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체 의견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2. 직무일치도

<표Ⅴ-9> 직업전문학교 졸업생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수행 일치정도

(단위: %, 개소)

규모 업종

50인

미만 50-99인 100-299 인

300인 이상

지식기반 제조

일반 제조

지식기반 서비스 계 100.0

(129)

100.0 (34)

100.0 (28)

100.0 (45)

100.0 (22)

100.0 (50)

100.0 (65)

100.0 (14) 일치함 61.2 47.1 67.9 60.0 77.3 54.0 66.2 64.3 보통 31.8 38.2 28.6 35.6 18.2 42.0 26.2 21.4 일치하지 않음 7.0 14.7 3.6 4.4 4.5 4.0 7.7 14.3 주: <표Ⅴ-8> 과 동일

먼저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전공과 업무수행의 일치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기업일수록, 지식기반서비스업에서 일치도가 높았다. 직업전문학 교 졸업생은 대기업일수록, 일반제조업에서 일치도가 높았다. 기능대학졸업 생의 경우는 대기업일수록 일반제조업에서 일치도가 높았다. 전문대학 졸업 생 및 4년제 대학교 졸업생의 경우도 대기업일수록, 지식기반서비스업에서 일치도가 높았다. 한편 일치하지 않음 이라는 응답 분포를 검토하면, 실업계 고교, 직업전문학교, 기능대 졸업인력이 지식기반서비스업에서 비교적 높은 응답을 보여, 지식기반서비스업의 직무는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은 인력과 부 합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추세를 종합하면 산업체에서 신규 채용한 각급 교육훈련기관 졸업 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전공과 일치하는 직무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업이 직무의 내용 및 폭에 있어서 다양한 만큼 대기업에 종사하는 경우 에 직무일치도가 높았다.

<표Ⅴ-10> 전문대학 졸업생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수행 일치정도

(단위: %, 개소)

규모 업종

50인

미만 50-99인 100-299 인

300인 이상

지식기반 제조

일반 제조

지식기반 서비스 계 100.0

(448)

100.0 (129)

100.0 (100)

100.0 (131)

100.0 (88)

100.0 (132)

100.0 (240)

100.0 (76) 일치함 64.3 51.2 62.0 70.2 77.3 60.6 63.3 73.7 보통 29.2 38.8 29.0 27.5 18.2 34.1 30.8 15.8 일치하지 않음 5.8 8.5 8.0 2.3 4.5 4.5 5.0 10.5 주: <표Ⅴ-8> 과 동일

<표Ⅴ-11> 기능대학 졸업생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수행 일치정도

(단위: %, 개소)

규모 업종

50인

미만 50-99인 100-299 인

300인 이상

지식기반 제조

일반 제조

지식기반 서비스 계 100.0

(100)

100.0 (22)

100.0 (24)

100.0 (31)

100.0 (23)

100.0 (36)

100.0 (52)

100.0 (12) 일치함 71.0 50.0 66.7 74.2 91.3 63.9 76.9 66.7 보통 22.0 40.9 20.8 22.6 4.3 33.3 17.3 8.3 일치하지 않음 7.0 9.1 12.5 3.2 4.3 2.8 5.8 25.0 주: <표Ⅴ-8> 과 동일

<표Ⅴ-12> 4년제 대학교 졸업생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수행 일치정도 (단위: %, 개소)

규모 업종

50인

미만 50-99인 100-299 인

300인 이상

지식기반 제조

일반 제조

지식기반 서비스 계 100.0

(426)

100.0 (114)

100.0 (94)

100.0 (130)

100.0 (88)

100.0 (126)

100.0 (225)

100.0 (75) 일치함 64.1 50.0 67.0 66.9 75.0 56.3 64.9 74.7 보통 28.6 36.8 28.7 26.2 21.6 37.3 28.0 16.0 일치하지 않음 6.6 10.5 4.3 6.9 3.4 5.6 6.2 9.3 주: <표Ⅴ-8> 과 동일

그렇다면 산업체에서 업무에 일치하지 않는 비전공자를 선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업종 및 규모에 관계없이, 일정기간의 훈련만 거치면 업무를 수 행하는 데 지장이 없으므로 (69.2%)19)에 응답하는 산업체의 비중이 가장 높 았다. 다음으로는 전공능력 보다는 인성과 기초능력이 더 중요하므 로 (44.9%), 전공자도 회사의 고유한 업무수행에 대해 학교에서 배우지 않기 때문에 (30.4%), 업무에 관련된 전공자를 구하기 어려우므로 (31.2%)의 순으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각급 교육훈련기관에서 배출한 인력의 산업사회 적합도에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사업체내의 일정 기간 교육훈련이란 기 업특수기술을 습득케 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점에서 당연한 결과이지만, 관련 된 전공자를 구하기 어렵다는 애로사항은, 각급 교육훈련기관이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공급하는데 미치지 못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