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녹차 수급안정 및 경쟁력 제고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녹차 수급안정 및 경쟁력 제고방안"

Copied!
1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08-10 | 2008. 3.. 녹차 수급안정 및 경쟁력 제고방안. 박 이 김 안. 문 문 성 병. 호 호 용 일. 연 구 위 원 연. 구. 원. 경상대교수 경상대교수.

(2) 연구 담당 박문호 이문호 김성용 안병일. 연구위원 연구원 경상대 교수 경상대 교수. 연구 총괄 현황 및 설문분석 녹차수급분석 총괄 녹차수급분석.

(3) i. 머 리 말. 녹차산업은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세계적인 웰빙문화의 확산으로 소비가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지역특화산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 다. 특히, 녹차산업은 단순한 녹차의 생산만이 아니라 차를 원료로 하는 다양한 가공상품 개발, 다원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상품화, 차에 담겨져 있는 문화 및 교육적 가치 등 산업연관 효과가 크다. 따라서 차 산업은 1차, 2차, 3차산업을 포괄하는 종합산업으로서 국민경제적 위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차 산업의 확장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도 동시에 노 출되고 있다. 우리나라 차산업은 중국, 일본 등 차산업 선진국에 비하여 산업경 쟁력이 아직 취약한 상황에서 시장개방의 파고에 직면하고 있다. 차 생산․유 통․소비기반이 아직 취약한 상황이고 특히, 산지 실생묘 중심의 무분별한 재 배면적 확대는 향후 우리나라 녹차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수급 불안정을 야기하여 안정적인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위해요 소가 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향후과제를 진단하여 안정적인 산업발전 의 방향과 정책추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장개방에 따른 녹차의 수급 전망과 적정재배면적, 주요 녹차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한 산업의 경쟁력 확보방 안에 주안점을 두고 정리하였다. 이 보고서가 우리나라 녹차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및 차산 지의 향후 계획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신 차 산업계, 농림수산식품부 및 농협중앙회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 2008.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정 섭.

(4) iii. 요. 약. 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녹차의 수급안정화 및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녹차의 수급 예측 및 생산, 가공, 유통, 문화 각 산업단계의 실태분석을 토대로 녹차의 수급안정 및 산업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음. 2. 연구내용 ○ 우리나라의 녹차 산업은 웰빙 바람과 함께 생산, 소비 면에서 매년 두자리 숫자의 성장을 해오고 있음. 그러나 최근 시장개방의 확대, 유통여건 및 소 비패턴의 변화 등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변화하면서 국내녹차의 수 급안정이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 2006년 재배면적은 3,692ha로 이 중 8년생 미만의 유목이 전체 다원의 62.2%를 차지하고 있어 현 추세대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유목이 성목이 될 경우 향후 생산량은 급속히 증가할 전망이며 수급불균형이 심화 될 것 으로 판단됨. ○ 녹차 가공은 생엽을 1차 가공하는 황차(원료차) 가공과정과 황차(원료차)를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2차 가공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주) 태평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 과정을 산지 가공시설에서 일체적으로 가 공하는 자원자제 통합경영 형태를 취하고 있음. 이러한 영세업체 단위의 자 원자제 가공은 품질의 균질성 및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제품개발을 어렵게 함으로서 소비확대 및 새로운 소비수요 창출을 어렵게 하고 있음. ○ 녹차 가격은 2000년대 이후 비교적 안정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티백 등 저.

