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Copied!
20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보고. R711 | 2013. 12..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최 병 옥 연 구 위 원 김 병 률 선임연구위원 이 기 현 위촉연구조원.

(2) 연구 담당 최 병 옥 김 병 률 이 기 현. 연 구 위 원 선임연구위원 위촉연구조원.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집필 제3장, 제4장, 제5장 집필 제2장, 제3장 집필.

(3) i 머 리 말. 최근 농식품 안전 안심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대, 친환경 학교급식 등의. 실시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확대되어 왔다. 또한 향후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존의 친환경농산물 유통은 생활협동조합이 개별 소비자에게 직거래 방식으로 판매해 왔고 이후 대형유통업체와 같은 유통주체도 계약재배, 매. 취를 통하여 원물을 수집하고 이를 매장에서 판매해 왔다. 그러나 지금의 친환경농산물 생산물량 증가분을 기존 유통경로에서 전부 처리하는 것에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의 지속적 생산과 소비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체계 정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기존 유통경로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 현황, 문제점,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 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조사에 성실하게 응해주신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소비자, 가락시장 중도매인과 연구에 도움을 주신 친환경농산물 유통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친환경농산물 유통 실태와 도매시장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며 관련 농업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이 되기를 바란다.. 2013.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4)

(5) iii 요. 약. 연구의 배경 농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생 산 및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과거 친환경농산물은 조직화된 생활 협동조합이 개별 소비자에게 직거래 방식으로 판매하였기 때문에 도매시 장 등의 일반적인 유통경로에서 취급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친환경농 산물은 농식품 소비가 확대되면서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일반적 유통경로 의 취급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의 지속적 생산과 소비확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기존 통계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출하자, 도매시장 법인 및 중도매인,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통계분석, 계량분석을 실시하였다.. 2장은.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실태와 정책을 분석하는 데 있어 기존. 통계자료, 선행연구, 가격자료, 생산자 및 소비자 조사 자료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3장과 4장은 중앙 및 지방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도매유통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도매시장 관련 통계자료, 면담 및. 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5장은 중앙 및 지방도 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와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 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 조사, 국내 사례, 유통업체 면담조사 사례 등을 활 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 먼저 친환경농산물 유통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유통경로별 비중을 조사.

(6) iv 하였다. 조사결과 생산자가 출하한 친환경농산물은 산지유통인과 생산자단 체 또는 식품가공업체 및 식자재 업체와 인터넷 쇼핑몰, 대형유통업체, 생. 협, 소비지 직판장, 수출 등의 경로를 통해 유통되고 있었다. 그중 소비지 유통의 경우 대형유통업체 및 프랜차이즈 전문매장의 유통 비중이 나타났으며 일반 슈퍼 및 소매점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7%,. 생협이. 47%로. 14.6%의 점유율을 차지. 생산자 및 소비자 조사결과와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비중분석 결과 를 이용하여 생협, 도매시장, 대형유통업체 유통경로를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도매시장의 취급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농 가수취 가격과 높은 유통마진으로 생산자, 소비자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현황을 파악한 결과 도매시장 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문제점은 출하주체, 도매시장 내 취급체계 및 시설, 안전성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은 기본 원 칙하에 단기 및 중장기로 구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도 매시장의 소비지 분산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산지-도매시장-소. 비지’를 연계한 안전성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도매시장의 친환경농. 산물 취급 활성화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거래제도 다양화, 친환경농산물 전문취급 법인 및 중도매인 등을 육성해야 한다.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이 친환경농산물 특성과 유통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친환경농산물 거 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 화가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유통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도매시장 유통 구조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여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친환경농산 물 생산 및 도매시장 유통 과정에서 안전성 체계가 우선적으로 확보되어 도매시장에서 취급하는 친환경농산물이 소비자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 다. 중장기적으로는. APC를. 중심으로 친환경농산물 출하체계를 구축하여. 도매시장 출하체계를 포함하여 생협, 대형유통업체 출하가 효율적으로 이.

(7) v 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동시에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사업 일 정에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취급 전용공간 확보와 친환경농산물 취급 전문 법인 및 중도매인을 육성하여야 한다..

