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 부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

Ⅳ. 한국어 교육용 연어의 한·중 대조 분석

4. 한국어 부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

중국어에는 '-에'의 의미와 문법기능과 같은 조사가 없기 때문에 '-에'가 포 함된 '부사어(체언+에)+용언'형 연어는 중국어에서 통사적으로 일치하게 대응할 수도 없다. 따라서 '부사어+서술어'형 한국어 연어는 중국어에서의 대역어와 모 두 비대응적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한국어 조사 '-에'의 용법이 많아서 '체언+에'로 구성된 부사어의 구체적인 의미에 따라 '-에'가 포함된 연어는 중국 어에서도 다양한 대응 양상을 보인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한국어 조사 '-에'의 용법과 의미에 대해 고찰할 필요하다.

<표-29> 한국어 조사 '-에'의 의미와 용법

(체언 뒤에 붙어)

대응 양상의 유형도 서로 다르다. 의미 해석 중에서 1, 2, 13, 15 번째 항목에 해 당하는 것은 중국어에서 방위구와 대응한다. 왜냐하면 1, 2, 13, 15 번째 항목에 서 '-에'의 의미는 모두 '처소, 시간, 범위'과 관련되기 때문에 중국어에서 방위 를 나타나는 명사 '中(속), 里(안), 入(-에 들어감), 上(-로 올림)' 등에 의해서 방 위구인 대역어를 생성한다. 3, 5, 9, 10, 11의 의미로 이루는 연어는 중국어에서 술빈구와 대응하고 6, 7, 8, 12, 14는 개사구와 대응한다. 왜냐하면 3, 5, 9, 10, 11 번째 항목의 의미에 따라 조사 '-에' 앞에 나오는 명사를 모두 동작의 '대상'으 로 볼 수 있다. 중국어 문법에는 동작의 대상은 항상 동사 뒤에 나오고 동사와 같이 술빈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어 구성 속의 '-에'의 의미는 3, 5, 9, 10, 11 번째 항목에 해당할 때 중국어에서 술빈구와 대응한다. 6, 7, 8, 12, 14 번째의 의 미 해석에 따라 '-에'는 중국어에서 각각 '给, 对, 用, 为, 关于/有关'등 개사와 대응하고 연어의 다른 성분의 중국어 대역어와 같이 개사구를 이룬다. 4번째 해 석 항목은 피동의 의미인 '-에'로 형성된 연어는 보통 중국어에서 피동구와 대응 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교육용 연어 중에서 '부사어+체언'형 연어들은 대부분 중 국어에서 방위구나 술빈구로 대응한다. 구체적인 예를 보겠다.

(1) 방위구와의 대응

기억에 남다 → 留在记忆中、记在脑子里 동아리에 들다 → 加入社团

물에 빠지다 → 掉进水里

눈에 띄다 → 进入视线、映入眼帘 무대에 올리다 → 搬上舞台 생각에 잠기다 → 陷入沉思

위에서 제시한 조사 '-에'가 참여한 '부사어+용언'형 연어는 중국어에서 모두 방위구로 대응된다. 이런 연어 속에서 조사'-에'의 역할은 '-에'를 포함하는 앞 말은 뒤에 있는 동작이나 사건이 발생하거나 진행되는 장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때 '장소'를 나타나는 한국어 조사 '-에'는 중국어에서 '中(속), 里(안), 入(-에 들어감), 上(-로 올림)' 등 방위사와 대응한다. 이런 방위사는 연어를 구성하는

체언과 용언의 중국어 대역어와 같이 방위구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기억에 남 다'에서의 명사 '기억'과 동사 '남다'는 모두 기본 의미로 각각 중국어에서 명사 '记忆'와 동사'留'와 직접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연어 '기억에 남다'의 전체적 의미에 따라 명사 '记忆'와 동사'留'는 직접 결합할 수 없다. 만약 조사 '-에'의 의미적 기능을 중국어 대응 양상에서 구현하지 않는다면 이 두 대역어로 직접 생성되는 표현은 술빈구에 해당되는 '留记忆(기억을 남다)'이다. 그러나 '기 억에 남다'의 뜻에 따라 동사 '남다'의 대상은 '기억'이 아니라, 동사 '남다'는 ' 기억'이라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에'는 연어 구성에서 앞말이 처소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로서 중국어에서 장소를 나타나는 방위사 '中/里'등 과 대응한다. '-에'의 대역어인 '中/里'는 꼭 '留'와 '记忆' 사이에 끼어들어야 정 확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부사어+용언'형 연어 '기억에 남다' 는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은 방위구에 해당된 '留在记忆中'이다.