(5) iv 급품의 경우는 최근 녹차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약검출로 소비가 급감 하면서 2007년 생엽 수매가격이 폭락하는 현상을 보임. ○ 제품 유형별 녹차시장의 동향을 보면, 현미녹차가 60%, 순수녹차가 40% 정 도로 시장을 점하고 있고, 현미녹차의 비중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 며, 판매액의 85%를 태평양, 동서, 녹차원 등 대기업이 차지하고 있음. ○ 녹차 수입은 2007년 3kg 이하 포장된 수입녹차 0.6%를 제외한 나머지 99.4%가 기타녹차 및 홍차, 반 발효차, 기타홍차 등으로 수입되고 있는 반 면 수출은 2006년에 비해 약 46% 감소하였으며 3kg 이상의 녹차제품을 비 롯해 모든 녹차제품의 수출이 큰 폭으로 하락함. ○ 이렇듯 녹차산업이 당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은 점차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 됨. 따라서 녹차산업의 현재와 앞으로의 모습을 전망해보고 그에 따른 대응 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음. ○ 녹차 수급 전망을 위해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는데 첫 번째 시나리 오에서는 1인당 녹차 소비량 추세와 기계화 진전 및 영양번식용 품종의 육 종 확산에 따른 단수증가 추세, DDA협상에 따른 관세감축 등을 고려할 때 적정한 녹차재배면적이 어느 정도가 되겠는가에 주안점을 두어 녹차 수급 전망을 수행하였음.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최근 협상추진인 검토되고 있 는 한⋅중 FTA 협상에 따른 관세감축을 고려할 때 수급 및 녹차의 가격이 어떻게 전망되고 이에 따른 적정 재배면적이 어느 정도인가에 초점을 맞추 어 분석을 하였으며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지자체들이 적정재배면적의 유지 및 관리에 대한 대책이 없이 무분별하게 신규면적을 확대할 경우 그 파급효과가 녹차 시장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함. 네 번째 시나리오에 서는 DDA 협상에 따른 관세감축이 이행되고 동시에 지자체들이 적정 재배 면적를 유지하지 않고 신규면적을 계속 확대할 경우 녹차시장에 나타날 충.

(6) v 격에 대해 분석하였음. ○ 이러한 시나리오별 분석을 통해 한국녹차산업의 모습을 전망하고 그에 따 른 한국 녹차산업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들을 제시하였음. ○ 한국 녹차 수급안정화의 기본방향은 첫째, 녹차 관측사업 및 지자체별 녹차 재배면적 계획 재검토 등을 통한 적정 재배면적 유지와 둘째, 주산지별 차 수급조절 기구구성 등을 통한 자율적인 수급조절 기반을 구축하며, 셋째, 수 입녹차에 대한 원산지 단속강화, 현미 녹차 등 차 조제품에 대한 관리강화, 수입차에 대한 안전성 관리 강화와 같은 수입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임. ○ 녹차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친환경 고품질 녹차 생산 및 유통기반 의 조기구축과 지역다업의 주체육성 및 기능적인 공동공장 확보를 통한 황 차 가공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또한 다양한 소비생활의 변화에 맞춰 특색있 는 차산지 육성이 절실하며 고품질 녹차시장의 확대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녹차 소비촉진 교육과 홍보가 필요함. 세계적으로 녹차의 소비가 크게 증대 될 것에 대비해 세계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마케팅의 추진이 요구됨..

(7) vi Abstract. A Strategy to stabilize the domestic market an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green tea industry. The green tea industry in Korea has been growing steadily in the last 10 years as consumers are laying more stress on well-being of themselves. However, due to the recent wider market opening and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the 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is in great dang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strategi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and to stabilize the domestic market as well. In Korea, the area to grow green tea leaves has been expanded about four times and the production has increased more than five times during the last ten years. China experienced 1.3 times increase of growing area and 1.7 times increase of production during the same period. Meanwhile, in Japan, the area has decreased and the production was about the same. All the major green tea leaf growing countries in Asia has struggled to expand their tea industries. There are four basic rules suggested by us to follow in order to result in more stable tea industry in Korea. First, the size of tea growing area should be controlled properly based on long-term projection of the market by the local government with major tea growing producers. Second, in each growing district, it is necessary to set up organizations consisting of representatives of producers that will control the supply of tea leaves by themselves. Third, in aspect of food safety, it is required to have extensive supervision of import tea products in terms of origin and agricultural practice. There are various tasks to fulfill to improve he competitiveness of Korean tea industry. It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good quality of tea leaves that are of course produced environment friendly. We also need to foster business activities of core entities in local regions and encourage them to cooperate forward to build a fermented tea processing system. To facilitate high quality tea consumption, along with systematic education of tea serving and promotion of tea consumption, each tea producing district needs to have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to be distinguished to each other..