(8) vi ABSTRACT. Activation Measures of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Wholesale Market Background of Researc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s consumers’ keen interest in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risen. Since organize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sold thei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irectly to independent consumers in the past, the general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wholesalers had difficulty in handling these products. However, the ratio of distribution via wholesale channel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s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s expanded. In order to contribute to continuo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expansion, the handling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wholesale markets shall be reorganized.. Methods of Research This study is to address vitalization of wholesale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gathering previous statistical data and analysis.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conducted by utilizing surveys on forwarders, wholesale corporations, intermediate wholesalers, and consumer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second chapter,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relevant policie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analyzed by utilizing previous statistics, advanced researches, information on prices, and information on investigation of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wholesale market related statistics and interviews and surveys are utilized to identify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wholesale.

(9) vii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central and rural wholesale markets. In the fifth chapter, investigation on producers and consumers, previous best practices, interviews with distribution companies were used to propose activation measures of wholesale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relevant political measur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ly, the relative weight for each distribution channel is researched to identify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s a result, the products producers ship are distributed through dealers at producers sites, producers cooperatives, or food processing companies, food companies, internet shopping malls,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consumer groups such as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direct outlets at consumers sites, or exports. Among the channels, the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and franchised special shops account for 47%, the general supermarkets 15.7%, an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14.6% respectively. By utilizing the research results o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e distribution weight by channel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wholesale markets, and large scale distribution companies a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even though the weight of wholesale market’s handling the product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level of produce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m is the lowest due to the low selling price for producers and high distribution margins. Next, as a result of identifying current situation of wholesale market’s handl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issues for the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followings; main agents of shipping, handling system and facilities in wholesale markets, and safety. Therefore, the measures for vitalizing wholesale dis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all be continuously promoted in the short and mid/long term under the following fundamental principles. First, wholesale markets need to diversify locations of consumers sites. Second, the safety system that producing sites, wholesale markets, and con-.

(10) viii sumers sites are properly associated needs to be established. Third, the trading system needs to be diversified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sures for vitalizing wholesale dis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hi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pecialized companies and intermediate dealers shall be promoted. Handl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wholesale markets sha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and changes in distribution environment to contribute to vitalized trading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the government shall promote to vitalize wholesale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wholesale marke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improv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as well. In the short term, the consumer trust on the products shall be secured by primarily establishing safety system in the circle of distribution for producers and wholesale markets. In the mid/long term, the shipment to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and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shall be effectively made by establishing a shipment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ing centered by APC. In the mean time, specialized space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wholesale markets need to be secured as per the schedule of facility modernization business whi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pecialized companies and intermediate dealers need to be promoted.. Researchers: Byung-ok Choi, Byeong-Ryul Kim, Kee-Hyun Lee Research Period: 2013. 1 2013. 12 E-mail address: bochoi@krei.re.kr. ∼.

(11) ix 차. 례. 제1장 서 론 1. 2. 3. 4. 5.. 연구필요성 ····························································································· 1 연구목적 ································································································· 4 선행연구 검토 ························································································ 5 연구 내용 ····························································································· 14 연구 범위 및 방법 ·············································································· 16. 제2장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경로별 비중 및 특성과 도매시장의 역할 1. 2. 3. 4.. 친환경농산물 시장 변화와 도매시장의 역할 ··································· 21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비중 ························································· 24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특성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비교. 33 분석 ················································ 38 ·······················································. 제3장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거래동향과 취급실태 1. 2. 3.. 공영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현황 ·········································· 51 가락동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취급현황 ········································ 64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 조사. ··················································. 78. 제4장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문제점과 과제 1. 2. 3..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전문 출하 조직 부재 ································· 92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체계 부족 ······································· 93 안전성 문제 ······················································································· 104.

(12) x. 제5장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1. 2..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 109 정책적 제언 ······················································································· 123. [부록 1]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조사표 ··············································· 127 [부록 2] 친환경농산물 소비에 관한 조사 ········································· 157 [부록 3] 친환경농산물 유통 활성화에 대한 설문조사 ···················· 173 참고 문헌 ································································································· 185.

