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 방안"

Copied!
18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 방안

Plans to Promote the Start-up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www.krei.re.kr

(2)

연구보고 R779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 방안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6. 10.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동양문화인쇄포럼 I S B N︱978-89-6013-948-0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CIP2017000154)

김연중︱선임연구위원︱제2장, 제5장

(3)

머 리 말

우리 농업은 노동집약적, 토지집약적, 자본집약적인 전통적 방식에서 벗 어나 기술집약적 농업으로 한 단계 성장을 이루어야 할 시점에 직면하였 다. 국내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의 지속적인 감소와 농촌인구의 노령화, 시장개방 등과 같은 농업이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최근 농식품 벤처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농식품 분야 투자 가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확산은 농식품 벤처 활성화의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의 농식품 생산, 유통, 소비 부문에 과학기술이 접목 된 농식품 부문 벤처기업 창업지원 및 육성 정책으로 농업을 한 단계 성장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하여 농식품 벤처기업 의 현황과 애로사항을 살펴보고,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들의 네트워크 분석, 농식품모태펀드 현황분석, 해외 농업 벤처 관련 정책 조사 등을 통해 농식품 벤처창업의 현안 이슈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이 연구의 수행에 연구 자문 위원으로 수고해 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전영걸 팀장과 농림축산식품부의 이시혜 과장 등 관계자들께도 감사드린다. 이 연구가 농식품 분야 벤처창업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016.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4)
(5)

요 약

연구 배경 ○ 농업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부진하고 농촌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서 농업벤처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을 위한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 ○ 기술의 발달이나 농업벤처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도 불구하고 농 업은 자본투자가 정체되어 있고 농식품 벤처로 신규 인증 받는 건수는 오히려 계속 감소하는 등 농촌의 변화하는 현실과 산업 성장 간 격차가 있는 상황임. ○ 농식품 부문 벤처창업 지원 사업은 홍보 부족, 추진체계 미비 등으로 인 해 타 부처의 창업 지원사업에 비해 인지도가 낮으며, 벤처창업 관련 범 부처 지원사업은 농업의 특수성이 고려되지 않아, 미래성장 가능성에 비해 현 산업구조상 경쟁력이 낮은 농업분야 특성에 맞는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앞당기고 농산업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 기 위한 기술기반 벤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부처의 농식품 벤처 관련 제도와 정책의 추진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농식품 벤처기업 의 실태와 창업 성공요인 및 애로사항을 조사·분석하여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 방법 ○ 농식품 벤처기업과 일반 농식품 기업의 전반적인 실태와 운영현황, 창 업 시 문제점 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자

(6)

료를 토대로 도구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농식품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및 창업성공요인의 정량적 분석을 실시함. ○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 설문조사를 통해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네트 워크를 분석하고 각 기관별 수행 중인 역할과 강화해야 할 역할,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네트워크의 강약점을 분석함. ○ 관련 문헌과 담당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의 운 영방식과 현황에 관한 조사를 실시함. ○ 우리 정부의 농식품 벤처 창업 지원제도 및 정책, 일본의 농업 벤처 실 태와 정책에 대해서는 위탁연구를 실시함. 농식품 벤처기업 실태 진단 ○ 2015년 농식품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51.8억 원이며, 2014년 기준 농식품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일반 벤처기업의 63%, 평균 영업이 익율은 74% 수준으로 매출의 규모는 일반 벤처기업에 비해 작으나 매 출액영업이익률은 오히려 다소 높음. ○ 매출이나 영업이익의 규모보다 인력의 규모가 커서 1인당 매출액/영업 이익이 적게 나타나며 일반 벤처기업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높아 인 력운영의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됨. ○ 농식품 벤처기업은 자사의 품질과 기술 경쟁력을 우수하다고 자체평가 하고 있으나, 상표권을 제외한 산업재산권을 일반 벤처기업보다 적게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특허나 국제규격을 보유하지 못한 기업의 비율도 일반 벤처기업보다 높음. - 현재 가장 필요한 교육분야에서 기술사업화가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나

(7)

농식품 벤처기업의 기술을 사업화시키고 산업재산권으로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연구인력 및 총근로자수대비연구인력비율이 일반 벤처기업보다 낮게 나타나 농식품 벤처기업의 자체 연구개발 투자도 강화되어야 함. ○ 농식품 벤처기업의 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해외시장 개척이 나타 났으며 해외진출에 대한 관심 또한 높은 것으로 보이나, 해외특허나 국 제규격을 보유한 농식품 벤처기업의 비율이 40%로 일반벤처의 51%보 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해외진출을 위한 기술력이나 준비는 다소 부족 한 것으로 판단됨. ○ 자금 위주의 기존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지원정책의 다양화가 필요함. - 농식품 벤처기업은 창업 전 계획수립단계와 창업단계에서 가장 많이 겪은 어려움이 창업자금 조달이라고 응답하였으나, 창업지원기관 담 당자와의 심층면접 결과 대부분의 벤처기업이 요구하는 부분이 자금 지원이지만 실제로 필요한 것은 아이템 기획력 및 타 기관과의 협조 라는 의견이 많았음. - 실제로 창업 전 계획수립단계와 창업단계에서 상담 및 지원을 받은 분야는 대부분 자금과 마케팅·홍보·유통이었으나 만족도가 높게 나타 난 것은 오히려 아이디어 및 기술창업과 기술개발 지원(창업 전 계획 수립단계), 교육과 보증서 지원(창업단계)임. 벤처기업의 기술력과 영업이익은 양의 상관관계 ○ 농식품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농식품 벤처기업의 영업이익은 해당기업의 기술력(산업재산권)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보증서 지원 자금과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적극성이 클 수록 증가함. 중소벤처기업이나 대기업과의 협력 또한 벤처기업의 영업 이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8)

○ 창업 초기의 농식품 벤처기업의 영업이익은 역시 기술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력과 근로자 수가 커질수록 영업이익도 커 지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초기의 기업일수록 기업의 규모가 영업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됨.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 네트워크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농식품 벤처 창업생태계 내 지원기관들은 농업기 술실용화재단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를 중심으로 네트워킹이 형성되어 있음. -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 화센터 순으로 근접중심성 및 타 기관과의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나, 이 세 기관이 농식품 벤처 창업생태계 내 다른 기관으로부터 정보나 자원 제공을 많이 요청받는 것으로 분석됨. - 이 세 기관 이외에 생물산업진흥원은 전체 창업생태계 내 기관들 사 이의 정보흐름과 교환에 있어 중요한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남.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 네트워킹 현황>

