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성 인식

농업회의소는 아직 법률로 보장된 제도가 아니다. 현재로서는, 공식적으로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농업인 등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설립된 민간단체일 뿐이다. 농업회의소를 제도화하려는 노력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전국의 다수 농업인들이 알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어떤 농업인들이 농업회의소에 대 해서 인지하고 있고 그 정도는 어떠한지, 농업회의소의 필요성은 얼마나 느끼는 지를 살펴보았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약 55%가 농업회의소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지 않 은 상태라 할 수 있다<표 2-12>. 농업회의소에 관해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 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25%였고, ‘들어본 적 없다’는 응답 비율이 약 29%였다.

한편, ‘들어본 적 있고 잘 알고 있다’(약 22%)와 ‘들어본 적 있고 어느 정도 알고 있다’(약 23%)는 응답의 비율을 합쳐 대략 45% 정도의 농업인이 농업회의소에 대해서 인지한 상태라 말할 수 있다.

농업회의소에 관해 인지하고 있는, 즉 들어본 적이 있고 잘 또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은 응답자 집단 특성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난다. 여성 (35.1%)에 비해 남성(48.0%)의 응답 비율이 현저하게 높다. 농업에 관한 다른 사 안에서도 이런 경향이 흔히 나타나지만, 여성 농업인보다는 남성 농업인이 지방 농정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에 훨씬 더 자주 노출되거나 참여하기 때문이다.

연령 집단 중에서는 특히 60대 연령층에서 농업회의소에 관해 ‘들어본 적 있고 잘 알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28.5%로 현저하게 높았다. 60대 연령층은 농업인 중에서도 그 구성비가 가장 높은 최빈 세대이며, 실제로 지방농정과 관련된 여러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영농 종사 기간이 21년 이상인 농업 인 집단에서 ‘들어본 적 있고 잘 알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상대적으 로 고령인 60대 연령층에서 인지도가 높다는 점과 관련되어 있다.

충청남도와 강원도에 거주하는 농업인들 사이에서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았다. 충청남도와 강원도는 현재 설립되어 활동하는 농업회의소가 가장 많은 지역들이다. 한편, 경기도, 충청북도, 제주도에서 인지도가 가장 낮다고 말 할 수 있는데, 이들 세 광역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시·군 중 농업회의소가 설립된 곳은 하나도 없다.

구분 들어본 적 있고

잘 알고 있다

들어본 적 있고 어느 정도 알고 있다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

들어본 적

없다 전체 비고

성별

남성 326(24.7) 307(23.3) 317(24.0) 370(28.0) 1,320(100.0) χ2=29.0 p=0.000 여성 37(11.4) 77(23.7) 100(30.8) 111(34.2) 325(100.0) 전체 363(22.1) 384(23.3) 417(25.3) 481(29.2) 1,645(100.0)

연령대

20~30대 20(20.2) 27(27.3) 29(29.3) 23(23.2) 99(100.0)

χ2=51.3 p=0.000 40~50대 128(20.3) 171(27.1) 168(26.6) 164(26.0) 631(100.0) 60대 185(28.5) 127(19.6) 142(21.9) 195(30.0) 649(100.0) 70대 30(13.0) 52(22.6) 67(29.1) 81(35.2) 230(100.0) 80세 이상 2(5.1) 7(17.9) 13(33.3) 17(43.6) 39(100.0) 전체 365(22.1) 384(23.3) 419(25.4) 480(29.1) 1,648(100.0)

영농 종사 기간

1~5년 18(10.8) 42(25.1) 56(33.5) 51(30.5) 167(100.0)

χ2=94.5 p=0.000 6~10년 33(10.6) 81(26.0) 91(29.3) 106(34.1) 311(100.0) 11~20년 79(18.9) 78(18.7) 120(28.8) 140(33.6) 417(100.0) 21~30년 80(29.9) 64(23.9) 53(19.8) 71(26.5) 268(100.0) 31년 이상 156(32.3) 119(24.6) 97(20.1) 111(23.0) 483(100.0) 전체 366(22.2) 384(23.3) 417(25.3) 479(29.1) 1,646(100.0)

거주 지역

경기도 26(12.7) 39(19.1) 52(25.5) 87(42.6) 204(100.0)

χ2=99.6 p=0.000 강원도 44(31.0) 35(24.6) 28(19.7) 35(24.6) 142(100.0) 충청북도 10(8.3) 25(20.7) 36(29.8) 50(41.3) 121(100.0) 충청남도 82(36.6) 52(23.2) 48(21.4) 42(18.8) 224(100.0) 전라북도 38(22.4) 47(27.6) 45(26.5) 40(23.5) 170(100.0) 전라남도 52(21.8) 53(22.3) 61(25.6) 72(30.3) 238(100.0) 경상북도 58(19.0) 75(24.6) 86(28.2) 86(28.2) 305(100.0) 경상남도 54(26.9) 48(23.9) 48(23.9) 51(25.4) 201(100.0) 제주도 2(4.2) 10(20.8) 15(31.3) 21(43.8) 48(100.0) 전체 366(22.1) 384(23.2) 419(25.3) 484(29.3) 1,653(100.0)

<표 2-12>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

단위: 명, (%)

주: 음영 처리한 칸은 설문의 ‘보기 항목’마다 응답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집단을 표시한 것이다.

