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접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접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Copied!
1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 論文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접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시 시각장애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社會福祉學專攻

韓 銀 美

2 0 0 1

(2)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접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시 시각장애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指導敎授 金 鍾 範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 論文으로 提出함

2002년 6월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社會福祉學專攻

韓 銀 美

2 0 0 1

(3)

韓銀美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准함.

2002年 6月

審査委員長____________(印) 審査 委員____________(印) 審査 委員____________(印)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4)

목 차

[국문초록]

제 1 장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3절 연구의 제한점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시각장애인과 컴퓨터 ···5

1. 장애인과 컴퓨터 ···5

2. 시각장애인과 컴퓨터 ···8

3. 시각장애인 컴퓨터 이용실태 ···10

4. 시각장애인의 정보통신교육 현황 ···11

5. 시각장애관련 컴퓨터 개발 현황 ···13

6. PC통신과 사설전자게시판 ···25

제2절 컴퓨터의 활용가능성 ···28

1. 개인적 영역 ··· 28

2. 사회적 영역 ··· 29

3. 재활서비스의 전달영역 ···31

제3절 시각장애인과 웹접근성 ···33

1. 웹접근성 ···33

2. W3C와 웹접근성 ···34

3. 웹문서 접근성지침 ···35

4.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문서 접근성지침의 주요내용 ···37

제4절 장애인 정보접근을 위한 각국의 관련법 현황 ···40

1. 국외현황 ···40

2. 국내현황 ···44

(5)

제 3 장 연구방법 ···50

제1절 연구대상 ···50

제2절 측정방법 ···50

제 4 장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53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3

제2절 컴퓨터 활용실태 ···55

제3절 인터넷 활용실태 ···66

제4절 인터넷 접근 용이성 ···72

제5절 정보화 교육실태 ···75

제6절 요구사항 ···78

제 5 장론 ···82

제1절 연구의 요약 ···82

제2절 제 언 ···88

[참 고 문 헌] ···92

[부 록] 설문지 ···95

(6)

표 목 차

<표 2-1> 시각장애인 컴퓨터 관련 H/W, S/W 발전 역사 ···14

<표 2-2> PC통신 내의 장애 관련 동호회 ···26

<표 2-3> 넓은 마을의 주요 서비스 ···27

<표 3-1> 설문지 구성내용 ···51

<표 3-2> 설문지 배부 및 회수 ···52

<표 4-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3

<표 4-2>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활용도 ···55

<표 4-3>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사용용도 ···57

<표 4-4>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운영체제 ···58

<표 4-5> 인터넷 이용을 위한 웹브라우저 유형 ···60

<표 4-6> 시각장애인학생이 이용하는 음성합성 프로그램 ···61

<표 4-7>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보유기종 ···63

<표 4-8> 컴퓨터를 보유하지 않은 이유 ···64

<표 4-9>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이용장소 ···64

<표 4-10> 시각장애인학생의 인터넷 활용실태 ···66

<표 4-11> 시각장애인학생의 인터넷 이용용도 ···68

<표 4-12> 시각장애인학생의 향후 인터넷 이용계획 ···69

<표 4-13> 시각장애인학생이 이용하는 PC통신 및 사설전자게시판 ···71

<표 4-14> 시각장애인학생의 인터넷 접근 용이성 ···72

<표 4-15> 시각장애인학생의 학교이외에서 컴퓨터교육여부 ···75

<표 4-16> 시각장애인학생의 학교이외에서 컴퓨터 교육을 받은 장소 ····76

<표 4-17> 학교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장소를 이용하는 이유 ···77

<표 4-18> 학교이외에서 컴퓨터 교육을 받지 않는 이유 ···77

<표 4-19>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이용 활성화를 요구사항 ···78

<표 4-20> 시각장애인학생의 소프트웨어 이용 만족도 ···79

<표 4-21> 시각장애인학생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불만사항 ···80

<표 4-22> 소프트웨어 원활한 사용을 위한 요구사항 ···81

(7)

국문초록

시각장애인학생의 컴퓨터 접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서울시 시각장애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정보기술의 발전은 컴퓨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 고,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한 사회적·경제적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 나 모든 국민이 이러한 사회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운영체제의 도입과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문자정보에 의존하던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접근하기가 더 힘들어졌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접근실태 및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시각 장애인이 컴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서울시 시각장애인학교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학생들은 문서작성이나 PC통신등 간단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컴퓨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약시보다 전맹이 시각장애인용 프로그램과 장치를 더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장애가 심할수록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프로그램과 장치를 더 필요 로 하기 때문이다.

둘째, 현재 운영체제는 거의 대부분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학생들 중 특히 전맹은 도스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많아 윈도우환경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래서 전맹은 약시보다 윈도우용 시각장애인 웹브라우져와 음성합성 프로그램을 더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음성합성프로그램은 시각장애인 특히 전맹에게는 필수적인 프로그램인데 드림보이스나 아이즈2000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적인 프로그램내에서 화면낭독하는 것보다 전체적으로 운영 체제 전반에 걸쳐 화면낭독하는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이다.

셋째, 최근에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비장애인중고등학생 인터넷 이용률이 95%이 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시각장애인 학생의 인터넷 이용률은 56%로 나타나 상 당히 저조함을 알 수 있었고, 장애가 심할수록 인터넷 활용도는 낮았다. 또한 인터 넷을 이용하지 않을 계획이라는 응답자는 8.3%로 조사되어 시각장애인의 인터넷 이

(8)

용욕구는 상당히 높았다.

넷째, 시각장애인들은 웹사이트내의 그래픽과 문자가 명료하여 읽고 이해하기 쉬 운가와, 특정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웹문서를 볼(들을)수 있는가, 그래픽없이 문자로 만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에 웹사이트 접근용이성이 보통수준이하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은 인터넷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불편해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시각장애인학생들은 학교이외에서 컴퓨터 교육을 받은 경우가 61.8%로 저조했다.

여섯째, 시각장애인들의 컴퓨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보급과 장애인에 대한 컴퓨터 교육, 정보통신에 대한 장애 인의 인식향상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만족은 매우 불만인 것 으로 나타났고, 불만사항은 사용방법이 어렵고 복잡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처럼 시각장애인들은 윈도우 환경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불편하기 때문 에 도스를 사용하는 학생이 많았고, 인터넷 이용률도 낮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해 하고 있었다. 그래서 시각장애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인터넷을 쉽게 사용할 수 있기를 요구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비장애인은 시각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부족으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 와 인터넷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거의 모르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국민들 의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은 나아지지 않 을 것이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적인 측면들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시각장애인이 인터넷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W3C의 웹접근성지침에 따라 가능한 홈페이지를 제작하여야 한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교육의 확대이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컴퓨터 교육을 질적·양적으로 높이고, 정책적인 차원에서 일정규모이상의 정보통신관련 교육기관 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하도록 하고, 동시에 장애인복지 관련기관에서 정보화교육이 체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넷째, 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즉 정보통신관련법에 보편적서 비스 개념을 적용하여 장애인이 정보화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접근 성 지침을 제정하여 그에 따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보급하여야 한다.