(13) xi 표 차 례. 제1장 서 론 표 표. 1-1. 1-2..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소비자, 중도매인 조사 개요 ·························· 18 위탁연구 활용 현황 ··············································································· 19. 제2장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경로별 비중 및 특성과 도매시장의 역할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친환경농산물 시장 규모와 생협과 도매시장의 취급액 증가 추이 ·· 22 친환경농산물 생산자의 출하처가 다양한 이유 ································ 23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조사대상 농가 수 ··········································· 25 친환경농산물 품목별 재배방식 현황 ················································· 25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주요 출하처 ····················································· 26 조사 대상 소비자 거주지역 ································································ 27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주요 구매처 ····················································· 27 유통경로별 비중 추산 근거 ································································ 28 친환경농산물 주요 출하처 및 유통경로 비교 ·································· 32 친환경농산물 취급주체별 유통방식 ··················································· 33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거래실적 추이 ············································· 37 출하처별 장단점 ··················································································· 40 구매처별 장단점 ··················································································· 41 상추, 토마토, 딸기, 사과, 감귤의 가격실태 ····································· 44 유통경로별 소매가격 수준 비교 ························································ 44 유통경로별 농가수취가격 수준 비교 ················································· 45 주요 유통경로별 유통마진율 비교 ····················································· 46 친환경농산물 주요 유통경로별 평가표 ············································· 47 친환경농산물 생산자의 도매시장 출하 이유 ···································· 49.

(14) xii. 제3장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거래동향과 취급실태 3-1. 32개 공영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거래실적 ·································· 53 표 3-2. 2012년 10개 공영도매시장별 친환경농산물 거래실적 ···················· 54 표 3-3. 공영도매시장의 품목별 친환경농산물 상장거래 물량(10위) ··········· 55 표 3-4. 공영도매시장의 출하주체별 반입량 비중(법정, 민영포함) ·············· 57 표 3-5. 지역별 공영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출하주체별 반입량 ············· 58 표 3-6.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의 반입형태별 거래물량 비교 ············· 60 표 3-7.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의 상장거래 방법별 거래실적 비교 ···· 61 표 3-8.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의 경매 입찰방법별 거래실적 비교 ···· 62 표 3-9. 공영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관련 전문시설 ························· 63 표 3-10. 가락동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거래실적(2012) ······························· 64 표 3-11. 가락동 도매시장과 강서시장의 청과부문 법인별 친환경농산물 취급실적 ································································································ 65 표 3-12. 가락동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월별 반입량(2012) ····················· 66 표 3-13. 가락동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부류별 인증 종류별 반입 실적 ·· 67 표 3-14. 가락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별 반입 실적 ···································· 67 표 3-15. 가락시장의 유기농 무농약 반입 실적 ··············································· 68 표 3-16. 가락동 도매시장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의 거래규모(2011) ····················································································· 69 표 3-17. 가락동 도매시장 법인별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 수 ············· 70 표 3-18. 가락동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취급 전문 중도매인(점포 및 상회 보유) 현황 ········································································································ 71 표 3-19. 가락동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안전성 검사주체별 장단점 ········ 73 표 3-20.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의 점포 및 상회현황 ·························· 75 표 3-21. 가락시장 내 새농마트 현황 ································································ 75 표 3-22. 강서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센터 시설 현황 ················· 76 표 3-23. 강서시장 친환경유통센터 연도별 거래물량 ······································ 77 표 3-24. 강서시장 친환경유통센터의 친환경학교급식 납품처 현황 ············· 78 표.

(15) xiii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조사대상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의 소속법인 ························· 79 조사대상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의 경력 ································ 79 부류별 친환경농산물 취급 인원 ························································ 79 친환경농산물 취급량 및 취급액 평균 ··············································· 80 가락동 도매시장 중도매인의 친환경농산물 주요 출하처 ··············· 80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의 정가 수의매매 도입 및 확대 여부 ··· 81 정가 수의 매매 도입 및 확대에 찬성하는 이유 ······························ 82 정가 수의 매매 도입 및 확대에 반대하는 이유 ······························ 82 가락동 도매시장 중도매인의 친환경농산물 전문적 취급 이유 ······ 84 중도매인의 친환경농산물과 일반농산물 혼합취급 이유 ················· 85 가락동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취급 중도매인 출하처의 불만사항 ·· 85 도매시장 내 친환경농산물 전용거래장소 및 시설의 필요성 여부 ·· 86 도매시장 내 친환경농산물 관련 시설 보완 시 전문적 취급 의향 ·· 86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시설보완 시 전문 취급 의향이 있는 이유 ··· 87 가락동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문제점 ································ 88 가락동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취급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 89 도매시장 운영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 90. 제4장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문제점과 과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 친환경농산물 전체 매출액 중 농협의 취급비율 ······························ 92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의 유형별 생산비 및 소득차이 비교 ·········· 94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의 가격차이 ··········································· 95 가격분석 자료 기초 통계량 ································································ 97 가락시장과 강서시장 친환경농산물 도매가격의 단위근 검정 ········ 98 가락시장과 강서시장의 패널 공적분 검정 결과 ······························ 98 가락시장과 강서시장의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 추정 결과 ············ 99 소비지 대형유통업체의 친환경 농수축산물 구매처 선택 기준 ···· 104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도매시장 거래 시 부적합 적발 건수 ········ 105 가락시장의 연도별 농산물 안전성 검사 실적 ································ 106.