(9)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인프라의 강·약점 및 성과 진단 ○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시스템의 강약점 분석결과, 지원기관과 벤처기업 모두 ‘컨설팅 지원’, ‘아이디어 및 기술창업 지원’이 농식품 벤처창업 지 원시스템의 강점이며, ‘수출 지원’이 약점으로 나타남. ○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시스템의 강약점과 강화 중요도를 비교분석해보 면, ‘금융 지원’의 개선필요에 대해서는 지원기관과 벤처기업의 의견이 같지만, ‘기술개발’, ‘마케팅·홍보·유통’, ‘시설, 설비 및 운전자금’에 대 해서는 지원기관은 개선이 시급하고 판단하고 있는 반면 벤처기업은 위 의 분야보다 오히려 ‘수출’, ‘인증’, ‘교육’ 지원 분야의 개선이 필요하다 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 ○ 농식품 벤처 창업생태계 내 지원기관들은 대부분 각 기관들의 현재 역 할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음. -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아이디어 및 기술창업 지원, 농업정책보험금융 원은 금융지원, 생물산업진흥원은 시제품제작 지원, 창업보육센터는 금융지원,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는 타 기관과의 연계 협력 활동 지원의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자체 및 외부 평가에서 나타남. - 하지만 6차산업지원센터나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경우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인식에 대내외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기관별 향후 강화해야 할 역할에 대한 의견은 자체평가와 외부평 가가 대부분 다른 것으로 나타나, 농식품 벤처 창업생태계의 개선을 위해 각 기관의 향후 역할에 대한 기관간의 조정이 필요함.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을 위한 전략과 방안 ○ 첫째, R&D 강화를 통한 농식품 벤처기업의 과학기술역량 향상 - 창업 초기 벤처기업을 대상으로한 R&D 자금 지원 강화 - 기술사업화지원센터(가칭)를 설립하여 농업기술의 사업화 및 기술창 업 지원

(10)

- 농업부문 R&D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R&D 성과확산을 위한 R&D 거버넌스의 개선 필요 ○ 둘째, 효율성 및 성과 개선을 위한 벤처창업 지원네트워크 구축 -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시스템 내 지원기관들의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각 기관별 역할을 정립 및 조정하여 벤처창업 지원사업의 효율 성과 성과 제고 - 생물산업진흥원과 같이 중앙과 지역을 이어주는 기관 설립 필요 - 벤처기업 관리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기관들의 벤처기업별 지원 이력 및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농식품 벤처 기업의 실태조사 실시 ○ 셋째, 벤처기업의 수준별·성장단계별 맞춤형 자금지원시스템 구축 - 벤처기업의 수준별·성장단계별 맞춤형 자금지원 실시 -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해 엔젤투자지원센터(엔젤투자마트) 벤치마킹 <수준별 맞춤형 지원시스템>

(11)

○ 넷째, 농식품 특화 전문인력 및 농식품 벤처창업 교육 인력 육성 ○ 다섯째, 기업가 정신 및 창업을 독려하는 창업친화적 분위기 조성 - 단계별로 벤처창업을 유도-비교적 창업이 쉬운 사회적기업 등으로 시 작하여 기업 운영 중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여 기술기반 벤처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 - 폐업 시 리스크관리에 대한 지원정책 필요 - 중앙정부는 개별 지원사업보다는 세제해택과 같은 인센티브제 등을 통해 창업을 독려하고 신규벤처기업에 투자를 독려하는 창업과 벤처 기업에 우호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

(12)

ABSTRACT

Plans to Promote the Start-up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Background of Research

○ With the continuous sluggish growth of agriculture and the fast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agricultural venture enterprises have received at-tention as an engine for the future grow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job creation for young people.

○ Despit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consensus on promoting agri-cultural venture companies, capital investment in farming has been stag-nant, and the number of the new certification of agri-food venture com-panies has been on the decline, showing a gap between the changing reality in rural areas and industrial growth.

○ Awareness of the support project for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is low compared to other departments’ business start-up support projects due to the lack of promotion and an insufficient im-plementation system. And the uniqueness of agriculture is not consid-ered in the pan-departmental support projec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venture enterprise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seek support plan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sector with low com-petitiveness in the current industrial structure compared to its future growth potential.

○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technology-based venture businesses for the future grow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job creation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lementation status

(13)

and problems of the government’s systems and policies regarding ag-ri-food venture companies, survey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the companies and success factors and difficulties in their founding, and proposes policy plans to boost setting up agri-food venture businesse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Research

○ We carried out a survey to examine the overall stat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and general agri-food companies, and then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f success factors in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and success factors in business start-up by using instrument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data.

○ Through the survey for institutions supporting agri-food venture busi-ness start-up, we analyzed a network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each institution’s current roles and roles to be strengthened, and the network’s strengths and weaknesses.

○ We investigated the operation method and present state of the MIFAFF Fund of Fund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in charge.

○ We commissioned research on the Korean government’s systems and policies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and Japan’s current status and policy of agricultural venture companies.

Diagnosis of the Present State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 In 2015, the average sales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were KRW 5.18 billion. As of 2014, the average sales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account for 63% of general venture companies’ sales, and their average operating income ratio is 74% compared to general venture companies. That is, the scale of sales is smaller but the ratio of operating income to sales is somewhat higher compared to general venture companies.

(14)

○ It is analyzed that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scale of labor bigger than their size of sales or operating income leads to small sales/operat-ing income per capita, and the higher percentage of their temporary workers compared to general venture companies results in the low sta-bility of labor management.

○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evaluated the quality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their products high. However, they have obtained less in-dustry property right except for trademark rights compared to general venture companies, and the proportion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without overseas patents or international standards is higher compared with general venture companies.

-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anked third in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field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commercialize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technologies, and connect them to in-dustrial property right.

-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is smaller, and the percentage of researchers in the total workers is lower com-pared to general venture compani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own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 The biggest difficulty in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management was the development of overseas markets, and their interest in the entry into export markets is high. Nevertheless, the proportion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with overseas patents or international standards is 40%, low-er than 51% of genlow-eral venture companies, indicating the insufficient technology and preparation for export.

○ Support policies should be diversified beyond the existing support poli-cy centered on funds.

-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responded that their biggest difficulty in the planning stage before business start-up and the business start-up stage was raising funds for business start-up. I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in charge at business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15)

many of them said that most venture enterprises demand funding, but the ability to plan items and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re actually necessary.

- In fact, although most venture enterprises were provided consulting and support concerning funds, marketing, promotion, and distribution in the planning stage before business start-up and the business start-up stage, their satisfaction was high with support for ideas, tech-nology-based business start-up,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planning stage before business start-up) and education and support for a warranty (in the business start-up stag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enture Enterprises’ Technology and Operating Income

○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success factors shows that an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operating incom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technology (industrial property right), and in-creases if it is more active in support funds for a warranty, education, and training. Cooperation with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enterprises or large companies also enhances venture enterprises’ operating income.

