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통교과의 경우,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간에 집중률과 집중시간 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중률의 경우, 상위권 학생들의 집중률은 0.6

2~0.82 (학교A 0.79, 학교B 0.62, 학교C 0.82), 중위권 학생들의 집중률은 0.37~0.68 (학교A 0.68, 학교B 0.37, 학교C 0.66 ), 하위권 학생들의 집중률은 0.19~0.39 (학교 A 0.39, 학교B 0.19, 학교C 0.32)로,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표 III- 1> , [그림 Ⅲ- 2] 참조).

집중시간 역시 집중률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학교 A , B , C 모두 공식 수업 시간 50분에서 상위권 학생들이 집중한 시간은 25분 20초에 서 30분 22초로 나타나, 공식적인 수업 시간에 대하여 약 50.1%에서 60.7%

를 집중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하위권 학생들의 집중시간은 7분 23초 에서 14분 45초로 공식적 수업 시간의 약 14.8%에서 29.5 %의 수준에 머무 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중률과 마찬가지로 학생 순준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III- 1> , [그림 Ⅲ- 3] 참조).

학생들의 집중시간은 전반적으로 전문실습교과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하위권 학생들에게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하위권 학생들의 보통교과에서의 집중시간은 학교 B의 경우 공식적 수업시 간 50분 중 7분 가량에 그치고 있어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하 위권 학생들의 경우 수업 중 대부분 엎드려 잠을 잔다든가, 옆 학생과 이야 기를 나누며 딴 곳을 쳐다보는 등 수업에 집중을 하지 않는 것이 빈번히 관 찰되었다. 학생들은 수업 감상문 및 면담에서 이와 같이 보통교과 수업에 대한 집중률 및 집중시간이 떨어지는 이유가 자신들의 수학 능력 수준에 비 해 수업 내용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며, 교사들의 강의 일변으로 수업이 진 행되고 있어 수업에 흥미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토로하고 있다.

다음은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 감상문에서 보통교과에 대한 학생 들의 소감을 일부 발췌한 것이다(철자, 띄어쓰기는 원문 그대로 실었음).

(중간생략)...책에 있는 수식은 정말 어렵고 모르겠습니다. 특히 책 은...나는 왜 이런 수식을 배우는지를 모르겠다. 단지 수학적인 수식 풀이 인 것 같다. 이렇게 적으면 혼나겠지만 ? ? 선생님들의 실력을 마치 과시하

는 것 같애요...(이하생략)

(중간 생략)... 시간은 미치겠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면 먼 소린지 모르겠다. 난 가 너무 어렵다...(이하 생략)

(중간 생략)...선생님이 너무 혼자 일방적으로 수업하는 방식이 싫다...

(이하 생략)

(중간 생략)...한시간 내내 필기하고 가만히 앉아서 선생님 설명만 듣고 있자니 졸리고 무척 따분하였다...(이하 생략)

이와 같은 학생들의 의견은 학생과의 면담 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학 생들과의 면담에서 학생들은 수업내용이 너무 어렵고, 교사 중심으로 진행 되는 수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다음은 보통교과 수업이 끝난 후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과 면담한 내용이다.

연구자 : 수업은 어떠했니 ?

학생 : 재미없어요. 저희들이 워낙 기초 실력이 없으니까요 . 아주 기초적 인 것을 가르쳐 주었으면 좋겠어요. 교과서에 있는 내용은 너무 어 려워요. (중간 생략...) 진도를 따라가는 학생은 아마 한 둘, 그래서 다들 자요. 선생님도 아마 포기하신 것 같아요 !

연구자 : 시간은 재미있었니 ? 학생 : 아니요. 다들 자거나 떠들어요.

연구자 : 왜 열심히 하지 않니 ?

학생 : 워낙 기초가 없어서 따라 갈 수가 없으니까요. 그런데 실습은 재 미있어요! 흥미도 있고요! 시간도 실습때처럼 하면 좋겠어요.

선생님만 설명하지 말고 뭔가 같이 했으면 좋겠어요.

이상과 같이 보통교과에서 학생들의 수업 집중시간이 저조한 이유로 학생 들은 교육 내용이 자신의 수준에 비하여 너무 어렵고, 교사의 일방적인 교 육 방법에 있다고 피력하고 있다.

학생들의 보통교과에 대한 집중률을 과목별로 분석해 본 결과, 국・영・

수 교과목에 대한 집중률과 집중시간이 기타 교과목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 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 들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권 학생들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들 과목 중에서도 영어, 수학에 대한 집중률과 집중시간 이 타교과목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보통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집중률과 집중시간이 전문실습교과 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하위권 학생들의 집중률과 집 중시간은 상위권 학생들에게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몇몇의 보통교과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높은 수업 집중률이 관찰되었 다. 이러한 수업의 대부분이 학습 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수업 내 용이 실생활과 연관되어 이루어진 경우였다.