(16) xiv 표. 4-11.. 가락시장의 품목별 부적합 건수 ······················································· 107. 제5장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표. 5-1.. 공영도매시장 기능 재정비 및 시설현대화 내용 ···························· 121.

(17) xv 그 림 차 례. 제1장 서 론 그림. 1-1.. 연구 체계도 ························································································· 14. 제2장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경로별 비중 및 특성과 도매시장의 역할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1. 2-2. 2-3. 2-4..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 21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 ······································································ 31 출하처별 생산자 만족도(5점 만점) ·················································· 39 구매처별 소비자 만족도(5점 만점) ·················································· 39. 제3장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거래동향과 취급실태 그림 그림. 3-1. 32개 공영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실적 ································ 52 3-2. 가락동농수산물 도매시장의 안정성검사 체계도 ···························· 73. 제4장 도매시장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문제점과 과제 그림. 4-1.. 충격반응분석 결과 ··········································································· 100. 제5장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그림 그림 그림 그림. 5-1. 5-2. 5-3. 5-4..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 110 친환경농산물 유통센터에 도매시장 법인 및 중도매인 참여방안 ··· 112 친환경농산물 산지-도매시장 간 안전성 통합관리 체계 ·············· 115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 124.

(18)

(19) 서. 1.. 론. 연구필요성. 농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생 산 및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과거 친환경농산물은 생협(한살림, 아 이쿱 등)의 조직화된 생활협동조합이 개별 소비자에게 직거래 방식으로 판 매하였기 때문에 도매시장 등의 일반적인 유통경로에서 취급하기 어려웠 다. 그러나 최근 친환경농산물은 농식품 안전 안심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 대, 친환경 학교급식 등의 실시로 소비가 확대되면서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일반적 유통경로의 취급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지속적 성장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 2012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약 3조 809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2020년에는 약 7조 4,749억 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된 다.1 경기도, 전남지역을 비롯한 지자체에서도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취급 증대를 목표로 기반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전라남도는 친환경농산 물 생산과 소비확대에 따라 친환경농산물 생산단지 조성 및 급식센터 설립 을 추진하는 등 관련 산업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기존 친환경농산물의. 1. 김창길 등(2013).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 농정포커스 제55호(2013.4.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 제. 장.