○ The operating income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in the initial stage of founding is much affected by technology. And the longer the years of operation and the more the number of workers, the higher the operating income.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companies in the initial phase of founding are more influenced by the economy of scale.

Analysis of a Network of Institutions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 According to social network analysis, support institutions in the ecosys-tem of agri-food venture business start-up have been networked cen-tered on th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gri-food venture and business start-up support centers.

(16)

- Th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shows the highest closeness centrality and connection strength with other in-stitutions, follow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g-ri-food venture and business start-up support centers. Accordingly, it is analyzed that other institutions in the ecosystem of agri-food ven-ture business start-up mainly request these three institutions to pro-vide information or resources.

- In addition to the three institutions, institutes for bioindustry play an important role of arbitration in information flows and exchange among institutions in the business start-up ecosystem.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Performance Diagnosis of the Infrastructure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 The results of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gri-food venture business start-up are as follows: both sup-port institutions and venture enterprises point out “consulting supsup-port” and “support for ideas and technology-based business start-up” as the system’s strengths, and “export support” as its weakness.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ort system and the importance level of reinforcement shows that sup-port institutions and venture enterprises agree on the need for improving “financial support.” However, while support institutions think that “technology development,” “marketing, promotion, and distribution,” and “facilities, equipment, and working funds” should be improved urgently, venture enterprises think that the fields of support for “export,” “certification,” and “education” need improvement, rather than the above areas.

○ The support institutions in the ecosystem of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companies are mostly well aware of each institution’s current roles.

(17)

- Th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shows the following major roles: th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supports ideas and technology-based business start-up; institutes for bioindustry supports the production of test products; the Agricultural Policy Insurance & Finance Service and Business Incubators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agri-food venture and business start-up support cen-ters support cooperation activities with other institutions.

- Nonetheless, perceptions of the present roles of Sixth Industry Support Centers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iffer in-ternally and exin-ternally. Also, internal and external assessment mostly shows differences in opinions on each institution’s roles to be strengthened. Therefore, to improve the ecosystem of the establish-ment of agri-food venture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each institution’s future roles among the institutions.

Strategies and Plans to Promote the Founding of Agri-food Venture Companies

○ First, it is needed to enhance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science and technology capabilities by strengthening R&D.

-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support for R&D funds targeting venture businesses newly established.

-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ies and technology-based business start-up by setting up a tenta-tively name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Center.” - R&D governance should be improved to continuously invest in

agri-cultural R&D and expand R&D outcomes.

○ Second, it is needed to establish a network for supporting the founding of venture businesses to improve their efficiency and performance. -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support institutions in the

system for supporting the founding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establishing and coordinating each institution’s roles can enhanc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project for supporting venture busi-ness start-up.

(18)

- It is required to found institutions such as institutes for bioindustry that connect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rovinces.

-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venture busines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for sharing each institution’s information and support history by venture company, and to regularly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 Third, it is needed to construct a funding system customized to each level and growth stage of venture companies.

- Funding should be customized to each venture enterprise’s level and growth phase.

- To promote angel investment, benchmarking the Angel Investment Support Center (Angel Investment Mart) is necessary.

○ Fourth, it is required to train agri-food experts and specialists in educa-tion on agri-food venture business start-up.

○ Fifth, it is neede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encourages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tart-up.

- The establishment of venture companies can be induced by stages. Support can be provided to start as a social enterprise relatively easy to found, and then to develop into a technology-based venture company by developing technologies needed in the operation of the enterprise. - Support policy is necessary for risk management in case of business

closure.

-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oost business start-up through in-centive systems including tax benefits rather than individual support projects, and create a social atmosphere friendly to business start-up and venture companies that encourages investment in new venture enterprises.

Researchers: Park Jiyun, Kim Yeonjung and Choi Jinyong Research Period: 2016. 1. ∼ 2016. 10.

(19)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내용 및 방법 ···6 3. 관련 선행연구 ···9 제2장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제도 및 정책 1.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필요성 ···15 2. 벤처 산업 관련 제도 및 주요정책 ···16 3. 농업분야 벤처창업 및 육성 정책 ···26 4. 시사점 ···33 제3장 농식품 벤처기업 운영실태 및 성공요인 분석 1. 농식품 벤처기업 현황 및 운영실태 ···35 2. 농식품 벤처 성공요인 분석 ···56 3. 우수 농식품 벤처기업 사례조사 ···60 4. 요약 및 시사점 ···71 제4장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네트워크와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1.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네트워크 ···75 2.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93 3. 요약 및 시사점 ···104 제5장 일본의 농업벤처 산업의 실태 및 정책 1. 일본 벤처 산업 발전사 ···107 2. 일본 벤처 산업 관련 제도 및 정책 ···110

(20)

3. 일본 농림수산성의 농업 벤처 육성 정책 ··· 114 4. 일본 농림어업 벤처 산업 성공 사례 ···120 5. 시사점 ···122 제6장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1. 연구 요약 ···125 2. 정책 제언 ···127 부록 1. 농식품 벤처확인기업 기초분석 결과(2016. 5.) ···137 2. 벤처기업 관련 법령 ···143 3. 농림수산식품 투자조합 ···145 4.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147 5. 일본의 플레이어별(기관별) 벤처 지원 정책과 환경정비 ··· 149 6. 일본의 단계별 벤처 지원 시책 ···152 참고문헌···157

(21)

표 차례

제1장 <표 1-1> 기업유형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2014) ···3 <표 1-2> 본 연구의 연구 범위,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방법 ···8 제2장 <표 2-1> 벤처 육성 전략 및 정책 ···16 <표 2-2> 벤처 육성 주요내용(예시) ···17 <표 2-3> 2016년 모태펀드 투자 계획 ···23 <표 2-4> 지역별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설치현황 ··· 28 <표 2-5> 농식품 관련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주요 지원분야 ···32 제3장 <표 3-1> 농식품 벤처기업 표본구성 ···36 <표 3-2> 응답기업의 일반적 특성 ···37 <표 3-3> 설문조사의 구성 및 내용 ···39 <표 3-4> 농식품 벤처기업 경영성과 ···40 <표 3-5> 농식품 벤처기업 재무현황 ···41 <표 3-6> 인력현황 ···41 <표 3-7> 산업재산권 수 ···42 <표 3-8> 해외특허나 국제규격 ···43 <표 3-9> 연구개발(R&D) 조직 현황 ···43 <표 3-10> 연구인력 수 ···44 <표 3-11> 연구(R&D)관련 비용 ···44 <표 3-12> 경쟁력 비교 현황 ···45 <표 3-13> 협력활동 경험률 ···45

(22)

