 지역사회간 소통, 지역문화 활성화,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재생, 국내외 문화예술 교류 거점 역 할 등을 수행함에 따라 지역적 측면에서의 레지던시 역할 및 중요성이 확대됨

□ 레지던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화 필요성 대두

○ 현재 국내 창작공간은 전국 곳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창작공간의 역할이 다각도 로 변화하고 있으나 유사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음

- 국내 시각예술 레지던시만도 남쪽 제주 가파도에서부터 강원도 오지의 폐교에 이르 기까지 전국 곳곳에 자리하여 20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3)

○ 수도권에는 국⋅공립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운영하는 레지던시까지 다양하게 조성되 면서 집중도가 떨어지고 평준화 되는 추세로 레지던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킬러 콘텐츠 마련 필요성 지속적 제기

3) “레지던시-‘수십 대 일’ 뚫고 입주하는, 젊은 작가들의 ‘꿈의 공간’”, 경향신문(2020.07.24.).

(15)

□ 경기창작센터 기능과 역할 활성화, 효율성 제고 방안 모색 필요

○ 예술가 중심 창작지원에서 사회 및 문화예술 환경 변화에 따른 경기창작센터의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여 예술 창작지원의 질적 도약 모색 필요

- 창작지원 예술 분야의 다양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예술가 네트 워크, 공동 및 협력 창작 공간으로서 가능성, 지역 사회 및 역사(선감학원 등)와 연계한 창작센터 정체성 확립, 지역화와 국제화를 아우르는 글로컬(Glocal) 문화 예술 공간으로의 발전 가능성 등

○ 나아가 기존의 창작센터 공간이 경기도 문화자원과 결합한 문화예술 창작 및 활동 중심지이자 지역 문화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모색 필요

(1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 공간적 범위 : 경기도

○ 시간적 범위 : 2020년

○ 내용적 범위

- 경기창작센터 현황 분석 - 국내외 레지던시 사례 조사 -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제시

2)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기존 문헌 조사 및 검토

○ 자문회의 :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

○ 의견수렴 : 관계자, 입주작가 등 의견수렴

(17)

제 2 경기창작센터 현황 분석

1. 조성 배경 및 목적 2. 현황 분석

3. 입주작가 의견수렴 4. 시사점

(18)
(19)

제 2

경기창작센터 현황 분석

1. 조성 배경 및 목적 1) 조성 배경

□ 창작공간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창작공간 조성 확대

○ 창작공간은 개인의 문화적 권리 실현 수단이자 창작권이 보장되는 공간으로 역할을 하며 작가에 창작의 용이함을, 지역주민에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하여 창작공간 역 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 확대

○1998년 농어촌 지역 폐교를 활용한 예술창작스튜디오 조성사업을 시작으로 창작공간 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정책 강화로 창작 공간 조성에 대한 정책적 기반 마련

○ 근대 산업시대 유산을 문화예술 창작 공간으로 조성하는 등 산업시대 유산을 활 용한 문화공간 조성에 대한 관심 증대

○ 각 지역 문화재단에서 지역적 특성을 살린 창작공간을 조성하고 이에 따른 지원사업 을 꾸준히 진행

□ 2008년 경기예술창작센터 설립 구체화 및 2009년 개관

○ 경기도(2007) 「경기예술마을 조성 기본개념연구」에서는 도내 실질적인 창작지원 환경을 갖추고 도내 창작스튜디오 확보 필요성 제시

○2008년 2월 안산에 위치한 (구)경기도립직업전문학교가 화성교정으로 통합됨에 따라 동일 부지를 ‘경기예술창작센터’로 조성, 관리⋅운영 추진

(20)

- 경기도 예술진흥과 문화적 이미지 증대, 국제적 예술제작 환경 변화에 적합한 미래지향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문화 인프라 구축, 수도권을 기반으로 활동 하는 예술 관련 종사자의 예술창작 기반 확충, 경기도민 예술분야 체험⋅교육의 장 확보 등을 위하여 경기예술창작센터 설립 결정

2) 조성 목적

4)

□ 건립목적과 운영방침

○ 예술가에 대한 기본적 창작공간 기반 조성과 일반인에 대한 예술적 창의성 고양, 예술 향수 기회 증진을 목적으로 ▲예술창작 인프라 구축과 지원을 통한 국제 경 쟁력 강화 ▲경기도의 문화가치 극대화와 경기도 지역 작가 발굴 및 양성 ▲문화 예술, 교육, 문화산업, 관광산업과 연계한 지역문화 발전 도모

○ 이를 위하여 ▲순수⋅응용예술, 창작⋅연구 등 문화예술 장르간 통섭적 운영 ▲ 국내외 기관 간 교류 및 국제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을 운영방침으로 제시

- 장르간 통섭적 운영으로 탈장르 복합문화공간 구축 - 창작중심의 전문적이고 대안적인 문화예술교육 - 도내 예술대학 및 문화 산업체와의 산학연계

- 해외 기관과의 프로그램 및 작가 교류를 통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4) “경기창작센터 운영계획(안)”, 경기도청 홈페이지 https://www.gg.go.kr/archives/1474143 (검색일:2020.06.15.)를 토대로 요약

⋅제시

(21)

2. 현황 분석

1) 경기창작센터 주요 연혁

□ 경기창작센터 조성 추진

○2007년 경기창작센터 조성계획(안) 수립, 2008년 경기창작센터 운영방안 연구용역을 토대로 2008년 준비위원회 구성

○2008년 10월~2009년 10월 리모델링 추진

□ 2009년 경기도미술관 부설기관으로 개관

○ 경기창작센터는 경기문화재단에서 시설 및 인력을 관리하며 경기도미술관에서 프로 그램 및 사업을 운영하는 경기도미술관 부설기관으로 개관(2009년 10월)

- 경기도 문화 발전을 주도하는 경기도 대표적 문화 브랜드이자 국제적 창작센터로 자리매김하고자 경기문화재단에서 관리하고 경기도미술관에서 운영 추진

- 경기도미술관 운영 체제로 미술관의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및 창작 활동 극대화, 경 기도미술관의 전통 미술관으로서 재래적 기능 확장, 경기창작센터와 경기도미술관의 파트너쉽을 통한 경기창작센터의 정체성 수립 도모

○2013년까지 총 2차례에 걸친 리모델링을 통하여 다장르 창작 진흥과 대중 창의예술 교육을 위한 기반시설 확보, 노후시설 개보수 및 공간 확충 등 추진