(20) 2. 서 론. 주된 유통경로인 생협, 대형유통업체 등의 거래규모도 성장하고 있다. 그 러나 친환경농산물의 지속적 생산과 소비확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친환 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체계가 정비되어야 한다. 도매시장은 전국에서 생 산되는 농산물을 수집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소비지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규모 생산자도 판매를 위탁할 수 있다. 최근 친환경농 산물 생산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기존 친환경농산물 주요 유통경로인 생협의 취급량은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 생산자는 기존 판로 이외에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존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유통은 생산자와 생협 간 계약재배 를 통하여 이루어졌지만 생산자는 계약재배 물량만을 정확히 생산할 수 없 다. 그러므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자는 도매시장을 통하여 계약재배 이외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를 원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농협, 영농조합법 인 등이 보유한 산지유통시설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산물 취급체계가 정비 되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농협, 영농조합법인 등의 생산자 단체는 소규모 생산자의 물량을 수 집하여 도매시장 및 계통출하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기 때문이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이 확대되고 출하단위가 규모화될수록 도매시장 유통 경로 활성화가 중요하다.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농산물은 도매시장의 본원 적 기능에 의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 및 소비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 이 필요하다. 그러나 친환경농산물 생산자는 도매시장이 친환경농산물 취급 확대를 위해서는 도매시장 내 정가 수의 매매 도입 및 활성화, 전문거래 장소 설 립, 유통 및 물류체계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산자는 친. 환경농산물이 일반농산물보다 농자재비,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 성도 낮기 때문에 생산비를 보전하는 일정 수준의 판매가격이 확보되지 않 는 한 지속적 생산이 어렵다고 호소한다. 또한 친환경농산물은 직거래 이 외에 마땅한 판로가 없기 때문에 도매시장에 출하를 의존하지만 일반농산 물에 비하여 고품질임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가격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21) 서 론. 3. 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편 도매시장에서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법인 및 중도매인은 친환 경농산물이 생산과정에서 신뢰성 및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 보되지 않아 일반농산물과 차별화가 어렵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친환경농. 2009년 1,871건, 2010년 2,972건, 있다.. 산물 생산과정에서 인증표시 위반사례는. 2011년 9,151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그리고 소비자는 친환경농산물의 높은 가격과 생산 및 유통과정의 신뢰 성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이 일반농산물에 비해 차별화된 재배방식, 낮은 생산성 때문에 일반농산물에 비하여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구매하지만,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거나 일반농산물과 둔갑 판매되는 사례가 종종 발견되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유통, 소비와 관련된 생산자, 도매시장, 소. 비자의 입장은 상충되고 있다. 생산자는 도매시장을 신뢰하지 못하고 도매. 시장은 생산자를 신뢰하지 못한다. 소비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는 생산자와 도매시장을 신뢰하지 못한다. 소비자는 친환경농산물이 도매시장 을 경유하여 일반 슈퍼 등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직거래 및 대형유통업체를 통한 구매가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 는 협동조합 및 대형유통업체는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토양검사, 잔류농약 검사 등을 철저히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 신뢰를 얻고 있다.. 친환경농산물이 재배면적 증가와 소비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도매시장 내 친환경농산 물 취급방식 변화뿐만이 아니라 안전성 검사 체계 및 유통, 물류체계가 개. 선이 필요하다. 또한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지가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중앙도매시장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방도매시장의 역할도 개선되 어야 한다. 최근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이 확대되면서 지자체가 농협 등의 산지유 통조직과 협력하여 친환경농산물 산지유통센터를 설립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 도매시장도 친환경농산물 도매단계 유통기능 강화 및 신규 소비처 발 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도매시장 내 학교급식센터를 운영하고.

(22) 4. 서 론. 있다. 도매시장이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센터를 운영할 경우 도매시장의. 본원적 기능인 물량수집, 가격결정, 분산 등과 연계가 용이하기 때문에 친 환경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친환경농산물의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는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생산 자, 도매시장, 소비자 간 신뢰를 확보하고 안전 안심농산물의 생산 및 소비 확대를 통하여 우리 농업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다. 또한 친환경농산물은 외국에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저가 농산물 수입이 범람하는 시점에서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보장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수 있는 핵심 산업이다. 그러므로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은 유통체계를 강화하고 친환경 학교급식과 같은 신규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야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친환경농산물이 산지에서 도. 매시장에 출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통 및 물류체계, 안전성 검사체계. 등의 현황과 문제점이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중앙도매시장과 지방도매시 장은 친환경농산물의 거래실적, 가격발견 방식, 유통 및 물류체계, 소비지 분산체계 등과 관련된 현황과 문제점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친환경 농산물 도매유통 관련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을 바탕으로 정부정책 개선방안 과 도매시장 유통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2.. 연구목적. 최근 친환경농산물 생산규모가 빠르게 확대되면서 기존 유통경로의 취 급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농산물 생산자는 친환경농 산물 생산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기 때문에 기존 유통경로 이외에 대규모 물 량을 체계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도매시장의 특성을 활용하여 소비확대에 기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기존 유통경로를 손 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 현황, 문제점, 발.

(23) 서 론. 5. 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출하 비중을 밝히고 유통경로별 출하 특. 성을 비교 분석한다. 최근 친환경농산물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 구하고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물량 및 금액과 관련 된 비중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존 친환경농산물 유통비중이 과거에 비 해 어떻게 변화하였고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체계 개선이 왜 필요 한지에 관한 객관적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현재 친환경농산물의 주요 유. 통경로는 생협, 대형유통업체, 도매시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친환경농산물 주요 유통경로를 대상으로 유통경로별 특성, 가격, 마진, 판매방식 등에 대 한 비교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분석은 친환경농산물 주요 유통경로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친환경농산물 생 산자, 생산자 단체의 생산 및 출하특성에 적합한 유통경로를 선택할 수 있 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친환경농산물 주요 유통경로 중에서 도매시장을 대상으로 친환경. 농산물 취급 체계 및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친환경농산물은 생협 및 대형유통업체가 주로 취급하여 왔기 때 문에 도매시장의 친환경농산물 취급체계는 깊이 있게 분석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도매시장이 친환경농산물 생산규모 확대에 적합한 취급체계를 갖춰 친환경농산물 소비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3..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관련 선행연구는 생산실태 및 시장규모 전망, 소. 비, 유통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생산. 실태 및 시장규모 전망과 관련된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 확대에 따 른 신뢰제고 방안, 친환경농산물 브랜드 개발, 육성 정책, 시장규모 전망.