(8) vii Instead of trying to stay and be protected within the acquainted domestic market, our green tea producers are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high quality product then carry out an aggressive global marketing to challenge world producers.. Researchers: Park, Moon-Ho, Kim, Sung-Young, An, Beung-Il and Lee, Moon-Ho Research period: 2007. 8. - 2008. 3. E-mail address: mhpark@krei.re.kr, sungyoung@gnu.ac.kr, ahn@gnu.ac.kr, mhlee@krei.re.kr.

(9) ix.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2 3. 연구 방법 ······································································································ 2 4. 주요 연구내용 ······························································································ 3 제2장 국내 녹차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1. 녹차 생산부문 ······························································································ 5 2. 가공․유통부문 ···························································································· 8 3. 수출입 현황 ································································································ 16 4. 소비동향 ······································································································ 23 제3장 녹차수급 및 적정재배면적 전망 1. 시나리오의 설정 ························································································· 39 2. 시나리오별 분석결과 ················································································· 41 제4장 주요 녹차 생산국의 동향 1. 중국 ············································································································· 55 2. 일본 ············································································································· 71 3. 대만 ············································································································· 76 제5장 한․중․일 녹차산업의 경쟁력 비교 1. 생산 측면 ···································································································· 90 2. 유통 측면 ···································································································· 93.

(10) x 3. 소비 측면 ···································································································· 96 제6장 한국 녹차산업의 발전방안 1. 수급안정화 방안 ······················································································· 105 2. 산업경쟁력 제고방안 ··············································································· 108 3. 주산지 녹차 신활력사업 추진방안 ························································ 114 부 록 1. 수급전망 시뮬레이션 모형 ······································································ 120 2. 일본의 잔류농약 허용기준 ······································································ 134 참고문헌 ············································································································ 143.

(11) xi. 표 차 례. 제2장 표 2- 1. 국내 녹차 재배면적 및 생산량 ····················································· 5 표 2- 2. 차나무 樹齡별 다원면적(2006년) ·················································· 6 표 2- 3. 지역별 차 재배현황(2006년) ·························································· 7 표 2- 4. 국산녹차 재고현황 ·········································································· 7 표 2- 5. 연도별 녹차가격 변동추이 ··························································· 10 표 2- 6. IPC별 특허 기술 현황 ·································································· 12 표 2- 7. 우리나라 음료시장 현황 ······························································ 13 표 2- 8. 우리나라 녹차시장 현황 ······························································ 14 표 2- 9. 녹차를 이용한 제품 및 특징 ······················································· 15 표 2-10. 수입녹차 양허 TRQ와 관세율 ···················································· 17 표 2-11. 우리나라 국가별 차종별 수입량(2006년, 2007년) ···················· 18 표 2-12. 차종별 수입실적 비교 ·································································· 18 표 2-13. 우리나라 국가별 차종별 수출량(2006년, 2007년) ···················· 19 표 2-14. 우리나라 차종별 녹차 수출실적 비교 ········································ 20 표 2-15. 녹차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인식(2002년 조사결과와 비교) ····· 24 표 2-16. 과거 5년 대비 녹차의 소비수준 (2002년 조사결과와 비교) ··· 25 표 2-17. 과거 5년 대비 연령별 캔녹차 개인소비량 변화 ····················· 25 표 2-18. 향후 녹차의 소비전망(2002년 조사결과와 비교) ······················ 26 표 2-19. 녹차음용회수 비교 ········································································ 27 표 2-20. 녹차음용형태별 평균비율 ····························································· 28 표 2-21. 녹차의 구입용도별 평균비율 ······················································· 28 표 2-22. 차 종류별 구입장소 ······································································ 29 표 2-23. 녹차 구입시 우선적 고려사항 ····················································· 29.

