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숨마쿰라우데 중학수학 개념기본서3 2 해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숨마쿰라우데 중학수학 개념기본서3 2 해설"

Copied!
1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해설 BOOK

•개념 BOOK 002 •테스트 BOOK 062

튼튼한

개념

흔들리지 않는

실력

!

중학수학

개념기본서

3

2

(2)

S U M M A C U M L A U D E 정 답 및 풀 이

>

개념

BOOK

>

>

>

통계

V

0

1

⑴ (평균)=;1¡0;(3000+5000+6000+10000+7000 ⑴ (평균)=+4000+8000+13000+50000+6000) ⑴ (평균)=11200(원) ⑴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⑴3000, 4000, 5000, 6000, 6000, 7000, ⑴8000, 10000, 13000, 50000 ⑴이므로 중앙값은 =6500(원)이다. ⑴한편, 6000원이 2번 나오므로 최빈값은 6000원이다. ⑵ 자료에 아주 큰 값 50000원이 있으므로 평균과 중 앙값 중 중앙값이 대푯값으로 더 적절하다.

0

2

⑴ (평균)= ⑴ (평균)= =8.2(시간) ⑵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0번째와 ⑴11번째 값이 속하는 계급의 계급값이 각각 9시간이 ⑴므로 중앙값은 =9(시간)이다. ⑶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의 계급값은 9시간이므로 최빈 값은 9시간이다.

0

3

⑵ 최빈값은 없을 수도 있고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9+9 3112 164 31220 3_1+5_3+7_5+9_7+11_2+13_2 1131113211311132113155520 6000+7000 11311152 ⑶ 자료의 모든 값을 활용하는 것은 평균이다. ⑸ 20개의 변량이므로 10번째와 11번째 값의 평균이 중앙값이다. 026쪽

개념

CHECK

01⑴ 평균:11200원, 중앙값:6500원, 최빈값:6000원 01⑵ 중앙값, 풀이 참조 02⑴ 8.2시간 ⑵ 9시간 ⑶ 9시간 03⑴ ⑵ _ ⑶ _ ⑷ ⑸ _ ⑹

1. 대푯값

01. 대푯값 027~029쪽

유형

EXERCISES

유형01 평균 : 4.5개, 중앙값 : 3개, 최빈값 : 3개 1-1 중앙값 : 14명, 최빈값 : 15명 1-2 17점 1-3 A동호회 1-4 ⑴ 25권 ⑵ 24권 ⑶ 14권, 35권 1-5 25 유형02 37 2-1 83점 2-22-3 2 유형03 1 3-1 20 3-2 6 3-3 24 유형04 ⑴ 12.5분 ⑵ 12.5분 ⑶ 12.5분 4-1 35점 4-2 3.8 4-3 중앙값:10권, 최빈값:6권 4-4 8 유형

01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2, 2, 3, 3, 3, 5, 8, 10 (평균)= =;;£8§;;=4.5(개) 자료가 8개이므로 중앙값은 4번째와 5번째 값의 평균인 =3(개)이다. 3이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3개이다.

1

-1 11개 반의 안경을 낀 학생 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 으로 나열하면 10, 11, 12, 13, 13, 14, 14, 15, 15, 15, 17이므로 중앙값은 6번째 값인 14명이다. 또한, 안경을 낀 학생 수가 15명인 반이 3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15명이다.

1

-2 남학생의 점수의 총합은 12_15=180(점)이고 여학생의 점수의 총합은 8_20=160(점)이므로 3+3 1122 2+2+3+3+3+5+8+10 1111111111118

(3)

개념 BOOK 전체 학생 20명의 영어 단어 시험 점수의 총합은 180+160=340(점)이다. 따라서 평균은 :£2¢0º:=17(점)

1

-3 A동호회의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 면 22, 23, 28, 28, 29이므로 중앙값은 28세이다. B동호회의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 면 22, 24, 25, 29, 33, 40이므로 중앙값은 =27(세)이다. 따라서 A동호회의 나이의 중앙값이 더 크다.

1

-4 ⑴ (평균) ⑴= ⑴=;;™1∞0º;;=25(권) ⑵ 줄기와 잎 그림에서 10개의 자료가 크기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중앙값은 5번째 학생과 6번째 학 생이 읽은 책의 수의 평균이므로 ⑴ =24(권)이다. ⑶ 14권이 2명, 35권이 2명이므로 최빈값은 14권, 35권이다.

1

-5 a, b, c의 평균이 10이므로 =10 ∴ a+b+c=30 따라서 2a+5, 2b+5, 2c+5의 평균은 = =111260+153 =25 2(a+b+c)+15 111111123 (2a+5)+(2b+5)+(2c+5) 11111111111113 a+b+c 11113 23+25 11122 12+14+14+20+23+25+27+35+35+45 111111111111111112510 25+29 11122 유형

02

a를 제외한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7, 18, 19, 27, 45, 47, 47 이때, 8개의 변량의 중앙값이 32이므로 a는 27과 45 사이 에 있어야 하고, 중앙값은 27과 a의 평균이다. 즉, =32 ∴ a=37 27+a 1112

2

-1 영어 점수를 x점이라고 하면 =87, =87 ∴ x=83

2

-2 ④ a=11이면 최빈값은 11, 12로 2개가 된다.

2

-3 12, 14, 19, x, y의 중앙값이 17이므로 이 5개의 변 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3번째 수가 17이어야 한다. 이때, x<y이므로 x=17 11, 20, 17, y의 중앙값이 18이므로 이 4개의 변량 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y는 17 과 20 사이에 있어야 한다. 즉,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1, 17, y, 20이고, 중앙값은 18이므로 =18 ∴ y=19 ∴ y-x=19-17=2 17+y 1112 352+x 11125 88+96+74+94+x 1111111115 유형03 최빈값이 4개이므로 평균도 4개이다. (평균)= =4, =4 27+x=28 ∴ x=1

3

-1 중앙값은 세 번째 변량인 17이므로 평균도 17이다. (평균)= =17 =17, 65+x=85 ∴ x=20

3

-2 평균이 0이므로 =0 ∴ a+b=3 최빈값이 0이므로 a, b의 값 중 하나는 0이다. 그런데 a<b이므로 a=0, b=3 ∴ a+2b=0+2_3=6

3

-3 x를 제외한 6개의 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8, 20, 23, 24, 28, 31 x…23이면 중앙값은 23, 평균은 25가 되고 xæ24이면 중앙값은 24, 평균은 24가 된다. (-5)+(-2)+a+4+b+0 111111111111246 65+x 1115 13+16+17+19+x 111111115355 27+x 1117 4+2+8+4+5+4+x 111111111157

(4)

a= =;2^0^;=3.3 전체 학생 수가 20명이므로 중앙값은 10번째와 11번 째 학생의 점수의 평균이다. 점수가 낮은 쪽부터 학생 수를 차례로 더하면 1+4+5=10(명), 1+4+5+8=18(명)이므로 10번째와 11번째 학생 의 점수는 각각 3점, 4점이다. ∴ b= =3.5 또한, 점수가 4점인 학생 수가 8명으로 가장 많으므 로 최빈값은 4점이다. ∴ c=4 ∴ a-b+c=3.3-3.5+4=3.8

4

-3 도수의 총합이 20명이므로 2+a+b+5+1=20 ∴ a+b=12 yy`㉠ 또, 평균이 9.2권이므로 =9.2 6a+10b+92=184 ∴ 3a+5b=4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5 중앙값은 읽은 책 수가 적은 쪽에서 10번째와 11번 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 즉 8권 이상 12권 미만인 계급에 속한다. 따라서 중앙값은 이 계급의 계급값인 =10(권)이다. 또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4권 이상 8권 미만이므 로 이 계급의 계급값인 6권이 최빈값이다.

4

-4 A, B 두 반의 학생 수가 같으므로 6+7+x+2+1=4+10+3+3 16+x=20 ∴ x=4 따라서 A반에서 가족 수가 4명인 학생 수가 7명으 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4명이다. ∴ a=4 B반에서 중앙값은 가족 수가 적은 쪽에서 10번째와 11번째인 학생의 가족 수의 평균인데 둘 다 가족 수 가 4명이므로 중앙값도 4명이다. ∴ b=4 ∴ a+b=4+4=8 8+12 112532 2_2+6_a+10_b+14_5+18_1 1115511155111551115511555520 3+4 11552 1+8+15+32+10 11111111220 (평균)= (평균)= ⁄x…23일 때, 평균이 25이므로 ⁄ =25 ∴ x=31하지만 x…23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 는다. ¤xæ24일 때, 평균이 24이므로 ⁄ =24 ∴ x=24조건을 만족하므로 x=24 144+x 111557 144+x 111557 144+x 111557 18+20+23+24+28+31+x 1111111112411127 유형04 ⑴ (평균) ⑴= ⑴= ⑴=;;£3¶0∞;;=12.5(분) ⑵ 전체 학생 수가 30명이므로 중앙값은 통학 시간이 짧은 쪽에서 15번째와 16번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 즉 10분 이상 15분 미만인 계급에 속한다. 따라서 중앙값은 이 계 ⑴급의 계급값인 =12.5(분)이다. ⑶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0분 이상 15분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계급값인 12.5분이 최빈값이다.

4

-1 전체 학생 수가 20명이므로 중앙값은 점수가 낮은 쪽에서 10번째와 11번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 즉 15점 이상 2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한다. 따라서 중앙 값은 이 계급의 계급값인 =17.5(점)이다. 또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5점 이상 17점 미만이 므로 이 계급의 계급값인 17.5점이 최빈값이다. 따라서 중앙값과 최빈값의 합은 17.5+17.5=35(점)이다.

4

-2 전체 학생 수가 20명이므로 x+4+5+8+2=20 ∴ x=1 a=1111111111111121_1+2_4+3_5+4_8+5_220 15+20 11132 10+15 11122 7.5+37.5+150+157.5+22.5 1111111111111330 2.5_3+7.5_5+12.5_12+17.5_9+22.5_1 1111111111111111111525530

(5)

개념 BOOK

0

1

③ 자료의 개수가 짝수 개이면 중앙값은 중앙에 위치 한 두 값의 평균이다. ④ (평균)= 이므로 주어진 자료를 모두 ④이용하여 구한다.

0

2

10개의 변량의 평균이 20이므로 =20 ∴ a+b+c+y+j=200 따라서 12개의 변량 a, b, c, y, j, 24, 28의 평균은 =:™1∞2™:=21

0

3

운동화의 치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225, 230, 230, 235, 240, 240, 240, 240, 245, 250 이다. 많이 팔리는 치수를 가장 많이 준비해야 하므로 주어 진 자료의 최빈값인 240 mm를 가장 많이 준비해야 한다.