□ 2014년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로 이관

○2014년 하반기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로 이관하여 운영 중

(22)

2) 시설현황

□ 시설개요

○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경기창작센터는 대지면적 54,545㎡(16,499평), 건물 7개동 16,225㎡(4,908평)의 ‘(구)경기도립기술학교’를 리모델링하여 조성

○1~3단계 리모델링을 통해 2020년 현재 창작스튜디오(55실), 전시실(4실), 공방(4실), 교육실(7실), 임대숙소(39실)로 구성⋅운영

건물명 규모 구성

창작스튜디오 Ⅰ 지상 4층, 1,316㎡ 스튜디오(12), 임대숙소(5), 직원숙소(3) 등 창작스튜디오 Ⅱ 지상 3층, 2,523㎡ 스튜디오(16), 아카이브실, 세미나실, 실험전시실 등 창작스튜디오 Ⅲ 지상 5층, 4,262㎡ 스튜디오(27), 임대숙소(34), 직원숙소(12), 커뮤니티룸

창의예술동 지상 3층, 1,728㎡ 창의예술전시장, 재료실, 교육실(5) 섬마루동 지상 3층, 2,421㎡ 강당, 식당, 야외극장

공방동 지상 3층, 1,120㎡ 목공공방(2), 미디어공방, 판화공방, 교육실(2), 재료실(2) 전시⋅사무동 지상 2층, 2,456㎡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대부역사관, 사무실, 다목적실, 카페

기타 399㎡ 기타 부대시설

자료 : 경기창작센터 홍보 도록과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구성.

<표 2-1> 경기창작센터 시설 현황

(23)

- 1단계 리모델링은 개관을 위하여 약 4개월간(2009.6.24.~2009.10.29.) 중앙동, 숙소 1 동, 작품창고동에 대한 리모델링을 추진

시설 면적 공간 활용계획

중 앙 동 2,523㎡ 21실 사무실(2), 교육실(1), 자재보관실(1), 미디어랩실(1), 아카이브 자료실(1), 전시실(1), 통합형 스튜디오(14) 숙소Ⅰ동 1,316㎡ 20실 직원 숙소(5), 멘토 및 작가 숙소(5), 통합형 스튜디오(10) 작품창고동 1,729㎡ - 1~2층 작품창고, 3층 스튜디오(4)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2> 경기창작센터 1단계 리모델링 결과

- 2단계 리모델링은 2012년 약 5개월간 추진(2012.07~2012.12)되었으며 숙소 2동과 공 방동을 리모델링하여 숙소, 스튜디오, 공방, 교육실 등으로 활용

시설 면적 공간 활용계획

숙소 2동 4,262㎡ 73실 임대숙소(34), 스튜디오(27), 직원숙소(12)

공 방 동 1,120㎡ 9실 목조공방(2), 공구실(1), 교육실(2), 미디어(1), 판화(1), 재료실(2)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3> 경기창작센터 2단계 리모델링 결과

- 3단계 리모델링은 2013년 약 7개월간 추진(2013.03~2013.10)되었으며 1단계 리모델 링을 통해 조성한 작품창고를 교육실, 창의예술 전시장,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 고 부분 시설 개선을 통하여 공간 명칭을 현재와 같이 변경함5)

시설 면적 공간 활용계획

전시

사무동 2,456㎡ 11실 임대공간(3), 사무공간(2), 전시실(3), 카페테리아(1), 휴게공간(1), 다목적실(1)

다목적홀 1,541㎡ 3실 식당(1), 섬마루강당(1), 음향조정실(1)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4> 경기창작센터 3단계 리모델링 결과

5) 숙소1동→창작스튜디오1동, 중앙동→창작스튜디오2동, 숙소2동→창작스튜디오3동, 다목적홀→섬마루동, 작품창고동→창의예술동, 공방동→공방동, 전시동→전시사무동으로 명칭 변경

(24)

<창작센터 배치도>

<창작스튜디오 1동>

<창작스튜디오 2동>

<창작스튜디오 3동>

<섬마루동>

<공방동>

<전시사무동>

<창의예술동>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그림 2-1> 경기창작센터 시설 전경

(25)

□ 2020년 경기창작센터 내 선감학원 피해자 신고 및 상담을 위한 전담기관 운영

○ 경기창작센터는 선감학원 옛터에 자리잡고 있어 센터 내 선감학원 위령비 제작⋅설 치(2014.05.29.), 선감역사박물관 개관 및 선감이야기길 개장 추진(2017.1.21.)

- 선감학원 옛터는 1995년 대대적인 건물 개보수를 통해 경기도립직업전문학교로 운영되다 2009년부터 현재까지 예술가 레지던시 기관인 경기창작센터 운영 - 선감역사박물관 및 선감이야기길은 경기도⋅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가 추진

한 경기만에코뮤지엄사업 일환으로 추진

○2020년에는 경기창작센터에 선감학원 아동인권침해 사건 피해자들의 신고와 생존자 상담 등을 위한 전담기관 ‘섬 친구를 그리다’ 개소

- 경기창작센터 전시사무동 2층, 평일 10시~17시 운영

- 선감학원사건 진상조사 특별법 제정,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기본법 개 정안 통과를 위한 노력 추진 중

□ 시설안전점검 결과 노후시설에 대한 개선 필요성 대두6)

○2016~2017년 실시한 건축물 정밀안전진단과 2020년 실시한 시설물 정기안전점검 결 과 지속적으로 경기창작센터 건축⋅시설물에 대한 보수 필요성이 나타남

- 2016년 실시한 창작스튜디오 1~3동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결과 성능이 기준에 미치 지 못하여 시설물의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운 수준으로 긴급한 보수⋅보강 또는 개 선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검토해야 하는 성능 수준인 ‘D등급(미흡)’으로 나타남 - 2017년 실시한 창작스튜디오 1~3동 외 건물에 대한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결과에서 는 사용상 편의에 일부 문제점이 있으나 시설물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며 간단한 보 수 또는 보장 및 개선이 필요한 성능의 수준인 ‘C등급(보통)’을 받은 섬마루동을 제 외한 나머지 건축물은 ‘D등급(미흡)’으로 나타남

- 2020년 실시한 시설물 정기안전점검 결과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보수가 필요한 상태인 ‘B등급 (양호)’로 나타남