(12) xii 표 2-24. 우리나라 녹차의 만족도 평가 ····················································· 30 표 2-25. 잎차의 평균 구입가격 ·································································· 31 표 2-26. 잎차의 시중가격에 대한 소비자 의견 ········································ 31 표 2-27. 녹차 구입시 선호 브랜드 유무 ··················································· 32 표 2-28. 중국차 구입의향 ············································································ 32 표 2-29. 일본차 구입의향 ············································································ 33 표 2-30. 한국, 중국, 일본의 녹차 경쟁력 평가 ········································ 34 표 2-31. 녹차에 대한 정보를 얻는 출처 ··················································· 35 표 2-32. 다원 방문경험 ··············································································· 36 표 2-33. 다원방문 장소 및 횟수 ································································ 36 표 2-34. 재방문을 원하는 다원 ·································································· 36 표 2-35. 재방문을 희망 응답자 중 다원을 다시찾고 싶은 이유 ··········· 37 표 2-36. 다원 방문시 관심 가는 녹차체험 프로그램 ······························ 37 표 2-37. 국산 녹차소비증가를 위해 필요한 것 ········································ 38 제3장 표 3- 1. 녹차 수급전망 및 파급영향 분석에 사용된 시나리오 ············· 40 표 3- 2. DDA협상(안)에 따른 관세감축 시나리오 ·································· 45 표 3- 3. 녹차의 단수전망 ············································································ 46 표 3- 4. 녹차 수급 및 가격 전망(제 1 시나리오) ··································· 47 표 3- 5. 한․중 FTA 협상(안)에 따른 관세감축 시나리오 ···················· 49 표 3- 6. 녹차 수급 및 가격 전망 ······························································ 50 표 3- 7. 재배면적의 확대에 따른 녹차의 수급전망 ································ 52 표 3- 8. 재배면적의 확대와 DDA 협상의 관세감축에 따른 녹차의 수급 전망····· 54 제4장 표 4- 1. 중국시장에서 고급차가 전체 차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 57 표 4- 2. 중국 본토의 지역별 차 산업(2006) ·············································· 60.

(13) xiii 표 4- 3. 중국의 비 오염 차의 중금속과 제초제 MRL (MOA, 2004) ··· 66 표 4- 4. 일본 녹차 생엽 생산량(2006) ···················································· 71 표 4- 5. 일본 녹차 생엽 생산자 가격 변화 ············································ 71 표 4- 6. 일본 녹차의 수익성 (2004) ························································· 72 표 4- 7. 일본 내 녹차 생산 및 소비 변화 ··············································· 73 표 4- 8. 차 생산 주요 지역에서의 “야부기다”의 비율(2004) ················ 74 제5장 표 5- 1. 최근 10년간 한․중․일의 차 재배면적과 생산량 변화 추이 ···· 91 표 5- 2. 한․일 차잎의 10a당 생산비 및 소득비교 ································ 91 표 5- 3. 한중일 녹차의 건엽 품질별 농가 판매 단가비교(2006) ·········· 92 표 5- 4. 한국 녹차산업의 재배분야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 93 표 5- 5. 한국과 일본의 녹차 평균소비자 가격 비교 ······························ 95 표 5- 6. 한국 녹차산업의 유통분야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 96 표 5- 7. 미국의 시장 동향 ·········································································· 97 표 5- 8. 러시아의 시장 동향 ······································································ 97 표 5- 9. 유럽의 차 시장 동향 ···································································· 97 표 5-10. 중국의 주요 차 지역 브랜드 ······················································· 98 표 5-11. 일본의 녹차의 지역 브랜드 ························································· 98 표 5-12. 외국에서의 차관련 약제 규제 현황 ············································ 99 표 5-13. 한중일 안전 제품생산을 위한 인증제도 ·································· 100 표 5-14. 잔류농약 허용기준 한․중․일 비교 ······································ 101 표 5-15. 차를 이용한 새로운 수요 ·························································· 102 제6장 표 6- 1. 농업․농촌 체험 프로그램 벤치마킹 사례 운용 시설규모와 방문객 수·· 117 표 6- 2. 농업․농촌 체험 프로그램 벤치마킹 사례 도입시설과 체험프로그램··· 118.

