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요

문서에서 한국 (페이지 60-66)

분석대상이 된 사례는 총 95곳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 2013년에 우수사 례로 발표한 곳들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농촌에 창조를 담다: 6차산업화 우수사 례집(2013)」에서 소개한 35곳과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농업·농촌의 창조경제를 실현 하는 6차산업 이야기(2013)」에서 소개된 60곳이다.

우수사례를 대상으로 매출액 규모, 유형, 주요 원료, 경영형태, 주요 지역, 협력시스템 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연 매출액에서는 1억 원에서 3억 원 규모의 사업장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6차산업을 위한 융복합화 형태에서는 1차산업과 3차산업의 결합 형태가 많았다. 셋째, 주요 농산물은 곡물, 채소, 과일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영 형태에서는 영농조합법인, 마을기업, 개인사업장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수사례가 많이 소개된 지역은 강원도와 경기도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시스템에서는 농업인 간의 결 합을 통한 6차산업화를 내부화시키는 형태가 가장 많았다.

10) 본 내용은 김용렬 외(2014) 연구의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2.2. 6차산업 운영 실태

2.2.1. 융복합 유형별로 본 6차산업

6차산업을 위해 어떤 형태로 융복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생산자가 직접 생산(1차산 업)하며 동시에 판매(3차산업)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1차×3차 융복합 유형이 54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생산과 체험의 결합이 49건, 생산과 가공(2차산업) 의 결합이 48건, 힐링이 포함된 형태가 11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매출액에서는 1차·2차 산업의 결합 유형이 약 12억 원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가장 많은 유형인 1차(생산) 과 3차(판매 혹은 서비스) 산업의 결합은 평균 6억 3천 만 원 정도의 매출액을 보였다.

표 3-8. 유형별 6차산업 현황

단위: 천 원

사업내용 사례 수 평균 매출액

생산+가공 48 1,190,872

생산+판매or식당 54 633,858

생산+체험 49 465,531

힐링 포함 11 191,050

주: 4가지 사업내용의 사례 수들 모두 한 곳씩의 매출액 미상인 곳이 있었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2.2.2. 매출액 규모

6차산업 우수사례 95건에서 매출액 규모를 분석해 본 결과, 연 매출 1억 원에서 10억 원 미만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 매출액 1억 원에서 3억 원 규모의 사업장이 22곳 (23.2%)을 차지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100억 원 이상의 매출액을 내는 경영체들도 9곳이 있었다.

54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표 3-9. 매출액별 사례 현황

연 매출액 사례 수 비중(%)

5,000만 원 미만 3 3.2

5,000만 원 이상∼1억 원 미만 7 7.4

1억 원 이상∼3억 원 미만 22 23.2

3억 원 이상∼5억 원 미만 14 14.7

5억 원 이상∼10억 원 미만 11 11.6

10억 원 이상∼20억 원 미만 12 12.6

20억 원 이상∼50억 원 미만 9 9.5

50억 원 이상∼100억 원 미만 4 4.2

100억 원 이상∼200억 원 미만 5 5.3

200억 원 이상∼500억 원 미만 1 1.1

500억 원 이상∼1,000억 원 미만 2 2.1

1,000억 원 이상∼ 1 1.1

미상 4 4.2

총계 95 100.0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2.2.3. 원료품목

6차산업을 위해 사용되는 주요 농산물은 대체로 균일한 분포를 보인 가운데, 곡물, 채소, 과일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18건 으로 18.9%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채소로 15건, 과일 14건, 특용작물 11건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매출액 측면에서는 축산물을 이용하는 사례가 약 27억 8,000만 원으로 가 장 높고, 그 다음으로 약용작물 약 27억 6,000만 원, 임산물 약 18억 원순으로 분석되었다.

표 3-10. 원료품목별 사례 현황

단위: 천 원

원료품목 사례 수 비중(%) 평균 매출액

곡물 18 18.9 617,223

채소 15 15.8 684,285

과일 14 14.7 231,000

특용작물 11 11.6 360,500

구황작물 9 9.4 316,222

화훼 7 7.4 1,144,866

축산물 6 6.3 2,782,500

약용작물 6 6.3 2,767,500

가공품 5 5.3 1,070,000

임산물 3 3.2 1,876,666

수산물 1 1.1 284,000

총계 95 100 892,208

주: 곡물, 채소, 특용작물, 화훼를 원료로 사용한 우수사례 중 매출액 미상인 사업장이 각 한 곳씩 있었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2.2.4. 경영형태

