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무 작업 A

기획 구성

A-1 사전 조사하기

A-2 제작 목적

및 내용 선정하기

A-3 제작 방향

설정하기

A-3 표준 제작비

산정하기

A-4 기본 출연진

선정

A-5 기본 구성안

및 대본 작성하기

B 녹화 촬영

B-1 스케줄 및 촬영 일정 조정하기

B-2 세트 설치 및

장소 섭외하기

B-3 소품・장비

준비하기

B-4 스태프 및

출연진 회의하기

B-5 촬영・녹화

하기

C 편집

C-1 프리뷰

하기

C-2 편집 시트

작성하기

C-3 가편집

하기

C-4 최종 편집하기

D 평가

D-1 내・외부 의견 검토

하기

D-2 검토 의견

프로그램 반영하기

주 : 음영을 넣은 부분은 핵심 작업(key task)을 의미함.

[그림 Ⅴ-1] 방송 연출가의 직무 내용

고 이에 참여하는 많은 전문가들의 작업을 조율하여 창조적인 영상물을 생 산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방송 연출가는 나날이 발전하는 방송 장 비에 대한 기술적 이해와 운용 능력은 물론 민감한 문화적 감수성과 독창적 인 세계관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방송 연출가는 방송 아카데미 및 전문대학의 방송 제작과, 방송 연예과 및

연극 영화과, 대학교의 신문 방송과, 언론 정보과 및 연극 영화과 등에서 1~

4년의 교육훈련을 받고, 서류 전형, 면접, 실기 등의 채용 방법을 거쳐 공중 파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위성 방송국, 기업체 사내 방송국 및 방송 영상물 독립 제작사에 취업하거나 혹은 독립적인 제작자(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 다.

방송 연출가는 3~12개월의 수습 기간과 3~5년간의 조연출(AD) 기간을 거쳐 독자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방송 연출가 직책을 갖게 되며, 취업 초기 보통 1,000만원~3,000만원 정도의 연봉을 받게 된다. 전직은 매우 제한적이나 이벤트 기획사나 광고 회사, 프리랜서 등이 가능하다.

다. 직업 활동 영역

・공중파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위성 방송국

・기업체 사내 방송

・프로그램 독립 제작사

・비디오 쟈키(프리랜서)

라. 교육훈련 체계

방송 연출가는 방송 제작 전반의 업무를 책임지는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작품 기획에서 최종 완성에 이르는 다양한 공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해야 한 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은 단순한 영상물이 아니라 사회의 공론을 형성하고 시청자들에게 예술적 감동도 전하는 사회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으므로 방송 연출가 역시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 하다. 여기에 업무 추진자로서의 일반 행정 업무 능력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러한 직무와 능력을 교육훈련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기초 과정,

중급 과정, 고급 과정의 세 가지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 교과목을 다음 과 같이 선정하였다.

기초 과정은 본격적인 실무 교과목을 익히기 전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시대에 방송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고 방송 제작의 전체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교과목으로 는 방송 개론, 방송 제작 기초, 방송 기술의 원리, 뉴미디어와 방송, 방송 편 성론 등을 들 수 있다. 이 교과목들은 각 교육기관의 목표와 사정에 따라 취 사 선택될 수 있다.

중급 과정은 기초 과정의 교과목 이해를 바탕으로 실무 제작 수업이 본격 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제작의 다양한 분야를 접하는 단계이므로 무엇 보다 피교육자들의 강한 의지와 노력이 요구된다. 프로그램의 기획과 구성, 촬영, 편집의 이론과 실제, 넌 리니어 편집, 사운드 프로덕션, 작품 제작 실습 1 등의 교과목으로 구성된다.

고급 과정은 지금까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된 지식을 토대로 피교육자 자신의 작품은 물론 협업을 통해 그룹의 작품을 완성하는 능력을 키우는 단 계이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 연출가로서의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작 외적인 지식도 필요하다. 따라서, 이 단계의 교과목으로는 작품 제작 실습 2, 스튜디오 제작, 포스트 프로덕션, 방송 경영론, 방송 비평론 등의 과목을 들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