(24) 6. 서 론. 등의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친환경농산물은 소비실태를 파악하는 선행연 구가 가장 많다. 친환경농산물 소비실태 파악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지불의 사 평가, 선호체계 분석, 소비현황과 소비촉진 방안 등의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친환경농산물 유통관련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를 밝히거나 직거 래 관련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으나 친환경농 산물의 유통경로별 비중, 도매시장 유통 실태 등을 분석하거나 도매시장 기능 활성화, 취급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중앙 및 지방 도매시장이 학교급식에 친환경농산물을 공급하는 실태 및 문제점은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 외국의 친환경농산물 도매유통 관련 선행연구는 주로 일본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일본은 도매시장 중심의 유통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친환. 경농산물을 취급하는 중앙 및 지방 도매시장의 역할,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왔다.. 3.1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규모 전망 김병무 등(2004)은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소비확대에 관한 연구’. 에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행태 분석 및 소비확대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소비확대를 위해. 2.. 친환경농산물 자재판매장 확대. 산물 홍보강화 하였다.. 5.. 3.. 1.. 친환경농산물 신뢰제고. 친환경농산물 가격 인하. 4.. 친환경농. 친환경농산물 포털사이트 구축 등의 5가지 방안을 제시. 김창길 등(2010)은. 2010년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 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은 지속적으로 확대되 고 있으나 친환경 인증제도 변화에 따른 여파로 2009년도 저농약 인증면 적은 감소세로 전환하였다. 친환경 시장규모는 저농약 인증제도가 폐지되 는 2016년 감소추세로 전환되나 2020년에는 농산물시장 거래액의 약 20%.

(25) 서 론. 7. 인 6조. 6,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김창길 등(2012)은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 연 구에서 2011년 기준 친환경농산물 인증단계별 출하량은 유기 19만 912톤 (10.5%), 무농약 91만 5,823톤(50.3%), 저농약 71만 2,493톤(39.2%)이며, 이 중 채소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인증제도 및 육성정책에 대한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시장규모 확대에 대응. 한 유통 및 소비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유기농산물의 고품질화 와 가공식품 생산을 통한 수출전략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2 친환경농산물 소비실태에 관련된 연구 허승욱 등(2004)은 ‘친환경농산물의 지불의사금액 분석과 그린 마케팅. 전략’ 연구에서 그린마케팅 믹스전략으로 상품전략, 가격전략, 유통경로 전략, 촉진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린마케팅 믹스전략 달성방안은 지속가능. 한 농업에 의한 안전한 농산물 및 고품질 농산물 생산, 친환경농업의 환경적. 공익 기능에 대한 가치와 품질의 가격반영, 유통체인의 단순화 및 가격차. 별화 가능한 유통경로 도입, 친환경 농업의 이미지 제고 등을 제시하였다. 안병렬(2005)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구매행태 특성분석’에서 인구통계. 학적 변수 이외의 매체접속, 친환경농산물 인지수준 및 평가기준 등의 새. 로운 영향변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생산방식의 투명화 및 유통시스템의 철저한 관리체계 구축 등을 주장 하였다.. 김창길 등(2005)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와 구매행태를 분. 석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의 가격 프리미엄의 지속가능성 검증 및 실제적 인 기여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친환경농산물 시장가격 프리미엄은 유기농산물, 무농약, 저농약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가 선호하는 적정 가격 프리미엄은 시장가격 프리미엄보다 낮게 나타났다..

