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출처 직무(jobs) 직종 직군(job family)

직능 자격 제도:

그 설계와 운용

일정한 직위에 할당 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자가 하는 일. 과업이 모여서 각 자의 직무가 편성됨.

요구되는 지식, 기능 의 계열 차이에 따른 구분

직무조사의 이론과 사례:

직능 자격 제도 도입의 모색

직무보다 넓고 큰 업 무의 단위로서 업무 를 수행하는 데 있어 서 요구되는 지식, 기 능의 종적인 계열의

차이에 따른 구분

(Duty<직무<직종<직 군)

직종의 상위 개념으 로서 기업 전체의 업 무를 그 종류와 계통 에 따라 직종을 초월 하여 대략적인 큰 묶 음으로 한 종적인 구

직무분석 전문가 양성 과정

업무를 종류별, 등급 별로 나누었을 때의 한 단위

job series : 같은 종 류의 업무끼리 묶어 놓은 상태

<표 계속>

출처 직무(jobs) 직종 직군(job family)

직무분석과 직무 평가

같은 직무명을 가질 수 있을 정도로 유사 한 과업의 내용과 의 무를 가지는 지위의 집단을 말함. 일의 양 이 아니라 일의 성격 에 의해 구분되며 직 위와 혼돈하는 경우 가 많음(예: 비서직).

어떤 인사관리상의

목적을 위하여 분류 할 수 있을 정도로 유사한 과업과 의무 를 가지고 있는 직무 의 집단을 말함(예:

조교수, 부교수, 정교 수).

Job Analysis:

A H andbook for the Human Resource

Directior

job, w orker, environmental description이 공통적 인 job을 grouping한

그 결과 직무란 일정한 직위에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자가 하 는 일로서, 과업이 모여서 각자의 직무가 편성된다. 또, 직종이란 직무보다 넓고 큰 업무의 단위로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지식, 기능의 종적인 계열의 차이에 따른 구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직종 이란 용 어가 경영학에서는 사용되는 반면, 교육학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용어라 생소하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또한, 직종(trade)이라는 용어는 훈련기관에서 코스를 구분해서 사용하거나 자격검정에서 자격의 종류를 구분해서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학과의 종류, 과의 종류, 자격의 종류는 직 종으로 구분하고, 직무분석에서는 직업이나 직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직무의 정의, 직무의 모형 및 직무 명세서 등 에서는 직무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직업 명세서의 직업명, 현장 직업명 및 직업 행렬 등에서는 직업 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라. 기타 보완 사항

이상과 같은 보완 내용 이외에 전문가들의 기타 의견과 현재까지 직무분 석에 참여해 왔던 분석 책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다음의 사항들을 수 정・보완하였다.

우선 Matrix, Profile, Road Map을 각각 행렬표, 일람표, 이수 경로로 변경 하였다. 그 동안 직무분석 지침서에서 영문자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직무분석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인에게 다소 거부감이 있다는 지적이 많이 있어 왔다.

따라서, 이들 용어들에 대한 사전적 확인 후 사용시 어색하지 않고 의미 전 달이 잘되는 우리말 용어로 변경하여, 작업/ 지식・기능・도구 및 코스 행렬 표, 작업/ 지식・기능・도구 행렬표, 작업/ 코스 행렬표, 교육훈련 코스 일람 표, 교육훈련 교과목 일람표, 교육훈련 이수 경로로 수정하였다.

직무 명세서 서식에서 사용하는 직무 기술 을 직무 개요 로 수정하였다.

직무 명세서의 첫부분에서 기술하는 내용은 직무의 특성을 주요 사용 장비, 재료 및 공구, 공정과 제품 등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하나의 문 장으로 간단 명료하게 요약하는 것이므로, 직무 개요 가 더 적정하기 때문에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소요 장비(사무용 기계) 를 도구 로 변경하고 주 장비 , 보조 장비 를 각 각 하드웨어(H/ W) , 소프트웨어(S/ W) 로 변경하였다. 이는 주 와 보조 의 구분보다는 반드시 필요한 도구들의 특성별 분류가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더 유용하다고 판단되었고, 현실적으로 직무의 많은 부분을 다양한 소프트웨 어(S/ W) 운용 관련 지식과 기능이 차지하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검정목표를 검정목표 1급과 2급으로 나누어 각각 서술하도록 하였다. 이는 등급별로 요구되는 수준과 목적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이하 세부 내용들 의 등급별 연계 및 차별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등급의 제시에서 기술 기능 분야는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로 구 분하고, 기초 전문 사무 분야는 2급(산업기사 수준), 1급(기사 수준)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문제 유형의 제시에 있어서는 진위형, 배합형, 선다형, 단답형, 완성형, 논 문형, 작업형 실기, 구술형 면접, 포트폴리오 등의 예시를 주어 분석자들로 하여금 검정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