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 12)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는 직업의 의미 및 필요성에 대하여 올바로 인식하 며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직업가치관을 포함하고 있다.

직업의 필요성에 관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한상근 외, 2001)에서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 를 실시했는데 그 중 직업선택의 이유에 대하여 설문을 하였다. 각자에게 직 업선택을 하는 이유의 예를 보여주고 직업선택의 이유를 1순위, 2순위로 응 답하도록 하였다. 고등학생들이 선호직업을 선택한 1순위 이유로 든 것은 즐거워서(50.1%) , 잘 할 수 있어서(13.9%) 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여 요즈음 신세대들의 취향을 엿보게 했다. 그 다음으로는 돈 많이 벌어서(8.7%) , 안 정적이어서(6.8%) 등의 현실적 이유가 뒤따랐다. 직업을 선택한 이유의 2순 위는 잘 할 수 있어서(22.7%) , 돈 많이 벌어서(14.4%) , 즐거워서(13.0%) 순 으로 나타났다.

어떻게 살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 학생이든 성인이든 행복하게 살고 싶 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행복, 즉 주관적인 만족감은 삶에서 추구하는 내 적인 가치이다. 물론 무엇이 그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가는 사람마다 다를 것 이다. 반면에 어떤 직업을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하는가 혹은 직업을 선택 할 때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라고 질문한다면 직업을 통해서 추구하 는 내적인 가치를 탐색하게 된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사람마다 다를 것 이다.

가치관은 자신을 포함한 세계나 사물에 대하여 가지는 평가의 근본적인 태도나 견해를 말한다. 가치관은 직업 생활과 관련되어 직업가치관을 형성하 게 한다.

직업가치관의 중요성은 Brown (1996)의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델13)을 통

12) 이 부분은 진로정보센터 전문상담원 왕은자가 작성함.

13) 이 모델은 인간행동이 개인의 가치에 의해 상당 부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다른 여러 이론들과는 달리 이 이론에서는 흥미가 진로결정에 큰 역 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즉 흥미는 가치를 근거로 발전되어 온 선호도의

하여 알아 볼 수 있다. 이 모델에서는 사회적 봉사 측면의 가치가 확실하다 면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는 직업을 추구하고, 독립성을 지향하는 측면의 가 치가 강하면 통제가 적고 비교적 자유롭다고 지각되는 직업환경을 찾게 된 다고 본다. 직업가치는 개인이 원하는 목표설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때 문에 진로결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제안한다.

직업의 의미 혹은 직업가치관을 정립하고자 상담을 신청하는 경우는 드물 다. 그러나 삶에서 직업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작업을 통해 조망능력을 넓히 고 자신이 중요시하는 직업가치관에 대하여 분명하게 인식할 때 진로발달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다소 의도적으로 이런 부분을 탐색하게 된다.

상담을 통해서 단번에 직업의 의미 및 필요성에 대한 체감도가 높아지고, 가치관이 정립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학생들은 부모, 형제, 친구 및 주변 사람들로부터 가치지향적인 내용의 신호에 끊임없이 노출되면서 이런 내용 을 서서히 내면화시킨다. Brown에 의하면 가치는 물려받은 특성과 경험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한다. 상담은 학생들에게 자신이 내면화한 일 과 직업에 대한 태도를 성찰해보고 새로운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촉진제로 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라는 진로과제에서 직업의 필요성과 직업 의 의미 및 직업가치관 정립을 구체적인 주제로 잡고 상담개입방법을 서술 한다.

지표이기는 하지만, 가치만큼 행동결정에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본다.

가. 직업의 필요성

14)

학부모 : 여자는 그렇잖아요. 남자들처럼 먹고살기 위해서 꼭 직업을 가 져야만 하지는 않으니까요.

학 생 : 그건 엄마 생각이지. 나는 먹고살려고, 돈벌이를 위해서 일을 할거야.

상담자 : OO는 남녀를 떠나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직업은 필요하다 고 보고 있구나.

진로상담장면에서 학생이 어떤 호소문제를 가지고 있든지 간에 상담자는 학생의 진로에 대한 자아정체감 을 염두에 두고 정체성을 찾기를 바라는 마 음을 갖게 된다. 구체적인 의사결정을 하고자 하더라도 진로에 대한 자아정 체감 이 왜곡되어 있거나 부정적이라면 선택이라는 상황에만 한정하여 의사 결정 과정을 밟기보다는 진로에 대한 자아정체감 을 상담에서 다루게 된다.

학생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를 상담장면에서 다루는 것은 직업을 선택하 는 것 만큼이나 자아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실제 진로상담장면에서 상담동기가 높고 자발적으로 상담을 신청한 학생 의 경우는 직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명확하게 있음을 볼 수 있 다. 그러나 상담동기가 낮고 비자발적인 경우는 상담의 필요성을 못 느끼듯 직업의 필요성을 막연하게 인식하고 있을 수 있다.

직업의 필요성을 다루는 것은 학생의 호소문제를 넘어서서 좀 더 큰 조망 능력을 가지고 삶과 직업 그리고 그 관계를 이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이해는 상담에 대한 동기를 높이며 이후의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을 촉진하기도 한다.

14) 이 부분은 진로정보센터 왕은자가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