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ECD국가 정책비교 가. 아동돌봄 사회화 관련

제3절 비교평가 결과

1. OECD국가 정책비교 가. 아동돌봄 사회화 관련

<표 5-1>은 OECD 22개국의 아동돌봄의 사회화와 관련된 정책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노동시장 참여율의 젠더차이를 보면 스웨덴이 4%포 인트로 가장 낮았다. 그 뒤를 이어 핀란드 5%포인트, 노르웨이 7%포인트, 아이슬란드 8%포인트, 덴마크 9%포인트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노동시장

참여율의 차이가 적게 나타난 국가들은 모두 북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들 이었다. 그 뒤를 이어 자유주의 복지국가라고 일컬어지는 영국, 캐나다, 미국이 각각 10%포인트, 11%포인트, 12%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그리스는 22개 비교국가 중 남녀의 노동시장 참여가 32%포인트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또한 남녀 간의 노동시장 참여 비율이 그리스 를 제외하고 가장 큰 30%포인트로 집게 되었다. 그리스, 한국과 같이 남 녀 간의 노동시장 참여비율의 차이가 20%포인트 이상 큰 국가들로는 일 본과 스페인이 29%포인트, 이태리가 28%포인트, 아일랜드가 23%포인트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 예상과 달리 여성의 전통적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크고, 가족중심주의가 강하게 남아있다고 알려진 소위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에서 남녀 간의 노동시장 참여비율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 았다. 오스트리아 15%포인트, 프랑스 13%포인트, 독일 13%포인트, 벨기에 17%포인트, 네덜란드 17%포인트 등으로 집게 되었다. 이들 국가들은 호 주나 뉴질랜드와 같은 자유주의 복지국가들보다 노동시장 참여와 관련된 젠더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0세에서 2세 아동의 보육비율을 보면 덴마크가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아이슬란드 58.7%, 노르웨이 43.7%, 스웨덴 39.5%, 벨기에 38.5%로 집게 되었다. 노동시장의 젠더차이 지표와 유사하 게 북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들의 0~2세 아동보육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벨기에가 상위순위를 차지하고 북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들과 동 질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핀란드의 0~2세 아동보육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22.4%에 그쳤다. 이는 자유주의 복지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보다는 물론 남부유럽 국가인 포르투갈보다도 낮은 수치이다. 0~2세 아동보육비율이 10% 미만인 국가들은 오스트리아가 4.1%로 가장 낮았고, 그 뒤를 이어 이태리 6.3%, 그리스 7.0%, 독일 9.0%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들은 남 부유럽국가들과 보수주의 국가들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같은

보수주의 국가들이라고 해도 벨기에, 프랑스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0~2세 아동보육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남부유럽국가들 중에서도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0~2세 아동보육비율은 20%를 넘고 있다. 즉, 0~2세 아동보육비 율과 관련해 보수주의 복지국가 또는 남부유럽 복지국가들 내의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2세 아동보육은 조기교육의 목 적으로 제도화된 3세 이상 취학 전 아동의 보육과 달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출산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고 평가되는 일과 가족생활 양립정도와 관련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보수주의 복지국가들과 남부유럽 복지국가들 내에서 일과 가족생활 양립 과 관련된 상이성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를 제기한다. 동아시아 복지국가 인 한국과 일본은 각각 19.9%, 15.2%로 오스트리아, 독일, 그리스, 이태리 보다는 높지만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하위권에 위치해 있다.

3세부터 취학 전 아동보육비율은 0~2세 아동보육비율과 달리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랑스는 모든 아동이 보육시설 (유치원포함)을 이용하는 것으로 집게 되었다. 벨기에와 이태리의 3세-취 학 전 아동의 보육비율이 99.6%로 거의 모든 아동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 밖에 80%이상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국가들로는 북 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들인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웨덴, 보수 주의 복지국가로 분류되는 독일, 남부유럽 복지국가인 이태리, 스페인, 동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 자유주의 복지국가들 중에서는 영국과 뉴질 랜드가 이름을 올렸다. 주목할 점은 독일과 이태리의 경우 0~2세 아동보 육비율은 최하위권을 기록했는데 3세 이상 보육비율에서는 수위를 차지했 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은 이들 국가들에서 3세 이상 취학 전 아동보육 을 바라보는 사회적 관점과도 밀접히 연관된다. 취학 전 아동에 대한 보 육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일과 가족생활 양립과 같은 젠더와 관련된 정책으로 이해되기보다 아동에 대한 조기교육차원으로 이해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독일의 경우 1996년 3세 이상 아 동의 아동보육시설 이용권리가 도입된 후 해당 연령대의 아동에 대한 보 육비율이 80%에서 100%까지 높아진 것으로 집게 되고 있다30)(Knijn &