6) 경기창작센터 노후시설 개보수 관련 사항은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건축물 정밀안전진단과 시설물 정기안전점 검 결과에 대한 해석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제시함

(26)

구 분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시설물 정기안전점검

창작스튜디오 1동 D B

창작스튜디오 2동 D B

창작스튜디오 3동 D B

공방동 D B

전시사무동 D B

섬마루동 C B

창의예술동 D B

주 1 : 건축물 정밀안전진단은 2016년 창작스튜디오 1~3동, 2017년 공방동/전시사무동/섬마루동/창의예술동을 대상으로 추진

주 2 : 시설물 정기안전점검은 시특법 제3종 시설물에 대한 것으로 2020년 추진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5> 경기창작센터 시설 관련 진단⋅점검 결과

○ 경기창작센터 시설 중 현재 시설문제로 운영이 중단된 창작스튜디오 3동과 섬마루 강당 1층 식당의 리모델링이 가장 시급하며 단기적으로 경기창작센터 시설물 사용시 초래되는 안전 위해요소 제거를 위한 사업 추진 필요

구 분 필요 사업 내용

석면 해체

∙ 대상 : 창작스튜디오 3동, 섬마루동, 전시사무동 등

∙ 건축자재(천정텍스, 화장실 등)에 포함된 석면 제거를 통해 센터 이용객에게 안전성 보장

∙ 배관 보온재(석면함유 보온재) 등의 노후화로 관리상 어려움이 있어 석면 제거 필요

배관 교체

∙ 대상 : 급수, 오수배관 등

∙ 상하수도 배관의 노후화로 인해 동절기 동파 우려

∙ 단체 방문객이 창작스튜디오 3동(3층, 4층 숙소) 등 시설 점유율이 높을 때는 오수가 역류 하여 화장실 천정 및 숙소 천정을 통해 새어나오는 문제 발생

∙ 배관 교체 작업 기간 동안 해당 동의 사용 전면 중지 필요

건물 실내 보수

∙ 대상 : 화장실, 샤워실, 세면실 등

∙ 바닥, 벽, 천정 등 타일이 깨지고 들고 일어나서 이용시 안전사고 우려

∙ 노후된 시설 보수를 통한 쾌적한 환경 제공 필요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6> 경기창작센터 시설 개선 필요 사업 내용 (단기)

(27)

구 분 사업연도 필요 사업 내용 내진성능

평가 2020 ∙ 지진관련 등급 산정을 위한 내진성능평가 필요(7개동) 창작

스튜디오 3동

2020

∙ 외부 마감 건축자재(드라이비트 등) 분리되는 현상으로 인해 교체나 철거 필요

∙ 건축물 외부 바닥 꺼짐 증상으로 인한 보완 필요

∙ 작가스튜디오 내부 공간, 공용부실들의 보수 필요

∙ 옥상 누수 등으로 인한 방수 작업 필요 창작

스튜디오 2동

2020

∙ 건물 손상 방지를 위해 외부 철 구조물 철거 필요(건물 크랙 발생 및 진행)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도장 공사 필요

∙ 중앙 출입구 토사 유출로 인한 계단 보수 필요 창작

스튜디오 1동

2021

∙ 실내 누수로 인한 내외부 크랙보수 및 주기적인 내외부 도장 필요

∙ 실내 곰팡이 등의 환경 개선을 위한 인테리어 공사 필요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도장 공사 필요

전시

사무동 2022

∙ 화장실 노후화로 인한 보수 공사 필요

∙ 건물 옥상 누수 등의 발생으로 인한 방수 공사 필요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내외부 도장 공사 필요

∙ 작가 공용 작업 공간 환기를 위한 공조설비 필요(실내 분진의 외부 배출 힘듬) 창의

예술동 2023

∙ 화장실 노후화로 인한 보수 공사 필요

∙ 건물 옥상 누수 등의 발생으로 인한 방수 공사 필요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도장 공사 필요

섬마루동 2024

∙ 화장실 노후화로 인한 보수 공사 필요

∙ 건물 옥상 누수 등의 발생으로 인한 방수 공사 필요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도장 공사 필요

∙ 강당 음향/방송 설비 노후화로 인한 교체 필요

공방동 2025

∙ 화장실 노후화로 인한 보수 공사 필요

∙ 외부 마감 건축자재(드라이비트) 등 분리 현상으로 인해 교체나 철거 필요

∙ 건물 콘크리트 부식 지연을 위한 내외부 도장 공사 필요

외부

부지 2026

∙ 운동장 스탠드 기초 보완을 통한 계단 붕괴 방지 공사 필요

∙ 부지내 도로 마감재(아스팔트) 노후화로 인한 재포장 공사 필요

∙ 지하 및 우수관 정비 및 보완 필요

∙ 잔디운동장 유지관리를 위한 고사부위 교체 등 필요

∙ 조경 수목 등의 주기적인 전정 및 수형 관리 필요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7> 경기창작센터 시설 관련 개선 필요사업 내용 (중기)

○ 경기창작센터 시설물 사용시 초래되는 안전 위해요소 제거와 기존 시설물 활용 도 제고를 위하여 중기적으로 내진성능평가와 각 시설별 유지보수 작업 필요

(28)

3) 예산 및 조직 현황 (1) 예산 현황

□ 연도별 변화가 큰 경기창작센터 총 예산

○ 경기창작센터 개관(2009.10.29.) 이후 예산(일반관리비, 고유목적사업비)을 살펴보면 연도별 변화가 크게 나타남

○ 특히 일반관리비 대비 고유목적사업비의 변화가 크고 2012년, 2016년을 제외하면 지 속적으로 일반관리비 대비 고유목적사업비가 낮게 나타남

- 특히 2014년, 2017년, 2019년, 2020년 일반관리비는 고유목적사업비의 2배 이상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그림 2-2> 경기창작센터 예산 현황 (2010~2020)

(단위: 천 원)

(29)

○ 사업유형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2012년 환경개선, 2016년 기타사업에 타 사업 대비 많은 사업비가 편성된 것으로 나타남

- 2012년 환경개선사업으로 1,190,000천 원을 편성, 2단계 리모델링(2012.7~2012.12)을 통한 숙소 2동, 공방동, 전시동 일부 시설 개보수 추진

