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비중

2.1 조사 개요 2.2.1. 생산자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비중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 조 사, 친환경농산물 유통기구와 유통주체 방문 및 면담조사, 기존 통계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조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친환경인증농가 리스트 1,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친환 경농산물 생산자 지역별 분포는 <표 2-3>과 같다.

<표 2-4>는 친환경농산물 인증별로 채소류, 과일류, 과채류, 기타부류를 조사한 결과가 나타나 있으며 조사 대상 농가의 친환경 인증 종류의 비중 은 무농약 66.4%, 유기농 28.7%, 저농약 4.9%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5>는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출하처가 물량기준으로 나타나 있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자는 농협 등 영통조합법인 등에 약 55.4%를 출하하고 있었고 그 다음 순으로 개인 홈페이지 및 전화판매 17.5%, 생협 직거래 8.6% 순으로 나타났다.

표 2-3.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조사대상 농가 수

구분 빈도 물량 비중

생협(아이쿱, 한살림 등) 54 742 8.6

대형유통업체 27 430 5.0

도매시장 65 628 7.3

농협, 영농조합 법인 등의 생산자 단체 102 4,794 55.4 식품가공업체 및 식자재 업체 등(학교급식 포함) 28 283 3.3

소비지 직판장 5 70 0.8

인터넷 및 통신판매(대형포털사이트 및 홈쇼핑) 7 51 0.6

개인 홈페이지 및 전화판매 185 1,516 17.5

산지유통인 15 102 1.2

수출 5 34 0.4

합 계 493 8,652 100

표 2-5.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주요 출하처

단위: 명, 톤, %

주: 출하처 중복으로 복수응답.

2.2.2 소비자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조사는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등 전국의 대도시와 경기, 경남 경북 등을 중심으로 7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는 대형유통업체를 통한 구매가 28.7%로 나타나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협 구매가 16.9%, 소비지 직판장 구매비중이 13.1% 순으로 나타났다.

표 2-6. 조사 대상 소비자 거주지역

단위: 명

지역 응답수 지역 응답수

서울 285 경기 54

대전 37 경남 5

대구 68 경북 3

부산 63 전북 18

울산 23 충남 2

광주 34 충북 14

인천 75 제주 1

강원 20 702

구분 구매 비중

생협(아이쿱, 한살림 등) 16.9

대형유통업체 28.7

소비지 직판장 13.1

인터넷 및 통신판매(대형포털사이트 및 홈쇼핑) 10.7

개인 홈페이지 및 전화판매 15.5

일반슈퍼 및 전통시장 15.1

합 계 100

표 2-7.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주요 구매처

단위: %

주: 구매하고 있는 구매처 모두 응답.

2.2.3. 친환경농산물 도 소매 유통기구

친환경농산물 유통기구는 도매 유통기구와 소매 유통기구로 구분할 수 있다. 친환경농산물 도매 유통기구는 도매시장, 식품가공업체 및 식자재업 체이며 소매기구는 대형유통업체 및 프랜차이즈 전문매장, 일반슈퍼 및 소 매점, 생협, 학교급식, 소비지 직판장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8. 유통경로별 비중 추산 근거

호 등(2011) 조사 자료로 추산), 생협(취급액에 의한 비율), 학교급식(친환 경농산물 학교급식 지원액 자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소매단계의 대형유 통업체 취급비중은 대형마트, 하나로클럽, 백화점에서 취급하는 비중을 합 산한 것이다. 일반슈퍼 및 소매점의 비중은 슈퍼체인(GS마트, 롯데마트 등 과 하나로마트), 일반 소매점 등의 취급비중을 합산한 결과이다.

2.2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별 취급 비중

유통경로별 비중 산출 결과 생산자 출하비중은 생산자 조사 결과를 통하 여 산지유통인 1.2%, 생산자단체 55.4%, 인터넷쇼핑몰 등 18.0%, 소비지 직판장 0.8%, 수출 0.4%의 비중을 나타냈다.

소비자 구매 비율은 소비자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정하였다. 대형유통 업체 구매가 28.7%, 생협 16.9%, 개인 홈페이지 및 전화판매 15.5%, 일반 슈퍼 및 전통시장 15.1%, 소비지 직판장 13.1%, 인터넷 및 통신판매 10.7%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산지유통인과 면담조사 결과 친환경농산물 전체 물량 중 1.2%에 해당하는 물량을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 등에 출하하고 있었다.

산지유통인이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물량은 0.8%이며 대형마트 등에 벤더 역할로 출하하는 물량이 0.4%로 조사되었다.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취급량은 유입된 물량과 유출된 물량을 파악하 였다.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입경로는 산지유통인, 생산자 직접 출하, 생산자 단체이다. 산지유통인 유입 물량은 0.8%이며 생산자 직접출하 물 량 비중은 7.3%로 나타났다. 생산자 직접출하 비중은 생산자 출하처 조사 결과를 인용하였다. 또한 나머지 14.1%는 농협, 영농조합법인 등의 생산자 단체가 출하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도매시장의 분산경로는 학교급식, 대형유통업체, 슈퍼마켓 및 소매점으 로 나타났다. 도매시장에서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비중은 0.3%로 이는 강 서시장의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센터 취급 비율이다. 도매시장이 대형유통

업체 등으로 출하하는 비율은 6.2%로 추산된다. 이는 대형유통업체 담당

생산자단체 3.0%, 식품가공업체 등이 0.2% 출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 산자단체의 학교급식 출하비중은 친환경급식 지원액, 친환경농산물 조공법 인 취급액, 도매시장 급식센터, 학교급식 가공식품비율 등을 고려하여 추 산하였으며 학교급식에서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업체에서 유입되는 물량 비중을 추산하였다.

그림 2-2.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

주 1) 도매, 소매 단계 유통경로에서는 유기농, 무농약, 저농약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생산단계에서는 생산자 조사 결과 저농약 생산자의 응답 비중이 작아 한계가 존재함. 2) 학교급식의 비중 산출 시 자료의 한계로 취급액 기준으로 비중 산정.

<표 2-9>는 2008년 연구와 본 연구의 친환경농산물 주요 출하처 및 유 통경로를 정리하였다. 친환경농산물 주요 출하처 및 유통경로를 2008년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첫째, 2008년 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 유통 비중이 10.6%였지만 본 연구결과 22.2%로 크게 증가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농협 및 법인 등의 생산자 단체 취급비중이 증가하면서

도매시장 출하가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생산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