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관련기관과의 연계현황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174-188)

제2절 조사 결과

2. 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관련기관과의 연계현황

지역사회 위험군 아동에 대한 실천적 서비스과정에서 관련기관과의 연 계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계에 대한 내용으로는 정보교환, 대상자 및 서비스 의뢰 대상자의 공동관리, 공동 지역사회 자원발굴을 포함하였다.

서비스 실천과정은 서비스과정에 따라 발견 및 배치단계,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 종결 및 모니터링 단계의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연계의 현황 을 위해 지역사회에 있는 기관들을 9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해당기관 으로는 시군구 아동복지 담당기관, 드림스타트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지역아동센터, 학교, 정신보건센터, 병의원, 상담기관, 기타 복지기관이 다. 위 9개의 기관들이 위험군 아동들의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주 요 관련기관(시군구청, 드림스타트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지역아동센 터)들과 얼마나 연계를 자주 하는지, 그리고 직급, 근무지역, 총 근무기 간, 아동복지 관련 근무기간,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유무에 따라 연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평균값을 중심으로 통계검증한 결과를 <표 5-10>에서 <표 5-18>에서 제시하였다.

<표 5-10>은 시군구 아동복지담당기관과의 연계현황을 서비스 실천과 정의 단계별로 보여 주고 있다. 우선 시군구 아동복지 담당자들은 서비스 과정의 세 단계에서 관련기관과 연계에 있어 모두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 타냈다. 시군구 아동복지담당자들은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종사자들과 가 장 많은 연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드림스타트센터와 관계하였고 지 역아동센터와는 연계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시군구 아동복지담당자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가장 긴밀한 연계를 하고 있다. 직급에 따라 연계정

한편 서비스 단계에 따라 총 근무기간과 직급은 연계에 차이를 나타내 거나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총 근무기간은 발견 및 배치단계와 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나 근무기간이 짧은 시군구 아동복지담당 공무원이 연계를 더 많이 하였다. 또한 담당자의 사회복지 사 자격을 갖는 것이 발견 및 배치단계와 서비스계획 및 개입에 있어 연 계를 더 많이 하는 편이었으나 종결 및 모니터링 단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표 5-11>은 드림스타트센터와의 연계현황을 서비스 단계별로 보여주 고 있다. 드림스타트센터는 관련 근무기관, 직급, 아동복지 관련 근무기 간에 따라 연계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서비스 단계별 모두 연계의 정 도에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변수로는 관련기관이며 드림스타트센터와 시 군구 아동복지 담당자가 가장 긴밀한 연계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아 동보호전문기관, 그리고 지역아동센터와는 연계가 거의 없거나 적은 편 이었다.

한편 서비스 단계에 따라 연계와 관련되는 변수의 내용들에서 차이를 드러냈다. 발견 및 배치단계와 종결 및 모니터링단계에서 드림스타트센 터의 담당자들의 직급과 아동복지 관련 근무기간은 차이를 보였다. 즉 서 비스 과정의 초기와 말기에 드림스타트 실무자들이 관리자들에 비해 연 계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는 드림스타트 담당자의 근무지역과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유무가 연계와 관련이 있었 다. 근무지역이 농어촌인 경우 오히려 연계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중소도시, 대도시의 순이었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 가 없는 경우보다 더 연계를 많이 하였다.

구분

구분

센터 종사자와는 연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이 실무자인 경우가

<표 5-13>은 지역아동센터와의 연계현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역아동 센터는 연계에 있어 평균적으로 높은 연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지역아동복지센터와 연계를 갖고 있는 기관으로 시군구청, 드림스타 트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들이 통계적인 차이가 없이 골고루 관여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직급, 근무지역, 총 근무기관, 아동복지 관련 근무 기간,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유무와 관련없이 전반적으로 연계를 적지 않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의 경우 서비스과정의 세 단계에서 관련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채 위 험군 아동에 대한 서비스 연계를 하고 있었다.