(14) xiv 부 록 부표 1.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파라미터 값 ············································· 128 부표 2. 녹차의 수확비중 및 산지가격 ····················································· 129 부표 3. 녹차 및 관련 차 제품 수입실적 ················································· 129 부표 4. DDA 시나리오에 따른 관세율, 녹차수입가격 및 하락률 ····· 130 부표 5. DDA 관세감축 시나리오별 적정 녹차재배면적 전망 ·············· 131 부표 6. 한⋅중 FTA 시나리오에 따른 관세율, 녹차수입가격 및 하락률 ····· 132 부표 7. 한⋅중 FTA 관세감축 시나리오별 적정 녹차재배면적 전망 ···· 133.

(15) xv.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 1. 국내산 녹차의 유통경로 ····························································· 9 그림 2- 2. 국내 음료시장 매출액 추이 ····················································· 12 그림 2- 3. 미국 LA 소재 갤러리아 백화점 차 매장 ······························· 21 그림 2- 4. 미국 LA 슈퍼마켓 차 판매대 ·················································· 22 그림 2- 5 일본 야마모토야마: 16 teabag 제품 ········································ 22 그림 2- 6. 교포매장에 전시된 일본상품 ··················································· 23 제3장 그림 3- 1. 녹차시장의 수급균형 모형 ······················································· 41 그림 3- 2. 수급전망을 위한 시뮬레이션모형의 흐름도 ··························· 43 제4장 그림 4- 1. 중국의 차 재배지 면적과 생산량 추세 ·································· 55 그림 4- 2. 중국의 고급 차종의 생산추세 ················································· 56 그림 4- 3. 중국 차 시장 점유율(녹차, 우롱차, 홍차, 향차, 기타) ········· 57 그림 4- 4. 중국의 연도별 차 생산량 ······················································· 61 그림 4- 5. OTRDC가 허가한 유기농 차의 재배면적과 생산량 ············· 64 그림 4- 6. 중국의 차 음료 생산량 ····························································· 67 그림 4- 7. 1997-2006년 대만 차 수출입 현황 ········································· 77 그림 4- 8. 1997-2006년 대만 총 수입량과 베트남산 차 수입량 ··········· 78 그림 4- 9. 2001-2006년 종류별 차 수입량 ··············································· 78 그림 4-10. 대만의 차 소비현황 ·································································· 80 그림 4-11. 1997-2006년 대만의 1인당 연평균 차 소비량 ······················ 80.

(16) xvi 그림 4-12. 세계 각국 1인당 연평균 차 소비량 ········································ 81 그림 4-13. 차 음료의 원료 차 소비량 ······················································· 82 제5장 그림 5- 1. 중국 차의 유통경로 ·································································· 94 그림 5- 2. 일본차의 유통경로 ···································································· 95 그림 5- 3. 차 소비시장의 변화(전년대비 판매액 성장률 추이) ··········· 103 부 록 부록 그림 1. 원료녹차의 시장균형 ························································ 123.