자료: 설문 조사.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 수준과 필요성을 느끼는 수준 사이에는 큰 관계가 없는 듯하다. 농업회의소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38%, ‘필요하다’

고 응답한 비율이 약 46%였다<표 2-13>. 필요성 측면에서 긍정응답 비율이 84%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응답자 집단에 따라 약간의 정도 차이는 드러난다. 여 성보다는 남성 응답자 사이에서, 40대·50대·60대 연령층에서, 영농경력 21년 이상인 집단에서, 강원도 지역에서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구분

전혀 필요하지

않다

필요하지

않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잘

모르겠다 전체 비고

성별

남성 19(1.4) 81(6.1) 589(44.6) 531(40.2) 101(7.6) 1,321(100.0) χ2=17.4 p=0.002 여성 7(2.2) 17(5.2) 168(51.7) 95(29.2) 38(11.7) 325(100.0)

전체 26(1.6) 98(6.0) 757(46.0) 626(38.0) 139(8.4) 1,646(100.0)

연령대

20~30대 1(1.0) 9(9.1) 61(61.6) 21(21.2) 7(7.1) 99(100.0)

χ2=51.7 p=0.000 40~50대 13(2.1) 35(5.5) 285(45.1) 253(40.0) 46(7.3) 632(100.0)

60대 11(1.7) 36(5.5) 260(40.1) 283(43.6) 59(9.1) 649(100.0) 70대 1(0.4) 17(7.4) 131(57.0) 59(25.7) 22(9.6) 230(100.0) 80세 이상 0(0.0) 2(5.1) 21(53.8) 10(25.6) 6(15.4) 39(100.0) 전체 26(1.6) 99(6.0) 758(46.0) 626(38.0) 140(8.5) 1,649(100.0)

영농 종사 기간

1~5년 3(1.8) 12(7.2) 92(55.1) 45(26.9) 15(9.0) 167(100.0)

χ2=29.5 p=0.021 6~10년 6(1.9) 16(5.1) 162(51.9) 98(31.4) 30(9.6) 312(100.0)

11~20년 8(1.9) 31(7.5) 181(43.5) 158(38.0) 38(9.1) 416(100.0) 21~30년 4(1.5) 17(6.3) 118(43.9) 113(42.0) 17(6.3) 269(100.0) 31년 이상 5(1.0) 23(4.8) 204(42.2) 212(43.9) 39(8.1) 483(100.0) 전체 26(1.6) 99(6.0) 757(46.0) 626(38.0) 139(8.4) 1,647(100.0)

거주 지역

경기도 7(3.4) 10(4.9) 90(44.1) 76(37.3) 21(10.3) 204(100.0)

χ2=54.1 p=0.009 강원도 2(1.4) 11(7.8) 54(38.3) 67(47.5) 7(5.0) 141(100.0)

충청북도 0(0.0) 3(2.5) 63(51.6) 39(32.0) 17(13.9) 122(100.0) 충청남도 4(1.8) 14(6.3) 95(42.4) 93(41.5) 18(8.0) 224(100.0) 전라북도 3(1.8) 7(4.1) 81(47.6) 67(39.4) 12(7.1) 170(100.0) 전라남도 4(1.7) 15(6.3) 106(44.5) 96(40.3) 17(7.1) 238(100.0) 경상북도 4(1.3) 22(7.2) 154(50.3) 95(31.0) 31(10.1) 306(100.0) 경상남도 2(1.0) 15(7.5) 86(43.0) 87(43.5) 10(5.0) 200(100.0) 제주도 0(0.0) 3(6.3) 29(60.4) 8(16.7) 8(16.7) 48(100.0) 전체 26(1.6) 100(6.0) 758(45.9) 628(38.0) 141(8.5) 1,653(100.0)

<표 2-13> 농업회의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단위: 명, (%)

주: 음영 처리한 칸은 설문의 ‘보기 항목’마다 응답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집단을 표시한 것이다.

자료: 설문 조사.

어느 지역에서 농업회의소가 결성되고 활동하면, 그것에 기대할 수 있는 바를 세 가지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농업인들이 지방농정 당국이 해결해야 할 현안 문제를 식별하고 제기하는 통로로서 농업회의소가 기능하는 것이다. 둘 째는 그 같은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의 과정, 특히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농 업인과 행정이 협력하는 장(場)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셋째는 농업회의소가 늘 한결같이 지역의 농업인 및 농업인단체의 의사를 대변하는 것이다.

이렇게 예상할 수 있는 농업회의소의 기능들에 관해 응답자들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긍정응답(매우 그렇다 + 그렇다)을 제출하였다. ‘현안 문제 제기’, ‘협력적 의사결정’, ‘의사 대변’ 등의 기대효과에 대해 긍정응답률은 각각 66.8%, 66.9%, 57.2%였다. ‘의사 대변’ 측면의 기대효과에 대한 긍정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이는 농업회의소가 지방자치단체 행정과 지역의 농업인 ‘사이’에서 역 할을 하는 기구라는 인식은 확산되어 있는데 비해, 농업회의소를 중심으로 지역 의 농업인들이 모여 자신들의 결집된 의사를 표현하는 ‘응집력 있는 단체’로서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덜 수용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농업회의소는 지방농정 현안 문제를 제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N=1,639)

35 (2.1)

103 (6.3)

406 (24.8)

717 (43.7)

378 (23.1) 농업회의소는 제안된 지방농정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인과 행정이 상호 협력해 의사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N=1,636)

28 (1.7)

106 (6.5)

406 (24.8)

719 (43.9)

377 (23.0) 농업회의소는 농업인(농업인단체) 의사를 잘

대변할 것이다 (N=1,635)

39 (2.4)

157 (9.6)

495 (30.3)

621 (38.0)

323 (19.8)

<표 2-14> 농업회의소에 대한 기대

단위: 명, (%)

자료: 설문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