0

4

③ 주어진 자료에서 100은 극단적인 값이므로 평균에 영향을 많이 준다. 따라서 중앙값이 대푯값으로 적 절하다.

0

5

전체 회원 수가 20명이므로 중앙값은 시간이 짧은 쪽 에서 10번째와 11번째인 회원의 뛰는 시간의 평균이다. 즉, (중앙값)= =46(분) 또한, 러닝머신을 50분 뛰는 회원 수가 4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50분이다. 따라서 a=46, b=50이므로 b-a=4

0

6

전체 학생 수가 10명이므로 a+3+b+1+2=10 45+47 11122 a+b+c+y+j+24+28 111111111112512 a+b+c+y+j 1111111210 (자료의 총합) 111112(자료의 개수) ∴ a+b=4 yy`㉠ 평균이 7.8회이므로 =7.8 6a+8b=28 ∴ 3a+4b=1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 a-b=0

0

7

① 계급값이 차례로 6점, 8점, 10점, 12점, 14점, 16점 ①이므로 평균은 ① ①=:¢4¢0º:=11(점) ② 점수가 낮은 쪽에서 20번째와 21번째인 학생이 속 하는 계급의 계급값이 각각 10점, 12점이므로 ②중앙값은 =11(점)이다. ③ 도수가 10명인 계급의 계급값은 10점과 12점이므 로 최빈값은 10점, 12점이다. ④ 8점은 평균, 중앙값, 최빈값 중 어느 값도 아니므로 대푯값으로 적절하지 않다. ⑤ 상위 25 % 이내에 있는 학생은 ②40_0.25=10(명)이다. ②이들 중 점수가 낮은 쪽에서 5번째와 6번째인 학생 이 속하는 계급의 계급값은 둘 다 14점이므로 중앙 값도 14점이다.

0

8

마지막 시험에서 받아야 할 수학 성적을 x점이라고 할 때, 성적의 평균이 90점이 되려면 =90, 266+x=360 ∴ x=94 따라서 마지막 수학 시험에서 받아야 할 성적은 94점 이다.

0

9

전학을 간 학생의 몸무게를 x kg이라고 하면 남은 50명의 몸무게의 평균이 50.1 kg이므로 =50.1, 2550-x=2505 ∴ x=45 따라서 전학을 간 학생의 몸무게는 45 kg이다. 51_50-x 11111550 82+90+94+x 111111144 10+12 11122 6_4+8_6+10_10+12_10+14_6+16_4 1111111411111114115555155555540 6_a+7_3+8_b+9_1+10_2 1111111111111233255510 030~031쪽

실력

EXERCISES

01③, ④ 0221 03240 mm 04054 060 07080945 kg 1025 1112④, ⑤

(6)

2. 산포도

01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2+0+(-3)+(-4)+x=0 ∴ x=5 02 (평균)= (평균)=9(회) 따라서 각 변량의 편차를 차례로 구하면 2, -2, 0, 3,-1, 0, -2, -1, 0, 1이므로 (분산)=;1¡0;{2¤ +(-2)¤ +0¤ +3¤ +(-1)¤ +0¤ +(-2)¤ +(-1)¤ +0¤ +1¤ } (분산)=;1@0$;=2.4 11+7+9+12+8+9+7+8+9+10 11131113111311131155510 042쪽

개념

CHECK

01 5 02분산:2.4, 표준편차:'∂2.4회 03 16.8 04서울 01. 분산과 표준편차

10

조건 ㈎`에서 a를 제외한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 로 나열하면 25, 35, 48이고 중앙값이 30이므로 a의 값은 25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Δa…25 조건 ㈏`에서 a를 제외한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 로 나열하면 15, 20, 25, 30이고 중앙값이 25이므로 a의 값은 25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Δ aæ25 따라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a의 값은 25이다.

11

x를 제외한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24, 25, 25, 25, 26, 28 최빈값이 25시간이므로 평균도 25시간이다. (평균)= =25 =25 ∴ x=22

12

a를 제외한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32, 37, 38, 45, 50, 50이다. 이때, 중앙값이 45이므로 4번째 값이 45이고, a의 값 은 45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그런데 최빈값이 50이므로 45는 2번 이상 나올 수 없다. ∴ a>45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④ 49, ⑤ 50이다. 153+x 11127 24+25+25+25+26+28+x 11111111111117 ∴ (분산)=2.4, (표준편차)='∂2.4(회) 03 (평균)=:™2ª1¢:=14(시간) ∴ (분산)=:£2∞1™:=16.8 04 서울의 최고 기온의 평균은 =25(˘C)이므로 편차는 각각 -1˘C, 1˘C, 0˘C, -3˘C, 3˘C (분산)= =:™5º:=4 ∴ (표준편차)='4=2(˘C) 강릉의 최고 기온의 평균은 =23(˘C)이므로 편차는 각각 2˘C, -3˘C, -2˘C, -1˘C, 4˘C (분산)= (분산)=:£5¢:=6.8 ∴ (표준편차)='∂6.8(˘C) 따라서 최고 기온의 표준편차가 더 작은 지역은 서울 이므로 서울의 5일 동안의 최고 기온이 더 고르다. 2¤ +(-3)¤ +(-2)¤ +(-1)¤ +4¤ 111311131155551115155 25+20+21+22+27 111311131155555 (-1)¤ +1¤ +0¤ +(-3)¤ +3¤ 111311131155551115 24+26+25+22+28 111311131155555 043~045쪽

유형

EXERCISES

유형01 157점 1-1 77점 1-2 7 유형02 1.6 2-1 2.25, 1.5회 2-2 ④ 유형03 -15 3-1 720 3-2 70 3-3 3점 유형04 12점 4-1 19.2 4-2 7.4 유형05 A도시 5-1 B회사 5-2 A선수 5-35-46 10 14 18 22 -8 -4 0 4 8 64 96 0 64 128 352 6 60 112 72 44 294 계급값`(시간) (계급값)_(도수) 편차`(시간) (편차)¤ _(도수)

(7)

개념 BOOK 유형

01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3+(-2)+x+5+(-2x)=0 ∴ x=6 즉, A의 점수는 74+3=77(점) C의 점수는 74+6=80(점) 따라서 두 학생 A와 C의 점수의 합은 77+80=157(점)

1

-1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2)+5+4+(-3)+(-1)+x=0 ∴ x=-3 평균이 80점이므로 편차가 -3점인 학생의 점수는 80+(-3)=77(점)

1

-2 (편차)_(학생 수)의 총합은 0이므로 (-2)_6+(-1)_4+0_3+1_2+2_x=0 ∴ x=7 유형02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1+(-1)+2+x+(-1)=0 ∴ x=-1 ∴ (분산)= ∴ (분산)=;5*;=1.6

2

-1 (평균)= (평균)=:•8º:=10(회) (분산)=;8!;{(12-10)¤ +(9-10)¤ +(12-10)¤ (분산)=;8!;{+(11-10)¤ +(8-10)¤ +(10-10)¤ (분산)=;8!;{+(8-10)¤ +(10-10)¤ } (분산)=;8!;{2¤ +(-1)¤ +2¤ +1¤ +(-2)¤ +(-2)¤ } (분산)=:¡8•:=2.25 (표준편차)='ƒ2.25=1.5(회)

2

-2 C학생의 편차를 x점이라고 하면 편차의 총합은 0 이므로 4+(-1)+x+(-1)+9=0 ∴ x=-11 12+9+12+11+8+10+8+10 1111111111111158 1¤ +(-1)¤ +2¤ +(-1)¤ +(-1)¤ 1111111111111125 ①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은 편차가 가장 작은 C 학생이다. ② A학생의 점수는 평균보다 4점 높고, B학생의 점 수는 평균보다 1점 낮으므로 A학생과 B학생의 점수의 차는 5점이다. ③ (분산)= ③ (분산)=:™;5@;º:=44 ④ (표준편차)='∂44=2'∂11(점) ⑤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점수의 평균을 알 수 없다. 4¤ +(-1)¤ +(-11)¤ +(-1)¤ +9¤ 11111111111111235 유형03 편차의 총합이 0이므로 x+(-4)+3+y+(-1)=0 ∴ x+y=2 이때, 분산이 12이므로 =12 ∴ x¤ +y¤ =34 한편, (x+y)¤ =x¤ +2xy+y¤ 이므로 2¤ =34+2xy ∴ xy=-15

3

-1 평균이 18일이므로 =18 a+b+54=90 ∴ a+b=36 이때, 분산이 19.6이므로 ;5!;{(14-18)¤ +(a-18)¤ +(21-18)¤ ;5!;+(b-18)¤ +(19-18)¤ }=19.6 (a-18)¤ +(b-18)¤ =72 a¤ +b¤ -36(a+b)+648=72 a¤ +b¤ =36_36-576 ∴ a¤ +b¤ =720

3

-2 주어진 변량의 평균이 7이므로 =7 ∴ x+y=17 이때, 분산이 5.2이므로 ;5!;{(x-7)¤ +(3-7)¤ +(7-7)¤ +(8-7)¤ ;5!;+(y-7)¤ }=5.2 (x-7)¤ +(y-7)¤ =9 x¤ +y¤ -14(x+y)+98=9 x+3+7+8+y 111111155 14+a+21+b+19 11111111255 x¤ +(-4)¤ +3¤ +y¤ +(-1)¤ 11111111111125

(8)

x¤ +y¤ =14_17-89 ∴ x¤ +y¤ =149 한편, (x+y)¤ =x¤ +2xy+y¤ 이므로 17¤ =149+2xy ∴ xy=70

3

-3 (A모둠의 평균)= =a+5(점) 이때, A모둠의 표준편차가 '∂2.5점이므로 분산은 2.5이다. 즉, =2.5 12a¤ -40a+42=10, 3a¤ -10a+8=0 (a-2)(3a-4)=0 ∴ a=2(∵ a는 자연수) 따라서 B모둠의 점수는 8, 2, 8, 2이므로 (B모둠의 평균)= =5(점) (B모둠의 표준편차) =æ111111111123¤ +(-3)¤ +3¤ +(-3)¤4 =3(점) 8+2+8+2 1111124 (3a-5)¤ +(-a)¤ +(1-a)¤ +(4-a)¤ 11111111111111114 4a+5+6+9 111211254 (평균)= =160(cm) (분산)=:£2•0¢:=19.2

4

-2 도수의 총합이 10이므로 a+2+1+3+b=10 ∴ a+b=4 yy`㉠ 평균이 7이므로 =7 2a+8+6+24+10b=70 ∴ a+5b=1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 (분산) ∴= ∴=;1&0$;=7.4 (-5)¤ _1+(-3)¤ _2+(-1)¤ _1+1¤ _3+3¤ _3 111111111111111112510 2_a+4_2+6_1+8_3+10_b 111111111411111110 3200 115520 æ– – ≠ 유형04 (평균)=:™1§0º:=26(점) (분산)= =144 ∴ (표준편차)='∂144=12(점)

4

-1 1440 115510 계급값`(점) 도수`(명)(계급값)_(도수)편차`(점) (편차)¤ _(도수) 10 2 3 3 1 1 10 -16 10_2=20 (-16)¤ _2=512 20 20_3=60 -6 (-6)¤ _3=108 30 30_3=90 4 4¤ _3=48 40 40_1=40 14 14¤ _1=196 50 50_1=50 24 24¤ _1=576 합계 260 1440 유형05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변량이 평균을 중심으로 밀집되어 있 다. A도시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오존 농도의 변화 가 가장 고르다.