<표 5-14>는 학교와의 연계현황을 제시하고 있다. 학교와의 연계서비 스는 세 단계 모두에서 관련기관과 근무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교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가장 높은 연계를 가지고 있 었으며 시군구와 다음으로, 그러나 드림스타트센터와 지역아동센터와는 연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들은 근무지역이 대도시에 있 는 경우 학교에서 서비스 연계를 더 많이 하고 중소도시, 농어촌과는 비 교적 적게 연계하는 편이었다.

한편 총 근무기간은 발견 및 배치단계에 있어 연계에 차이를 보였다.

학교에서 위험아동을 발견하고 적절한 곳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다른 단 계보다 연계를 더 많이 하는 편이며 학교와 연계를 많이 하는 종사자들은 1년 미만 된 경우가 연계를 많이 하는 편이며 1년~5년 미만은 적은 편이 며, 5년 이상의 경우 연계가 매우 적었다.

구분

구분

서비스 단계별로 연계에 차이를 나타났다.

우선 발견 및 배치단계나 서비스 계획 및 개입에 있어서 관련기관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의원은 발견 및 배치단계에서 아 동보호전문기관과 더 연계를 가지며 이외 드림스타트와 적은 연계를 하 고 있고 시군구나 지역아동센터와는 가장 낮게 연계를 하고 있었다. 서비 스계획 및 개입 단계에서 병의원은 아동보호전문기관이나 드림스타트가 동일한 정도의 연계를 보였으며 시군구청이나 지역아동센터도 동일한 정 도의 매우 낮은 연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연계의 수준은 모두 낮은 편이다.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직급으 로 병의원과 연계할 때 종사자들의 직급이 실무자들일 때 관리자들보다 연계를 더 많이 하였다. 그러나 연계가 적은 편이었다. 종결 및 모니터링 단계에서 아동복지 관련 근무기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1년 미만 인 경우가 연계를 가장 많이 하였고 1년 이상에서 5년 미만, 5년 이상의 순이었으며 연계의 수준은 낮았다.

<표 5-16>은 정신보건센터와의 연계현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신보 건센터와의 연계는 근무지역에 따라 서비스 실천 과정 세 단계 모두에서 연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센터와의 대도시의 경 우 연계가 더 많이 이루어졌고 중소도시나 농어촌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평균점수가 보여주듯 대도시라 하더라도 연계정도가 매우 활발하지는 않은 편이다.

또한 관련기관들이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에 있어 차이를 가지는가에 대 해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와 종결 및 모니터링 단계에서 차이를 보였 다. 특히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가장 연계 를 많이 하고 지역아동센터와는 가장 연계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연계의 정도는 아주 활발하지 않으나 서비스 계획 및 개입의 중간단

구분 발견 및 배치단계 서비스 계획 및

고 있었고 지역아동센터와는 가장 낮은 연계를 보였다. 직급에 있어서 상 담센터와 연계를 많이 하는 담당자들은 실무자급으로 관리자급보다 연계 를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담당자들의 총 근무기간과 아동복지 관련 근 무기간에 있어서 그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가 가장 연계를 많이 하였으 며 1년 이상에서 5년 미만, 5년 이상인 순으로 연계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무지역은 서비스의 계획 및 개입 단계에서만 차이를 보여 대도 시에 있는 경우 더 연계를 많이 하였고 발견 및 배치단계와 종결 및 모니 터링 단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표 5-18>은 기타복지기관과의 연계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기타복지 기관들과 서비스 세 단계 모두에 있어서 근무기관, 근무지역에 따라 연계 는 차이를 나타냈다. 즉 기타 복지기관들은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가장 연 계를 많이 하고 다음으로 시군구청, 드림스타트센터와 다음으로 연계를 가지며 지역아동센터와는 연계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 근무지역은 대도 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순서에 따라 연계의 정도가 높았다.

한편 직급의 경우 서비스 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만 실무자급이 관리자 급보다 연계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총 근무기 간은 서비스과정의 발견 및 배치단계와 서비스계획 및 개입단계에서는 차이를 보여 근무기간이 1년 미만이 경우가 가장 연계를 많이 하고 5년 이상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결 및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차이 가 없었다.

구분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174-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