- 2016년에는 기타사업으로 에코뮤지엄 조성(950,000천 원)과 지역재생/대외협력/기타 사업(600,000천 원) 추진

주 : 기타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지 않은 사업으로 에코뮤지엄 조성, 지역재생, 대외협력, 편의시설 운영 등을 포함함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그림 2-3> 경기창작센터 사업유형별 예산 현황(2010~2020)

(단위: 천 원)

□ 2016년 이후 레지던시 사업 중점 추진

○ 경기창작센터 개관 당시 레지던시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였으나 2014년까지 교육 사업에 더 높은 비중의 예산이 편성

○2015년, 레지던시 사업 대비 교육사업, 지역연계사업7)에 더 높은 비중의 예산 편성

○2016년 이후 교육사업과 레지던시 사업 비중을 유사하게 편성한 이후 레지던시 사업 을 다시 중점적으로 추진

7) 지역연계 사업은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특성화와 지역 디자인 개선, 입주작가 창작역량 확장, 지역민 및 문화소외계층의 예술향유 기회 확대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역디자인, 에코뮤지엄 기반조성, 문화창작활동 지원(공방학교 등)의 사업을 포함함

(30)

주 : 각 년도 레지던시, 교육, 지역연계, 홍보 관련 사업비의 합을 100%로 하여 각 사업 유형별 사업비 구성 산출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그림 2-4> 경기창작센터 총 사업비 대비 유형별 사업비 비중

(단위: %)

□ 개관 당시 대비 낮은 레지던시, 홍보사업 예산

○2020년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사업 예산과 홍보 예산은 개관 직후인 2010년보다 낮 게 나타남

- 레지던시 사업 예산은 경기창작센터 개관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며 2014년 가장 낮은 사업비(126,908천 원) 편성

- 이후 증가 추세를 나타내나 2020년 레지던시 사업 예산(300,000천 원)은 2010년 레 지던시 사업 예산(401,847천 원)의 약 75%

- 홍보사업은 2010년 개관 당시 가장 높게 편성(73,000천 원)되었으며 2017년까지 감 소 추세를 나타냄

- 이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2010년 홍보 사업 예산(73,000천 원)의 약 55%에 불과

□ 지속적으로 타 사업 대비 낮은 지역연계, 홍보 사업 예산

○ 지역연계사업 예산은 2015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레지던시, 교육 사업 대비 비교적 낮고 2020년에는 별도 사업비가 편성되지 않음

- 지역연계사업은 2015년(279,210천 원) 가장 많은 예산이 편성

○ 홍보사업은 지속적으로 타 사업 대비 낮게 편성

(31)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그림 2-5> 경기창작센터 사업비(레지던시, 교육, 지역연계, 홍보) 세부 현황 (2010~2020) (단위: 천 원)

□ 외부재원사업

○ 경기창작센터에서는 2014년 이후 2015~2016년을 제외하고 외부재원사업을 추진하였 으며 특히 2017~2018년의 경우 고유목적사업 대비 대행위탁사업비가 더 높게 편성 - 2017년 공기관대행사업 ‘2017 경기만 에코뮤지엄 조성’, ‘2017 제부도 명소화 문화

재생’, ‘연강 갤러리 전시 운영’, ‘2017 시흥 바라지 에코뮤지엄’ 등 추진

- 2018년 공기관대행사업 ’경기만 에코뮤지엄 조성‘, ’화성지역 문화발전‘, ’제부도 명 소화 문화재생‘, ’시흥바라지 에코뮤지엄‘, ’연강갤러리 전시 운영‘, ’신재생에너지 지 역지원 사업‘ 등 추진

자료 : 2014~2019년 경기창작센터 4분기 실적보고서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6> 경기창작센터 고유목적사업, 대행위탁사업 예산 현황 (2014~2019)

(단위: 천 원)

(32)

(2) 조직 현황

□ 경기도미술관 부설기관으로 개관하여 2팀 체제로 운영

○2010~2012년 경기도미술관장이 경기창작센터장을 겸임하며 학예팀, 행정지원팀으로 구성된 2팀 체제로 운영

○2013~2014년 상반기 경기도미술관장의 경기창작센터장 겸임 해제와 더불어 학예팀, 기획사업팀으로 구성된 2팀 체제로 운영

- 학예팀에서는 경기창작센터 중단기 발전계획 수립, 레지던시 연구 및 프로그램(기관 교류, 전시, 창작 활성화, 홍보 등) 기획⋅운영, 소장품 관리 및 아카이브 운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및 운영 등 수행

- 기획사업팀에서는 경기창작센터 중단기 운영 계획 수립 및 관리, 지역디자인 및 협 력, 예산⋅회계⋅세무⋅인사, 시설 및 자산관리, 계약⋅홍보⋅행정 등 업무 수행

주 : 경기도미술관은 2008년부터 경기도 직영에서 경기문화재단으로 위탁되어 운영 자료 : 2010~2014년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7> 경기창작센터 조직도 (2010~2014)

□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 소속으로 이관

○2014년 하반기 경기창작센터가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 소속으로 이관되며 2015 년 별도의 기관장이 임명되지 않았고 기존의 2팀 체제(학예팀, 기획사업팀)로 운영

(33)

○2016년부터 경기창작센터장이 기관장급에서 팀장급 센터장으로 변경되고 1팀 2부 (기획사업부, 학예부) 체제로 운영

- 기획사업부에서는 기관 중단기 발전계획 수립 및 관리, 지역디자인 정책 수립 및 사 업개발, 경기만 에코뮤지엄 조성, 지역 리서치 및 아카이빙, 지역생활문화예술 지원, 예산⋅회계⋅세무⋅계약⋅총무, 시설 운영 등의 업무 수행

- 학예부에서는 레지던시 프로그램(기관 교류, 전시, 창작 활성화, 홍보 등) 기획⋅운 영, 소장품 관리 및 아카이브 운영, 교육 관련 신규 콘텐츠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업무 수행

○2019년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 소속 ’경기창작센터팀‘으로 변경

- 레지던시 프로그램(기관 교류, 전시, 창작 활성화, 홍보 등) 기획⋅운영, 지역생활예 술 프로젝트 운영,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설 연유지관리 계획 수립 및 운영 등의 업무 수행

자료 : 2015~2019년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8> 경기창작센터 조직도 (2015~2019)

(34)

□ 최근 3년간 정규직 인력 감소와 낮은 비중의 학예연구직

○2017년 이후 정규직 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정규직 인력은 2018년(8 명) 대비 2019년 인력(4명)은 절반으로 축소