(26) 8. 서 론. 김창길 등(2008)은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성향과 마케팅 전략’ 연구에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성향을 분석하고, 소비자의 구매행태를 기초로 생산-. 유통-소비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학교급식 확대, 가공제품 개발, 홍보활동 강. 화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해 구매계층의 세분 화, 브랜드와 준거가격 등의 포지셔닝, 가격프리미엄 인하 등의 방안을 제 시하였다.. 김상오 등(2008)은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인식 및 구매행동에 대한 이. 해’에서 친환경농산물 소비자를 사회경제적 측면, 구매행태, 친환경농산물. 에 대한 전반적 평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소비자의 친환경 농산물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인 친환경농산물 소비행태연구, 저 연. 령층의 친환경농산물 구매촉진전략 모색, 친환경농산물의 가격경쟁력 향상 및 구매 통로의 다원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김충실 등(2008)은 친환경농산물 신뢰제고에 따른 소비의향에 대한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 신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이 정보비대칭성을 해결하는 제도적 장치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력추 적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철저한 품질관리가 전제된 친환경 브랜드 농산물 육성은 소비자 신뢰도 제고 및 소비확대에 도모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유덕기(2008)는 친환경유기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해서 생산과 유통측. 면에서 탄력적이고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소비촉진 전략으로. 1.. 친환경유기농산물에 대한 이미지 제고. 기농업육성지원금의 경제적 효과 추구 파트너 협력체계 구축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4.. 3.. 2.. 친환경유. 생산자와 유통업자의 규모화된. 생산자단체의 연합체제 구축. 5.. 정부의 투자 및. 권오상 등(2009)은 친환경농산물 브랜드 광역화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팔당지역 7개 시군의 친환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인 ‘팔당善’에 대한 소비자의 추가 지불의사를 가상순위결정법(CRM)과 순 위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는 소득수준, 교육수준, 친 환경농산물 구입 빈도 등에 높은 지불의사를 보였다. 특히, 소득이 높고 친.

(27) 서 론. 9. 환경농산물의 구입 빈도가 높은 응답자일수록 광역브랜드에 대한 지불의 사가 높다고 하였다.. 황재현(2009)은 친환경 유기농산물 생산, 유통, 소비시장 현황 분석을 통. 하여 친환경농산물 가격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친환경 농산물 가격경쟁력 제고방안으로 수요처와 공급처의 양적 질적 협력시스 템 구축, 생산, 유통. 가공, 소비의 연계성 및 투명성 강화를 통한 소비자의 신뢰성 제고, 도농교류의 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개발 등을 제시. 하였다. 또한 지역단위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영농센터 및 유통정보센터의. 조직을 제안하는 등 지역단위 협력조직 구축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김호 등(2010)은 친환경농산물 소비자의 소비 및 의식실태에 대한 분석. 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친환. 경농산물 전문매장의 판매증대를 위해서는 마케팅 믹스(4P's) 중 제품전략 과 촉진전략에 초점을 둔 마케팅전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한 소비자는 친환경농산물을 가족의 건강 및 편익을 위해 구매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안전성 분석 및 영양성분 표시제도 등이 필요하 다고 제시하였다.. 이상호 등(2011)은 친환경농산물의 주요 소비처 중 하나인 생협을 대상. 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순서형 로짓분석 모형을 적. 용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소비만족도와 가격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친환경 농산물의 가격, 조합원여부, 소득 등이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3.3 친환경농산물 유통 관련 연구 박현태 등(2000)은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의 유형화와 발전방향을 제시. 하였다. 이 연구는 쌀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를 생산자 주도형. 2.. 생산자 소비자 공동 참여형. 3.. 소비자 주도형. 체 주도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4.. 1.. 전문업.

참조

관련 문서

• OTT시장도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케이블 TV시장은 N스크린을 좀 더 활발히 활용해 3개 통신사들의 모바일IPTV에서 뒤쳐지지 않도록 하고 혹은

기존 도심 활력 증진을 위한 재생사업 활성화 광역화 다양화되는 도시에 대한 연계성 강화 정보화시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u-city건설. 인구저성장

○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을 위하여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환경 지원 ,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 경기창작센터 내 소통 활성화

◦출하량과 마찬가지로 무농약농산물은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71%를 차지하여, 무농약농산물의 시장규모 변화가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변화의 주요

이주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은 기존 마을에서 기존 농어촌 주민들과 함께 어울리 면서 적응하려는 경향이 높아 기존 마을 내 입주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 음..

소비자 행태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친환경농 산물 소비 결정요인을 분석하였고, 불확실성과 불분명한 현실적 여건을 반영 하여 친환경농산물 가치의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학습 속도를 유지하고 분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기존 사용하고 있던 활성화 함 수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컨벌루션 신경회로망에서 사용하여 유명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