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학습문제, 대인갈등 외) 학교에서 겪는 갈등, 어려움 탐색

6. 기타 27)

진로상담과 심리상담이 어떻게 다른가? 라는 질문은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질문이다. 일반적으로 진로상담과 심리상담에서 주로 다루는 주 제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진로상담과 심리상담의 경계를 뚜렷이 나누기가 어려운데, 그 이유는 진로문제를 호소하 는 내담자라 하더라도 진로문제와 심리문제가 복합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경 우도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진로상담에서 많이 다루는 의사결정 , 적 응 등의 문제는 결국 심리적인 갈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진로상담에서도 심 리문제를 다루게 된다. 그러나 의사결정 , 적응 등과 같은 주된 진로과제를 다루면서 부가적으로 심리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진로상담에서 많이 다루게 되는 심리문제가 있는데, 이에 해당되는 대인갈등, 자신감 부족 등을 기타 로 묶어 하나의 진로과제로 제시해 보았다.

진로상담을 하다보면 진로결정과 관련된 갈등은 아니라도 부모・가족 간 의 갈등, 학교적응과 관련된 교사・친구와의 갈등 등을 다룰 경우가 있는데 이런 사례가 대인갈등에 포함된다.

자신감 부족의 문제도 진로상담에서 주(主)로 다룰 경우가 많은데, 자기 효 능감 이론28)에서도 지적하는 바와 같이 개인의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이 진 로의식이나 탐색 및 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진로상담을 하면서 개인 심리상담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도 바 람직하지 않다. 심리문제가 진로문제를 유발한 원인일 수도 있지만 그 반대 의 경우일 수도 있고, 진로상담으로 심리문제가 경감되거나 해결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로문제를 호소하면서 상담실을 방문한 내담자 의 첫 번째 목표는 진로문제 의 해결이기 때문에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합의 없이 지나치게 심리문제에 집중하면서 상담을 이끌 경우에는 내담자의 상담 목표와 일치하지 않아 내담자의 상담동기를 떨어뜨리고 상담의 효과를 의심

27) 이 부분은 진로정보센터 전문상담원 은혜경이 작성함.

28) 최근의 진로발달이론 중 Ban dura(1986)의 사회학습이론을 토대로 H akett과 Betz (1991)가 주장한 자기효능감 이론이 있음(김봉환 외, 2000).

하게 만들기 때문에 중도탈락을 유도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만약 상담자가 판단하기에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가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진 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심리문제를 먼저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적절한 시기에 내담자와의 합의를 통해 상담목표를 재 수정함으로써 상담을 진행해갈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건강상의 문제, 만성적인 우울, 불안과 같은 깊은 정서상의 문제 는 개인심리상담 전문기관이나 전문상담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를 위해 진로상담자는 개인심리상담 전문기관이나 전문상담가 목록을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 좋다.

가. 대인갈등

29)

상담자 : 그동안 어떻게 지냈니 ?

학 생 : (힘없는 목소리로) 엄마 때문에 정말 집 나가고 싶어요.

대인갈등은 진로결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부모와의 갈등이나 가 족, 친구간 갈등을 말한다. 대인관계는 일상생활 중 필수불가결한 것이며, 청 소년의 시기는 다양한 관계속에서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대인 갈등을 경험하는 내담자가 많다.

특히 진로의사결정을 시급히 해야하는 내담자가 아니라 탐색을 통한 선택 가능성의 폭을 넓히고자하는 경우나 일정기간의 상담을 통해 진로문제를 어 느 정도 해결한 내담자들의 경우, 비록 진로문제해결을 목표로 합의했다하더 라도 당장 당면한 대인갈등을 상담주제로 꺼내는 내담자들이 있다. 대인갈등 의 문제로 집중되어 진로문제를 다룰만한 심리적인 에너지가 고갈되었다고 판단되면 진로문제를 꺼내도 내담자가 집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인갈등의 문제를 일시적으로 먼저 다루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상담이론에 따라 대인갈등을 다루는 방법은 상당히 다양하며 아래에 제시 된 방법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대인갈등을 다루는 상담개입법을 모 두 제시하기란 무척 어렵기 때문에 위 표에서는 이에 해당되는 몇 가지 개 입법만을 나열하였다.

공감

대인갈등 구체화하기

비합리적 신념 확인 및 논박 빈의자 기법

역할연기

대화기술 익히기

29) 이 부분은 진로정보센터 전문상담원 은혜경이 작성함.

이 중 공감은 이미 부모와의 갈등 에서 다루었으므로 여기서는 대인갈등 구체화하기, 비합리적 신념 확인 및 논박, 빈의자기법, 역할놀이 등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하겠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상담자는 다양한 상담이론과 기법에 대한 연구와 훈련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인 대인갈등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