○ 정규직과 계약직 인력이 포함된 전체 인력은 2018년 가장 많았으나 이후 약 1/3 수준 으로 감소

구분 기관장 팀장

(센터장)

팀원

(정규직) 계약직 합계

정규직 정규직+계약직

2013 1 2 5 1 8 9

2014 1 2 6 1 9 10

2015 0 2 5 2 7 7

2016 0 1 6 3 7 10

2017 0 1 8 4 9 13

2018 0 1 7 7 8 15

2019 0 1 3 1 4 5

주 1 : 2019년 운영직군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었으나 사업인력 비교를 위하여 미반영

주 2 : 계약직은 계약 유형(월 단위, 연 단위, 단기근무 등)에 따른 인원이 미구분되어 있어 해당년도 계약직 총 인원을 반영하여 제시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8> 경기창작센터 운영인력 현황 요약 (2013~2020)

○2017~2020년 팀원 대상 정규직 인력 직급을 살펴보면 문화행정직이 학예연구직 대비 많은 비중 차지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9> 경기창작센터 정규직 팀원 직급 현황 (2017~2020)

(35)

4) 입주작가 현황

□ 감소 추세를 나타내는 연도별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현황

○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68명으로 가장 많은 작가가 입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냄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0>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현황 (2010~2019)

○ 국적에 따른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입주작가의 경우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감소추세 를 나타냈으며 해외 입주작가의 경우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함

- 특히 2019년 해외 입주작가 수는 2010년의 약 1/6 수준으로 감소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1>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국적 현황 (2010~2019)

(36)

□ 비교적 높은 변동폭을 나타내는 정규 공모를 통한 입주 유형 비중

○ 입주작가의 입주 유형은 내외부 정규 공모를 통하여 입주한 ▲정규 공모(내부, 외부) 와 ▲초청, 기관 교류⋅협력 그리고 입주기간 연장을 통한 기획(교육)작가로 활동, 프 로젝트 기반 입주 등 기타 유형인 ▲기타(기획, 연장, 프로젝트)로 구분

○ 정규 공모를 통하여 입주한 연도별 작가 비중은 2011년 이후 다소 감소 추세를 나타내다 2018년 가장 낮은 비중(39.6%)을 차지하였으며 2019년 전체 입주작가의 65.7%를 차지하여 비중이 전년 대비 약 1.6배 이상 증가

- 2015년, 2017~2018년의 경우 정규 공모를 통해 입주한 입주작가 비중이 50% 미만

○ 초청, 기관교류⋅협력을 통해 입주한 작가 비중은 2012년까지 감소하였으나 이후 지 속적 증가 추세를 나타냄

○ 마지막으로 입주기간 연장, 프로젝트 기반 입주 등을 통하여 기획(교육) 레지던시에 서 활동한 입주작가 비중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30% 내외를 차지함

- 2019년에는 ▲2018년 입주작가를 대상으로 내부 공모를 추진하여 기획(교육)작가 입 주기간 연장 또는 창작 레지던시 작가의 기획(교육)작가로의 전환 등이 이루어졌으 며 ▲기존에 계약을 연장하였던 입주작가의 계약만료에 따른 퇴실로 기타 유형이 0%로 나타남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2>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입주 유형 비중 (2010~2019)

(37)

□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 입주작가의 입주 유형 중 ▲정규 공모(내부, 외부)와 ▲기타(기획, 연장,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작가가 참여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창작과 기획(교육)으로 구분

- 기타(기획, 연장,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작가의 경우 정규 공모를 통해 입주한 작가 가 입주기간이 연장되었거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공모에 선정됨

- 이에 경기창작센터 차원에서 추진된 초청, 기관 교류⋅협력을 통한 입주 유형을 제 외한 정규 공모와 기타 유형에 해당하는 작가를 대상으로 산정

○ 창작 레지던시에 입주한 작가 수는 2011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며 2019 년 창작 레지던시 입주 작가는 2011년의 약 40% 수준

○ 기획(교육) 레지던시 입주 작가 수는 2013년까지 증가, 이후 다소 감소 추세를 나타냈 으며 2017년 이후 증감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남

○2016년 이후 창작 레지던시와 기획(교육) 레지던시 입주 작가 수는 2010~2015년 대 비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6년, 2018년에는 창작 레지던시보다 기획(교 육) 레지던시에 더 많은 작가가 입주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3> 경기창작센터 연도별 입주작가 레지던시 구분 (2010~2019)

(38)

□ 지속적 감소 추세를 나타내는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공모 지원 현황

○2010년 21:1의 경쟁률을 나타낸 이후 2013년 27:1이라는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 한 반면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경쟁률 감소 추세를 나타냄

○ 특히 2018~2019년에는 약 8:1 수준의 경쟁률을 나타내 2013년의 1/4 수준

구분 지원자 수 선정인원 경쟁률 구분 지원자 수 선정인원 경쟁률

2010 857 40 21.4:1 2015 468 27 17.3:1

2011 817 - - 2016 261 15 17.4:1

2012 743 36 21.0:1 2017 201 15 13.4:1

2013 888 33 27:1 2018 167 20 8.4:1

2014 502 30 15:1 2019 168 19 8.8:1

주 : 2011년의 경우 자료가 없어서 미작성 됨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표 2-9>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프로그램 입주작가 공모 경쟁률

□ 2016년 이후 전무한 공모를 통한 해외 작가 입주

○ 정규 공모를 통한 입주작가 선정 결과 2016년부터 국내 작가만이 선정되어 입주 - 경기창작센터에 따르면 2015년 입주작가 선정 당시 해외 작가 공모 경쟁률은 각각

약 14:1로 2014년 약 19:1이었던 경쟁률보다 낮아짐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4>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공모 국적 (2010~2019)

(39)

○ 반면 2016년부터 초청, 교류⋅협력을 통한 해외 작가 입주는 2018년까지 증가 추세를 나타냄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5>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초청/교류⋅협력 국적 (2010~2019)

□ 다양한 입주기간과 유사한 입주작가 장르

○ 경기창작센터 2012년 입주작가 모집 요강에 따르면 경기창작센터는 입주작가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 입주 기간 연장을 최대한 지원8)