<표 3-14> 협력활동 유형 ···46 <표 3-15> 협력활동 희망률 ···46 <표 3-16> 희망 협력활동 유형 ···47 <표 3-17> 정부 정책지원자금 혜택 경험률 ···48 <표 3-18> 엔젤투자 및 벤처캐피탈 투자 경험 ···49 <표 3-19> 벤처확인제도의 효과 ···49 <표 3-20> 벤처인프라 수준 ···50 <표 3-21> 창업자본금 규모 및 자금조달 방법 ···51 <표 3-22> 창업 전 사업계획수립단계에서의 어려움 ···51 <표 3-23> 창업 전 기업창업 및 벤처창업을 위하여 정기적인 교육 경험···52 <표 3-24> 창업 전 벤처창업지원기관의 도움 경험률 ···53 <표 3-25> 창업단계에서의 어려움 ···53 <표 3-26> 창업단계에서 벤처창업지원기관의 도움 경험률 ···54 <표 3-27> 경영단계에서의 어려움 ···54 <표 3-28> 교육·훈련 적극도 및 교육방법 ···55 <표 3-29> 가장 필요 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56 <표 3-30> 농식품 벤처기업 영업이익 결정요인 분석 ···58 <표 3-31> 창업초기 농식품 벤처기업 영업이익 결정요인 분석 ··· 59 <표 3-32> 농업관련 벤처기업 성공사례 ···61 <표 3-33> (주)쿠키아의 지원사업 내역 ···64 <표 3-34> (주)시드피아 주요 연혁 ···69 제4장 <표 4-1>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의 지원 사업 ···76 <표 4-2> 관계데이터의 측정 유형 ···78 <표 4-3> 각 기관의 중심성 분석(수신) ···80 <표 4-4> 벤처창업생태계 내 기관 간 연결강도 분석 (우선순위 고려) ···81

(23)

<표 4-5> 벤처창업생태계 내 기관 간 영향력 분석 ···81 <표 4-6> 농식품 벤처창업생태계의 강점-중요도 GAP 분석 (지원기관) ···85 <표 4-7>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프로그램 강점-중요도 GAP 분석 (벤처기업) ···86 <표 4-8> 각 지원기관별 창업생태계 내 역할 비중(내부) ···89 <표 4-9> 각 지원기관별 창업생태계 내 역할 비중(외부) ···90 <표 4-10> 각 지원기관별 강화해야 할 역할 비중(내부) ··· 91 <표 4-11> 각 지원기관별 강화해야 할 역할 비중(외부) ··· 92 <표 4-12>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사업개요 ···96 <표 4-13> 농식품 모태펀드 결성 현황 ···97 <표 4-14> 연도별 자펀드의 출자자 비중 ···98 <표 4-15> 연도별 투자실적(2016. 8.) ···99 <표 4-16> 분야별 투자건수(2016. 8.) ···99 <표 4-17> 분야별 투자금액(2016. 8.) ···100 <표 4-18> 경영체 매출액별 투자금액(2016. 8.) ···100 <표 4-19> 경영체 매출액별 투자건수(2016. 8.) ···101 <표 4-20> 투자금 회수현황(2016. 8.) ···102 제5장 <표 5-1> 일본의 벤처 육성 목적 및 정책 ···111 제6장 <표 6-1>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 ···128 <표 6-2> 추진 단계별 로드맵 ···135 부록 <부표 1>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농식품 관련 산업 명단(119개) 및 벤처기업 수···137

(24)

<부표 2> 확인유형별 농식품 벤처확인기업 수 ···141 <부표 3> 확인기관별 농식품 벤처확인기업 수 ···142 <부표 4> 지역별 농식품 벤처확인기업 수 ···142 <부표 5> 농림수산식품 투자조합 결성 현황(2016. 10. 31.) ···145 <부표 6>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현황 ···147 <부표 7> 협력 네트워크 형성 정책 ···149 <부표 8> 기존 기업의 벤처 투자 촉진 정책 ···150 <부표 9> 인재 육성 정책 ···150 <부표 10> 리스크머니 공급 촉진 정책 ···151 <부표 11> 대학의 벤처 창출 기능 강화 정책 ···151 <부표 12> 창업 단계: 창업가 육성 중심의 벤처 지원 시책 ··· 152 <부표 13> 사업화 단계: 자금 지원, 노하우 제공 중심의 벤처 지원 시책···153 <부표 14> 성장기 단계: 성장기회 제공 중심의 벤처 지원 시책 ··· 155

(25)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실질성장률 및 국내총생산 중 농업비중 변동 추이 ··· 1 <그림 1-2>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신규투자금액 추이 ···3 <그림 1-3> 기업유형별 경영성과 비교(2014) ···4 제2장 <그림 2-1> 창업성장단계별 육성예산 구조조정(안) ···19 <그림 2-2> 기존 기업-창업기업 혁신통로(Innovation Pipeline) 개념도···20 <그림 2-3> 지방 창업지원기관 협의회 운영 체계(예시) ···23 <그림 2-4>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원스톱지원체계 ···27 제3장 <그림 3-1> (주)쿠키아의 주요활동사항 ···62 <그림 3-2> (주)쿠키아의 주요 제품 ···63 <그림 3-3> 미들채의 주요 연혁 ···65 <그림 3-4> (주)쿠키아의 주요 제품 ···67 <그림 3-5> (주)시드피아의 주요 제품 ···70 제4장 <그림 4-1>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네트워크 현황 ···82 <그림 4-2> 농식품 벤처창업생태계의 강점 및 약점(지원기관) ···83 <그림 4-3> 농식품 벤처창업생태계의 강점 및 약점(벤처기업) ···83 <그림 4-4>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을 위해 강화해야 할 역할 (지원기관) ···84

(26)

<그림 4-5>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을 위해 강화해야 할 역할 (벤처기업) ···84 <그림 4-6>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및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운용체계···96 <그림 4-7> 연도별 농식품 모태펀드 결성 추이(누적) ···98 <그림 4-8> 경영체 매출액별 투자금액 ···102 제5장 <그림 5-1> 일본의 6차 산업화 지원 대책의 개요 ···117 제6장 <그림 6-1>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5대 전략 ··· 127 <그림 6-2> 수준별 맞춤형 지원시스템 ···132

(27)

<그림 1-1> 실질성장률 및 국내총생산 중 농업비중 변동 추이 단위: % 자료: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2016. 3. 7.).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우리농업은 200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최근 그 성장속도가 늦어지거나 감소하는 추세이다(한국농어민신문 2016). 정부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을 연계한 농업의 6차 산업화 정책을 추진 하여 추진사업별로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과 같은 성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평가되나, 농업 전체를 대상으로 살펴보면 여전히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국내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 중이 2000년 3.7%에서 2007년 2.3%, 2014년 1.9%로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40대 이하 농림어업 취업자 수 또한 2000년 70만 1천 명에서 2007년 36만 3천 명, 2014년 21만 6천 명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8)

