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 가능성

CB는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점을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방향으로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첫째는 읍‧면사무소의 복지 담당 공무원으로 대표되는 공공부문의 인적 자원 부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와 커뮤니티 비즈니스111

족 문제이다.둘째는 종합사회복지관이나 노인복지관 등 종래의 사회복지 시설 및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접근성의 불리함 문제이다.셋째는 사실상 공공 부문의 서비스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다양한 서비 스 요구를 파악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는 현재의 전 달체계상의 문제점이다.넷째는 관련 기관 간의 연계 협력이 미흡하여 자 원봉사 인력 등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의 효율적 배치가 미흡하다는 점이 다.마지막으로 주된 서비스 수요자인 노인들의 금전적 문제이다.

그 사례가 많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의 CB 사례들에서 노인 일자리를 창 출하거나(예:두레농장,여민동락공동체),커뮤니티 구성원들의 복지 수요 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준비금으로 예비하는 경우(예:임실치즈마을)등이 출현하기 시작했다.또는 CB가 고유 사업을 유지하면서 공공부문이나 종 래의 사회복지기관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사회서비스 분야의 활동들(예:

고령자 케어,가사지원 서비스,농작업 대행)을 수행하기도 한다.그런 방 식의 사업 확장을 고려해볼 만하다.

그밖에도 아직 자리 잡은 사례를 국내에서 찾아보기는 어렵지만,교통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농협이 상품배송 차량을 활용하여 마을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협동조합 또는 주민들이 출자한 사업체 의 형식으로 대중목욕시설을 건립하여 운영하고 있거나 시도한 사례들도 찾아볼 수 있다(예:영양군 수비권역,전라북도의 ‘천원목욕탕’프로젝트).

5 .소결

사회서비스 분야의 CB성립조건은 결국 ‘정부 실패’와 ‘시장 실패’가 일 어남으로써 접근성이 차단된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스스로의 욕구(수요) 를 확인하고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갖출 때 충족될 수 있다 그러한 가능성 을 엿볼 수 있는 전형적인 세부 분야는 대체로 공공부문의 복지 서비스가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거나,농촌에서는 시장이 형성되기 어려운 ‘생활 편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112

의 서비스’분야이다.예를 들면,안부 확인,농작업 대행,공동급식,교통 약자의 이동(동행),의사 진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수준의 건강 관리 및 상 담,가사 지원,돌봄 등의 구체적인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겨진 것은 CB가 그런 사업들만으로는 재정적 자 립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공익성은 크지만 수익성은 그다지 보이지 않는 사회서비스 분야의 CB는 일정 부분 공공부문(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그리고 종래의 사회복지 분야 종사자 및 기관들과 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자원봉사 인력이나 장비 등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할 방책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