○2015~2019년 입주작가의 입주기간을 살펴본 결과 78.9%가 1년 미만으로 가장 높고, 입주기간이 3년을 초과한 경우는 3.6%로 그 비중은 가장 낮으나 일반적인 창작센터 입주 기간(1년 내외) 대비 장기 입주한 사례로 나타남

○2015~2019년 입주작가 장르를 시각예술과 시각예술 외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시각 예술 장르가 약 86.87%로 시각예술 외 분야(약 13.13%)의 약 6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시각예술 외 분야로는 공연예술(음악, 사운드아트, 소리, 퍼포먼스 등), 문학(시, 희 곡, 평론 등), 지역기획 등이 포함됨

8) “2012년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모집”, 경기창작센터 공고문(2011.11.11.)(https://gcc.ggcf.kr/archives/339?pn=7)

(40)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6>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입주기간 (2010~2019)

(단위: %)

주 : 시각예술에 해당하는 장르는 회화, 설치, 공예, 조소, 사진, 영상, 뉴미디어, 건축, 디자인 등을 포함 자료 : 경기문화재단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7>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장르 (2015~2019)

(41)

5) 프로그램 현황

9)

(1) 레지던시 프로그램

□ 입주 유형 및 공모 분야 변화

○2010~2011년 현대미술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창작레지던시와 큐레이터를 대상으 로 하는 연구레지던시로 구분하여 단기(6개월 미만), 장기 입주자(1년) 공모

- 단기입주의 경우 2010년 1~6개월, 2011년 3개월/6개월로 구분하여 모집

- 2011년의 경우 창작레지던시 3개월 단위 단기 입주 프로그램에 지역협력프로그램 포함,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6~8월 기간에 지원하도록 명시

○2012년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창작레지던시와 연구레지던시로 구분하고 레지던시 모 집분야(대상)를 확장

- 기존 현대미술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던 창작레지던시 모집분야(대상)를 시각예술 (회화, 조각, 영상미디어, 건축, 디자인, 사진, 공예), 문학, 공연예술로 제시 - 독립 큐레이터, 대안공간 큐레이터 대상이었던 연구레지던시 대상을 독립 큐레이터,

공연예술 기획자, 평론가, 타 분야 연구자 등으로 확대 제시

○ 또한 2012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공모시부터 국내와 해외를 구분하여 국내를 대 상으로 장기입주(1년, 2년), 해외를 대상으로 단기입주(3개월) 공모 추진

- 2011년 창작레지던시 단기 입주 프로그램으로 작가를 별도로 선발하여 추진한 지역 협력 프로젝트를 2012년부터 별도 선발 없이 경기창작센터를 거쳐간 작가와 신규 입주작가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진행

○2013년에는 2010~2012년에 구분되어 진행된 창작레지던시와 연구레지던시를 ‘레지 던시 스튜디오’ 내에서 구분하여 모집, 기획레지던시 분야가 신설됨

- 2013년 창작레지던시에 시각예술(회화, 조각, 영화/영상, 뉴미디어, 건축, 디자인, 사 진), 공연예술(댄스, 음악, 퍼포먼스), 문학과 위에 포함되지 않는 혼합매체, 기타 장 르 지원 가능 명시, 2012년보다 세분화되고 확장된 모집분야(대상) 제시

9) 2010~2019년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공모 자료를 토대로 요약⋅제시함

(42)

- 창작 레지던시에서는 국내를 대상으로 입주기간이 1년, 6개월로 2012년(1년, 2년) 대비 감축되었으며 해외는 동일하게 3개월 유지

- 연구 레지던시의 경우 2011~2012년 국적 구분 없이 3개월/6개월의 입주기간을 제 시하였으나 2013년에는 국내 6개월, 해외 3개월로 구분하여 공모

○2013년 신설된 기획레지던시는 창의예술교육, 공방(미디어, 판화, 목공), 지역디 자인을 모집분야(대상)로 국가와 매체를 제한, 입주기간은 6개월로 명시되어 있 으며 추후 내부평가 후 연장 가능성을 명시

○2014~2015년에는 창작레지던시만을 운영하며 2013년과 모집분야(대상)는 동일하게 모든 장르로 개방하여 열어둔 반면 국내의 경우 2012년과 마찬가지로 장기입주(1년, 2년), 해외 단기입주(3개월)로 구분하여 입주작가 선정

○2016~2017년에는 국내 예술가 및 예술강사를 모집분야(대상)으로 명시하고 레지던시 입주 자격조건을 국내에서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와 독립 큐레이터, 비평 등 연구자 로 한정

- 국가와 매체를 제한한 2013년 기획레지던시를 제외한 2010~2015년 입주작가 모집 공모에서는 국가, 연령, 성별, 매체에 제한을 두지 않았으나 2016년부터 ‘국내’로 한 정

○2018~2019년의 경우 국내 예술가와 예술강사 대상 교육레지던시가 신설되었으며, 창 작 레지던시의 경우 국내 예술가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여 2012~2013년 창작레지 던시와 연구레지던시가 결합된 형태의 공모 추진

○2020년 공모에서는 2019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중 입주기간이 3년 미만(창작, 기 획레지던시 포함)인 작가를 대상으로 한 기획(교육) 레지던시와 국내 예술가 및 연구 자를 대상으로 하는 창작레지던시로 구분하여 공모

- 단 2019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를 대상으로 한 기획(교육) 레지던시를 드로잉, 사진, 판화, 영상, 입체조형 각 1인과 혼합매체(사운드 포함) 2인으로 구체적 명시 - 창작레지던시는 국내에서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 5인, 큐레이터 2인을 대상으

로 명시

(43)

□ 입주작가 지원 내용 변화

○ 입주작가에 공통적으로 공간지원과 입주작가 역량 강화 및 창작 활성화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지원

- 개별 스튜디오와 공동창작시설(목공방, 판화공방, 미디어공방, 대형인화실, 다목적실, 테스트베드, 전시실 등)의 공간 지원

- 멘토링, 워크샵, 강의, 국내 및 국제 교류 지원 등 창작 지원 프로그램과 입주작가 홍보를 위한 경기창작센터 내⋅외 작품 발표 지원 추진

○2017년, 2019년의 경우 경기창작센터 입주 창작 작가 대상 해외 교류 프로그램 운영 - 2017년 작곡가, Sound artist, Sound installation, Sound art performer를 대상으