(9)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터넷의 발달로 사회 전체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사회 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세계 각국은 인터넷에 보다 빠른 속도 로 접근하고, 모든 국민이 인터넷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화 정책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라 점점 많은 어울림의 기회와 여가의 기회, 그리고 교육의 기회가 사이버공간에 서 만들어지고 있다. 전자적 행정정보공개, 전자적 민원접수 등을 통해 정 보기술은 시민과 정부간 의사소통의 폭을 넓히고 있고, 사이버공간을 통 해 시민에게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양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위와 같이 정보가 부가가치 창출의 핵심적 수단으로 작용하는 정보사회 에 있어서, 정보 및 정보기술에 대한 접근과 컴퓨터 사용능력은 필수적일 것이다. 정보사회에 있어서의 정보빈곤은 곧 경제적 빈곤과 정치적 및 사 회적 소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개인의 존엄성이 온전하게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변화에 모든 국민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 다. 정보기술의 발달은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그 혜택을 누리 는 정보부자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낙오되는 정보빈자간의 정보불평 등 문제가 촉발된다. 정보불평등은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의 이용능력 또는 그 능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보편적 설계 및 보조기기의 개발이 필 요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그 다음으로 기기 구입 및 정보통신서비스 이용 료, 정보이용 교육기회,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컨텐츠의 제공등이

(10)

문제될 수 있다. 이는 정보사회의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전은 컴퓨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 록 사용자의 운용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 대표 적인 변화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s User Interface)를 기반 으로 하는 컴퓨터 운영체제의 도입과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 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인터넷 서 비스를 지원하는 웹브라우저와 사이트 정보검색 시스템들이 모두 GUI형 식으로 바뀜에 따라 컴퓨터 화면에 전시되는 문자정보에 의존하던 시각장 애인의 경우에는 정보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지장을 초래하는 위기에 직면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인터넷의 보편적 서비스 확대 및 질적 향상을 위하여 법 률 제정, 헌장 제정 및 관련 기관들이 참여한 표준안과 기술개발 노력 등 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자상거래등의 법률적 토대가 마련되고, 인터넷을 사용한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시각장 애인들을 위한 인터넷 기술 개발 및 지원은 아주 미약하여 실질적 사용은 극히 제한된 실정이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물리적 이동에 어려 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면 물리적 공간의 이동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홈쇼핑, 홈뱅킹등의 원격 서 비스들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이러한 정보통신기술 접근의 어려움은 시각장애인들의 컴 퓨터 사용에 관한 실태 분석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각장 애인들이 컴퓨터, 인터넷을 어느정도 이용하고 있고, 그 이용상의 애로점 은 무엇이며, 또한 이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11)

선행되어야만 올바른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에 대한 실태를 이해할 수 있 고 개선되어질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시각장애인의 컴퓨터접근실태에 관해 연구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2 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시각장애인들도 한 국가의 국민으로,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 정보사회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 다.

이에 연구자는 시각장애인학생들이 컴퓨터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어려움 을 겪고 있다는 인식하에 제2장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연구로서 시 각장애인의 컴퓨터 접근실태 및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와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각장애인의 인터넷 웹접근성을 알 아보고, 마지막으로 장애인 정보접근을 위한 각국의 관련법을 살펴보았다.

제3장과 4장은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장애인학생의 장애유형별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실태, 인터넷 접근용이성을 조사하고, 정보화 교육실태, 컴퓨 터 및 인터넷 이용시 시각장애인학생의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제5장에 서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하였다.

(12)

제 3 절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를 의도적 표집에 의해 서울시에 있는 시각장애인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자료를 가지고 시각장애인 학생 전체로 일반화시키는데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시각장애인학교가 중복장애(정신 지체)학생이 많고 점자와 묵자를 모르는 학생들로 인해 설문지 회수율이 저조하였다. 따라서 조사된 결과보다 컴퓨터 접근실태는 더 열악할거라 보여진다.

(13)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시각장애인과 컴퓨터

1. 장애인과 컴퓨터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자료를 명령에 의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컴퓨터는 정보를 가공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도구라는 말이다. 따라서 컴퓨터는 정보화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도 또한 매 우 넓어지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은 장애인의 생활독립을 증대시키고 삶의 폭을 확대하 는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특정한 이유로 가정을 벗어나기 어려운 사람들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식료품을 주문하고, 상점에서 쇼핑을 하며, 건강 상담, 온라인 회의, 친구 사귀기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시각장애인 들이 점자나 오디오 테이프를 활용하여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수개월에 서 수년을 기다려왔었지만 이제는 새로운 사건, 잡지, 정부 보고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에 접근하기 때문에 시간 차(time lag)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펜이나 키보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은 편지 쓰기, 돈 지불, 직업과 관련된 직무수행 등을 위해 최 근에 개발된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 한 기술 수준의 발달과는 달리 현실적으로 대다수의 장애인이 컴퓨터를 활용하는 비율이 떨어지고 기술의 이기(利器)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1)

1)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인학생의 교과지도를 위한 정보매체 활용」, 서울:서울 예문사, 2000, pp35-36.

(14)

우리나라 정보화 현황을 살펴보면, 총PC 보급대수는 11,530,408대(인구 100인당 25대)이다. PC 이용자는 17,613,430명, PC통신 이용자는 8,141,088 명, 인터넷 이용자는 14,262,184명으로 전체 PC 이용자의 46.2%가 PC통신 을 이용하고 있으며, 81%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인터넷은 PC이용자의 81%가 이용함으로서 PC이용자의 대부분이 인터 넷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만 7세이상 65세까지의 인구 중 최근 3개월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적 이 있는 인터넷 이용자는 전체의 36.2%로 많았다. 연령별로 인터넷 이용 률을 보면 10대 이하가 전체의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대가 34.8%를 차지하고 있어, 20대 이하가 전체 이용자의 73%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정보문화센터 국민생활 정보화 실태조사에 의하면, 가구의 컴퓨터 보급률은 78.7%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약 5분의 4가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개인 이용률은 72.0%로 국민의 약 4분의 3이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이 용자’를 ‘최근 1개월 이내에 인터넷을 사용한 적인 있는 자’로 간주하고 조사했을 때 인터넷 이용률은 64.9%로 나타났고, 컴퓨터 이용자 중 90.2%

가 인터넷을 이용할 만큼 컴퓨터 이용 용도에 있어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 중은 매우 높았다.3)

e비즈니스 컨설팅 전문업체인 코리안클릭과 리서치인터내셔널코리아는 2002년 2월 1일부터 20일까지 전국의 만10∼65세 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을 통해 ‘인터넷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내 인터넷 이용 자수는 총 2,265만명으로 국민 10명중 6명(61.8%)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 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 한국전산원, 정보화 통계집, 2000.