(17) 1. 제. 서. 1. 장. 론.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 우리나라 녹차산업은 최근 웰빙 무드와 함께 생산과 소비면에서 매년 두자 리 숫자의 성장을 해왔음. - 국민소득 향상, 웰빙문화 확산에 따라 웰빙 식품으로서 녹차의 기능성이 알 려지면서 녹차의 소비가 늘어나 보성, 하동, 제주 등 남부지방에서 녹차산 업이 급속한 성장을 보여 왔음. ○ 그러나 최근 시장개방의 확대, 유통여건 및 소비패턴의 변화 등 산업을 둘 러싼 대내외 여건이 변화되면서 국내녹차의 수급안정이 당면과제로 대두되 고 있음. - 2000년대 이후 국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로 녹차소비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고 이로인해 많은 농가에서 경쟁적으로 차 산업에 뛰 어 들면서 최근 10년간 녹차산업의 규모가 400%이상 증가함. - 또한 양적 성장에 치우쳐 재래종과 경사지 다원 등 경쟁력이 낮은 다원의 분포가 증가함. - 생산의 급속한 증가, 녹차의 소비형태가 잎차에서 원료함량이 낮은 음료로.

(18) 2 전환되고, 저관세의 혼합녹차의 수입이 증가되면서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 급 불안요인이 점증되고 있음. - 특히, 녹차는 영년생 작물로서 최근 식재면적이 늘어나 유목이 과반수 정도 를 점하고 있어, 공급과잉으로 인한 국산녹차의 재고누적이 가중될 전망임. ○ 녹차는 단순한 1차산업이 아니라, 다양한 가공, 관광 및 문화와 연계되어 산업연관효과를 높일 수 있는 6차산업(1차+2차+3차)으로서 산업의 전망이 매우 밝다고 판단됨. - 생산위주의 단순 농업에서 고품질화, 안전성 강화, 마케팅 제고, 웰빙산업 연계 등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농산업 구조로 전환 필요. 2.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수급안정화 및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녹차의 수급예측 및 생산, 가공, 유통, 문화 각 산업단계의 실태분석을 토대로 녹차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방안을 모색 - 국산녹차의 소비저변을 확대 및 녹차의 수급안정화 방안 - DDA/FTA 등 시장개방 확대에 따라 경쟁력 있고, 외국산 녹차와 차별화될 수 있는 녹차산업 발전 방안 강구. 3. 연구 방법. ○ 문헌 및 통계조사 - 선행연구의 검토.

(19) 3 - 한․중․일 녹차관련 통계 분석 ○ 현지 실태조사 및 전문가 간담회 - 주산지 농가 및 제다업체 실태조사 및 의견수렴 - 산업 부문별 전문가 간담회 추진 ○ 수급전망 분석 -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수급전망 - 시장개방 및 재배면적 변화에 대응한 시나리오 설정 ○ 소비자 실태조사 - 차 문화 교육단체에 의뢰하여 수도권 소비자 200인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소비실태 및 소비의향조사 실시. 4. 주요 연구내용 4.1. 녹차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 생산단계: 품종개발, 재배기술, 생산비, 농가소득 ○ 가공단계: 가공상품, 가공시설 ○ 유통․소비단계: 유통경로, 가격형성, 브랜드, 소비패턴 ○ 수출․입: 수출․입 현황과 실태. 4.2. 시장개방하의 녹차의 수급전망 ○ 시장개방 시나리오별 녹차의 수급 전망.

(20) 4 ○ 시장개방에 따른 국내영향분석 ○ 국내 녹차 적정 재배면적. 4.3. 녹차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분석 ○ 한․중․일 산업경쟁력 분석 ○ 한․중․일 녹차산업의 경쟁력 구조와 시사점. 4.4. 녹차수급안정 및 경쟁력 제고방안 □ 녹차의 수급 안정화 방안 ○ 국산녹차의 수급 안정을 기하기 위한 국산녹차의 시장 확대 및 재배면적 조 절, 수입녹차의 적정관리체계 확보 등을 통한 대책방안 마련 □ 녹차산업의 발전방향 ○ 녹차산업 문제점 분석과 연계, 경쟁력 있는 지역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녹 차산업 발전방향 제시 □ 산업 육성 정책방안 ○ 녹차산업의 기초 인프라 정책방안 - 품종, 재배기술등 기초 인프라 구축방안 ○ 주산지 녹차 신활력 사업 추진방안 - 보성, 하동, 제주 등을 핵으로 한 차산업 발전모델 개발.

