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체적 체계 구축을 통한 연계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143-146)

제3절 아동보호체계 간 연계 실태

3. 자체적 체계 구축을 통한 연계

FGI를 통해 기관이 자체적으로 연계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여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와의 인 터뷰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지역아동센터는 다른 아동보호체계와 마찬가지로 만 18세 미만의 아 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일반가정의 아동도 대상이 된다는 면에서 다 른 체계들과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지역아동센터는 국공립 센터를 확대 하거나 지역의 도서관과 지역주민이 연계하여 지역의 커뮤니티센터를 만 드는 등의 노력을 통해 일반 아동까지도 포괄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지금 (지역아동센터가) 다양하게 되고 있어요. 전반적인, 작년부터 시작해서 저는 2-3년 동안 계속 될 거라고 보는데, 지역아동센터 변화가 지금 법제화

된 이후로 10년이 됐거든요. 이번 시기가 변환시기라고 봐야 해요. 왜냐하면 구립이 생겨났어요. 그래서 전국에 국공립이 지금 올해까지 한 열개정도 서 울에 있어요. 성북에 3개, 그 다음에 은평구에 2개. 서울이 올해만 20개가 생겼어요.”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센터 2)

“… 그 다음에 서울에 또 하나 새로운 모델이 만들어진게 지금 마을 공동체라 고 해서 지역에, ……, 시의 돈을 따내가지고 지역의 도서관과 지역아동센터 와 지역주민 활동을 연계하는 센터를, 커뮤니티 센터를 만들었어요. ……”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센터 2)

또한 지역아동센터 기관 자체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내에서 구성된 아동복지협의체를 통해 지역 내 자원과 연계를 활발 히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단체들이 모여서 아동단체협의회라는 모임을 이제 참여를 하죠. 그 래서 실제로 이제 전지협(전국 지역아동센터 협의회) 같은 전국단위들, 협의 회 단위들이 하는데 예를 들면 어쨌든 지역사회 연계가 가장 활발한 것은 어 떻게 보면 협의회라고 볼 수 있어요.

… 구협의회들이 그 안에서 단체연계, 그러니까 아까처럼 기업의 어떤 자원 연계, 기업의 그런 사업들에 대한 자원을 끌어오고, 기업 단위가 하나 있고.

그 다음에 학교나 이런 데를 공식적으로.…… 구청이나 다른 관공서나 복지 관 같은 데도 복지협의체를 꾸려서 지역아동센터협의회가 단체적으로 지역 네트워킹을 맺는 경우가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네트워크사업 중 에 하나고.”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센터 2)

한편 지역아동센터는 대상 아동의 범위가 만 18세 미만까지이기 때문 에 아동이 중․고등학생이 되어서도 서비스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나, 그에 대한 지원과 운영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희 같은 경우에는 고등학생까지 있고 하는데, 고등학생 관리가 굉장히 힘 들어요. 청소년만 따로 관리하는 차원에서 좀 더 관리를 했어요. 그래서 지역 에 있는 지역아동센터에 보통 초등학생 애들 졸업하면 한 군데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아이들을 다 보호하고, 초등학교 졸업 지역아동센터 시설장들이 운영위원으로 들어와서 운영을 하는 것을 여러 번 건의를 했는데, 잘 안 이루 어져요. 안 이루어져서 중학생 아이들, 고등학생 아이들, 초등학생 아이들 돌보는 것이 너무 넓으니까. 힘들기도 하고. 그런 문제점이 있어요.” (아동이 용기관: 지역아동센터 1)

“지역아동센터는 원래 18세 미만, 고2까지 밖에 안돼요. 법적으로. 그래서 고 3 애들은 당연히 안되는 거라서 어제까지 얘가 급식도 먹고 다 하던 애가 오 늘부터 고3이라 급식 지원이 끊기고 이렇게 돼요.”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 센터 2)

이에 따라 현재 지역아동센터들은 중․고등학생인 대상 아동까지 연속 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대상자 중심의 기관, 다시 말해 대상 아동의 연령대별(초등/중․고등)로 기관을 운영한다거나, 지역 내에 협동 조합식의 지역아동센터를 만들어 청소년 전용 공간을 만드는 등 유연한 연계를 위한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초등학교만 중점으로 하는 곳, 그 다음에 중고등학교만 중점으 로 하는 곳, 청소년 전용 공간으로. 이렇게 두 개로 분리되어있고요 지역아동

센터는. 이런 거는 퍼센테이지가 낮고, 대체적으로 초등과 중고등을 포함한 통합이 제일 많죠.”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센터 2)

“… 서울에서 유행하는 거는 협동조합식 지역아동센터가 생겨요. 우리 구에 8 개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들이 3명, 3명 이렇게 있는데 하나를 만들 수는 없 잖아요 한 개씩을. 그러니까 우리 여기 있는 센터장들이 다 운영위원으로 참 여해서 전체가 다 공유하는 지역아동센터를 만들면, 그래서 여기에 20명 있 다가 7명이 빠져나가면 교사가 한 명이 여기로 가도 되잖아요. 오히려 우리 가 새로 한 명 교사를 뽑을 테니까, 아이들이 혼자는 안간다니까 교사를 딸려 보내는 거죠. 그래서 8개 센터에서 2명 정도 교사를 선발하고. 그리고 아이 들을 여기로 몰아서 협동조합 형식으로 지역에서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공간 을 만들었어요. ……” (아동이용기관: 지역아동센터 2)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14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