구체적인 사례로 학교 A의 국어 수업을 들 수 있다. 관찰기간 중 국어 수 업에 대한 관찰은 두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교사 강의로만 이루어졌던 첫 번째 수업에서의 하위권 학생들의 집중률은 0.01로 나타나 수업에 거의 집 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별 수업 위주로 진행되었던 두 번째 수업에서는 하위권 학생들의 집중률이 0.82로 현저하게 높아져 대조적인 현 상을 보였다. 두번째 수업에서는 4명으로 이루어진 조별 수업이 이루어졌으 며, 그 내용은 상품, 잡지, 영화 등 우리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순수 우리 말과 외래어의 이름이나 제목을 찾는 것이었다. 교사의 수업 내용, 목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이루어진 후,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학생들이 앞, 뒤, 좌, 우의 책상을 붙여, 12개의 조를 만들었다. 학생들은 여러 차례 조별 수업을

해보았는지 짧은 시간 동안에 능숙하게 책상을 정렬하였으며, 조별로 자리 에 앉아 수업 준비를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조별로 교사 가 나누어 준 조사지에 의거하여 수업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이 때, 교사는 조별로 순회하며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주위에서 흔히 발 견할 수 있는 화장품 이름, 영화 제목, 잡지 이름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해서 상당한 흥미와 관심을 보였다. 조별로 순수 고유어로 이루어진 이름들을 발표할 때, 학생들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이름들이 나올 때면 감탄과 박수를 보내는 등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 다. 다음은 국어 시간에 대한 학생들의 감상문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중간 생략)...조별 수업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할 수 있어서 참 좋았다, 선생님은 앞에서 설명하고, 아이들은 듣기만 하는 수업 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생각해서 토론하는 수업이라 그런지 아이들도 참 활기 있게 수업할 수 있었던 것 같다...(이하 생략)

(중간 생략)...국어시간에는 조끼리 모여서 토의를 하였는데 선생님만 바 라보는 수업보다 친구들끼리 모여서 하는 수업이 좋았다. 가끔은 떠들기 도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토의하는 수업을 자주 하고 싶다...(이하 생 략)

(중간 생략)...교과서 외에 다양한 것을 배울 수 있어서 좋다. 실생활에 서의 국어를 배워서 국어 이론보다 가치를 배울 수 있어서 좋다...(이하 생략)

(중간 생략)...오랜만에 갖는 토론시간이였다. 다른 토론시간에는 우리가 잘 모르고 관심이 없었던 주제를 가지고 했기 때문에 토론시간에 떠들고 그랬는데 오늘은 우리들이 관심이 있는 외래어와 고유어에 대해서 토론했 기 때문에 수업내용이 참 알찼다...(이하 생략)

마지막에서 기술한 학생의 감상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조별 수업을 한다 고 하여 반드시 학생들의 집중률 및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의 활동이 중심이 되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개별・조별 수업을 조직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울러 학생들의 실제 생활, 경험과 연계시켜줄 수 있는 수업내용, 학습활동의 선정에 대한 고려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의 실제 경험, 생활과 연관지어 수업을 진행한 구체적인 사례로 학 교 B의 일본어 수업을 들 수 있다. 학교 B의 경우, 시작 종이 울려도 책상 에 엎드려 자거나 복도에 서성되는 등 평상시에는 수업준비도가 떨어졌던 학생들이, 일본어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몇몇의 학생 들은 노트를 펴서 일본어를 외우고 있었으며, 몇몇은 학생들에게 서로 발음 과 뜻을 물어 보는 등 전혀 뜻밖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본어 수업 을 관찰해 본 결과, 일본어 교사가 한국에서 청소년들에게 유행하는 대중가 요, 만화, 비디오 등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이 시작되자 교사는 지난 시간 숙제로 내어 준 일본어 노래가사를 학 생들과 읽고 해석하였다. 이 일본어 노래는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었던 한국 가요를 일본어로 개작한 것이었다. 이후, 교사가 준비한 카세트 테잎을 통해 학생들은 노래를 듣고, 소절로 나누어 따라 불렀다. 학생들이 일본어 가사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을 때 쯤 학생들에게 노래를 개별적으로 시켰으 며,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졌다. 교사는 학생들의 발표를 통해 학생 들이 어려워하는 구문과 발음을 다시 한번 반복 설명해주었으며 노래 내용 중 이전에 학습한 교과내용과 연결되는 부분은 강조하며 반복 설명해 주었 다. 이후 학생들의 합창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한 차시 수업을 끝낸 교사

수업이 시작되자 교사는 지난 시간 숙제로 내어 준 일본어 노래가사를 학 생들과 읽고 해석하였다. 이 일본어 노래는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었던 한국 가요를 일본어로 개작한 것이었다. 이후, 교사가 준비한 카세트 테잎을 통해 학생들은 노래를 듣고, 소절로 나누어 따라 불렀다. 학생들이 일본어 가사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을 때 쯤 학생들에게 노래를 개별적으로 시켰으 며,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졌다. 교사는 학생들의 발표를 통해 학생 들이 어려워하는 구문과 발음을 다시 한번 반복 설명해주었으며 노래 내용 중 이전에 학습한 교과내용과 연결되는 부분은 강조하며 반복 설명해 주었 다. 이후 학생들의 합창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한 차시 수업을 끝낸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