Ostner, 2002, Aust & Bonker, 2004; Pfau-Effinger, 2006; Morel, 2007). 그러 나 그 내용을 보면 3세 이상 보육의 대부분은 반일제이고(오전 8시부터 12시까지), 유치원(pre-school)은 매일 열지 않는다(Anttonen, 2006). 이러한 현실은 독일에서 3세 이상 취학 전 아동보육의 제도화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같은 젠더평등적 목적을 위해 제도화 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 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3세 이상 취학 전 아동에 대한 보편적 보육권리가 도입된 후 3세에서 6세 자녀를 둔 독일여성의 고용율 이 무려 7.5%포인트가 높아진 것은(BMFSFJ. 2003a: Aust & Bonker, 2004) 제도의 도입목적과 관계없이 아동 돌봄의 사회화가 갖는 성격을 짐작하게 해주는 결과이다.

아동보육을 위해 평균임금 대비 부모가 지불해야하는 비용을 보면 스페 인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부모의 비용부담이 20%

가 넘는 국가를 보면 포르투갈 27.8%, 프랑스 25.1%, 아일랜드 24.8%, 영 국 24.7%, 호주 22.4%, 뉴질랜드 20.4%, 이태리 20.0% 순으로 집게 되었 다. 이들 국가들은 주로 남부유럽복지국가들과 자유주의복지국가들로 나 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남부유럽 국가들에서는 상대적으로 아동돌봄에 대 해 가족에 대한 책임을 우선하는 특성으로 인해 아동보육 서비스 공급이 제한되고, 이것이 비용 상승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자유주의 국가 들에서는 돌봄의 사회화를 시장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부모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아동보육에 대한 부모의 비용부담이 낮 은 국가들로는 스웨덴과 그리스가 4.5%로 가장 낮다. 오스트리아, 덴마크,

30) 1996년에 도입을 계획했던 3세 이상 아동의 보육시설 이용에 관한 보편적 권리는 재정적인 문제로 1999년으로 연기되었다(Morel, 2007).

핀란드, 노르웨이도 부모가 부담해야할 비용이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 났다. 아동양육의 가족책임을 강하게 강조하고 있는 오스트리아(Strell &

Duncan, 2001)에서 아동보육비융이 낮다는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GDP대비 아동보육에 대한 지출은 덴마크가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GDP대비 지출규모가 1.0%를 넘는 국가로는 스웨덴 1.7%, 프랑스와 아이슬란드가 1.2%, 핀란드와 노르웨이가 1.0%로 나타났다. 프랑스를 제 외한 북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들이 모두 포함되었다. 반면 GDP대비 아 동보육에 대한 지출비율이 0.2%이하로 가장 낮은 국가로는 한국이 0.1%

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호주 0.3%, 캐나다 0.2%, 그리스 0.2%, 아 일랜드 0.2%, 뉴질랜드 0.3%, 미국 0.3%로 집계되었다. 한국과 그리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유주의 복지국가들이 포함되어 이들 국가에서 아동돌 봄의 사회화가 시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정리하면 아동양육의 사회화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하나 는 자유주의 복지국가들처럼 시장을 통해 이루지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사민주의 복지국가들과 같이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모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반면, 국가의 지출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자의 경우 부모의 아동양육비용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국가의 책임을 대변하는 GDP 대비 보육비용의 지출비중은 높 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 가지 경로 모두 남녀 간에 노동시장 참여의 차이 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만약 특정국가의 가족정책의 궁 극적 목적이 단순히 돌봄노동을 가족 밖으로 끌어내는 것이라면 Esping-Andersen(2005)의 지적처럼 자유주의 방식은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적극적 개입 없이도 시장을 통해 돌봄의 사회화를 이루 어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에는 많은 논란이 따른다. 질이 담보 되지 않는 아동보육은 아동에게 필요한 적절한 인지적 자극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동돌봄의 사회화 방법은 현재 아동돌봄의 책임을 부

모로부터 다른 성인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궁극적으로 아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