3) 한국정보문화센터, 국민생활 정보화 실태조사, 2001.

(15)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은 대학·대학원생이 96.8%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학생도 95.9%에 달했다. 다음으로 고교생 95.3%, 초등학생 89%순으로 나타났다. 또 20대 후반은 78.4%, 30대 초반 67.7%, 40대 초반 51.6%로 연 령이 많아질수록 인터넷 이용률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50대초반과 50대 후반은 각각 21.0%, 8.1%를 기록했다.4)

한편, 한국전산원에서 수행한 '정보취약집단 분류 및 소외계층정보화를 위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들은 인터넷을 생계와 직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며,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사용할 줄 모르거나(47.2%)', '신체적인 조건(34.8%)'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5) 그리고, 한국보건개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PC통신 과 인터넷 등을 활용하고 있는 장애인은 각각 6.3%, 6.9%로 낮게 나타났 다. 앞의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장애인들이 정보화에서 심각하게 소외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6)

위와 같이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하여 정보화시대의 새로운 기술로부 터 단절되어 있고, 아직은 사용하는 비율이 아주 낮으며, 결과적으로 장애 인은 컴퓨터와 인터넷이 갖고 있는 잠재된 잇점을 적절하게 활용치 못하 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계 수치의 원인을 분석해본다면 장애인 스스로 컴퓨터 활용에 대한 인식이 크지 않다는 면과 경제적 여건이 미비하다는 점이 큰 원인이 라고 볼 수 있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원인은 “장애인의 접근성”의 문제 가 가장 큰 걸림돌로써 남의 도움없이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7)

결과적으로 문제는 접근성이다. 많은 장애인들이 경제적 여건이 좋지 4) 국민일보, 2002년 4월 9일자.

5) 한국전산원, 정보취약집단 분류 및 소외계층정보화를 위한 실태조사, 2000.

6) 한국보건개발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 2000. p14.

7) 한국전산원, 장애인의 정보통신기술 이용현황과 문제점, 2000.

(16)

않아 컴퓨터와 인터넷등을 폭넓게 사용하지 못한다는 면보다는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엄청난 인적·물적 자원이 투입되어 오랜 기간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부담과 상품개발에 따른 판로, 즉, 시장성이 없기 때문에 예산투입의 효용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2. 시각장애인과 컴퓨터

시각장애인8)은 시각의 상실로 활자 인쇄물에의 접근이 불가하다. 물론 가족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자 신이 원하는 때에 활자 정보를 제대로 취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활자 매체에의 접근 불가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선각자들이 시각장애인 용 정보 매체9)의 개발에 주력해 왔다. 시각장애인용 정보매체로는 촉각, 청각과 같은 잔존 감각을 이용한 매체가 개발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정보매체는 촉각을 활용한 점자도서와 점자잡 지가 있고, 청각을 활용한 음성사서함과 녹음도서, 라디오, 텔레비젼등이 있으나, 정보매체로서의 점자는 제작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고, 이동

8) 시각장애는 대개 시력의 정도로 판별하게 된다. 이를 크게 나누면 저시력(Low Vision)과 실명(Blind)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시력은 고도의 학습활동, 직업활동에 지장이 많으나, 기본 사회생활은 어느 정도 가능한데, 실명은 가정을 비롯한 기본 생활도 단독으로 하기 힘든 정도를 말한다. 안과학에서는 각각의 정 의가 학자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3분의 1미터 이상에서 안전지수(finger count)를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를 맹이라 하고, 교정시력이 0.02이상 ~ 0.04미만일 경우에 준맹이라 하고 약시는 고도약시, 중등도약시, 경도약시 등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서 법에 규정하고 있는 시각장애란 “시기능의 현저한 저하 또는 소실 에 의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이 있는 자”이다.

9) 정보매체라 함은 인간의 지적 활동 내용을 정보로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나 수단 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보 전달매체·정보 전송매체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언 어와 몸짓, 이것들의 물리적 표현형태인 문자나 음성, 화상·영상 등도 포함되지 만, 좁은 뜻으로는 종이외의 테이프, 레코드, 필름 등의 시·청각매체와 자기테이 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마이크로피쉬 등의 가독매체, 그리고 전화, 오디오, 텔레 비젼, 컴퓨터, 인터넷, 네트워크 등의 멀티미디어 매체 등을 가리킨다.

(17)

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녹음매체는 수동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대 두되었다. 특히 두 가지 정보매체의 결정적 단점은 다른 형태의 정보매체 로의 변환이 불가하다는 점이다. 점자에서 녹음, 또는 녹음에서 점자로의 변환은 기존 자료제작에 기울였던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들여야만 가능 했다는 점이다.10)

이러한 가운데 새로운 정보매체로서 컴퓨터가 등장하였다. 컴퓨터를 이 용한 점역은 전문 점역사의 손을 거치지 않아도 가능하며, 스캐너를 활용 하여 기존 활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텍스트 파일을 음성합 성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출력함으로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 무엇보다도 가 장 큰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다른 정보매체로의 변환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통신망과 같은 정보통신 수단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각종 파일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사람과 시차 없이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각적인 장점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컴퓨터를 활용한 각종 문서의 제작과 통신망을 이용한 보급은 시각장애인이 직접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고 있다. 즉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시각의 장애로 인한 문서에 의한 의사전달능력의 상실이나 이동능 력의 상실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11)

시각장애인은 모니터 화면의 내용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 하기 위해서는 화면의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프로그램이나 점자로 표 시해주는 장비를 사용하는데, 글자를 주로 사용하던 도스(DOS) 환경에서 는 이러한 프로그램과 장비의 개발이 별로 어렵지 않았으나, 운영체제가 그래픽 중심의 윈도우즈로 바뀌면서 이러한 프로그램과 장비를 개발하는

10) 손연기외 8인, “정보사회와 장애인”, 「정보정책리포트」, 서울:한국정보문화센터, 1997, p.64.

11) 손연기외 8인, 전게서, pp.64-65

(18)

것이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접근성 기술 개발의 이슈 (issue)가 제기되었고, 접근성 기술은 고도의 연구와 개발비용, 기술의 희 소성, 소규모의 시장성 때문에 접근성을 갖춘 기계는 값이 엄청나게 비싼 것이 일반적인 현실이 되었다.

현재의 정보통신 기술 수준에서는 다른 장애에 비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미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통신기기와 소프트웨어 들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도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었는데 초기 에는 시각장애인들의 필요에 따라 개인 차원에서 개발된 것이 많고 최근 에는 기업이 미래형 기술을 연구하다 시각장애인용 제품을 개발하는 경향 이 있다.

3. 시각장애인 컴퓨터 이용실태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이용실태는 최근 자료가 없어 1998년도에 한국정 보문화센터가 정보화 소외계층인 장애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나 온 연구보고서 「장애인·노인의 정보통신 이용실태 및 수요조사」의 자 료를 참조하였다.