5

-1 표준편차가 클수록 임금 격차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임금 격차가 가장 큰 회사는 표준편차가 가장 큰 B회사이다.

5

-2 A선수가 맞힌 과녁의 점수의 평균은 =8.5(점) ∴ (분산)=;1¡0;{(-1.5)¤ _1+(-0.5)¤ _4 ∴ (분산)=;1¡0;+(0.5)¤ _4+(1.5)¤ _1} ∴ (분산)=0.65 B선수가 맞힌 과녁의 점수의 평균은 =8.5(점) ∴ (분산)=;1¡0;{(-1.5)¤ _2+(-0.5)¤ _3 ∴ (분산)=;1¡0;+(0.5)¤ _3+(1.5)¤ _2} ∴ (분산)=1.05 C선수가 맞힌 과녁의 점수의 평균은 7_2+8_3+9_3+10_2 11111111111110 7_1+8_4+9_4+10_1 11111111111110 계급값``(cm) 도수`(명) (계급값)_(도수)편차`(cm) (편차)¤ _(도수) 152 2 152_2=304 -8 (-8)¤ _2=128 156 4 156_4=624 -4 (-4)¤ _4=64 160 8 160_8=1280 0 0¤ _8=0 164 4 164_4=656 4 4¤ _4=64 168 2 168_2=336 8 8¤ _2=128 합계 20 3200 384

(9)

개념 BOOK =8.5(점) ∴ (분산)=;1¡0;{(-1.5)¤ _3+(-0.5)¤ _2 ∴ (분산)=;1¡0;+(0.5)¤ _2+(1.5)¤ _3} ∴ (분산)=1.45 이때, 분산이 작을수록 점수의 분포가 고르므로 A선 수가 얻은 점수의 분포가 가장 고르다.

5

-3 ① A학생과 B학생의 성적의 평균이 같으므로 어느 학생의 성적이 더 좋다고 말할 수 없다. ② B학생의 표준편차가 더 크므로 분산도 더 크다. ③ A학생의 표준편차가 더 작으므로 A학생의 성적 이 B학생의 성적보다 고르다. ④ A학생의 표준편차가 더 작으므로 A학생의 성적 이 B학생의 성적보다 평균 가까이에 더 많이 모 여 있다. ⑤ 표준편차가 다르므로 산포도는 다르다.

5

-4 ① 평균 소득은 B도시가 더 높지만 주민 수를 알 수 없으므로 총 소득은 어느 도시가 더 높은지 알 수 없다. ②, ④ B도시의 그래프가 A도시의 그래프보다 오 른쪽에 더 치우쳐 있으므로 B도시의 평균 소득 이 높다. ③, ⑤ A도시의 그래프가 평균 주위에 더 밀집되어 있으므로 A도시의 소득 격차가 더 작다. 7_3+8_2+9_2+10_3 11111111111110

0

1

① 변량에서 평균을 뺀 값을 편차라고 한다. ② 편차의 제곱의 평균, 즉 분산을 구해야 산포도를 알 수 있다. ④ 편차의 총합이 0이다. ⑤ 평균이 같다고 해서 산포도가 같은 것은 아니다. 046~048쪽

실력

EXERCISES

010272점 032점 0405063 07081.2 093 10평균:11, 분산:40 11평균:(a+2)점, 표준편차:b점 12131.2 14 486 15 A반 16B선수 17

0

2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4+(-3)+(-4)+x+5+(-4)=0 x-2=0 ∴ x=2 따라서 상민이의 점수는 70+2=72(점)이다.

0

3

국어 성적을 기준으로 구한 과목별 성적의 과부족의 합이 0이므로 국어 성적이 평균이고, 과부족이 편차가 됨을 알 수 있다. ∴ (분산)= =:™5º:=4 따라서 표준편차는 '4=2(점)이다.

0

4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2+x+(-4)+7+(-2)=0 ∴ x=-3 ① 자료의 값이 클수록 편차도 크므로 미현이가 가장 많이 읽었다. ② 화영이가 읽은 책의 수는 10-3=7(권) ③ 적게 읽은 순으로 이름을 나열하면 준식, 화영, 재 원, 유리, 미현이다. 따라서 중앙값은 재원이가 읽 은 책의 수로 10-2=8(권) ④ (분산)= ④ (분산)=:•5™:=16.4 ⑤ 편차가 음수인 학생을 찾으면 화영, 준식, 재원으로 3명이다.

0

5

(평균)= (평균)=:∞8§:=7(점) (분산)= (분산)=:¢8¢:=5.5

0

6

(평균)= =7 이때, 표준편차가 2'2이므로 분산은 8이다. 즉, (분산)= =8 2a¤ +6=24, a¤ =9 ∴ a=3 (∵ a>0) (-a-1)¤ +2¤ +(a-1)¤ 111111111113 (6-a)+9+(6+a) 11111111133 1¤ +2¤ +(-4)¤ +(-1)¤ +0¤ +(-3)¤ +2¤ +3¤ 111111111311111112558 8+9+3+6+7+4+9+10 11111111111158 2¤ +(-3)¤ +(-4)¤ +7¤ +(-2)¤ 1113111311131113225 0¤ +(-3)¤ +(-1)¤ +3¤ +1¤ 11111111111155

(10)

0

7

A는 변량 사이의 간격이 1로 일정하고, B, C는 변량 사이의 간격이 2로 일정하므로 표준편차 a, b, c의 대 소 관계는 a<b=c ■ 다른 풀이 ■ 자료 A에 대하여 (평균)= =:™7•:=4 (분산) = =4 ∴ (표준편차)='4=2 자료 B에 대하여 (평균)= =:¢7ª:=7 (분산) = =16 ∴ (표준편차)='∂16=4 자료 C에 대하여 (평균)= =:∞7§:=8 (분산) = =16 ∴ (표준편차)='∂16=4 따라서 a=2, b=4, c=4이므로 a<b=c

0

8

평균이 5이므로 =5 ∴ x+y=11 (분산)= (분산)= (분산)= 이때, x+y=11, xy=30이므로 (분산)= =;5^;=1.2

0

9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2)+a+4+2+b=0 ∴ a+b=-4 11¤ -2_30-10_11+55 111111411141255 (x+y)¤ -2xy-10(x+y)+55 1111111111212125 x¤ +y¤ -10(x+y)+55 111111111125 (-2)¤ +1¤ +(x-5)¤ +(y-5)¤ 111111111111115 3+6+5+x+y 111111135 (-6)¤ +(-4)¤ +(-2)¤ +0¤ +2¤ +4¤ +6¤ 111111111111111115557 2+4+6+8+10+12+14 111111111114557 (-6)¤ +(-4)¤ +(-2)¤ +0¤ +2¤ +4¤ +6¤ 111111111111111115557 1+3+5+7+9+11+13 111111111117 (-3)¤ +(-2)¤ +(-1)¤ +0¤ +1¤ +2¤ +3¤ 1111111111111111117 1+2+3+4+5+6+7 11111111117 분산이 6.8이므로 =6.8 ∴ a¤ +b¤ =34-24=10

따라서 (a+b)¤ =a¤ +2ab+b¤ 에서 (-4)¤ =10+2ab, 2ab=6 ∴ ab=3

10

a, b, c, d, e에서 (평균)= =5이므로 a+b+c+d+e=25 (분산)= (분산)=10 이므로 (a-5)¤ +(b-5)¤ +(c-5)¤ +(d-5)¤ +(e-5)¤ =50 2a+1, 2b+1, 2c+1, 2d+1, 2e+1에서 (평균) = = = =11 (분산) = = = =40

11

주어진 표에서 (평균)= =:£5º:=6(점) (분산) = =:¡5º:=2 (표준편차)='2점 ∴ a=6, b='2 학생의 점수를 모두 2점씩 올려주었을 때 (평균)=111111126+10+9+7+85 =:¢5º:=8(점) (4-6)¤ +(8-6)¤ +(7-6)¤ +(5-6)¤ +(6-6)¤ 1111111111111111111255 4+8+7+5+6 111111155 4_50 11155 4{(a-5)¤ +(b-5)¤ +(c-5)¤ +(d-5)¤ +(e-5)¤ } 1111111111111111111255 (2a-10)¤ +(2b-10)¤ +(2c-10)¤ +(2d-10)¤ +(2e-10)¤ 1111111111111111111255 2_25+5 111155555 2(a+b+c+d+e)+5 111111111155 (2a+1)+(2b+1)+(2c+1)+(2d+1)+(2e+1) 11111111115111111111555 (a-5)¤ +(b-5)¤ +(c-5)¤ +(d-5)¤ +(e-5)¤ 11111115511111115511555 a+b+c+d+e 1111111555 (-2)¤ +a¤ +4¤ +2¤ +b¤ 111111111125

(11)

개념 BOOK (분산) = =:¡5º:=2 (표준편차)='2점 따라서 점수를 2점씩 올려주면 평균은 2점 오르지만 표준편차는 변하지 않는다. ∴ (평균)=(a+2)점, (표준편차)=b점

12

(평균)= =29(분) (분산)= =144 ∴ (표준편차)='ƒ144=12(분)

13

(평균)=:¡2£0º:=6.5(L) (분산)=;2@0$;=1.2

14

a, b, c의 평균이 12이므로 =12 ∴ a+b+c=36 yy`㉠ 표준편차가 3'2, 즉 분산이 18이므로 =18에서 (a-12)¤ +(b-12)¤ +(c-12)¤ =54 {(a-12)¤ +(b-12)¤ +(c-12)¤ } 1111111111111123 (a+b+c) 111113 7200 11250 1450 11250 (6-8)¤ +(10-8)¤ +(9-8)¤ +(7-8)¤ +(8-8)¤ 1111111111111111111255 계급값``(분) 도수`(명)(계급값)_(도수)편차``(분) (편차)¤ _(도수) 5 15 25 35 45 합계 4 8 12 16 10 50 5_4=20 15_8=120 25_12=300 35_16=560 45_10=450 1450 -24 -14 -4 6 16 (-24)¤ _4=2304 (-14)¤ _8=1568 (-4)¤ _12=192 6¤ _16=576 16¤ _10=2560 7200 계급값``(L) 도수`(명)(계급값)_(도수)편차`(L) (편차)¤ _(도수) 4.5 5.5 6.5 7.5 8.5 합계 2 4 8 4 2 20 4.5_2=9 5.5_4=22 6.5_8=52 7.5_4=30 8.5_2=17 130 -2 -1 0 1 2 (-2)¤ _2=8 (-1)¤ _4=4 0¤ _8=0 1¤ _4=4 2¤ _2=8 24 a¤ +b¤ +c¤ -24(a+b+c)+432=54 이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a¤ +b¤ +c¤ -432=54 ∴ a¤ +b¤ +c¤ =486

15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영어 성적이 고르다. 5개의 반 A, B, C, D, E의 표준편차는 각각 '∂12점, '∂20점, '∂16점, '∂15점, '∂18점이므로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A반의 성적이 가장 고르다.