이처럼 농업 성장이 지속적으로 부진하고 농촌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 되고 있는 실정에서 농업벤처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청년 일자리 창 출을 위한 동력으로 언급되고 있다. 최근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농식품 분야 투자 가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확산은 농식품 벤처 활성화의 새로 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술기반 농식품 벤처는 약 1조 원 규모의 농 식품 R&D 투자의 체감성과 제고, 농업·농촌에 젊은 인력 유입 및 새로운 시장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농식품 생산, 유, 소비 부문에 과학기술(IT, BT, CT, NT 등)이 접목된 농식품 부문 벤처 기업 창업지원 및 육성 정책으로 농업을 한 단계 성장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한국농어민신문 2016). 기술기반 벤처기업은 혁신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지역 및 국가 경제발전의 일익을 담당한다(이윤준 2011). 세계 주요 국가들은 글로 벌 금융위기 이후 생존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정신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 으며, 국민소득 2만 달러까지 성장은 생산요소의 투입으로 가능하지만 그 이상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확산이 관건이라는 주장과 함께 기업 가정신 및 창업이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원천으로 주목받고 있다(이윤준 2011). 2000년대 초반 주춤하던 벤처기업은 벤처기업 수가 3만 개를 돌파하였 고, 벤처투자액 규모도 2012년 1조 2,333억 원에서 2014년 1조 6,393억 원 으로 크게 확대되는 등 2005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로 한국 경제의 한 축 을 담당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또한 시도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개소되어 지역단위에서의 벤처창업 여건이 개선되는 등 지난 2년간의 정부의 적극 적인 정책적 노력으로 인하여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 이에 따라 2014년 기준 매출 1천억 원 이상을 기록한 벤처기업이 460 개에 이르며 이들의 총매출액은 GDP 대비 6.4%에 달하고 있다.

(29)

<그림 1-2>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신규투자금액 추이 단위: 개, 억 원 자료: 벤처기업협회(http:://www.venture.or.kr: 2016. 3. 7.). 2014년 기준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기업 간의 경영성과를 살펴보면, 벤처기업의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영업증가율, 매출액순이익률 모두 대기업 과 중소기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연구개발투자로 인한 기술에 기반한 성과라 할 수 있다. <표 1-1> 기업유형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2014) 구분 전체 제조업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매출액 연구개발 비율 1.4% 0.8% 2.9% 2.3% 1.3% 2.6% 자료: 중소기업청·(사)벤처기업협회(2015: 5). 그러나 기술의 발달이나 농업벤처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도 불구 하고 농업은 자본투자가 정체되어 있고 농식품 벤처로 신규 인증 받는 건 수는 오히려 계속 감소하는 등 농촌의 변화하는 현실과 산업 성장 간 격차 가 있는 상황이다(농림축산식품부 2015). 농업분야의 실질자본투자는 1995

(30)

∼1997년 연평균 7조원에서 2008∼2010년 연평균 3.4조원으로 대폭 감소 하였고, 농·어·임·광업 부문 벤처확인기업 또한 2012년 72개에서 2013년 66개, 2014년 48개, 2016년 5월 53개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림 1-3> 기업유형별 경영성과 비교(2014) 단위: %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11.2 5.8 4.1 2.7 2.1 -0.4 4.4 4.4 3.1 자료: 중소기업청·(사)벤처기업협회(2015: 4). R&D 투자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지원 방안을 마련·추진 중이나, 정책수요자들의 체감도는 낮은 수준이며, 투자 위험부담, 높은 지원금리 등으로 인해 농식품 R&D 전문펀드, 우수기술사업화 자금지원 등은 실제 창업 수요자로 연결되는 것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농식품 R&D 전문펀드는 투자운용사 선정 이후 투자 실적이 없으며, 우수기술사업화 자 금지원 실적은 2012년 201건에서 2013년 65건으로 대폭 하락하였다. 농식품 부문 벤처창업 지원 사업은 홍보 부족, 농업분야 창업 지원을 위 한 추진체계 미비 등으로 인해 중기청 등 타 부처의 창업 지원 사업에 비 해 인지도가 낮으며, 기술보증기금 등 벤처·창업을 위한 범부처 지원 사업 은 모든 산업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농업 분야의 경우 지원을 받 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영세한 시장 규모나 일반 IT 사업에 비해 농작 물 재배공간 등과 같이 더 많은 인프라 투자 필요하는 등 농업 벤처는 타

(31)

산업 벤처에 비해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성장 가능성에 비해 현 산업구조상 경쟁력이 낮은 농업분야 특성에 맞는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이나 정책펀드 지원시스템의 개선과 같은 기술 기반 농업벤처를 체계적으로 육 성하는 창업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였으며 주요내용으로는 - 전남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원스톱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 - 연구기관-벤처기업 간 상부상조 플랫폼 구축 - 농식품 아이디어창업 펀드(100억 원) 지원 및 클라우드 펀딩 업체의 벤처지원 인센티브 도입 - 농식품벤처 확인제도 도입 및 스타벤처 발굴·육성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벤처창업 지원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농식품 벤처 통 계 관리 및 현황 파악도 어려운 상황으로, 농식품부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정책을 지원하기 위하여 농식품 벤처기업의 현황, 주요 벤처창업 지원정책의 실태 및 성과분석,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개선방안 등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농업의 미 래성장산업화를 앞당기고, 농산업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 기반 벤처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부처의 농식품 벤처 관련 제도와 정책 의 추진실태 및 문제점 파악하고, 농식품 벤처기업의 실태와 창업 성공요 인 및 애로사항을 조사·분석하여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32)

2. 연구 범위, 내용 및 방법

2.1. 연구 범위

이 연구에서 “농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정의하는 농업, 임업, 광업, 식료품 제조업, 식음료 제조업과 관련 전후방 산업을 포함한 한국표준산업 분류 상 농식품 관련 119개 산업을 의미한다. 또한 “벤처기업”은 「벤처기 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장제2조2에 정의된 요건을 갖춘 기업으로 서 평가기관으로부터 벤처확인을 받은 기업으로 대상을 정의한다. “창업”은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서 정의된 “창업자”1에 따라 창업 직 후부터 창업 후 최대 7년까지의 기간으로 정하며, “벤처창업”은 창업기간 이내 벤처확인을 받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창업성공”은 창업유무뿐만 아니라 기업이 창업 후 정상적으로 이윤을 창출하여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광의의 창업성공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창업초기 벤처기업에 우호적인 환경과 요인들은 일반적으로 전 반적인 농식품 벤처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으며, 벤처가 잘 육성되는 환경에서 벤처창업도 활발히 일어난다. 따라서 벤처창업은 벤 처육성 또는 벤처성공과 일부분 중복되는 지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필 요에 따라 벤처육성에 대한 논의도 진행한다. 연구대상범위는 실태조사는 2016년 5월 기준 농식품 분야 벤처확인기업 1,571개로 한정하며 벤처창업 관련 분석의 대상범위는 농식품 분야 벤처확 인기업 1,571개 중 최근 7년 이내에 창업한 기업으로 한정한다. 1 창업하는 자와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7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1장제2조2).

