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글로벌화와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소득이 감소하여 농업부문의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이러한 상황을 반전하기 위해서는 농 업은 사회적 욕구나 트렌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

농업은 그동안 협의의 생산영역만이 강조되었으나 소비자의 식품소비패 턴의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나 외식산업과의 연계가 요구되 고,도농교류와 직거래,치유와 복지 등과 연계하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지역단위에서 생산에서 가공이나 판매에 이르는 사업을 통합하면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지고,여기에 교류나 치유,복지 등의 업무를 가산 하여 생산자조직이나 농촌 내부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면 새로운 가치가 창조된다.

여기에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CB이다.CB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활용한 소규모 비즈니스이다.향후 농촌지역의 수요동향 등을 고려하면 CB의 사 업영역은 농산업영역,자원환경영역,생활복지영역,도농교류영역 등의 분 야로 확장될 것이다.비즈니스의 유형은 마을영농형,커뮤니티형,프랜차이 즈형,네트워크형,로컬푸드형 등으로 구분하여 지역사례와 발전방향에 대 해 살펴보았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가 출현하고 있다.개념 적으로는 지역 식자재를 활용한 가공품을 개발,전국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유형의 비즈니스가 중심이라는 점에서 지역단위에서 1차,2차,3차산업의 통합은 아직 미성숙 단계에 머물고 있다.

특히 원료 또는 식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이라는 관점에서 생산부문을 지 역단위로 통합하여 생산비 절감과 다양한 식자재 생산이 가능한 지역복합 영농으로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낮은 수준에 있다.또한 시·군단계 에서 농공상 등 3자 간의 대등한 연대도 아직 드물다.배경에는 시·군단계 에서 지역 식자재를 사용하여 지역브랜드의 확립을 희망하는 식품제조업 이나 소매업의 부재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과 사례 57

그렇지만 CB가 아직 초보단계여도 점차 활성화함으로써 고령자나 여성 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점,가공식품 개발에 의하여 1차산업인 지역농업 이 부활하고 있는 점 등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그동안 농업 외부로 유출 되어 왔던 농업에서 파생하는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CB에 의해 내부화되 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앞으로 지역주민에 의한 지역자원 관리,노노협력의 관점에서 커뮤니티 내부에서 생활복지 서비스의 제공 등은 CB의 새로운 시장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