경영형태별로는 영농조합법인이 31곳으로 32.6%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마을기업 과 개인사업장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매출액의 경우 민·관·학이 연계한 클러스터사업단 의 매출액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회와 주식회사가 그 뒤를 이었다. 클러스터사업단은 개 별 경영체가 아닌 여러 경영체가 하나의 사업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기 때문에 평균 매출액 이 다른 경영체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56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지역명 사례 수 비중(%) 평균 매출액

강원도 16 16.8 668,656

경기도 15 15.8 669,266

전라남도 13 13.7 1,001,176

충청남도 13 13.7 1,216,384

전라북도 11 11.6 455,000

경상북도 7 7.4 1,667,571

경상남도 6 6.3 950,783

표 3-11. 경영형태별 우수사례 현황

단위: 천 원

경영형태 사례 수 비중(%) 평균매출액

영농조합법인 31 32.6 478,990

마을기업 15 15.8 170,307

개인 13 13.7 154,250

농업회사법인 7 7.4 873,333

연구회 6 6.3 1,446,000

클러스터사업단 4 4.2 5,637,500

주식회사 4 4.2 1,631,250

재단법인 1 1.1 284,000

미상 14 14.7 1,448,428

총계 95 100.0 854,642

주: 마을기업, 개인사업장, 농업회사법인, 연구회의 경영형태를 가진 우수사례 중 매출액 미상인 사업장이 각 한 곳씩 있었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2.2.5. 지역

우수사례는 강원(16.8%) 과 경기지역(15.8%) 이 30% 넘게 차지하고 있다. 경북과 경남, 충북 지역은 우수사례가 다소 적게 나타났다. 평균매출액에서는 서울특별시가 가장 높았으나, 사례 수가 2건에 불과했다. 그 뒤를 경북이 약 16억 원으로 높았으며, 충남이 약 12억 원으로 경북 다음으로 높았다.

표 3-12. 지역별 사례 현황

단위: 천 원

지역명 사례 수 비중(%) 평균 매출액

충청북도 6 6.3 1,026,833

제주특별자치도 5 5.3 128,300

서울특별시 2 2.1 2,000,000

대구광역시 1 1.1 440,000

총계 95 100.0 854,642

주: 우수사례 중 경기도 3곳과 전라북도 1곳의 사업장이 매출액 미상으로 나타났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2.2.6. 협력시스템

6차산업화를 위해 협력하는 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농업인 간의 결합을 통한 6차산업 화 내부화가 45곳(47.4%)으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이어서 농업인과 지차제의 민 관협력 28.4%, 농업인과 가공업자와 유통업자의 농공상 협력이 11.6%의 순으로 나타 났다.

평균매출액에서는 산·학·관 협력시스템이 약 29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경영형태별 분석결과와 같은 이유일 것이다.

협력시스템 사례 수 비중(%) 평균 매출액

6차산업화 내부화(농업인) 45 47.4 401,588

농공상 협력(농업+가공+기업 및 유통) 11 11.6 1,891,181 민관협력(농업+지자체) 27(매출액 미상 3) 28.4 573,375 산학관연협력(농업+클러스터) 10(매출액 미상 1) 10.5 2,974,611

기타 2 2.1 892,000

총계 95(매출액 미상 4) 100 892,208

주: 민관협력 사업장 3곳과 산학관여협력 사업장 한 곳의 매출액이 미상으로 나타났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표 3-13. 6차산업 협력시스템별 우수사례 현황

단위: 천 원

58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2.2.7. 시작 연도

우수사례로 선정된 사업체의 시작 연도는 대체로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인데, 34 곳이 이에 해당되어 가장 많았다. 시작 연도에 따른 평균매출액 측면에선 1990년 이전에 시작한 곳이 평균 19억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영체 업력이 길수록 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영이 안정되어 있고, 시장에 잘 안착해 있을수록 매출액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14. 6차산업 시작 연도별 우수사례 현황

단위: 천 원

시작 연도 사례 수 비중(%) 평균 매출액

∼1990 7 7.4 1,905,000

1990∼1994 4 4.2 1,875,000

1995∼1999 16 16.8 1,025,500

2000∼2004 20 21.1 268,965

2005∼2009 34(매출액미상3) 35.8 904,054 2009∼2012 10(매출액미상1) 10.5 776,111

미상 4 4.2 889,500

총계 51 100.0 854,642

주: 시작 연도 2005∼2009년 사업장 3곳과, 시작 연도 2009~2012년 사업장 한 곳의 매출액이 미상으로 나타났다.

자료: 김용렬 외(2014) 인용.

문서에서 한국 (페이지 6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