(33)

2.2. 연구 내용

이 보고서는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목적, 범위, 내용, 방법과 함께 농식품 벤처에 관한 선행연구를 실태와 성공요인 분석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의 벤처 관련 정책들과 2015년 발표된 농림축 산식품부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 농식품 벤처창업 정 책과 범정부 벤처창업 정책의 차별점과 현재 농식품 벤처창업 정책의 한계 점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설문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농식품 벤처기업의 운영실태 를 조사하고, 농식품 벤처기업과 타 분야 벤처기업 간의 운영실태 및 성과 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농식품 벤처기업 및 벤처창업의 애로사항과 성 공요인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네트워크의 장단점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농업 벤처캐피탈 중 대표적인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일본의 벤처 산업의 변천사와 벤처 관련 정책, 농업벤처 지원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농업벤처 산업의 성장요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농 식품 벤처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6장에서는 앞의 장들의 논의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2.3. 연구 방법

문헌연구, 설문조사, 설문자료 분석, 관련자 면접조사, 전문가 원고위탁 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농식품 벤처창업에 대해 국내에서 어떤 논의가 진행되었 으며, 농식품 벤처창업 성공요인 분석에 대한 논의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

(34)

지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벤처관련 성 공요인 분석 및 벤처캐피탈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에 관해서도 논의하였다. 농식품 벤처기업 설문조사를 통해 농식품 벤처기업의 전반적인 실태와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농식품 벤처기업 성공요인 및 창업성공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식품 벤처창업 성공사례를 창업 자 및 지원기관 담당자와의 방문 면접조사을 통해 창업성공요인의 정성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기관 설문조사를 통해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네트 워크를 분석하고 각 기관별 수행중인 역할과 강화해야할 역할, 농식품 벤 처창업 지원네트워크의 강약점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담당자와의 면접 조사를 통해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의 운영방식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전문가 원고위탁을 통해 정부의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제도 및 정책, 일 본의 농업 벤처 실태와 정책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 1-2> 본 연구의 연구 범위,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연구 범위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방법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관련 정책 ∙ 범정부 벤처 관련 정책과 농축산식품부 벤처 정책을 비교·검토하고 농식품 벤처 정책의 한계점 제시 ∙ 원고 위탁 농식품 벤처기업 실태 및 성공요인 ∙ 농식품 벤처기업의 경영 실태, 기술수준, 벤처창업시 어려움 등을 살펴보고, 벤처기업의 기술력과 영업이익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도출 ∙ 설문조사 ∙ 자료분석 ∙ 면접조사 주요 농식품 벤처지원 정책 분석 ∙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기관의 역할, 강약점, 네트워크 수준을 분석하고, 대표적인 금융지원 정책인 농식품모태펀드의 성과를 분석 ∙ 문헌연구 ∙ 설문조사 ∙ 자료분석 ∙ 전문가 자문 일본 사례 분석 ∙ 일본의 벤처 산업사, 벤처 관련 정책, 농업 벤처 활성화 방안 분석 ∙ 원고 위탁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 과학기술 기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제시 ∙ 연구결과 종합

(35)

3. 관련 선행연구

3.1. 농업벤처의 실태 분석

이동필 외(2002)는 벤처의 성장단계를 사업계획단계, 창업단계, 성장·발 전단계로 나누고 단계별 농업 벤처기업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정책 수단과 농업벤처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동필 외가 실시한 설문조 사 결과에 따르면 농업 벤처기업은 창업단계에서 사업자등록절차, 창업자 금조달, 판매망구축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창업자 금과 전문인력, 설비와 같이 창업에 필요한 기반 확보를 지원하고, 행정적 인 절차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철희 외(2003)는 경영형태 및 경영관리, 경영특성, 벤처농가의 중요한 성공관련 요인, 정보화 수준 등을 조사분석하고, 농업벤처의 육성전략으로 전문인재 육성, 벤처농가의 경영특성에 적합한 컨설팅 지원체계 구축, 기 업가정신의 배양, 기술지원 강화, 단계별 지원체계의 구축을 제언하였다.

3.2.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조한국·원성수(2009)는 대전·충남지역 중소·벤처기업들의 성공요인을 실 증분석하기 위하여 경영자의 특성, 조직특성, 환경특성 및 전략특성 등을 고 려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조직특성보다는 경영자의 특성이 기업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며, 산업의 성장률, 제품시장의 경쟁정도, 시장의 불확실성과 같 은 환경특성 또한 기업의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지은 외(2009)는 바이오벤처기업의 창업 후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경영자의 특성(리더십 우수성, 내재적 우수성), 조직의 외부자원 활용역량, 기업가정신지향성(혁신적인 조직력, 기술력 향, 시장 지향성, 민첩성 확보)을 주요 영향변수로 설정하고 관련성을 가설

(36)

검증하였으며, 김진희 외(2008)는 기업가(Entrepreneur)의 특성, 산업환경 (Industry environment) 특성, 전략(Strategy) 특성, 조직의 자원(Resources)

과 역량특성 측면에서 성공요인을 분석하는 ERIS 모형을 차용하여 혁신형 중소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임채윤 외(2008)는 벤처기업의 생존현황 및 요인분석을 통해 생존능력 을 향상시키기 위한 벤처정책 방향을 모색하였다. 창업자 특성, 기업역량 (재무현황, 혁신성, 외부자원활용), 외부환경(거시경제, 산업환경), 벤처캐 피탈 투자 여부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콕스 모형을 활용한 다변수 분석 방 법을 사용하여 생존분석을 하였다. 배경화(2005)는 벤처기업의 창업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창업자의 인적 요인(연령, 학력, 직전 직종, 성별), 기업환경적 요인(소재지, 업종, 형태), 정책적 요인(정책자금지원 여부,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 지원 여부)이 창 업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자금이 창 업초기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3.3. 벤처 지원정책 및 환경조성

신창호·김묵한(2013)은 서울시의 기술창업 실태와 정책수요를 분석하고 활성화대책을 제시하였다. 예비창업자와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책 수요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적 네트워크 및 협력, 마케팅 전략, 혁신적 기 술 등이 기술창업성공의 중요 요소로 나타났다. 서울은 하드웨어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은 평균이상으로 기술창업의 물리적·산업적 기반은 조성되 어 있으나, 순환적 기술창업 생태계가 활성화 되지 못하여 지식의 생산과 혁신이 상품화와 재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송치승·박재필(2013)은 벤처기업지원정책이 벤처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벤처기업 지원정책의 성과결정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37)