16

A선수의 점수의 분산은 ;1¡0;{(-3)¤ _2+(-2)¤ _1+(-1)¤ _1+0¤ _2 ;1¡0;+1¤ _1+2¤ _1+3¤ _2}=4.6 B선수의 점수의 분산은 ;1¡0;{(-3)¤ _1+(-2)¤ _1+(-1)¤ _2+0¤ _2 ;1¡0;+1¤ _2+(-2)¤ _1+(-3)¤ _1}=3 C선수의 점수의 분산은 ;1¡0;{(-4)¤ _2+(-3)¤ _1+(-1)¤ _1+0¤ _2 ;1¡0;+1¤ _1+3¤ _1+4¤ _2}=8.4 따라서 분산이 가장 작은 B선수의 점수의 분포가 가장 고르다.

17

① A, B모둠의 평균은 같지만, C모둠의 평균은 A, B 모둠의 평균과 다르다. ② B모둠의 분산이 4, A모둠의 분산이 2이므로 B모 둠의 산포도가 더 크다. ④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모둠은 A모둠이다. ⑤ A모둠의 분산이 가장 작으므로 A모둠의 성적이 평균에 가깝게 모여 있다. 050~053쪽

대단원

EXERCISES

01026점 037 0405067 07 0876점 09 A=2, B=20 10112 121380 14 141 15 16 17 건영 18 19 6만 원 20 66 %

0

1

① 평균, 최빈값, 중앙값은 대푯값이다.

(12)

② 편차의 제곱의 평균은 분산이다. ③ 표준편차는 분산의 음이 아닌 제곱근이다. ④ 자료 전체를 대표하는 중심적인 경향을 하나의 수 로 나타낸 것은 대푯값이다.

0

2

15명을 조사한 것이므로 중앙값은 작은 쪽에서 8번째 점수인 48점이다. 또한, 54점인 학생 수가 3명으로 가 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54점이다. 따라서 중앙값과 최빈값의 차는 54-48=6(점)

0

3

과학 수행 평가 점수의 총합은 33+35+36+(30+x)+46_2+47+48+49 +54_3+58+61+62=713+x 이때, 평균이 48점이므로 =48 ∴ x=7

0

4

(평균) = =:¡1§6•:=10.5(시간) 중앙값은 작은 쪽에서 8번째, 9번째 시간의 평균이므로 =8(시간) 7시간이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7시간이다. 따라서 a=10.5, b=8, c=7이므로 a>b>c

0

5

④ 최빈값은 1, 5이다.

0

6

나머지 3개의 수가 7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중앙값은 최대가 되고 그때의 중앙값의 최댓값은 7이다.

0

7

(평균) = = (점) 이때, 수학 성적의 평균이 80점 이상 83점 미만이므로 80… <83, 800…745+x<830 ∴ 55…x<85 따라서 x의 값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⑤ 85이다. 745+x 111210 745+x 111210 75+80+90+85+75+x+85+80+90+85 1111111111111111111310 7+9 1122 4+6_3+7_4+9_2+10_2+11+12+13+44 11111111111111111311316 713+x 111215

0

8

11명에 대한 점수의 평균이 1점 높아졌으므로 점수의 총합은 11점 높아진 것이다. 따라서 동하의 점수를 65+11=76(점)으로 잘못 본 것이다. ■ 다른 풀이 ■ 동하를 뺀 나머지 학생 10명의 점수의 총합을 A점이 라 하고, 잘못 본 동하의 점수를 x점이라고 하면 (잘못 구한 평균)-(바르게 구한 평균)=1이므로 - =1 =1, x-65=11 ∴ x=76 따라서 잘못 본 동하의 점수는 76점이다.

0

9

도수의 총합이 B이므로 2+A+8+5+3=B ∴ 18+A=B yy`㉠ 평균이 5.25이므로 =5.25 ∴ 4A+97=5.25B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0

10

① 전체 학생 수는 28명이므로 ①A=28-(2+5+8+6+1)=6 (평균) = =:¡2ª8§:=7(회) ② 전체 학생 수가 28명이므로 중앙값은 턱걸이 횟수 가 적은 쪽에서 14번째, 15번째인 학생의 횟수의 평균으로 5회이다. ③ 5회의 도수가 가장 크므로 최빈값은 5회이다. ④ 자료에 극단적인 값인 52회가 있으므로 평균은 대 푯값으로 적절하지 않다. ⑤ 평균이 7회이므로 편차가 -1회인 학생 수는 턱걸 이 횟수가 6회인 학생 수로 6명이다.

11

중앙값이 5이므로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 3_2+4_5+5_8+6_6+7_6+52_1 11111111111111111555228 3_2+4_A+5_8+6_5+7_3 1111111112111211B x-65 111511 A+65 111311 A+x 111511

(13)

개념 BOOK 열할 때, 4번째 값이 5이어야 한다. 5보다 작은 값이 3개 있고 5가 없으므로 a=5 평균이 5이므로 =5 ∴ b=8 (분산)= (분산)=4 ∴ (표준편차)='4=2

12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3+x+(-6)+5+(-4)=0 ∴ x=2 (분산)= (분산)=:ª5º:=18 ∴ (표준편차)='∂18=3'2(점)

13

평균이 6이므로 =6 ∴ x+y=12 분산이 2이므로 =2 (x-6)¤ +(y-6)¤ =8 x¤ +y¤ -12(x+y)+72=8 ∴ x¤ +y¤ =12(x+y)-64=144-64=80

14

(평균)= =28(분) (분산)= =141

15

전체 학생 수가 40명이므로

a+18+14+b=40 ∴ a+b=8 yy`㉠

5640 11240 1120 11240 (-1)¤ +(x-6)¤ +(y-6)¤ +1¤ 1111111121111145 5+x+6+y+7 111111135 3¤ +2¤ +(-6)¤ +5¤ +(-4)¤ 11111111111125 (-3)¤ +(-2)¤ +1¤ +0¤ +2¤ +(-1)¤ +3¤ 11111111111111115157 2+3+6+5+7+4+b 11111111117 계급값을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5, 15, 25, 35(분)이고 통학 시간의 평균이 21분이므로 =21 ∴ a+7b=4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분산)= =64 ∴ (표준편차)='∂64=8(분)

16

④ B반의 분산이 더 작으므로 B반이 A반보다 점수가 더 고르다. 즉, 평균 가까이에 더 많이 모여 있다. ⑤ 최고 점수를 받은 학생이 어느 반인지는 알 수 없다.

17

표준편차가 클수록 자료의 분포가 고르지 않으므로 공부 시간이 가장 고르지 않은 학생은 표준편차가 가 장 큰 건영이다.

18

영어 수행 평가 점수가 평균 가까이에 많이 모여 있는 히스토그램은 ①이다.

19

A, B, C의 저축액의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5§:=7.2(만 원) B : =:¢5º:=8(만 원) C : =:™5•:=5.6(만 원) yy❶ 따라서 저축액의 평균이 가장 작은 학생은 C이다. C의 저축액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3, 4, 6, 7, 8이므로 중앙값은 6만 원이다. yy❷ 6+7+3+4+8 111111155 8+8+8+8+8 111111155 5+8+5+9+9 111111155 2560 11240 5_a+15_18+25_14+35_b 11111111111111540 계급값``(분) 도수`(명)(계급값)_(도수)편차``(분) (편차)¤ _(도수) 10 20 30 40 50 합계 6 11 12 7 4 40 10_6=60 20_11=220 30_12=360 40_7=280 50_4=200 1120 -18 -8 2 12 22 (-18)¤ _6=1944 (-8)¤ _11=704 2¤ _12=48 12¤ _7=1008 22¤ _4=1936 5640 계급값(분) 도수`(명) 편차`(분) (편차)¤ _(도수) 5 15 25 35 합계 2 18 14 6 40 -16 -6 4 14 (-16)¤ _2=512 (-6)¤ _18=648 4¤ _14=224 14¤ _6=1176 2560 ❶A, B, C의 한 달 저축액의 평균 각각 구하기 ❷중앙값 구하기 60 % 40 % 채점 기준 배점

(14)

20

(평균) = =:™5º0º:=4(권) yy❶ (분산) =;5¡0;{(-4)¤ _1+(-3)¤ _2+(-2)¤ _5 =;5¡0;{+(-1)¤ _10+0¤ _15+1¤ _8+2¤ _5 =;5¡0;{+3¤ _4} =:¡5™0•:=;2^5$; ∴ (표준편차)=Æ˚;2^5$;=;5*;=1.6(권) yy❷ 주어진 표에서 읽은 책 수가 4-1.6=2.4(권)보다 많고 4+1.6=5.6(권)보다 적은 학생 수는 10+15+8=33(명)이므로 전체 학생 수의 ;5#0#;_100=66(%)이다. yy❸ 0_1+1_2+2_5+3_10+4_15+5_8+6_5+7_4 111111112111111111123450 ❶평균 구하기 ❷표준편차 구하기 ❸답 구하기 30 % 30 % 40 % 채점 기준 배점

01

(평균)=0_;8!;+1_;4#;+2_;8!;=1 (분산)=(0-1)¤ _;8!;+(1-1)¤ _;4#;+(2-1)¤ _;8!; (분산)=;8@;=;4!; ∴ (표준편차)=;2!;