(21) 5. 제. 2. 장. 국내 녹차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1. 녹차 생산부문. ◦ 녹차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성장작목임. - 국내 녹차재배는 1990년대 이후 본격화 되었는데, 1990년 448ha 에서 2006 년 3,692ha로 8.2배 증가했으며, 생산량은 같은 기간 296톤에서 4,080톤으 로 13.7배 증가하였음. 표 2-1. 국내 녹차 재배면적 및 생산량 구 분.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t). 1990년. 448. 66. 296. 2000년. 1,503. 95. 1,434. 2003년. 2,225. 92. 2,053. 2004년. 2,509. 108. 2,703. 2005년. 3,042. 108. 3,309. 2006년. 3,692. 110. 4,080. 주: 10a당 수량 및 생산량은 황차 기준임. 자료: 농림부.

(22) 6 ◦ 최근 재배면적의 증가로 2006년 재배면적 중 8년생 미만의 유목이 전체 다 원면적의 62.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현 추세대로 재배면적 이 증가하고 유목이 성목이 될 경우 향후 생산량은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표 2-2. 차나무 樹齡별 다원면적(2006년) 유목원. 다원 전체. 성목원. 면적(ha). 3,692. 1,397. 133. 295. 42. 358. 284. 533. 650. 2,295. 비율(%). 100.0. 37.8. 3.6. 8.0. 1.1. 9.7. 7.7. 14.4. 17.6. 62.2. 구분. 7년생 6년생 5년생 4년생 3년생 2년생 1년생. 계. 주: 정상 수확이 가능한 성목이 되기 위해서는 식재 후 8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 자료: 「농림통계」로부터 유추하여 계산. ◦ 지역별로는 보성을 중심으로 한 전남, 하동을 중심으로 한 경남이 주산지임1. - 새로운 산지로 제주도의 재배면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기타 정 읍, 구례, 고창 등지에서 녹차재배면적이 나타나고 있음. 정읍의 경우 최근 193ha의 녹차생산단지를 조성하여 2008년부터 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이에 따라 2005년 이후 녹차의 재고가 발생하고 있어, 향후 수급의 불균형 이 심화 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최근 녹차의 농약사용기준치 초과 검 출로 인하여 소비도 위축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음. - 원료재고량이 2005년 130톤, 2006년 900톤으로 늘어나는 추세임.. 1 현재, 보성, 하동 지역은 지역을 범위로 하여 녹차 산업을 구성하는 주체들이 서로 긴밀한 협력과 학습을 통하여 농업과 산업․관광문화를 접목한 신활력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23) 7 표 2-3. 지역별 차 재배현황(2006년) 단위: %. 구분. 면적(ha). 생산량(M/T). 전남. 1,911 (51.8). 2,451 (60.1). 경남. 1,186 (32.1). 786 (19.3). 제주. 307 (8.3). 613 (15.0). 기타. 288 (7.8). 230 (5.6). 전국. 3,692 (100.0). 4,080 (100.0). 1). 주: 1) 기타 산지 면적은 전북 268ha, 충남 4ha, 광주 16ha 등임. 자료: 농림부. 표 2-4. 국산녹차 재고현황 단위: 톤. 년도. 전국 합계. 보성. 하동. 구례. 순천. 광양. 기타. 2005년. 130. 50. 30. 10. 20. 10. 10. 2006년. 900. 350. 300. 30. 50. 20. 150. 자료: (주) 장원산업. ◦ 영농규모면에서 보면, 2006년 현재 농가호수 및 호당재배면적은 각각 5,244 호, 0.70ha임. - 주산지의 호당 영농규모를 살펴보면 보성 0.7ha, 하동 0.5ha, 제주3.4ha로 서 특히 하동지역의 경우 영농규모가 매우 영세함을 알 수 있음. - 주산지 다원의 생산기반이 일부 다원을 제외하고 대부분 산지를 개간하여 차밭을 조성한 곳으로 대부분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어 기계화가 어려워 경영상 애로점이 많음. ◦ 차나무 품종은 재래종 위주로 일본도입종 “야부기다(數北)” 등이 일부 재배 되고 있으며 품종개발 부문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있음. - 국내 품종개발은 1992년 전남농업기술원 차 시험장에서 개발에 착수하여 2001년 3개품종이 개발된 이래 2003년 7개 품종을 개발을 완료하였음..