벤처기업은 세제지원과 자금지원정책을 가장 효과적인 벤처기업지원정책 으로 평가하였고, 요인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술과 창업정책은 오히려 벤처 기업의 재무성과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송치승·박재필은 벤처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정책 전략 수립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이재현·고승희(2009)는 중소기업지원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 하여 유형별 지원실태를 분석하여 자금지원, 판로수출, 기술개발 등에서의 유사중복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중소기업지원제도가 가지고 있는 지원법제도간의 중복성과 추진체계의 비효율성 문제를 개선 하기 위하여 제도의 체계화와 정교화,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통합정보시스 템 개선을 제언하였다. 김대호(2004)는 창업보육센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창업보 육센터의 운영현황과 운영성과 그리고 운영조직의 전문성 등에 대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김대호는 보육센터의 재정자립방안으로 센터규모의 확장, 입주업체를 위한 밀착지원 체계의 구축 등을 제안하고, 지역내에 산 재해 있는 창업보육센터 및 관련 기관과의 유기적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원종하·이도화(2001)는 설문조사 및 회귀분석을 통하여 벤처기업의 성 공과 관련 외부주체와의 네트워킹 정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검증하 였다. 한국의 벤처기업의 창업자 및 최고경영자는 외부 네트워킹 활동보다 는 내부 경영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종하·이도화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는 내부경영능력 뿐만 아니라 네 트워킹 외부 주체들과의 신뢰 정도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4. 벤처캐피탈의 성과분석

김준일·송원근(2014)은 모태펀드가 출자한 자펀드 투자기업들의 고용 및 매출효과를 통해 모태펀드의 정책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국벤처투

(38)

합하여 정책 시행 이후의 경제적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이중차분추정법 (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자펀드 투자기 업들은 매출 및 고용에서 대체적으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송원근 외(2014)는 공공펀드인 모태펀드의 운용 효율성과 재정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모태펀드 운용 실태 분석 및 성과 평가하였다. DID분석을 통해 투자기업 성과를 측정하여 매출액, 영업이익, 고용창출에 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함. 또한 승수효과를 추정하여 모태펀드가 벤처생 태계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고, SI-IRR와 VI Index를 활용하여 펀드 자체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박정서·윤병섭(2012)은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 운용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펀드 투자를 유치한 벤처기업의 경영성과를 평가함으로써 펀 드의 성과분석을 간접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태펀드가 민간자 금의 벤처캐피탈시장 유치에 기여함으로써 벤처기업의 자금지원에 긍정적 인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태펀드의 수익률이 2009년 기준 1.7%로 나타나 펀드 운용 및 펀드 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의 경영성과 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숙·박정서(2009)는 벤처캐피탈회사의 지배구조, 업력, 투자대상 집 중여부 등과 같은 운용형태적 요인들이 벤처투자조합의 투자성과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자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7년까지 해산된 318개 벤처투자조합들의 실제 해산자료를 기본으로 투자조합의 투 자성과를 산출하였고 투자성과 측정은 내부수익률(IRR)을 사용하였다. 분 석 결과, 벤처캐피탈회사의 지배구조가 금융형일수록, 벤처투자조합 결성 당시 업력이 성숙단계에 있을수록, 투자대상을 집중하지 않은 일반벤처투 자조합이 투자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 벤처캐피탈회사의 운용행태가 투자조합의 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증명하였다. 정승일 외(2008)는 벤처캐피탈과 정책금융에 관한 정책 개선점을 도출 하기 위하여 벤처캐피탈이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 수 익률 결정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벤처캐피탈

(39)

의 발전 전망과 모태펀드의 출자지원 방향, 정책금융의 효율적 운영에 관 해 살펴보았으며 독일 등에서 정책금융 선진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온랜딩의 국내 도입을 제언하였다.

3.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기존의 농업부문 벤처관련 연구는 벤처창업육성 초창기인 2002∼2003 년에 주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연구에서는 농업벤처의 활성화 방향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벤처의 성공·실패요인 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 지 않았고 정성적인 분석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부문의 벤처 가 시작된 2001년부터 15년이 지난 현재까지 농식품 벤처기업의 성장·실 패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정량적으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향 후 농식품 부문 벤처의 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부는 2001년부터 농업벤처창업보육센터 설립, 농업전문투자펀드 조성, 벤처농업창업경연대회 개최 등과 같은 다양한 벤처육성정책을 수립 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정책의 성과 및 효과와 문제점 등을 정량·정성적 분석하여 정책의 효율성 제고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두고 있다.

(40)
(41)

2장에서는 지금까지 우리정부가 실시한 벤처 관련 정책들과 2015년 발표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필요성

정부의 벤처기업 정책은 공급자 중심의 양적 투입 확대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획기적인 경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확보 한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중소기업청 2016a).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을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 시대적 요구에 맞게 정책 패러다임을 혁신 중에 있으며 중소·중견기업 수출확대 혁신방안, 중소·중견기업 R&D 개편방안 등을 수립하였다(중소 기업청 2016b). 창업 육성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신성장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정책수단이다(중소기업청 2016a). 2003년부터 2013년까지의 고용증가율을 살펴보면, 벤처기업은 9.1% 증가하였고, 일반 중소기업 2.7%, 대기업2.1% 증가로 벤처기업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제2장은 창업진흥원의 이용삼 박사의 원고를 재정리한 것으로 중소기업청 (2016a, 2016b, 2016c)과 농림축산식품부(2015)가 발표한 벤처·창업 활성화 정 책을 정리한 것임.

