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아동보호체계 연계의 필요성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44-47)

아동관련 서비스 연계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서비스 접근성(availability), 효율성(efficiency), 그리고 효과성 (effectiveness)이 그들인데 이 세 가지는 아동관련 서비스들이 서로 연 계되어야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먼저, 서비스 접근성(availability)은 서비스 연계 필요성 논의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서비스 연계의 기본 전제는 아동과 가족이 직 면하는 문제가 본질적으로 복잡하고 이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욕구를 범 주화, 개별화된 서비스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접근성의 문제는 결국 범주화, 전문화된 서비스 환경에서는 아동이나 가족이 갖고 있는 다 양한 문제를 해결해줄 기관을 찾을 수 없고 전문가들은 대부분이 자신의 특화된 분야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기 때문에, 아동이나 가족은 결국 스스 로가 자기 문제의 사례 관리자가 여러 기관들을 쇼핑하지 않는 한 적절한 문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느 가족에게나 매우 어려운 일이며 가장 서비스가 필요 한 아동과 가족에게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기 쉽다(Waldfogel, 1997). 환언하면 한 가지 이상의 서비스가 필요한 아동이나 가족에게 서 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들이 잘 연계되어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효율성(efficiency)이다. 서비스 연계의 맥락에서 효율성은 서비스 접근성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아동과 가족이 필요한 서비스와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사이의 부조화는 곧 서비스 전달과 자원 활용의 비효율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알콜 중독 문제로 아동학대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온 가족에게 알콜 중독 치료 대신에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부모 교육만을 제공하면 아동을 위험하게 하는 원인은 대처하지 못 한 채 자원만을 낭비한 결과가 된다. 만약 제공된 서비스가 필요한 서비 스보다 더 비싼 것이었다면 이는 정말 심각한 자원 낭비라 하겠다

(Waldfogel, 1997). 환언하면 서비스 전달이 파편화 되어있을 때보다 연 계되어 있을 때 서비스 효율성이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접근성-효율성 원리(availability-efficiency rationale)는 서비스 통합 의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하던 70년대부터 서비스 통합에 주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왔다(Kagan & Neville, 1993).

세 번째는 효과성(effectiveness)이다. 접근성-효율성 원리에서 상대 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부분은 서비스 질이다. 그러나, 효과성은 서비스 연계 논의에서 궁극적인 기본적 질문이 된다. 즉, 효과성이란 아동관련 서비스 구조조정을 통해 개개 아동과 가족이 경험하는 실재 서비스 전달 의 질이 얼마나 향상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개개 아동과 가족의 삶에서 얼 마나 긍정적인 변화들을 만들어냈는지의 문제와 직결된다. 효과성이란 서비스 결과에 대한 책임성(accountability)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최근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환언하면 아동관련 서비스 연계체계 가 적절히 구축되어 있는 환경에서 서비스 효과성이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는데, 즉, 서비스가 연계되어 있으면 개개 아동과 가족의 삶에서 서비 스가 목표했던 결과 (outcome)가 더 긍정적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서비스가 범주화, 전문화 되어 있는 환경에서 개개 아동과 가족에 서비 스 선택지가 더 넓어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아동과 가족에게 자신이 필 요한 서비스를 적절히 찾아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만든다는 것은 매우 어 려운 일이다. 복잡한 서비스 자격요건, 정보의 부족, 이동 거리 등을 고려 하면 서비스가 가장 필요한 가족에게 이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혜원 (2002)은 아동관련 서비스 연계가 필요한 이유는 “관련 조직 간의 경험, 아이디어 등 자원의 공유를 통하여 지역사회 내 전체 조직들이 서비스 제 공 능력을 최대화하고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하며 관련 조 직간 서비스의 중복, 상충, 갈등, 반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

언하면, 자원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욕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라고 요약한다. 서비스 접근성, 효율성, 효과성의 측면에서 볼 때 서비스 연계는 필연적인 서비스 개혁의 방향이라 하겠다.

문서에서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페이지 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