컴퓨터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은 지체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청각장애인 보다 어려운 것으로 평가했고,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각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컴퓨터를 주로 어떤 용도로 이용하는 지를 질문한 결과 문서나 책을 읽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시각장애인이 음성합성카드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독서나 학습에 컴퓨터 를 많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19)

컴퓨터 이용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는 음성합성카드 등과 같은 보조기기의 보급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소프트웨어의 개발보급과 이용교육을 다음으로 선택했다.

컴퓨터통신 이용시의 불편사항에 대해서는 시각장애인은 통신소프트웨 어와 음성합성카드의 충돌문제, GUI 환경에서의 음성출력문제를 많이 지 적했다.

컴퓨터통신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과 노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지체장 애인이 50.6%, 청각장애인이 44.0%, 시각장애인이 25.3%, 노인이 25.2%로 조사되었다. 시각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이 다른 그룹들에 비해 저조한 이유는 현재의 인터넷 이용환경이 웹 중심의 그래픽환경이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Lynx와 같은 텍스트방식의 웹브라우저로 이용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매우 불편하며, 특히 하이퍼링크된 문자열을 추적하여 이용하는 것은 상당 수준의 전문 이용자가 아니고서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각장애인은 ‘음성합성 소프트웨어 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시각장애인의 60%이상이 인터넷을 이 용하는데 필요한 기기와 소프트웨어가 주어진다면 이용할 것이라고 응답 해 시각장애인에게는 현재의 기술적인 문제가 가장 심각한 접근장벽이 되 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4. 시각장애인의 정보통신교육 현황

장애인의 정보통신교육은 시각장애인의 정보통신접근과 관련해서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제 아무리 장애인의 정보통신접근을 고려한 접근성이 뛰어난 정보통신기기를 설계하였다 할지라도 장애인들이 그러한 정보통신 기기를 활용할 줄 모른다면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이다.

(20)

현재 정보통신 교육은 정부산하 공공교육기관, 기업 교육기관, 사설 컴 퓨터 학원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모든 교육장이 장애인을 위한 특수 기기 를 갖추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교육장까지 접근하는 환경문제, 교육시 의사소통 문제 등으로 인해 지역사회에 산재해 있는 공공교육장을 활용하 는데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은 기기나 프로그램 설치 에 있어 일반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문제나 곤란이 야기될시 응 급처치나 상담에도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장애인 중 일부만이 컴퓨터 교육을 받고 컴퓨터 및 정보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12)

한국정보문화센터의 장애인·노인의 정보통신 이용실태 및 수요조사에 의하면, 일반인의 경우 42.9%가 컴퓨터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반면 장애인은 19.9%만이 교육을 받았으며 18.3%가 컴퓨터를, 인터넷은 1%미 만이 이용하고 있을 뿐이고, 시각장애인들은 컴퓨터, 컴퓨터통신, 인터넷 의 이용법 습득을 체계적인 교육기관을 통해서 이용방법을 습득하기보다 는 개인적으로 혼자서 책이나 PC통신을 통해서 습득하거나 주위사람을 통해서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또한 시각장애인은 정보통신교육의 문제점으로 시각장애인용 교육장비 의 부족,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교육, 교재의 미비, 개인적 수준 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교육을 들었다.

장애인에 대한 정보화 교육은 일부 직업전문학교, 특수학교 등과 장애 인 복지시설 및 협회에서 운영하는 소규모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다.

먼저 장애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은 전국적으로 20 여개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고 이 교육기관들은 주로 컴퓨터 기본 운영체 계나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활용부분에 대한 훈련을 실시하는 전문훈련기

12) 정훈희, “장애인의 정보통신 교육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35.

13) 한국정보문화센터, 장애인·노인의 정보통신 이용실태 및 수요조사, 1998.

(21)

관이다. 이외에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서 1996년부터 장애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통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정보영역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매월 2회씩 실시하여 1997년 10월 현재 800여명의 장애 인을 교육시키고 있으며 교육 수료자에 대해서는 수료 후에도 통신에 대 한 일반적인 상담에서 정보 이용방법까지 상담에 응하고 있다.

그리고 SK텔레콤은 전국 129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청소년의 정 보화 능력 함양을 통해 정보격차(Digital Divide) 해소를 위해 전문강사와 수화통역사 등으로 이루어진 20개 순회교육팀을 구성, 2000년도에 전국 특수학교를 순회하며 한달동안 정보화 교육을 실시했다. 정보화 순회교육 을 통해 장애청소년들은 PC기본활용법, 인터넷 e-메일 사용법, 홈페이지 제작 등 다양한 정보화 교육을 받게 되며 각 장애영역에 사용되는 장애인 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사용법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도록 했다.14)

또한 정보통신부는 시각장애인 등 정보화교육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한 인터넷 무료 정보화교육 사이트 배움나라(http://estudy.or.kr)를 열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윈도 화면읽기 소프트웨어를 통한 교육을 도입, 소 리를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했다. 모뎀으로 접속해서도 큰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다.15)

5. 시각장애관련 컴퓨터 개발 현황

국내 시각장애인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개발 현황과 현재 시각장 애인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종류를 알아보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14) 사회복지신문, 2000년 12월 4일 6면.

15) http://blind.estudy.or.kr

(22)

가. 국내 시각장애인용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개발 현황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시각장애인과 관련하여 컴퓨터를 시작한 사람은 1980년대 중반의 김운영씨로 알려져 있다. 당시 김운영씨는 BASIC이 내장된 8비트 컴퓨터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입력된 문서를 점역해서 출력하 거나, 또는 음성으로 읽어주도록 하는 코이(KOY)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 나라의 시각장애인과 관련된 컴퓨터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보면 <

표 2-1>와 같다.

<표 2-1> 시각장애인 컴퓨터 관련 H/W, S/W 발전 역사

일 시 프로그램명 주최 (개발자)

1989. 1.25. KOY PROGRAM 가톨릭맹인선교회 (김운영)

음성합성프로그램, 입력 내용 점역가능, BASIC사용, 8비트Apple 및 그 호환 기종 1990. MBT(Multi Braille

Translator)

가톨릭맹인선교회

(이대희) 점역프로그램

1990. 3.14. 한글 BEX 가톨릭맹인선교회 (킬페트릭)

한글점역, 음성출력, 모니터확대출력, WP 8비트 Apple 및 그 호환 기종

1990. 3.14. BRAILLE TECH 가톨릭맹인선교회 (이대희)

조합형 한글 사용, 점자 가능 16비트 XT/AT 호환기종 1990. 5.25. 점자CODER

RELEASE 1.0

한국밀알선교단 (황규원,홍성렬)

점역 프로그램

16비트 IBM XT/AT 호환기종 1990. 6.12. 말하는 글 가톨릭맹인선교회

(FELIX신부)