(42)

2. 벤처 산업 관련 제도 및 주요정책

벤처 산업 관련 정책의 비전은 글로벌 스타 벤처 육성 생태계를 조성하 는 것이며, 그 핵심 목표는 제3세대 기업가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 출과 경제성장 엔진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혁신전략은 5가지로 요 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주요 정책을 살펴보도록 한다. <표 2-1> 벤처 육성 전략 및 정책 혁신전략 주요 정책 【전략 1】 창업기업 육성 정책의 전략성 강화 ❶ 창업기업 육성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적 개편 ❷ 아이디어 창업에서 기술창업으로 정책중심 전환 ❸ 글로벌 진출강화로 해외지향형 창업 적극 육성 【전략 2】 성장사다리의 취약한 연결고리 보강 ❶ 창업도약기 (3~7년차) 성장 촉진체계 확충 ❷ 신속한 성장을 위한 사업간 연계성 강화 ❸ 혁신 통로 구축을 위한 M&A 활성화 【전략 3】 성과지향적인 고부가 기술창업 촉진 ❶ 우수 인력의 창업생태계 유입 (Input) 확대 ❷ 창업성과 (Output) 제고를 위한 협업 강화 ❸ 목표관리제 도입을 통한 성과점검체계 확립 【전략 4】 위험분산형 선순환 창업생태계 조성 ❶ 가능성에 투자하는 벤처투자 생태계 활성화 ❷ 대학 · 출연연 등을 활용한 창업기업 역량 보강 ❸ 선제적 창업규제 해소 및 기업가 정신 고양 【전략 5】 창업자 육성 체계의 시장밀착형 개편 ❶ 창업자 육성사업 운영방식의 시장친화성 제고 ❷ 민간의 전문성을 반영한 평가시스템 혁신 ❸ 수요자의 자율성과 편의성 대폭 확대 자료: 중소기업청(2016a: 4).

2.1. 창업기업의 육성 정책의 전략성 강화

2.1.1. 창업기업 육성사업 포트폴리오 개편

창업기업 육성사업 포트폴리오 개편은 창업저변 확대를 위한 씨뿌리기 방 식의 기존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글로벌 스타 벤처 육성을 위해 사업구조를

(43)

<표 2-2> 벤처 육성 주요내용(예시) 구 분 주요 내용 목 적 바이오 창업 전문 (바이오 분야 50% 이상) 특 징 실험장비, 전문인력, 장기투자 등 바이오 분야에 적합한 환경 보육공간 대학병원, 국공립 출연연 등 기존 생태계 내에 설치 운 영 사 의·약사 출신 기업가, 관련 기업·대학 등의 컨소시엄 자료: 중소기업청(2016c).

고도화시키는 것이다(중소기업청 2016a). 죽음의 계곡 (Death Valley) 극복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창업 이후 도약 및 성장단계를 집중 보강하는 방식으로 창업도약기(3~7년차)의 성장촉진체계도 확충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아이디 어 창업’보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용이한 “하이테크 (high-tech) 창업” 중심 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해외시장을 타겟으로 삼는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R&D·수출 등 정책수단간 연계 강화도 모색하고 있다(중소기업청 2016a).

2.1.2. 아이디어 창업에서 기술창업으로 정책 변화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도전 기반 마련을 위해 융자가 아닌 고급인력창업 투자펀드를 위한 투자 조성 등 투자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핵심 정책대상은 대학교수, 대학원생, 연구기관의 정규직과 위촉직, 대기업의 경 력직 엔지니어, 기술인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대학 기술창업 액셀 러레이터를 설치하고 신산업 진입규제 발굴·해소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창 업여건을 대폭 개선한다. 또한 기술창업과 전략분야의 집중 육성을 위하여

전략분야 특화형 팁스(Tech Incubator Program Startup: TIPS)3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3 TIPS프로그램(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이스라엘式)은 세계시장을 선도할 기 술아이템을 보유한 창업팀을 민간주도로 선발하여 미래유망 창업기업을 집중 육성 하는 프로그램임. 글로벌시장을 지향하는 기술력을 갖춘 유망한 창업팀에게 과감한 창업 도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공벤처인 중심의 엔젤투자社, 초기전문 VC, 기술대기업 등을 운영사로 지정하여 엔젤투자·보육·멘토링과 함께 R&D자금 등을 매칭하여 일괄 지원함(TIPS Korea(http://www.jointips.or.kr/about.php: 2016. 5. 17.)).

(44)

2.1.3. 글로벌 진출 강화로 해외 지향형 창업 육성

해외시장 타겟형 창업기업 발굴·육성 강화를 위해 해외 현지 액셀러레이 터 및 벤처캐피탈(VC) 등을 활용한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확 대하고자 한다(중소기업청 2016a). 육성규모는 2015년 33억 원, 62개 팀에2016년 100억 원, 130개 팀으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국가별 경제·창업 환경, 시장 성숙도 등에 따라 업종군을 특화하고 창업단계부터 글로벌 시 장을 겨냥한 기업을 별도로 선발하여, 사업화 전략·R&D·글로벌 마케팅을 패키지로 제공한다(중소기업청 2016a). 유망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기반 확충을 위해 실리콘밸리 현지에 글 로벌 창업기업 전용 입주공간을 마련하여 현지화부터 투자유치까지 One-roof / One-stop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홍보 강화 및 투자유치 기회 제공을 위해 인지도가 높은 해외 투자중개 사이트 운영자와 창업진흥 원간 협약을 체결하여 국내 우수 창업기업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중소기 업청 2016a).

2.2. 성장사다리의 취약한 연결고리 보강

2.2.1. 창업도약기(3∼7년) 성장 촉진체계 확충

창업도약기 기업의 생존율 향상과 위험관리 지원을 위하여 창업기업 성 장단계별 예산 구조를 개편하였다. 창업초기(3년 이내)에 집중되어 있는 창업관련 예산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창업도약기(3~7년) 기업 지원을 확 대하고, 시장진입에 애로를 겪고 있는 창업도약기 기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비즈니스 모델(BM) 혁신 및 해외시장 개척 역량을 집중 보완한다(중소기 업청 2016a).

수치

그림 차례 제1장 &lt;그림 1-1&gt; 실질성장률 및 국내총생산 중 농업비중 변동 추이 ······· 1 &lt;그림 1-2&gt;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신규투자금액 추이 ···················3 &lt;그림 1-3&gt; 기업유형별 경영성과 비교(2014) ······································4 제2장 &lt;그림 2-1&gt; 창업성장단계별 육성예산 구조조정(안) ····················

참조

관련 문서

- 최근 상당수 산업에서 수출단가를 인하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앞으로 일본기업 들은 공격적인 가격인하로 시장점유율 확대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 - R&amp;D 확대,

For the period under study, we find that US R&amp;D investment has higher spillover effect on Korean manufacturing than Japan R&amp;D investment through

- 사업 전략과 연계한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는 성과지향적 R&amp;D 체계 구축 ㆍ소니의 Target-oriented R&amp;D, 히타치의 特硏(Tokken) 프로젝트 등 초.

The close substitutes are R&amp;D efforts, technologies, and goods that significantly constrain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with respect to the relevant

입상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R&amp;D 챌린지 특별상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출 및 수출제도 운영상에 여러 가지 문제가 노출되고 있음. 또한, 국내 농산물 가격이 기후조건이나 성수기 등으로 상승하는 경우

- 넷째, 온라인 농식품 채널의 이용 만족도는 오프라인 만족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주 구입자 혹 은

따라서 관리기관에서는 적극적인 사업 홍보와 함께 컨설팅 업체 정보시스템을 구축 하여 정책수요자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