로 오스트리아 Krems 레지던시에 입주할 파견 작가를 선정

- 2019년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중 시각예술 분야와 관련하여 경기창작센터의 해외 교류 기관인 러시아 Winzavod Center for Contemporary Art, 대만 Pier-2, 인도 네시아 ARCOLOBS 입주작가 선정

○2010~2011년에는 ‘입주작가 체제지원금’을 통해 모든 작가에 매월 일정액 균등 지급, 2012년부터 개인별로 지원 규모가 차등화되어 지원되는 방식의 ‘창작지원금’으로 지원 방식 변경

- 2010~2011년 활동비(작가지원비)로 매월 500,000원 지원

- 2012년 입주 후 작가의 활동 내역이나 그에 대한 필요액 등을 고려하여 창작활동 지원비 차등지원

○2011~2012년의 경우 입주 후 각종 창작센터 내 프로그램 참여시 소정의 지원금 지급 - 2011년 창작레지던시 프로그램 중 지역협력프로그램 참여자에 한해 소정의 프로젝 트 지원금을 지급하였으며 연구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큐레이터에게는 소정의 전시 및 출판 지원

- 2012년 교육 및 지역협력프로그램 참여시 강사료 및 소정의 프로젝트 지원금 지급, 연구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입주자의 경우 소정의 연구결과발표 지원비 지원

○2013년에는 ‘전시 및 프로젝트 발표시 제작비 일부 지원’이라고 명시하였으며 2014년 부터 입주작가에게 개별적, 정기적 창작지원금을 지원하지 않고 창작에 필요한 기자 재 및 재료는 작가 개인이 준비해야 함을 명시

(44)

○2017년부터는 입주작가에 전기료, 가스비, 수도요금, 청소비, 인터넷 사용료 등의 스 튜디오 운영유지비 제공

- 전기료 월 3만원까지, 가스비 월 30만원까지 지원

- 이 외 수도요금, 청소비, 인터넷 사용료(공유기 미제공) 등을 지원

○2010~2014년 해외 합격자 및 해외 거주 및 활동이 증명되는 국내 합격자를 대상으로 왕복항공료를 지원하였으며 2015년부터 미지원

- 2014년의 경우 해외 3개월 입주자에 한해 왕복항공료 혹은 소정의 체재비 중 택 1 지원 명시

□ 입주작가 의무사항

○ 입주자 의무사항으로 공간 사용률,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한 규정 제시

- 공간 사용률 관련하여 창작, 연구, 기획(교육) 등 입주 유형에 관계없이 2013~2015 년 주4일 이상, 2020년 월 15일 이상 스튜디오 사용을 명시

- 2018~2019년에는 창작레지던시 입주자의 경우에만 매월 15일 이상 스튜디오 공간 사용을 의무사항으로 명시하고 교육레지던시 입주자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 미제시 - 프로그램 참여 관련하여 2013~2015년에는 입주 유형 관계없이 경기창작센터 ‘각종’

프로그램 적극 참여를 명시

- 2018~2019년에는 창작레지던시의 경우 ‘정규프로그램(프레젠테이션, 입주보고전, 결 과보고전, 오픈스튜디오, 어드바이징 프로그램) 참여’로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 - 2020년 창작레지던시의 경우 예술가는 2018~2019년과 동일하게 정규프로그램 참여

를, 독립 큐레이터는 ‘작가 3인으로 구성된 전시 기획 및 전시’ 제시

- 교육레지던시의 경우 교육 수업시수 관련하여 2018년 주3일, 2019년 주3회로 제시 하고 있으며 2020년 기획(교육) 레지던시는 정규 레지던시 프로그램 참여(교육전시, 기획전, 오픈스튜디오) 참여를 명시

○ 입주시 반려동물, 영유아 및 가족 체류 불가능

- 2010~2013년의 경우 경기창작센터와의 사전협의를 통하여 입주자 외 동반 1인 체류 가 가능하였으나 반려동물 및 영유아는 체류가 불가능

- 2014년부터 사전협의시 가능했던 입주자 외 동반 1인 체류 문구 삭제, ‘반려동물 및 영유아 체류 불가’ 지속 명시

(45)

□ 입주작가 프로그램 참여 관련 실적

○ 최근 3년간 입주작가 프로그램 참여 관련 참여자(관람객 등) 실적을 살펴보면 2018년 참여자(관람객)는 2017년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2019년 다시 증가

○ 입주작가 프로그램별 실적을 살펴보면 2017년 대비 2019년 프리뷰전, 기획전, 해외 작가전, 창작페스티벌(오픈스튜디오)은 증가한 반면 입주작가가 기획⋅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는 절반 이하로 감소

구분 2017 2018 2019

프리뷰전 2,076 1,752 4,278

기획전 2,407 - 3,653

해외작가전 - - 403

창작페스티벌(오픈스튜디오) 1,260 1,459 2,445

결과보고전 1,776 1,770 -

작가 교육 참여자 8,165 3,450 3,432

합 계 15,684 8,431 14,211

자료 :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

<표 2-10>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프로그램 참여 관련 실적 현황

(단위 : 명)

□ 입주작가 작품관리

○2010년~2012년 ‘작품창고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입주작가 관련 작품 및 작품 재료 일시적 보관과 더불어 설치형 예술 작업, 대형 설치물 해체 보관 등을 위한 공간이 필요한 외부 작가를 대상으로 공간 임대

○2012년 작품창고 운영방식에 대한 道 감사결과 지적사항에 따라 작품창고 공간 기능 전환 등을 통한 단계적 폐지를 추진, 2013년 9월 기준 작품창고 내 입주작가가 기증 한 5건 5점, 외부작가 공간 임대 10건 11점으로 총 15건 16점이 보관

(46)

구 분 계 회화 사진 설치/조각 영상 비고

입주작가 기증 5건 5점 1 2 1 1

작품창고 임대료 10건 11점 6 1 2 2

총 계 15건 16점 7 3 3 3

자료 : 2012~2013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

<표 2-11> 경기창작센터 소장품 현황 (2013.9.30. 기준)

○2018년 경기창작센터 내 보유한 작품 및 경기창작센터에서 진행한 사업으로 제작된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소장품 실태조사 및 향후 활용 계획 마련 등 작품관리 추진 - 2009년 이후 경기창작센터 내 사업결과로 잔류된 작품들과 관련 해당 대상에 대한