02

2a+3, 2b+3, 2c+3, 2d+3, 2e+3의 평균은 2_8+3=19, 표준편차는 2_4=8이다. 따라서 2a+3, 2b+3, 2c+3, 2d+3, 2e+3의 분산 은 8¤ =64이다. 054~055쪽

Advanced Lecture

[유제] 01평균:1, 표준편차:;2!; 0264

(15)

개념 BOOK

피타고라스 정리

VI

068쪽

개념

CHECK

01⑴ '∂13 ⑵ 9 ⑶ '7 02⑴ 64 cm¤ ⑵ 8 cm 03⑴ 5 cm ⑵ 25 cm¤ 04⑴ 13 ⑵ 49

1. 피타고라스 정리

01. 피타고라스 정리`⑴

0

1

⑴ x¤ =3¤ +2¤ =13 ∴ x='∂13 (∵ x>0) ⑵ x¤ =15¤ -12¤ =81∴ x=9 (∵ x>0) ⑶ x¤ =4¤ -3¤ =7∴ x='7 (∵ x>0)

0

2

⑴ ADEB+ ACHI= BFGC이므로 ADEB+17=81 ⑵∴ ADEB=64 cm¤

⑵ AB”¤ =64이므로 AB”=8 cm (∵ AB”>0)

0

3

⑴ EH” ¤ =3¤ +4¤ =25 ∴ EH”=5 cm (∵ EH”>0) ⑵ EFGH=5¤ =25(cm¤ )

0

4

⑴ 직각삼각형 ABC에서 ⑴AB”¤ =12¤ +5¤ =169 ∴ AB”=13 (∵ AB”>0) ⑵ CH”=12-5=7이므로 CFGH=7¤ =49

0

1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3 cm일 때,13¤ =5¤ +x, x¤ =144∴ x=12(∵ x>0)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 cm일 때,x¤ =5¤ +13¤ =194∴ x='∂194(∵ x>0) ¤, ¤에서 x=12, '∂194

0

2

⑴ 4¤ +5¤ <7¤ Δ 둔각삼각형 ⑵ 9¤ +12¤ =15¤ Δ 직각삼각형 ⑶ (3'2)¤ +5¤ >6¤ Δ 예각삼각형 ⑷ (2'2)¤ +7¤ <8¤ Δ 둔각삼각형

0

3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10<x<6+10 ∴ 10<x<16 yy`㉠ 둔각삼각형이므로 x¤ >6¤ +10¤ , x¤ >136 ∴ x>2'∂34(∵ x>0) yy`㉡ ㉠, ㉡에서 2'∂34<x<16

0

4

⑴ x¤ +x¤ =3¤ +('∂39)¤ x¤ =24 ∴ x=2'6(∵ x>0) ⑵ 8¤ +4¤ =x¤ +7¤ x¤ =31 ∴ x='∂31(∵ x>0)

0

5

(색칠한 부분의 넓이)=△ABC (색칠한 부분의 넓이)=;2!;_4_3=6 077쪽

개념

CHECK

0112, '∂194 02⑴ 둔각삼각형 ⑵ 직각삼각형 01⑶ 예각삼각형 ⑷ 둔각삼각형 032'∂34<x<16 04⑴ 2'6 ⑵ '∂31 05 6 02. 피타고라스 정리`⑵

(16)

유형01 △ABD에서 AD”="√20¤ -16¤ =12 △ADC에서 CD”="√13¤ -12¤ =5

1

-1 △ADC에서 CD”="√17¤ -15¤ =8 △ABC에서 BC”=12+8=20 ∴ AB”="√20¤ +15¤ =25

1

-2 AC”="√2¤ +2¤ =2'2 AD”="√(2'2)¤ +2¤ =2'3 ∴ AE”="√(2'3)¤ +2¤ =4 078~081쪽

유형

EXERCISES

유형015 1-1 25 1-2 4 유형024'5 2-1 2'5 2-2 10'3 유형033-1 5 3-2 32 유형042'5, 2'∂13 4-14-2 17 4-3 15, -1+'∂31 유형05'∂41<x<9 5-15-25-3 18 유형0651 6-1 8 6-2 ;;¡5™;; 유형072'∂22 7-1 3 7-2 21 7-3 20 cm 유형085 8-1 ;;¡3º;; 8-2 ;;¡4∞;;

2

-2 꼭짓점 A, D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 라고 하면 BE”=FC” BE”=;2!;_(7-3)=2 △ABE에서 AE”="√4¤ -2¤ =2'3 따라서 등변사다리꼴 ABCD의 넓이는 ;2!;_(3+7)_2'3=10'3 A C E F D B 4 3 7 유형0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ABE에서 BE”=8-5=3이므로 AE”="√5¤ -3¤ =4 △DBC에서 DC”=AE”=4이므로 BD”="√8¤ +4¤ =4'5

2

-1 BD”를 그으면 △ABD에서 BD”="√3¤ +(3'3)¤ =6 따라서 △BCD에서 BC”="√6¤ -4¤ =2'5 A C D B 3 4 3'3 A C E D B 8 5 5 유형03 EB”∥DC”이므로 △EBC=△EBA yy`㉠ △EBC와 △ABF에서 EB”=AB”, BC”=BF”, ∠EBC=∠ABF ∴ △EBC™△ABF (`SAS 합동) yy`㉡ BF”∥AK”이므로 △BFA=△BFJ yy`㉢ ㉠, ㉡, ㉢에 의하여 △EBC=△EBA=△ABF=△BFJ

3

-1 △APS™△BQP™△CRQ™△DSR이므로 `PQRS는 정사각형이다. △APS에서 AS”=3-1=2이므로 PS”="√1¤ +2¤ ='5 ∴ `PQRS=('5)¤ =5

3

-2 △ABC에서 AB”="√10¤ -6¤ =8 ∴ △LFM=;2!; BFML=;2!; ADEB ∴ △LFM=;2!;_8¤ =32 유형

04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일 때, x¤ =4¤ +6¤ =52 ∴ x=2'∂13 (∵ x>0) ¤가장 긴 변의 길이가 6일 때, 6¤ =4¤ +x¤ , x¤ =20 ∴ x=2'5 (∵ x>0), ¤에 의하여 x의 값은 2'5, 2'∂13이다.

4

-1 ① ('7)¤ +2¤ +('5)¤ ② 6¤ +3¤ +4¤ ③ 25¤ =7¤ +24¤ ④ ('5)¤ +1¤ +('2)¤

(17)

개념 BOOK ⑤ 10¤ +6¤ +7¤ 따라서 직각삼각형은 ③이다.

4

-2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2이므로 (x+2)¤ =x¤ +(x-7)¤ x¤ -18x+45=0, (x-3)(x-15)=0 ∴ x=3 또는 x=15 이때, (x-7)+x>x+2이므로 x>9 따라서 x=15이므로 빗변의 길이는 x+2=15+2=17

4

-3가장 긴 변의 길이가 x+2일 때, (x+2)¤ =x¤ +8¤ , 4x=60 ∴ x=15 ¤가장 긴 변의 길이가 8일 때, 8¤ =x¤ +(x+2)¤ , 2x¤ +4x-60=0 x¤ +2x-30=0 ∴ x=-1+'∂31 (∵ x>0), ¤에 의하여 x의 값은 15, -1+'∂31이다. 10<x+6 ∴ x>4 yy㉠ 둔각삼각형이므로 10¤ >x¤ +6¤ , x¤ <64 ∴ x<8 (∵ x>0) yy㉡ ㉠, ㉡에서 4<x<8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값은 5, 6, 7이 므로 5+6+7=18 유형05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5<x<5+4 ∴ 5<x<9 yy`㉠ 둔각삼각형이므로 x¤ >4¤ +5¤ , x¤ >41 ∴ x>'∂41 (∵ x>0) yy`㉡ ㉠, ㉡에서 '∂41<x<9

5

-1 ① 3¤ +4¤ =5¤ (직각삼각형) ② 4¤ +6¤ <8¤ (둔각삼각형) ③ 5¤ +8¤ <10¤ (둔각삼각형) ④ 5¤ +10¤ >11¤ (예각삼각형) ⑤ 5¤ +12¤ =13¤ (직각삼각형)

5

-2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7<x<4+7 ∴ 7<x<11 yy`㉠ 예각삼각형이 되어야 하므로 x¤ <4¤ +7¤ , x¤ <65 ∴ x<'∂65 (∵ x>0) yy`㉡ ㉠, ㉡에서 7<x<'∂65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값은 8이다.

5

-3 ∠C>90˘이므로 가장 긴 변의 길이는 10이다.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유형

06

△ABD에서 x="√9¤ +12¤ =15(∵ x>0) AD”¤ =BD”_CD”이므로 12¤ =9_y ∴ y=16 AC”¤ =CD”_CB”이므로 z¤ =16_(9+16) ∴ z=20(∵ z>0) ∴ x+y+z=15+16+20=51

6

-1 △ABH에서 BH”="√(4'3)¤ -(4'2)¤ =4 AH”¤ =BH”_CH”이므로 (4'2)¤ =4_CH” ∴ CH”=8

6

-2 △ABC에서 AC”="√5¤ -3¤ =4 AB”_AC”=BC”_AH”이므로 3_4=5_AH” ∴ AH”=:¡5™: 유형07 △AOD에서 AD”="√4¤ +3¤ =5 AD”¤ +BC”¤ =AB”¤ +CD”¤ 이므로 5¤ +BC”¤ =7¤ +8¤ , BC”¤ =88 ∴ BC”=2'∂22 (∵ BC”>0)

7

-1 DE”¤ +BC”¤ =BE”¤ +CD”¤ 이므로 DE”¤ +6¤ =(2'5)¤ +5¤

DE”¤ =9 ∴ DE”=3 (∵ DE”>0)

7

-2 AP”¤ +CP”¤ =BP”¤ +DP”¤ 이므로 ('5)¤ +4¤ =BP”¤ +DP”¤ ∴ BP”¤ +DP”¤ =5+16=21

7

-3 BC”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는 20p+30p=50p(cm¤ )

(18)

;2!;_p_{ }2 =50p이므로 BC”¤ =400 ∴ BC”=20(cm)(∵ BC”>0) BC” 2 082~084쪽

실력

EXERCISES

016'7 02'∂31 03'∂61 04;2(0!; m 054 064 07083'5 cm 09289 cm¤ 1016-6'7 11 3 cm 12 13 14 2'6 15①, ③ 1624<x<25 1718;;™5•;; 19 '7 20 125558'55 cm 215 cm

0

1

직각삼각형의 나머지 한 변의 길이는 "√8¤ -(2'7)¤ =6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넓이는 ;2!;_2'7_6=6'7

0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를 그 으면 △ABD에서 BD”="√2¤ +6¤ =2'∂10 따라서 △BCD에서 CD”="√(2'∂10)¤ -3¤ ='∂31

0

3

△ABC에서 BC”="√13¤ -5¤ =12이므로 MC”=;2!;_12=6 △AMC에서 A’M”="√6¤ +5¤ ='∂61

0

4

오른쪽 그림에서 AB”=x m 라고 하면 AC”=(10-x) m, BC”=3 m이므로 (10-x)¤ =x¤ +3¤ 20x=91 ∴ x=;2(0!;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나무가 부러진 부분까지의 높이는 ;2(0!; m이다.