맹인용 완성형 한글음성합성 프로그램 16비트 IBM XT/AT 호환기종

1991. 2. MILAL 한국밀알선교단 점역프로그램

1991.12. 6 BRAVO 1.0(Braille

and Voice Output) 한국과학기술원 점역 프로그램, 미정의문자 사용 점자 약자 처리안됨

1992. 가라사대 (주)디지콤 음성합성장치

1992. Sorinoon 1.0 하상재활공학센타 스크린 리더

1992. 9. 1. 새글 청주맹학교 점역 프로그램, 자체 Editor 포함 점자 약자(한글,영어) 처리 가능 1993. 4.23. BrailleBest 1.0 서울시각장애인

재활원(임장순) 점역 프로그램 1993. 7. Sorinoon 2.0 하상재활공학센타 스크린 리더 1994. 5.17. BrailleBest 2.0

1995. TELLME 탁노균 파일 읽기

1995. BRAVO 2.5 한국과학기술원 점역, 화면확대, 워드 프로세서

(23)

일 시 프로그램명 주최 (개발자) 1995. 5. 4. BrailleBest 2.5

1995. 6. 8. 점한 청주맹학교 점역프로그램, Editor 포함, 6점식 점자 입력, 화면 점역 가능

1995. 12. 소리문 청주맹학교 점한에 음성출력기능 포함

1996. ACE 탁노균 통합 프로그램

1996. 6.27. BRAILLEBEST 2.80 HWP직접 점역, 목차, 표지 생성 1996. 7. 5. SRD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스크린 리더

1996. 12. 매직보이스 삼성종합기술원 윈도우즈 95용 음성종합S/W

1996. 12. 가라사대 II 디지콤 윈도우즈 95용 음성합성 S/W

1996. TTS LG 윈도우즈 95용 음성합성 S/W

1997. 5. 6 사운도피아 97 삼성전자 윈도우즈 95용 음성합성 S/W 1997. 6 거원 음성마법사 거원시스템 윈도우즈 95용 음성합성 S/W 1998. 4. 22 한글로 하상재활공학센터 역점역 프로그램, 한자가능

1998. 6. 3 역점역 청주맹학교 역점역 프로그램, 포맷가능

1998. 11 새소리문 충북대 김석일교수 점역, 역점역 가능

1998 홈페이지 리더 인포월드 음성웹브라우저

1999. 4 매직보이스 2.0 삼성SDS 윈도우즈 95용 음성합성 S/W 1999. 4 소리눈 98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윈도우98용 스크린리더

2000 아이즈 2000 이트랙인포다임,

충북대 김석일 교수 시각장애인용 인터넷 통합 솔루션

2000 웹 보이스 청주대 컴퓨터정보학과 음성웹브라우저

2000 보이스 익스플로러 (주)디앤엠테크놀로지 음성인식 패키지

2001 한소네 힘스코리아 시각장애인용 컴퓨터

2002 엘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저시력 장애인용 화면확대 프로그램

출처 : 역점역, 중앙일보 1998년 5월 27일자.

매직보이스 2.0, 경향신문 1998년 6월 2일자.

홈페이지 리더, 전자신문 1998년 10월 23일자.

새소리문, 동아일보 1998년 12월 14일자.

아이즈 2000, 전자신문 2000년 5월 24일자.

웹보이스, 동아일보 2000년 11월 15일자.

보이스 익스플로러, 내외경제신문 2000년 12월 1일자.

한소네, 대한매일 2001년 11월 28일자.

엘비, 디지털 타임즈 2002년 1월 23일자.

한국전산원, 장애인용 정보통신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1999.

(24)

나. 국내 시각장애인용 컴퓨터의 하드웨어 활용 실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나타나는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하드웨어로는 음성 출력과 관련된 음성합성장치와 점자 출력과 관련된 프린터, 무지점자기가 있다.

1) 음성합성장치

음성합성장치란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내용 또는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 값을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장치이다.16)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과 같이 음성합성기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며 음질 또한 자연음과는 거리가 먼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음성합성기로는 (주)디지콤에서 1992년 제작한 “가라사대”가 유일하며, 음질면에서 그다지 좋은 평은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한글이 자연스럽게 지원되며, 국산제 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가라사대는 IBM PC 및 호환기종의 확장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무 제한 음성합성시스템이다. 이 보드를 사용하면 한국어 뿐만 아니라 영어, 기호 및 약어가 포함된 문장을 즉시 음성으로 바꾸어 들을 수 있다.17) 가 라사대는 음성을 합성하는 하드웨어와 이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소프트 웨어로 나누어져 있다. 즉 가라사대 기계 자체는 하드웨어에 해당하며 이 기계를 활용하여 소리를 나게 하는 프로그램인 SRD(Sereen Reader), 소리 눈등이 소프트웨어인 것이다.

최근에는 윈도우가 보급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윈도우용 음성합성 프 로그램인 ‘소리눈 98’과 ‘Dream Voice' 및 ‘소리눈 2000’ 등이 개발되어 보급중에 있으나, 윈도우용으로도 가라사대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여전

16) 백남중, 정보화와 시각장애인(1),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997, p63.

17) 강석균, “시각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충북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p10.

(25)

히 가라사대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외국의 경우 Sounding Board, Synphonix, DoubleTalk, DecTalk등 10여 종의 음성합성기가 있으며, 기호에 맞는 음성합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2) 점자 프린터

점자프린터란 입력한 자료를 점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점역한 후 종이 에 직접 점자로 프린트하는 기계이다. 점자프린터는 국내에서 생산된 제 품은 없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점자프린터는 초기에는 단면만 출력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양면을 출력할 수 있는 점자프린터가 개발 되어 사용중이다. 또한 출력할 수 있는 용지도 연속 용지 뿐 아니라 낱장 용지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었다.18)

점자프린터로는 개인용으로 Versapoint, Romeo, Braille Blazer, Index등 이 있고, 출판용으로는 Braillo 400, TED-600(Text Embossing Device)등이 있다.19)

3) 무지 점자

무지점자기는 점역된 데이터를 점자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 니라 Cell의 점에 해당하는 곳에서 핀이 나온 것을 시각장애인이 손으로 만져 읽는 장치이다.20)

초기의 무지점자기는 단지 점자 출력만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점자 입력 과 음성 출력이 가능한 Notetaker(노트필기용기기)형태로 발전하였다. 무 지점자기는 부피가 많아 휴대가 불편한 점자책의 양을 대폭 줄여주고 휴 대에 용이하여 장소에 제한없이 입출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8) 백남중, 전게서, 1997, p67.

19) 강석균(2001), 전게서, p12.

20) 백남중, 전게서, 1997, p68.

(26)

무지점자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것이 없고 외국제만이 통용되고 있다.

무지점자에는 Alva Braille Terminal, Braillex IB-80, Key Braille, Navigator, Braille'n Speak, Braille-Lite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BrailleLite가 국내에서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제품이다.

