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Ⅲ . 직무분석 지침서의 보완

2)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경험에 대해서는 <표 Ⅲ-5>에서와 같이 설문 조사 응답자의 44.8%가 활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향후 활용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76.0%가 활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현재 직무분석 자료를 활용하지 않은 응답자 가운데에서 다수가 향후 활용을 계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Ⅲ-5> 직무분석 자료 활용 경험 및 활용 계획

(단위 : 명, %)

직무분석 자료 활용 경험 직무분석 자료 활용 계획

경험 유무 빈 도 계획 유무 빈 도

있다. 90(43.5) 있다. 146(70.5)

없다. 111(53.6) 없다. 46(22.2)

무응답 6( 2.9) 무응답 15( 7.3)

207(100.0) 207(100.0)

직무분석 자료가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 Ⅲ-6>과 같이 비교적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6> 직무분석 자료의 실제 업무에 도움 정도

항 목 평 균 N 표준 편차

실제 업무 도움 정도 3.97

97

0.81

주 : 1. 전혀 도움 안 됨, 2. 별로 도움 안 됨, 3. 보통, 4. 많이 도움됨, 5. 매우 많이 도움됨 직무분석 자료의 실제 업무 도움 정도를 기관 유형별로 알아본 결과는 <

표 Ⅲ-7>과 같다. 응답 결과를 보면, 실제 업무에 매우 많이 도움됨 과 많이

<표 Ⅲ-7> 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자료의 실제 업무에 도움 정도

(단위 : 명, %) 도움 정도

기관 유형

매우 많이

도움됨 많이

도움됨 보통 별로 도움

안 됨 전혀

도움 안 됨 전체 정부 부처 2(10.5) 9(47.4) 6(31.6) - 2(10.5) 19(100.0) 전문대학 14(23.0) 41(67.2) 5( 8.2) 1( 1.6) - 61(100.0) 직업훈련기관 5(35.7) 5(35.7) 4(28.6) - - 14(100.0) 기업체 1(33.3) 1(33.3) - 1(33.3) - 3(100.0) 22(22.7) 56(57.7) 15(15.5) 2( 2.1) 2( 2.1) 97(100.0)

도움됨 이 전문대학과 직업훈련기관은 각각 90.2%, 71.4%로 매우 높은 반면,

정부 부처는 57.9%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전문대학, 직업훈련기관, 정부 부 처 순으로 실제 업무에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무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게 될 업무는 <표 Ⅲ-8>에서와 같이 교육 과정 또는 훈련기준 개발, 교재 개발, 학과 개편 등의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직무분석 수행은 직업훈련과정과 교재 개발에 주 기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표 Ⅲ-8> 직무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게 될 업무(3가지 중복 응답) (단위 : 명, %)

항 목 빈 도

교육과정 또는 훈련기준 개발 132(30.3)

교재 개발 83(19.1)

학과 개편 69(15.9)

직업교육훈련 정책 수립 49(11.3)

자격검정기준 개정 18( 4.1)

진로 지도 42( 9.7)

시설 설비 도입 16( 3.7)

기타 26( 6.0)

435(100.0)

직무분석 자료의 보관 관리는 <표 Ⅲ-9>에서와 같이 담당자가 보관(33.8%) 하거나 관련 학과나 부서에서 보관(31.9%)하는 경우가 많아 자료 공유에 한 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직무분석 자료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표 Ⅲ-9> 직무분석 자료의 보관 관리

(단위 : 명, %)

항 목 빈 도

도서관이나 자료실 비치 52(25.1)

관련 학과나 부서 보관 66(31.9)

담당자 보관 70(33.8)

기타 13( 6.3)

무응답 6( 2.9)

207(100.0)

자료 송부시 관련 학과뿐만 아니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이나

자료실로 함께 송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정도를 직무의 정의, 직무의 모형, 직업 명세서, 직 무 명세서, 작업 명세서, 교육훈련 Course Profile, 교육훈련 교과목 Profile, 교육훈련 Road Map, 출제기준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각 문항은 기관 유형별 분석을 통해 기관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가를 살펴보았 다. 직무분석 자료별 분석은 자료별 응답가 수가 적은 관계로 객관화시키기 에 한계가 있어 분석하지 않았으며, 참고할 수 있도록 부록 2 의 <표 1> ~

<표 9>에 제시하였다.

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정도는 <표 Ⅲ-10>에서와 같이 전 문대학과 직업훈련기관에서 높으며, 직무분석 자료의 각 항목 중에서는 교육 훈련 Course Profile과 교과목 Profile의 활용 정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표 Ⅲ-10> 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정도 항목

기관 유형

직무의정의 직무의 모형 직업

명세서 직무 명세서 작업

명세서

교육훈련 Course Profile

교육훈련교과목 Profile

교육훈련 Road

Map

출제기준

정부 부처 (표준편차)평균 2.93 (1.12)

2.87 (1.06)

2.89 (1.28)

2.67 (1.13)

2.62 (1.03)

3.31 (1.14)

3.18 (1.13)

3.09 (1.22)

2.80 (1.08) 전문 대학 (표준편차)평균 3.72

(0.82) 3.71 (0.80)

3.52 (0.91)

3.60 (0.91)

3.52 (0.90)

3.79 (0.95)

3.88 (1.01)

3.71 (0.87)

3.51 (0.98) 직업 훈련

기관 (표준편차)평균 3.65 (0.75)

3.77 (0.82)

3.73 (1.04)

3.58 (1.06)

3.68 (0.80)

3.88 (0.86)

3.50 (1.03)

3.62 (2.02)

3.27 (0.87) 기업체 (표준편차)평균 2.68

(1.24) 2.56 (1.04)

2.44 (0.86)

2.61 (0.85)

2.83 (1.04)

2.33 (1.19)

3.00 (1.37)

2.44 (1.29)

2.50 (1.10) (표준편차)평균 3.43

(1.01) 3.42 (0.99)

3.31 (1.09)

3.29 (1.07)

3.27 (1.01)

3.56 (1.10)

3.59 (1.12)

3.44 (1.09)

3.23 (1.06) 주 : 1. 매우 낮음, 2. 낮음, 3. 보통, 4. 높음, 5. 매우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