0

5

OB”=OQ”="√2¤ +2¤ =2'2 OC”=OR”="√(2'2)¤ +2¤ =2'3 ∴ OS”="√(2'3)¤ +2¤ =4

0

6

AP”=x라고 하면 △ABP에서 BP”="√x¤ +x¤ ='2x △BCP에서 CP”="√('2x)¤ +x¤ ='3x 같은 방법으로 DP”="√('3x)¤ +x¤ =2x EP”="√(2x)¤ +x¤ ='5x FP”="√('5x)¤ +x¤ ='6x 즉, '6x=4'6이므로 x=4

0

7

① △EBC와 △ABF에서 EB”=AB”, BC”=BF”, ∠EBC=∠ABF A B 3`m C x`m {10-x}`m A B D C 2 3 6 유형

08

△ABQ에서 AQ”=AD”=15이므로 BQ”="√15¤ -9¤ =12 ∴ CQ”=15-12=3 PQ”=x라고 하면 DP”=PQ”=x이므로 PC”=9-x △PQC에서 x¤ =(9-x)¤ +3¤ , 18x=90 ∴ x=5

8

-1 △ABP와 △QDP에서 AB”=QD”, ∠A=∠Q=90˘, ∠APB=∠QPD이므로 ∠ABP=∠QDP ∴ △ABP™△QDP (ASA 합동) △ABP에서 AP”=x라고 하면 PB”=PD”=12-x이므로 (12-x)¤ =x¤ +8¤ , 24x=80 ∴ x=

8

-2 BE”=;2!;_10=5 BD”=x라고 하면 DE”=AD”=10-x이므로 △DBE에서 (10-x)¤ =x¤ +5¤ 20x=75 ∴ x=:¡4∞: 10 3

(19)

개념 BOOK ∴ △EBC™△ABF (SAS 합동) ∴ EC”=AF” ② △BCH와 △GCA에서 BC”=GC”, CH”=CA”, ∠BCH=∠GCA ∴ △BCH™△GCA (SAS 합동) ③ △AEB=△CEB=△ABF=△LBF ④ AEBC가 평행사변형일 때만 성립한다. ⑤ △ACH=△BCH=△AGC=△LGC=△LMG 이므로 ACHI=2△ACH=2△LMG

0

8

△EBC=△EBA=;2!; ADEB=18(cm¤ )이므로 ADEB=36 cm¤ ∴ AB”=6(cm) △ABC에서 BC”="√6¤ +3¤ =3'5(cm)

0

9

EFGH=169 cm¤ 이므로 EH”=13 cm △EHD에서 DH”="√13¤ -12¤ =5(cm) 따라서 AE”=DH”=5 cm이므로 AD”=12+5=17(cm) ∴ ABCD=17¤ =289(cm¤ )

10

△ABE에서 BE”="√4¤ -3¤ ='7 4개의 직각삼각형이 모두 합동이므로 HE”=3-'7 ∴ EFGH=(3-'7)¤ =16-6'7

11

△ABE™△CDB이므로 BE”=DB”, ∠EBD=90˘ 따라서 △BDE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BDE의 넓이가 17cm¤ 이므로 ;2!;_BE”¤ =17 BE”¤ =34 ∴ BE”='∂34(cm)(∵ BE”>0) △ABE에서 AE”="√('∂34)¤ -5¤ =3(cm)

12

⑤ 26¤ +7¤ +24¤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13

△ABD에서 AB”="√16¤ +12¤ =20 △ADC에서 AC”="√12¤ +9¤ =15

△ABC에서 BC”=25, AC”=15, AB”=20이고 25¤ =15¤ +20¤ 이므로 △ABC는 ∠A=90˘인 직각삼 각형이다.

14

가장 긴 변의 길이가 7이므로 7¤ =5¤ +x¤ , x¤ =24 ∴ x=2'6 (∵ x>0)

15

①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a<b+c ③ ∠A<90˘이므로 a¤ <b¤ +c¤

16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25-7<x<25 ∴ 18<x<25 yy`㉠ 예각삼각형이므로 25¤ <7¤ +x¤ , x¤ >576 ∴ x>24 (∵ x>0) yy`㉡ ㉠, ㉡에서 24<x<25

17

② 4¤ +5¤ >6¤ 이므로 예각삼각형이다.

18

△ABC에서 BC”="√4¤ +3¤ =5 AB”_AC”=BC”_AD”이므로 4_3=5_x ∴ x=:¡5™: AB”¤ =BD”_BC”이므로 4¤ =y_5 ∴ y=:¡5§: ∴ x+y=:¡5™:+:¡5§:=:™5•:

19

AB”¤ +DC”¤ =AD”¤ +BC”¤ 이므로 AB”¤ +DC”¤ =('5)¤ +3¤ =14 그런데 ABCD는 등변사다리꼴이므로 AB”=DC” 따라서 2AB”¤ =14이므로 AB”¤ =7 ∴ AB”='7 (∵ AB”>0)

20

(색칠한 부분의 넓이)=△ABC=;2!;_8_AC”=16 이므로 AC”=4 cm △ABC에서 BC”="√8¤ +4¤ =4'5(cm) AB”_AC”=BC”_AH”이므로 8_4=4'5_AH” ∴ AH”= (cm)

21

점 F가 AC”의 중점이므로 AF”=CF”=4 cm EF”=x cm라고 하면 AE”=x cm이므로 BE”=(8-x) cm △EBF에서 x¤ =4¤ +(8-x)¤ 16x=80 ∴ x=5 8'5 5

(20)

095쪽

개념

CHECK

01⑴ 2'7 ⑵ 5'2 02⑴ 4 cm ⑵ 4'3 cm 03⑴ 8'5 ⑵ 6'6 04 x=2'3, y='6 05 -2

2.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01. 평면도형에서의 활용

0

1

⑴ x¤ +6¤ =8¤ 이므로 x¤ =8¤ -6¤ =28 ∴ x='∂28=2'7 (∵ x>0) ⑵ '2x=10이므로x= =5'2

0

2

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x=2'3 ∴ x=4따라서 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4 cm이다. ⑵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x¤ =16'3, x¤ =16'3_ =64∴ x=8(∵ x>0) ⑵따라서 이 삼각형의 높이는 ⑵ x= _8=4'3(cm)

0

3

⑴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 ⑴선의 발을 H라고 하면 ⑴BH”=;2!;BC”=;2!;_8=4 ⑴직각삼각형 ABH에서 ⑴AH”="√6¤ -4¤ ='∂20=2'5 ⑴∴ △ABC=;2!;_8_2'5=8'5 ⑵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⑴의 발을 H, BH”=x라고 하면CH”=7-xAH”=h라고 하면 ⑴직각삼각형 ABH에서 ⑴h¤ =6¤ -x¤ yy`㉠ '3 1252 '3 1252 4 125 '3 '3 1254 '3 1252 10 125 '2 A C B 6 6 8 H A C H B 5 6 7 x y

0

1

⑴ "√8¤ +4¤ +6¤ ='ƒ116=2'∂29(cm)

0

2

⑴ △ABC에서 CD”= _10=5'3(cm) ⑵ CH”=;3@;CD”=;3@;_5'3=25255110'3 (cm) 3 '3 252552 ⑴직각삼각형 ACH에서 ⑴h¤ =5¤ -(7-x)¤ yy`㉡ ⑴㉠, ㉡에서 6¤ -x¤ =5¤ -(7-x)¤36-x¤ =-24+14x-x¤14x=60 ∴ x=:£7º: ㉠에 x=:£7º:을 대입하면h¤ =6¤ -{:£7º:}¤ =:•4§9¢:∴ h= (∵ h>0) ⑴∴ △ABC=;2!;_7_ =6'6

0

4

△ABC에서 AB” : BC”=1 : '3이므로 2 : x=1 : '3 ∴ x=2'3 △DBC에서 BC” : CD”='2 : 1이므로 2'3 : y='2 : 1 ∴ y='6

0

5

AB”¤ ={3-(-2)}¤ +(x-3)¤ =(5'2)¤ 이므로 25+x¤ -6x+9=50, x¤ -6x-16=0 (x-8)(x+2)=0 ∴ x=-2(∵ x<0) 12'6 125257 12'6 125257 106쪽

개념

CHECK

01⑴ 2'∂29 cm ⑵ 3'3 cm 02⑴ 5'3 cm ⑵ cm ⑶ cm 02⑷ 25'3 cm¤ ⑸ cm‹ 03⑴ 높이 : 4'7, 부피 : 02⑵ 높이 : 4'3, 부피 : 04 '∂74 64'3 115553 256'7 1113 250'2 11555253 10'6 115553 10'3 115553 02. 입체도형에서의 활용

(21)

개념 BOOK 107~111쪽

유형

EXERCISES

유형01 1-1 8 1-2 4p 유형02 2-1 27'3 2-2 24'3 유형03 cm 3-1 48 3-2 17 3-2 126 유형04 3'6 4-1 4'3 4-2 3'3 4-3 18'6 유형05 2 5-15-2 4'2 5-3 ④ 유형06 10+5'26-1 2'2 6-2 6-3 8'3 cm 유형07 3'2 7-1 36'3 7-2 54'6 7-3 9'2 cm¤ 유형08 8-1 8'∂21 8-2 8'2 8-3 12'∂10 유형09 81'7p cm‹ 9-1 216˘ 9-2 '7 cm 9-3 81p cm‹ 유형10 13 10-12'∂17 10-26p 128 3 42'2 11 2'∂14 3 9'3 4 8'5 5 유형

01

△ABD에서 BD”="√8¤ +4¤ =4'5 AB”_AD”=AH”_BD”이므로 4_8=AH”_4'5 ∴ AH”=

1

-1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3a, 4a(a>0)라고 하면 "√(3a)¤ +(4a)¤ =10, 5a=10 ∴ a=2 따라서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4_2=8

1

-2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면 '2a=4'2 ∴ a=4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그 넓이는 p_2¤ =4p 유형