4) 노트 필기용 기기(시각장애인용 컴퓨터)

① Pocket Braille

점자타자기와 같이 6개의 키로 입력되고, 입력된 자료는 음성으로만 출 력된다.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하기 편리하다.

② Braille'n Speak

포켓브래일과 같이 6개의 키로 입력한다. 컴퓨터에 연결하고 내용을 컴 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때는 음성으로만 출력되지만, 컴퓨터에 연결하여 점자·묵자 등 다른 매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포켓브 래일보다 휴대하기 편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③ Braille-Lite

날짜, 계산, 전화번호 찾기, 편지쓰기, 서류 작성, 입력 내용을 자체저장, 묵자 출력, 내장된 음성합성기를 이용하여 교정, 첨가,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④ 한소네(Hansone)

컴퓨터의 화면 내용을 점자로 입·출력하고 음성으로도 출력해주는 휴 대용 정보단말기이다. 노트북 컴퓨터 크기에 9개의 버튼이 달린 점자입력 자판과 16개의 점자표시가 가능한 점자출력 패드,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 졌다. 정보단말기를 컴퓨터에 연결해 문서 읽기 및 작성, 데이터 교환, 인 터넷 검색이 가능하다. 문서를 읽어들이거나 작성하면서 화면에 떠있거나 점자 키보드로 입력한 문자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27)

정보도 점자출력 패드를 통해 읽거나 스피커로 듣는 것이 가능하다. 힘스 코리아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기반기술과 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한 7억 원의 자금을 이용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시각장애인용 컴퓨터(PDA)로, 컴퓨터의 사양은 컴팩에서 출시한 PDA인 아이팩과 동일하며 64MB의 주 기억장치를 갖추고 있다. 크기는 소형 노트북(B4) 정도이다.21)

다. 시각장애인 컴퓨터 소프트웨어 실태

시각장애인이 이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는 음성합성 프로그램, 점 역 및 역점역 프로그램, 문자인식 프로그램, 인터넷 웹 브라우져, 화면 확 대 프로그램, 그리고 기타의 유틸리티 프로그램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1) 음성합성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 작동하는 음성합성에는 단순 텍스트 낭독 프로그램과 화 면 낭독 프로그램이 있다.

국내 개발 사례를 보면, 대부분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개발제품들은 텍 스트 낭독 프로그램만 개발하고 화면 낭독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데 시각 장애인에게 충분히 개발된 것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시각장 애인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은 독립적인 프로그램내에서 화면 낭독 하는 것보다 전체적으로 운영체제 전반에 걸쳐 화면 낭독이다. 삼성의 사 운드피아와 가라사대 등이 그 좋은 예인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가라사대를 이용한 SRD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무료로 보급되고 있으며, DOS용으로는 한메 소프트의 소리봄, 가톨릭맹인선교회 하상재활복지관의 소리눈, 송오용씨에 의해 개발된 SRD등의 세가지가 있는데 SRD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21) 대한매일, 2001년 11월 28일자.

(28)

Windows에서는 거원시스템의 음성마법사, 삼성 TTS, LG TTS 등을 이 용한 단순 텍스트 낭독 프로그램 등은 있으나, 시각장애인이 접근이 가능 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은 정부 및 관련기관의 외면으로 뚜렷한 개발 실적 이 없었으나 최근에 충북대학교 김석일 교수팀이 (주)e-Trek Infodigm과 공동으로 아이즈2000을 개발했다.22) 이 제품은 시각장애인이 win95, win98, NT 및 윈도우2000이 설치된 컴퓨터에 윈도우용 스크린 리더인 소 리눈98과 웹브라우져, 전자메일, PC통신, 파일 전송 기능이 포함된 웹아 이(WebEye)를 통합한 소프트웨어로 인터넷 환경에서 시각장애인이 컴퓨 터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DOS용 뿐만 아니라 Windows 운영체제상에서도 다양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을 뿐 아니라 기능 또한 우수한 편이다.

대부분 외국의 Windows 화면 낭독 프로그램 경우 마우스를 키보드로 조작하게 되어 있으며, 단순히 화면을 읽어 주는 것이 아니라 화면상에 배치된 여러 가지의 객체(단추, 라디오 버튼, 입력상자 등)의 상태를 이해 할 수 있게끔 하는 도움말 등이 시각장애인이 Windows를 사용하는데 불 편함이 없도록 해주고 있다.

2) 점역 및 역점역 프로그램

점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묵자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바꾸는데 사용 된다. MegaDots는 MS-DOS 컴퓨터를 위한 점역 프로그램이고, Duxbury Braille Translator는 MS-DOS와 Macintosh 컴퓨터를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Braille Best, 소리문, Bravo 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러한 점역 프로그램은 앞에서 언급한 점자 프린터와 같이 사용하여 출력

22) 김석일외 4명,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솔루션의 구현”, 춘계 학술대회, 2000.

(29)

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문과 Bravo의 경우 점역 프로그램의 기능만 담당 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워드프로세서 기능이 있어 일반 워드프로세 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던 시각장애인들의 문서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역점역은 Edgar등의 점자입력 프로그램이나 Braille Lite등의 점자입력 장치로 입력한 한글·영문 점자 파일을 조합형 한글·영문 ASCII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해 주는 점자 변환 프로그램이다.

역점역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익숙한 점자 키보드(6 점식 자판)를 입력수단으로 사용하여 작성한 문서를 일반 문서화함으로써 기존 문서 편집기의 불편을 해소하고,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문서 편집 능력의 극대화와 편집 가능 문서의 다양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하 여 기존 묵자로부터 점자로의 단방향 변환이 묵자로부터 점자로, 또는 점 자로부터 묵자로의 양방향 변환으로 확대되어 시각장애인과 정안인 간의 문자상의 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역점역 프로그램으로 하상복지회에서 만든 한글로98과 충북대학교에서 만든 역점역 프로그램이 있다.

3) 광학문자 인식프로그램(OCR)

인쇄물을 스캐너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기계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 환시켜 주는 프로그램이다.

국내에서는 문서인식 프로그램으로 아르미가 있는데 일반 기능에 음성 지원만을 추가하여 시각장애인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아르미 소리 버전’은 가라사대 보드 혹은 LG소프트웨어에서 제작한 TTS가 설치된 Windows 시스템의 사운드 카드로 메뉴/메뉴 도움말 및 다이얼로그의 각 아이템 내용들(에디터, 리스트, 콤보박스, 버튼제목, 체크

(30)

박스 등), 메시지 내용들 및 인식된 결과를 직접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시각장애인 혼자서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료 로 지급한 사운드피아(삼성전자)가 있는데 전혀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4) 화면확대 프로그램

지금까지 소개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점자나 음성을 통한 전맹 위주의 프로그램인 반면에, 확대프로그램은 화면의 일부나 전체 또는 원하는 특 정 부분을 확대함으로써 화면의 이해를 돕는 저시력(약시)인들을 위한 프 로그램이다.