(24) 8 - 보성에서는 올해부터 개발품목인 “참녹”의 농가 시범재배가 이루어질 계획 이며, 본격적인 농가보급은 201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2005년부터 농촌진흥청 목포시험장이 차를 담당하는 국가시험장으로서 기 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 품종 개발단계에 머물고 있음. ◦ 녹차원료인 생엽은 수확시기가 빠를수록 고급녹차로 분류되며 수확시기에 따라 첫물차, 두물차, 세물차 (혹은 가을차) 등으로 나눔. 첫물차는 고급 잎 차의 원료로 쓰이는데, 수확시기가 빠른 순서대로 우전, 세작, 중작, 대작 등 으로 나뉨. ◦ 수확시기는 경남 하동을 기준으로 할 경우 첫물차는 4월 초순부터 6월 까지 수확이 이루어지는데, 주로 잎차용으로 가공되고 있음. - 수확시기가 빠를수록 고급품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우전은 4월5일~4월20 일, 세작은 4월20일~5월10일, 중작은 5월10일~5월말, 대작은 5월말~6월 말에 수확된 녹차임. - 두물차는 7~8월, 세물차는 9~10월경에 수확이 이루어지며, 주로 녹차티 백, 음료, 가루녹차의 원료용으로 가공되고 있음. ◦ 첫물차, 두물차, 세물차의 평균적인 수확비중은 첫물차가 30%정도이며 두 물차와 세물차는 각각 30%, 40%정도의 비중으로 수확됨.. 2. 가공․유통 부문 ◦ 녹차 가공은 생엽을 1차 가공하는 황차(원료차) 가공과정과 황차(원료차)를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2차 가공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주) 태평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 과정을 산지 가공시설에서 일체적으로 가 공하는 자원자제(自園自製) 통합경영 형태를 취하고 있음..

참조

관련 문서

기본 임무 - 공공질서유지 및 범죄행위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기본 임무 - 공공질서유지 및 범죄행위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치안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 시골 지역에서는 순간 고장의 파급이 크겠지만, 신뢰도 해석의 기본 개 념에서는 MAIFI 지수에서와 같이 이 두 가지 고장을 동일하게 해석함 념에서는 지수에서와 같이

경매는 높은 가격을 쓴 입찰자가 낙찰 받으며, 같은 금액일 경우에는 추첨에 의해 낙찰 자가 결정된다.. 빌딩 주인의

단기적 피해보전(피해보전직불 및 폐업지원)에 6% 정도가 쓰이고 나머지는 경쟁력 강화와 농업

높은 수수료로 인한 진입장벽이 해소될 경우 TV홈쇼 핑은 판매와 홍보를 겸할 수 있어 영세한 농식품업체와 농민의 효율적인 판로가 될 수

[r]

자연 생명체 및 물질의 기본 구조 원리 및 메커 니즘을 모방 응용하여 공학적으로 활용.. - 자연계 -> 수맋은 시갂동안

학습목표 : 산과 염기의 두 가지 모형 및 짝산-염기 쌍의 연관성에 대해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