전수조사를 추진한 후 아카이브 구축과 작품 소장, 관리 및 처분 추진

○ 경기창작센터 내 보유 작품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향후 관리 및 사후 처리가 필요한 작품(국내외 활동 전업작가 제작 작품)은 12점으로 해당 작품들에 대하여 작가들과 협의하여 사후처리 방식을 확정하고 추진

- 고산금 작가의 ‘감자’를 제외한 11점은 입주작가 퇴실 후 경기창작센터 내 잔류된 작품으로 확인

- 작품 사후처리는 센터 내 보관, 센터 차원에서 철수, 작가 직접 철수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여 추진

○ 경기창작센터에서는 별도 규정없이 임의로 입주작가의 작품을 보관 및 기증 받지 아 니하며 전시 및 프로젝트 결과물은 해당 사업 종료와 함께 철수를 원칙으로 함

(47)

(2) 교육⋅체험 프로그램

□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작품 활동과 연계한 창의예술(Cre+Art) 학교 운영

○ 경기창작센터 인프라를 활용하여 입주작가 작품 활동과 연계한 교육 기획⋅운영

○ 입주작가의 교육 일자리 제공을 통한 작가의 경제적 부담 해소와 작가 스스로의 자생력 강화, 차별화된 교육 기획으로 경기창작센터만의 고유한 교육 브랜드 육성 및 강화 등을 목표로 추진

○2010~2012년에는 기존 입주작가의 작품활동을 통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2013년, 2018~2020년에는 기획(교육) 레지던시 입주작가 공모 시행

- 2013년 20인(팀)의 기획(교육)레지던시 선정 및 운영

- 2018년에는 교육 전담작가 별도 공모를 진행하여 외부 공모를 통해 5명의 기획(교 육)작가를 선정하고 내부 공모(심사)를 통한 기존 교육작가 중 4명의 작가 선정 - 2019년에는 외부 공모를 통하여 5명, 내부 공모(심사)를 통하여 2018년 창작레지던

시 작가 중 3명(서류 및 시범교육 심사), 2018년 교육 레지던시 작가 중 3명(서류 및 교육만족도 심사) 선정

- 2020년에는 별도의 외부 공모는 추진하지 않고 내부공모를 통해 2019년 창작레지던 시 입주 작가 중 7명, 2019년 기획(교육)작가 중 8명 선정

○ 교육 콘텐츠⋅프로그램 개발은 입주작가의 포트폴리오 및 교육제안서를 토대로 우수 콘텐츠를 선정하여 작가와 콘텐츠 개발 회의를 추진하며 신규 기획된 교육 프로그램 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고 관련 의견을 반영하여 운영을 확정하며 운영 후 모니 터링을 통해 프로그램 개선 추진

- 시뮬레이션시 경기창작센터 직원 및 작가, 재단 내부 전문가(박물관⋅미술관 교육담 당자), 외부전문가(시⋅군 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이 참석하여 평가

자료 : 경기문화재단 업무보고(2010~2019),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2014~2019), 경기창작센터 협조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2-18> 경기창작센터 창의예술(Cre+Art) 학교 신규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과정

(48)

□ 창의예술(Cre+Art) 학교 운영 세부 프로그램10)

○ 창의예술(Cre+Art) 학교는 연도별로 대상, 내용 구성 등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크게

▲창의예술캠프 ▲예술나눔 ▲창의연수로 세분화되어 운영됨

○‘창의예술캠프’는 예술캠프, 예술나눔 프로그램, 예술치료 프로그램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운영

- 유⋅청소년 가족 대상 주말가족캠프, 학급⋅동아리 등 학교와 연계된 학교 연계캠 프, 진로탐색과 창작활동이 결합된 청소년 창작레지던시 캠프, 예술전공 대학생⋅대 학원생 대상 아카데미, 체험부스 운영을 통한 찾아가는 예술체험 등 추진 - 2018년부터는 예술체험, 작가와의 만남(강연)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프로그램(당일,

1박 2일, 2박 3일 등)을 운영하였으며 2019년에는 학생, 성인, 장애인 단체 등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대비 교육대상 확대

- 창의예술캠프 결과로 교육 참여자들의 결과물을 활용한 창의예술교육 전시 추진

구 분 종 횟수 예산(천 원) 참가자(명) 수입(천 원) 만족도 (%)

2014 9 120 190,887 3,727 63,532 88

2015 3 17 125,000 2,412 - 86

2016 3 18 126,000 1,398 60,195 90

2017 3 26 106,757 1,523 59,718 96.0

2018 3 28 139,830 1,476 5,473 91.3

2019 3 22 170,000 1,356 55,319 91.56

주 : 2015년 수입(천 원)은 별도 공개된 자료가 없어 미반영 자료 : 2014~2019 경기문화재단 4/4분기 실적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표 2-12> 경기창작센터 창의예술캠프 운영 현황 (2014~2019)

○‘상상퐁당 예술나눔’은 2015년부터 추진된 프로그램으로 지역적 여건상 문화예술 향 유에 취약한 대부도 내 지역학교 학생, 복지기관 및 지역아동센터 등 소외이웃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 및 예술체험 운영

- 지역학교 프로그램으로 대부도 지역 내 학교를 대상으로 수업과정과 연계하여 수준 별(학년별) 프로그램 운영

10) 최근 6년(2014~2019)간 경기창작센터 4/4분기 실적보고서를 토대로 제시함

참조

관련 문서

이처럼 산후 산모와 신생아에게는 신체․생리적,심리․사회적,발달적 특성에 따른 다양한 간호요구가 있으며,이러한 요구들은 산후시기,분만경험,자녀 수 등 의

- 충북은 신성장산업·농업인구 비율이 높아 기상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의 생산 증대를 위한 맞춤형 기상융합 서비스 지원 - 신기후체제에 따른

품질관리 강화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고도화 및 맞춤형 기상서비스 확대 기상기후자료 활용 증진 및 융합서비스 확산.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앞서 말씀드린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방역체계 구축 체계와 경제 활성화 지원 대책을. 시민 여러분께 다시 보고

제9조(협력체계 구축) ① 교육감은 학교텃밭 활성화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방자치단체,「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10조에

제대군인 훈련취업 연계된 전문능력향상 프로그램 운영 방안 ‧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 제 장 요약

다문화 영유아의 이중언어 발달을 위한 부모 역량 강화 지원 방안... 다문화 영유아의 이중언어 발달을 위한 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