모든 Macintosh 컴퓨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Windows 98의 “내게 필요한 옵션”(Accessibility Option)에 화면 확대 프로그램이 시스템의 일 부로 무료로 제공된다. 저시력 장애인용 화면확대 프로그램은 그동안 미 국 에이스콰어드(Aisquared)사가 개발한 줌텍스트, 빗샷등의 제품이 판매 되고 있었지만 가격이 고가인데다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아 컴퓨터 사 용에 어려움을 겪어왔다.23)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확대 프로그램으로는 ZoomText, loupex, Magni, 돋보기 등이 있고,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개발한 엘비가 있다.

5) 인터넷 웹 브라우저

시각장애인이 인터넷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웹 브라우저 이다.

① 아이즈(Eyes) 2000

이트랙인포다임과 충북대학교 김석일 교수팀과 공동으로 개발한 아이즈

23) 디지털 타임즈, 2002년 1월 23일자.

(31)

2000은 화면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스크린 리더인 ‘아이즈’와 음성인 식이 가능한 웹브라우저인 ‘웨비’, 전자우편 프로그램인 ‘메일아이’, PC통 신프로그램인 ‘넷아이’, 파일전송프로그램인 ‘파일아이’등이 들어 있는 패 키지 솔루션으로 윈도환경의 컴퓨터에서 음성만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24)

곧 판매할 예정이며 일부 성능을 제한한 공개 버전은 충북대 병렬처리 연구실 홈페이지(john. chungbuk.ac.kr)와 이트렉 인포다임 홈페이지 (etrek.co.kr)에서 볼 수 있다.

② lynx

Lynx는 인터넷을 여행할 때 사용하는 항해(Navigator) 프로그램의 일종 이다. 그러나 Lynx는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홈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텍스 트 문자 중심으로 처리하여 나타내 주므로 그래픽이나 동영상 등은 당연 히 볼 수 없다. 그러나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검색이 빠르다는 장점도 있다. 시각장애인용 윈도우 음성합성 프 로그램의 사용에 문제가 있는 국내의 현실에서 가장 편리하게 인터넷 검 색을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하이텔’과 ‘나우누리’및 ‘넓은마을’통신망 등에서 Lynx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대부분의 신생 홈페이 지들이 GUI 환경과 동영상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위주로 구축되는 현실 에서 Lynx의 사용 범위는 다소 위축되고 있어 보다 효율적이면서 시각장 애인의 검색에 유용한 브라우저의 개발이 시급하다.

③ 홈페이지 리더

윈도우 환경에서 돌아가는 IBM 홈페이지 리더는 웹사이트에 올라있는 정보를 소리로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이 인터넷을 항해할 수 있도록

24) 전자신문, 2000년 5월 24일자.

(32)

도와준다. 이 제품은 웹페이지 설계에 사용된 HTML 태그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인식, 웹사이트내 텍스트와 테이블, 그래픽 자료등을 정확하게 번 역해줌으써 시각장애인들도 정안인들과 동일하게 인터넷 정보를 접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25)

6) 기타 유틸리티

기타 프로그램으로는 대부분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 생활을 하면서 스 스로 느낀 불편함이나 필요성에 의해 시각장애인이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 이 많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Dos Shell인 Ace, EasyDOS등과 독서 프로그램인 Tell Me, Reading Master 등이 있으며, 박노균씨가 제작한 Ace안에는 독 서프로그램인 Tell Me가 포함되어 있다.

시각장애인의 PC통신 이용편의를 위한 통신 에뮬레이터로는 텔릭스나 터미네트가 있다. 그리고 윈도용 통신을 음성으로 들려주어 시각장애인들 의 통신 이용을 돕는 프로그램인 굿아이(Goodeye)가 있다.

이밖에도 시각장애인 학습에 큰 도움을 준 프로그램으로 Elite 소리 영 한사전이 있는데, 점자 사전의 과대한 부피로 인해 비능률적이었던 사전 의 사용이 컴퓨터 사전이 나옴에 따라 시각장애인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 었다.

대체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도 사용되지 못하고 사장된 경우가 많 은데 원인으로는 개발단계부터 테스트까지 시각장애인 관계기관이나 개인 이 참여하지 못하였고, 연구를 위한 연구로 예산만 낭비하고 실적만 고려 되었기 때문이다.

25) IBM 보도자료, 1999. 2. 4

(33)

6. PC통신과 사설전자게시판

시각장애인이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컴퓨터에 가라사대와 같은 음성합성장치를 장착하고 SRD와 같은 스크린 리더를 활용하여 화면 의 내용을 음성 출력함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각장애인의 PC통신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기본적인 전자우 편 이외에 각종 일간지, 전자책 서비스, 장애 관련 동호회 및 본인의 취미 에 따른 동호회일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일간지는 시각장애인이 활자 매체로 제공되는 것 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책 서비스는 각종 서적을 파일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독서에 의 욕구를 채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책 서비스를 하는 곳은 스크린 북서점(엔터프라이즈), 온라인PC도서관(예인정보기획), 전자도서관 도깨비 망이(서운관)등을 들 수 있다.

PC통신 내의 장애 관련 동호회는 같은 장애인끼리 공통의 정보를 나누 고,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가상의 공간에서 만남의 장을 만들 수 있어 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천리안 내의 모두하나 동호회는 시각장애인 만을 위한 게시판인 ‘CANES'와 별도의 자료실을 가지고 있어서 그 활용 이 가장 활발하다.26)

26) 손연기외 8인, 전게서, 1997, pp74-75.

(34)

<표2-2> PC통신 내의 장애 관련 동호회 천리안 모두하나(GO HANA)

수화사항(GO SIGN) 다솜방(GO JUNIOR) 하이텔 두리하나(GO REHAB) 나우누리 손짓그리기(GO SOOHWA)

나누리(GO HANURI) 유니텔 다솜나래(GO DASOM)

두리하나

PC통신외에 시각장애관련 사설전자게시판(BBS)27)으로는 넓은 마을을 들 수 있다.

넓은 마을은 시각장애인의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1996년 4월에 한 국장애인재활공학센터가 구축한 전자게시판이다. 시각장애는 각종 정보들 을 누가 들려주거나 점자로 번역해 주지 않으면 읽을 수 없는 정보장애이 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해 각종 정보를 음성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들도 각종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그들의 삶을 보다 넓은 공간으로 확대 시킬 수 있게 되었다. 1997년 3월 재활공학센터가 한국맹인복지연합회에 합병되어, 현재는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재활공학과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된다.

넓은 마을은 <표 2-3>에 제시된 서비스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다양 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외에도 자원봉사실, 공개자료실, 휴게실, 대화 /토론, 전자우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디스켓 도서실, 대화/토론의 이용이 가장 많다.28)

27) BBS : Bulletin Board System의 약어로 전자게시판이라고도 하는데 PC통신에서 불특정다수의 PC통신망 가입자를 대상으로 메시지를 써넣을수가 있으며 또 다른 가입자의 메시지를 자유롭게 꺼내볼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28) 정훈회, 전게서, 2000, pp23-25.