02

AD”는 정삼각형 ABC의 높이이므로 AD”= _4=2'3 AF”는 정삼각형 ADE의 높이이므로 AF”= _2'3=3 ∴ △AFG= _3¤ =

2

-1 무게중심은 중선을 꼭짓점으로부터 2 : 1로 나누므 로 AG” : GD”=2 : 1 ∴ GD”=;2!;AG”=3 ∴ AD”=6+3=9 따라서 △ABC의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9 ∴ a=6'3 ∴△ABC= _(6'3)¤ =27'3

2

-2 주어진 정육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4인 6개의 정삼 각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정삼각형 한 개의 넓이는 _4¤ =4'3이므로 정육각형의 넓이는 6_4'3=24'3 유형

03

BH”=x cm라고 하면 CH”=(6-x)cm '3 4 '3 4 '3 2 9'3 4 '3 4 '3 2 '3 2 8'5 5 ⑶ VH”=æ≠10¤ -{ }¤ = (cm) ⑷ △ABC= _10¤ =25'3(cm¤ ) ⑸ ;3!;_25'3_ = (cm‹ )

0

3

⑴ `ABCD에서 BD”='2_BC”=8'2이므로 ⑴BH”=;2!;BD”=;2!;_8'2=4'2 ⑴∴ OH”="√12¤ -(4'2)¤ ='∂112=4'7 ⑴따라서 뿔의 높이는 4'7이므로 그 부피는 ⑴;3!;_8_8_4'7= ⑵ 원뿔의 높이는 "√8¤ -4¤ ='∂48=4'3 ⑴따라서 원뿔의 부피는 ⑴;3!;_p_4¤ _4'3=

0

4

구하는 최단 거리는 오른쪽 그림 에서 AG”의 길이와 같으므로 AG”="√(4+3)¤ +5¤ ='ß74 D A G F C B 5 4 3 64'3 12153 256'7 12525223 250'2 252551253 10'6 2525513 '3 252554 10'6 2525513 10'3 2525513

(22)

△ABH와 △ACH에서 AH”¤ =3¤ -x¤ =5¤ -(6-x)¤ 12x=20 ∴ x=;3%; 따라서 △ABH에서 AH”=æ–3¤ -{;3%;}¤ = (cm)

3

-1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H”=CH”=6 △ABH에서 AH”="√10¤ -6¤ =8 ∴ △ABC=;2!;_12_8=48

3

-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BC의 넓이가 120이므로 ;2!;_16_AH”=120 ∴ AH”=15 이때 BH”=8이므로 △ABH에서 AB”="√8¤ +15¤ =17

3

-3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BH”=x라고 하면 CH”=21-x △ABH와 △ACH에서 AH”¤ =20¤ -x¤ =13¤ -(21-x)¤ 42x=672 ∴ x=16 따라서 △ABH에서 AH”="√20¤ -16¤ =12이므로 △ABC=;2!;_21_12=126 유형04 △ABC에서 AB” : BC”=1 : '3이므로 6 : BC”=1 : '3 ∴ BC”=6'3 △DBC에서 BD” : BC”=1 : '2이므로 BD” : 6'3=1 : '2 ∴ BD”=3'6

4

-1 △ABH에서 AB” : A’H”=2 : '3이므로

21 x 20 13 A B H C 8 A B C H 8 A B H 6 6 10 10 C 2'∂14 3 4 : A’H”=2 : '3 ∴ A’H”=2'3 AB” : BH”=2 : 1이므로 4 : BH”=2 : 1 ∴ BH”=2 CH”=8-2=6이므로 △AHC에서 AC”="√6¤ +(2'3`)¤ =4'3

4

-2 △ABD에서 AB” : BD”=1 : '2이므로 3'2 : BD”=1 : '2 ∴ BD”=6 △DBC에서 DB” : CD”=2 : '3이므로 6 : CD”=2 : '3 ∴ CD”=3'3

4

-3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 : AB”='3 : 2 이므로 4'3 : AH”=2 : '3 ∴ AH”=6 ∴ ABCD=3'6_6=18'6 유형05 AB”="√(3a+2)¤ +(a+2)¤ =4'5이므로 (3a+2)¤ +(a+2)¤ =80, 5a¤ +8a-36=0 (a-2)(5a+18)=0 ∴ a=2 (∵ a>0)

5

-1 원점과 각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① "√4¤ +2¤ =2'5 ② "√3¤ +5¤ ='∂34 ③ "√(-1)¤ +(-3)¤ ='∂10 ④ "√5¤ +1¤ ='∂26 ⑤ "√(-6)¤ +1¤ ='∂37 따라서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⑤이다.

5

-2 x¤ -x=x+3에서 x¤ -2x-3=0 (x+1)(x-3)=0 ∴ x=-1 또는 x=3 x=-1일 때 y=2, x=3일 때 y=6이므로 A(-1, 2), B(3, 6) 또는 A(3, 6), B(-1, 2) ∴ AB”="√{3-(-1)}¤ +√(6-2)¤ =4'2

5

-3 AB”="√{2-(-1)}¤ +√(1-3)¤ ='∂13 BC”="√(4-2)¤ +(4-1)¤ ='∂13 CA”="√{4-√(-1√)}¤ +√(4-ç3)Ω¤ ='∂26 3'6 4'3 60© A B H C D

(23)

개념

BOOK

이므로 AB”=BC”와 AB”¤ +BC”¤ =CA”¤ 이 성립한다. 따라서 △ABC는 ∠B=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 이다. 유형

06

AC”="√4¤ +3¤ =5 AG”="√4¤ +3¤ +5¤ =5'2 따라서 △AGC의 둘레의 길이는 5+5+5'2=10+5'2

6

-1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3a='6 ∴ a='2 따라서 정육면체의 부피는 ('2)‹ =2'2

6

-2 AG”="√6¤ +6¤ +7¤ =11, EG”=6'2 이때, △AEG에서 AE”_EG”=AG”_E’I’이므로 7_6'2=11_E’I’ ∴ EI”=

6

-3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EG”='2a cm이므로 △AEG=;2!;_a_'2a= 따라서 a¤ =32'2이므로 a¤ =64 ∴ a=8 (∵ a>0) ∴ AG”='3a=8'3(cm) 유형

07

정삼각형 BCD에서 D’M”= _6=3'3 점 H는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MH”=;3!;D’M”=;3!;_3'3='3 A’H”= _6=2'6 ∴ △AMH=;2!;_'3_2'6=3'2

7

-1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2'6 ∴ a=6 따라서 정사면체의 겉넓이는 '6 3 '6 3 '3 2 '2 2 '2 2 42'2 11 4_△ABC=4_{ _6¤ }=36'3

7

-2 점 H는 정삼각형 DBC의 무게중심이므로 D’H”=2HM”=2_3=6, D’M”=3+6=9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9 ∴ a=6'3 따라서 정사면체의 부피는 a‹ = _(6'3`)‹ =54'6

7

-3 B’M”, C’M”은 한 변의 길이가 6 cm인 정삼각형의 높 이이므로 B’M”=C’M”= _6=3'3(cm) 꼭짓점 M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MBH에서 MH”="√(3'3`)¤ -3¤ MH”=3'2(cm) ∴ △BCM=;2!;_6_3'2=9'2(cm¤ ) 유형08 AC”="√(4'2)¤ +(4'2)¤ =8이므로 HC”=;2!;AC”=4 △OHC에서 OH”="√(4'2`)¤ -4¤ =4 따라서 정사각뿔의 부피는 ;3!;_(4'2)¤ _4=:¡;3@:*;

8

-1 꼭짓점 O에서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HE”=;2!;BC”=4이므로 △OHE에서 OE”="√(2'∂17`)¤ +4¤ OE”=2'∂21 ∴ △OCD=;2!;_8_2'∂21=8'∂21

8

-2 AC”="√(2'2 `)¤ +(2'2`)¤ =4이므로 HC”=;2!;AC”=2 C O B D E 8 2'17 A H B C M H 3'3`cm 3'3`cm 3`cm 3`cm '3 2 '2 12 '2 12 '3 2 '3 4

(24)

△OHC에서 OH”="√6¤ -2¤ =4'2 ∴ △OAC=;2!;_4_4'2=8'2

8

-3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 는 정사각뿔은 오른쪽 그림 과 같다. BD”="√(3'2`)¤ +(3'2`)¤ =6 이므로 D’H”=;2!; BD”=3 △OHD에서 OH”="√7¤ -3¤ =2'∂10 따라서 정사각뿔의 부피는 ;3!; _(3'2)¤ _2'∂10=12'∂10 유형

09

주어진 전개도로 원뿔을 만들면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원뿔의 높이를 h cm라고 하면 h="√12¤ -9¤ =3'7 따라서 원뿔의 부피는 ;3!; _p_9¤ _3'7=81'7p(cm‹ )

9

-1 원뿔의 모선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l="√8¤ +6¤ =10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부 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라 고 하면 2p_10_ =2p_6 ∴ x˘=216˘

9

-2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 높이를 h cm라고 하면 pr¤ =9p, r¤ =9 ∴ r=3 (∵ r>0) ∴ h="√4¤ -3¤ ='7 따라서 원뿔의 높이는 '7 cm이다.