(35)

<표 2-3> 넓은 마을의 주요 서비스

구분 내용

게시판 용구안내, 구인·구직, 자유게시판, 회원동정, 벼룩시장 컴퓨터 컴소식 물어 보세요, 강좌, 개발자와 함께

동호회 소프트웨어, Apex, 의료동호회, 한국맹인교회, 한국방송대학, 성인클럽

넓은 세상 동정

한국시각장애인복지회, 장애인복지신문, 대한안마사협회, 부산맹인점자도서관, 한국밀알선교단, 부천점자도서관

디스켓 도서실 장애인복지, 컴퓨터, 학습, 종교, 문학, 일반 소리샘 KBU한맹정보센터, 한맹주간지, 월간맹인복지,

한맹연신문고

연재 9개의 서브 메뉴로 구성

1997년 4월 10일에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한 “송파 시각장애인 PC도 서관”이 개관하였다. 풍납사회복지관 내에 개설된 PC도서관(접속번호:

02-485-2220)은 일반 문학, 교양, 전문서적, 생활정도 등을 파일로 저장한 후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 하여 개설되었다.

전자도서관에서는 소설, 시/수필/르포/전기, 종교/철학, 컴퓨터, 학습, 의학, 인문/사회과학에 관한 각종 도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36)

제 2 절 컴퓨터의 활용가능성

컴퓨터의 활용가능성을 장애인복지의 체계에 따라 개인적 영역, 사회적 영역, 재활서비스의 전달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9)

1. 개인적 영역

첫째, 신체 기능 보조이다. 컴퓨터는 신체의 기능을 보조하여 주는 도구 로 사용될 수 있다. 음성합성장치는 인쇄된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소리로 들을 수 있게 해 준다. 장애인을 위한 이러한 장치들은 장애인이 일반적 인 자료에 접근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둘째, 상당수의 시각장애인들은 물리적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러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면 물리적 공간의 이동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홈쇼핑, 홈뱅킹 등의 원격서비스들은 비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것이지만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원격서비스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재활서비스에도 획기적인 변화 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사회재활은 장애로 인해 장애인 자신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사회 부적응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인데, 컴퓨터를 이 용한 가상공간에서의 만남은 장애인의 사회재활과 사회참여에 상당한 기 여를 할 수 있다. 아직도 상당수의 비장애인들은 장애인에게 사회적 거리 감을 느끼며, 가능하면 장애인과의 상호작용을 기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 때문에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사회적 접촉을 할 기회를 많이 갖지 못하며, 설사 기회가 있을지라도 장애인이라는 인식으 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상황에서의 만남은 더욱 제한된다. 그러나 가상 29) 한국전산원, 장애인의 정보통신서비스 이용 활성화 방안, 1997. p12~22.

(37)

공간에서의 만남에서는 장애가 장애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통신 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은 장애인에게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사회적 접촉의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재활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넷째, 심리 재활이다. 대부분의 장애인은 빈번한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도록 할뿐만 아니라 학습 흥미를 상실하게 한다. 그러나 적절한 자극과 강화가 수반되 는 소단계 수업을 제공할 수 있게 고안된 소프트웨어는 성공적 학습 경험 을 제공하거나 좋은 자아개념을 갖게 한다. 또한 컴퓨터는 장애인이 장애 인 자신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외부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자신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정보통신서 비스를 활용하여 상담을 할 수 있다. 장애인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도움 받는 것을 수치로 여기기 때문에 직접 만나기보다는 익명성이 보장 되는 전화 등 정보통신서비스를 활용하는 상담을 선호한다. 그리고 이동 이 불편한 장애인에게는 정보통신서비스를 활용한 재택상담이 편리하다.

다섯째, 정보사회는 정보가 중심이 되는 사회로 육체적인 능력보다는 지적인 능력이 더 중요해진다고 한다. 또한 원격교육을 통하여 장애인도 일반인들과 동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재택근무제도가 보편화 되면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별 차이 없이 취업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통 신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직종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직종들 은 장애인에게 보다 많은 직업재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 사회적 영역

첫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물리적 환경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전화, 팩스, TV, PC 등 생활용품을 새롭게 추가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변화된

(38)

물리적 환경은 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 인에게 전화는 물리적인 이동을 대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지만 팩스는 그렇지 않다. 청각장애인에게는 시각장애인과 반대의 현상이 발생 한다. 그러나 새롭게 등장하는 정보통신서비스가 장애인에게 또다른 장애 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은 아니다. 사실 이와 같이 장애인들의 특수한 요구를 반영하는 기술 중 상당 부분은 이미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미 개발되어 있는 기술들이 상용화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경제적인 것 으로 시장성이 없어 상품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환경에서의 개입이 요구된다.

둘째,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여러 제도들 중에서 정보통신 부분은 ‘보편 적 서비스’라는 개념으로 발달하여 왔다. 보편적 서비스는 지역·소득 등 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이 정보통신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보통신정책상의 이념이다. 보편적 서비스는 사회적 영역에서 장 애인복지와 정보통신서비스의 기본 구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 로, 최근의 환경과 기술변화는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 확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보편적 서비스는 이용능력에 의하여 차별 받지 않도록 수혜자를 확장하고, 전화 이외의 최신 정보통신서비스를 대상에 추가하며, 통신시장 이 경쟁상황으로 변화함으로써 이에 맞도록 정책을 재조정한다는 세 측면 에서 확장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영역에서 국민의식의 개선은 사회통합이라는 장애인복지 의 궁극적인 목표이면서,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최대의 장벽이기도 하다.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국민의식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상호작용 부족에 기인하고 있다. 서로를 이해할 기회가 없는 상태에서 비장애인은 통상적 으로 장애인과 스스로를 구분 짓고 장애인에게 사회적 거리감을 두게 된 다. 이것은 또다시 장애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고, 결국

참조

관련 문서

[r]

따라서 향후에는 메르 스와 같은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 록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 다... van

(최용석 팀장) 오늘 센터 설치 마무리가 되면 총괄운영센터 중심으로 사업단별로 홍보나 설명회 를 통해서 학생 등 학내 구성원의 사업 참여 방법이나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성과를

게 르만족들의 선교를 위해 보다 쉽게 하나님께 접근할 수 있는 듯이 보 이게 하기 위해 전례를 유형화.. 이는 여러 기독론

ü 의인유추 : 생산하려는 물건에 자신을 융합해버리는 상태로 문제를 해결함.. 즉, 사물이 지닌 특성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피상적 유추로서 가장 낮은 단계의 유형. ü

• 디지털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서 규격이나 사양의 변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서 기능 구현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고 개발기간을

-의사결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종 자료를 분석해 주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 전문가시스템(EX

③특정한 컴퓨터 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의 변경.. ④프로그램을 특정한 컴퓨터에 보다 효과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