9

-3 △OHA에서 AH” : OA”=1 : 2이므로

4`cm r`cm h`cm 360˘ 6 10 x© 12`cm 9`cm h`cm C O B D 7 3'2 3'2 A H AH” : 6'3=1 : 2 ∴ AH”=3'3 cm AH” : OH”=1 : '3이므로 3'3 : OH”=1 : '3 ∴ OH”=9 cm 따라서 원뿔의 부피는 ;3!; _p_(3'3)¤ _9=81p(cm‹ ) 유형10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최 단 거리는 AG”의 길이이므로 AG”="√(8+4)¤ +5¤ =13

10

-1다음 그림의 전개도에서 최단 거리는 EA'”의 길이이 므로

EA'”=

"√

E’E'”¤ +A'E'” ¤ ="√8¤ +2¤ =2'∂17

10

-2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는 2p_4=8p 원기둥의 높이를 h라고 하면 오른쪽 전개도에서 h="√(10p)¤ -(8p)¤ =6p A B B' h 10p 8p A' B A C D A' F E G H E' 2 2 2 2 2 D A G C B 8 4 5 F 112~115쪽

실력

EXERCISES

0116'3 cm¤ 02 cm 034'5 cm 042'3 cm 052'6 06'3 cm¤ 078'5 cm¤ 08 cm 0912 cm 10(3'3-3) cm 11 cm 12 -10 13 14 156 cm 162'5 172'6 cm 1850'6 cm¤ 1920 4'2 cm¤ 21 72'5 cm‹2212'∂11 cm¤ 239p cm‹ 2427p cm¤ 252'∂58 cm268'2 cm 16 3 8'2 3 14 5

(25)

개념 BOOK 따라서 △GEC는 한 변의 길이가 2 cm인 정삼각형이 므로 △GEC= _2¤ ='3(cm¤ )

0

7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BH”=4 cm이므로 △ABH에서 AH”="√6¤ -4¤ =2'5(cm) ∴ △ABC=;2!;_8_2'5=8'5(cm¤ )

0

8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6¤ -2¤ =4'2(cm) ∴ △ABC=;2!;_4_4'2 ∴ △ABC=8'2(cm¤ ) 또, AP”를 그으면 △ABC=△ABP+△APC이므로 8'2=;2!;_6_PQ”+;2!;_6_PR” 8'2=;2!;_6_(PQ”+PR”) ∴ PQ”+PR”= cm

0

9

BH”=x cm라고 하면 CH”=(14-x)cm △ABH와 △ACH에서 AH”¤ =15¤ -x¤ =13¤ -(14-x)¤ 28x=252 ∴ x=9 따라서 △ABH에서 A’H”="√15¤ -9¤ =12(cm)

10

△ABC에서 BC”=AB”=3'3 cm △ABD에서 AB” : BD”='3 :1이므로 3'3 : BD”='3 : 1 ∴ BD”=3 cm ∴ CD”=BC”-BD”=3'3-3(cm)

11

△ABC에서 AB” : AC”='3 : 2이므로 3 : AC”='3 : 2 ∴ AC”=2'3 cm △ACD에서 AC” : AD”='3 : 2이므로 2'3 : AD”='3 : 2 ∴ AD”=4 cm 8'2 3 A B C Q R 6`cm 6`cm 2`cmP H A B H C 6`cm 6`cm 4`cm '3 4

0

1

△ABC에서 AB”="√8¤ -4¤ =4'3(cm) ∴ ABCD=4_4'3=16'3(cm¤ )

0

2

△ABC에서 AC”="√6¤ +8¤ =10(cm) AB”¤ =AQ”_AC”이므로 6¤ =AQ”_10 ∴ AQ”=:¡5•: cm CD”¤ =CP”_CA”이므로 6¤ =CP”_10 ∴ CP”=:¡5•: cm ∴ PQ”=AC”-(AQ”+CP”) ∴ PQ”=10-{:¡5•:+:¡5•:}=:¡5¢:(cm)

0

3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AO”=10 cm, BO”=;2{; cm이므로 직각삼각형 ABO에서 10¤ =x¤ +{;2{;}2 , ;4%;x¤ =100 x¤ =80 ∴ x=4'5 (∵ x>0) 따라서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는 4'5 cm 이다.

0

4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a¤ =4'3, a¤ =16 ∴ a=4(∵ a>0) 따라서 정삼각형의 높이는

_4=2'3(cm)

0

5

AE”를 그으면 ∠DEA=45˘, 즉 ∠AEB=90˘이므 로 AE”는 정삼각형 ABC의 높이이다. ∴ AE”= _8=4'3 정사각형 ADEF의 대각선의 길이가 4'3이므로 '2x=4'3 ∴ x=2'6

0

6

BE”=EC”=CF”=;2!;_4=2(cm) ∠GEC=∠GCE=60˘ '3 2 '3 2 '3 4 B A C O 10`cm D cm x 2 x`cm

(26)

FI”= _4'2=2'6(cm)

18

FN”=ND”=D’M”=MF”="√10¤ +5¤ =5'5(cm)이 므로 FNDM은 마름모이다. MN”=AC”=10'2 cm이고 FD”=10'3 cm이므로 FNDM=;2!;_MN”_FD” FNDM=;2!;_10'2_10'3=50'6(cm¤ )

19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 =9'3, a¤ =36 ∴ a=6(∵ a>0)

따라서 정사면체의 부피는 _6‹ =18'2

20

A’M”, D’M”은 각각 한 변의 길이가 4 cm인 정삼각형 의 높이이므로 A’M”=D’M”= _4=2'3(cm) 꼭짓점 M에서 AD”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고 하면 △MAH에서 MH”="√(2'3)¤ -2¤ =2'2(cm) ∴ △MAD=;2!;_4_2'2=4'2(cm¤ )

21

주어진 전개도로 정사각뿔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C”="√(6'2)¤ +(6'2)¤ AC”=12(cm) AH”=;2!;AC”=6(cm) △OAH에서 OH”="√9¤ -6¤ =3'5(cm) 따라서 정사각뿔의 부피는 ;3!;_(6'2)¤ _3'5=72'5(cm‹ )

22

MA”, NB”는 각각 한 변의 길이가 8 cm인 정삼각형의 높이이므로 MA”=NB”= _8=4'3(cm) △ODC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해 '3 2 O A D B H C 6'2`cm 6'2`cm 9`cm '3 2 '2 12 '3 4 '3 2 M A D H 2'3`cm 2'3`cm 2`cm 2`cm

△ADE에서 AD” : AE”='3 : 2이므로 4 : AE”='3 : 2 ∴ AE”= cm △AEF에서 AE” : AF”='3 : 2이므로

: AF”='3 : 2 ∴ AF”=:¡3§: cm

12

AB”="√(-√3-3√)¤ +√(-2√-a)¤ =10이므로 36+a¤ +4a+4=100, a¤ +4a-60=0 (a+10)(a-6)=0 ∴ a=-10 (∵ a<0)

13

y=x¤ -2x+4=(x-1)¤ +3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1, 3)이고, y=-3x¤ -6x+4=-3(x+1)¤ +7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1, 7)이다. 따라서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1-(-1)}¤ +(3-7≈)¤ =2'5

14

① AC”="√{0-(-4)}¤ +√(3-0)¤ =5 ② AB”="√{3-(-4)}¤ +√(-1-0)¤ =5'2 ③ BC”="√(0-3)¤ +{3-√(-1)}¤ =5이므로 AC”=BC” ④ AC”=5, AB”=5'2, BC”=5이므로 AC”=BC”, AB”¤ =AC”¤ +BC”¤

즉, △ABC는 ∠C=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⑤ △ABC=;2!;_5¤ =:™2∞:

15

직육면체의 높이를 x cm라고 하면 AG”="√3¤ +3¤ +x¤ =3'6(cm) 18+x¤ =54, x¤ =36 ∴ x=6(∵ x>0)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6 cm이다.

16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G”='3a=4'3 ∴ a=4 ∴ C’M”=;2!;_4=2 따라서 △MGC에서 MG”="√4¤ +2¤ =2'5

17

AC”=AF”=FC”=4'2 cm이므로 △AFC는 정삼각 형이다. FI”는 정삼각형 AFC의 높이이므로 8'3 3 8'3 3

(27)

개념 BOOK 2p_8_ =2p_2 ∴ x˘=90˘ 따라서 구하는 최단 거리는 A’A'”의 길이이므로 A’A'”="√8¤ +8¤ =8'2(cm) 360˘ MN”=;2!;DC”=;2!;_8=4(cm) 즉, ABNM은 등변사다리꼴이다. 두 점 M, N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이라 하면 M'N'”=MN”=4 cm이므로 A’M'”=B’N'” A’M'”=;2!;_(8-4)=2(cm) 따라서 △MAM'에서 MM'”="√(4'3)¤ -2¤ =2'∂11(cm) ∴ ABNM=;2!;_(4+8)_2'∂11=12'∂11(cm¤ )

23

주어진 도형으로 만들어지는 입체도형은오른쪽그림과같다. △ABD에서 AD”="√5¤ -3¤ =4(cm)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 _p_3¤ _4- _p_3¤ _1 =9p(cm‹ )

24

단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HP에서 HP”="√6¤ -3¤ =3'3(cm) 따라서 단면인 원의 넓이는 p_(3'3)¤ =27p(cm¤ )

25

전개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구하는 최단 거리는 A’H”의 길 이이므로 AH”="√6¤ +(5+4+5)¤ =2'∂58(cm)

26

전개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부채꼴의 호의 길이 는 2p_2=4p(cm)이고,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라고 하면 2`cm 8`cm 8`cm A P O A' x© A B F E D C G H 6`cm 5`cm 5`cm 4`cm 1 3 1 3 A B C D 5`cm 3`cm 1`cm A M N M' N' B 8`cm 4`cm 4`cm 4'3`cm 118~121쪽

대단원

EXERCISES

01x=12, y=6'3 0220 cm 032'∂14 cm 04055-2'5 06 074, 13 0890˘ 093 1048 cm¤ 118 cm 12 cm 13(4'3-4) cm 14(16+4'3 ) cm¤ 1572+72'3 16 17 18 17 cm 19 32'6 cm¤ 20 '∂19å4 cm21 pcm‹ 22 20'5 23 3'5 24 4'∂11 cm¤ 16'2 3 63 5

0

1

△DBC에서 x="√15¤ -9¤ =12 △ABD에서 y="√12¤ -6¤ =6'3

0

2

ABCD=144 cm¤ 이므로 BC”=AB”='∂14å4=12(cm) ECFG=16 cm¤ 이므로 CF”='1å6=4(cm) 따라서 △ABF에서 BF”=12+4=16(cm)이므로 AF”="√16¤ +12¤ =20(cm)

0

3

AG”의 연장선이 BC”와 만나는 점을 M이라고 하면 점 G가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A’M”=;2#;_3=;2(;(cm) 점 M은 직각삼각형 ABC의 외심이므로 A’M”=B’M”=C’M” ∴ BC”=2_;2(;=9(cm) 따라서 △ABC에서 AB”="√9¤ -5¤ =2'1å4(cm) A G M B C 5`cm 3`cm

참조

관련 문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용돈이 많으므로 용돈이 가장 많은

또, 조건 ㈏에서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4개이므로 조건 을 모두 만족하는

미지수 2개를 곱한 xy항이 있으므로

내가 생각하기에 요즘 아이들은 내가 학교 다닐 때보다도 더 많은 공부를 하고 있다.. 공부 하는 시간도 많아진 것 같고 , 수면의 시간이

표준편차는 자료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흩어져 있는가를 나타내 는 산포도 중 하나이며 그 값이 클수록 평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성적이 고르지

산포도는 변량들이 평균 주위에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표준편차가 클수록 산포도는 커지고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멀리 흩어져 있음을

표준편차는 자료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흩어져 있는가를 나타내 는 산포도 중 하나이며 그 값이 클수록 평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성적이 고르지 않다는

예외라면 정말 한국인이 없는 지역 (그런 지역에 한국인이 다닐만한 어학원이 있 을지도 의문이지만)에 가서 철저하게 영어로만 서바이벌을 하기로 한다든지, 원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