(2) 술빈구와의 대응

마음에 들다 → 合心意 감기에 걸리다 → 得/患感冒 보험에 들다 → 上保险 입에 맞다 → 合胃口、对胃口 조건에 맞다 → 符合条件、满足条件 적성에 맞다 → 适合自己

위에서 제시한 '부사어+용언'형 연어는 중국어에서 모두 술빈구와 대응한다.

교육용 연어 목록에서 '들다, 맞다, 걸리다' 등 동사로 구성하는 연어는 이런 대 응 양상을 보인다. 왜냐하면 이런 연어 구성 속에서 체언은 항상 그 동사의 대상 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조건에 맞다'에서 '-에'는 앞말이 기준 되는 대상 이나 단위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의 역할을 한다. 중국어에서 동사와 동 사의 대상의 관계는 항상 술빈구를 통해서 나타난다. 따라서 한국어 연어 '조건 에 맞다 '에서 명사 '조건'은 기본의미로 중국어 명사 '条件'와 대응하고 동사 '

맞다'는 확장의미로 중국어 동사 '符合'나 '满足'와 대응할 수 있다. '-에'의 의 미적 기능에 따라 '조건에 맞다 '는 중국어에서 술빈구에 속하는 '符合条件/满足 条件'와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중국어에서 술빈구는 주로 동사와 명사의 배열 순서에 따라 실현된다. 따라서 '-에'의 의미를 구지 글자로 번역하지 않아도 어 순에만 의해 체언과 용언의 대역어인 '条件'와 '满足'로 '조건에 맞다'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 '조건에 맞다'에서 '-에'는 앞말이 기준 되는 대상이나 단위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이기 때문에 '조건에 맞다'는 직접 중국어 술빈구인 '符合条件/满足条件'와 대응된다.

(3) 주술구와의 대응

시험에 떨어지다 → 考试落榜、考试不及格 시험에 붙다 → 考试合格

위의 연어를 구성하는 명사 '시험'은 중국어에서 명사 '考试'와 대응한다. 동 사 '떨어지다'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지다.'라는 기본의미로 중국어에서 자동사인 '掉,落'와 대응하고 '붙다'는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라는 기본의미로 중국 어에서 타동사인 '贴,粘'와 대응한다. 그러나 연어 구성에서 명사 '시험'은 기본 의미를 유지하지만 용언의 의미는 확장되었다. 연어 구성에는 '떨어지다'는 '시 험, 선거, 선발 따위에 응하여 뽑히지 못하다.'라는 의미이며 '붙다'는 다시 '시험 따위에 합격하다.'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떨어지다'와 '붙다'의 기본의미로 대응 하는 중국어 동사 '掉,落', '贴,粘'는 한국어와 같은 확장 의미의 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어에서 이런 확장의미와 비슷한 동사를 찾기도 어렵다. 따라서 중국어에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나는 형용사 '合格,及格(합격하다)', '不及格(불 합격하다)'를 차용하여 연어의 대응 양상을 만든다. '合格,及格'와 '不及格'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보통 앞에 나오는 명사는 문장의 주어를 한다. 따라서 '부사 어+용언'형 연어 '시험에 떨어지다/붙다'는 중국어에서 주술구인 '考试不及格/及 格'와 대응한다.

(4) 피동구와의 대응

불에 데다 → 被烧伤,被火烫

입에 오르내리다 → 被人议论、成为话柄

연어 '불에 데다' 중에서 '-에'는 앞말의 원인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조사 로서 그 원인은 항상 피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어에서 보통 개사 '被'를 통해서 피동의 의미를 나타난다. 연어를 구성한 명사 '불'은 중국어에서 '火'와 대응하고 동사 '데다'는 '烫'와 대응한다. 따라서 '-에'의 의미를 '被'로 이해하 게 되면 연어는 중국어에서 피동구인 '被火烫'와 대응한다. 혹은 연어를 의역해 서 ' 被烧伤'와 같은 표현도 된다.

(5) 어휘와의 대응

틀에 박히다 → 死板、照本宣科 마음에 들다 → 满意、中意、喜欢 눈에 띄다 → 显眼、明显、醒目

위의 연어 구성에는 '-에'의 의미적 기능은 모두 첫 번째 대응 상황과 같이 동작을 발생하는 장소를 나타난다. 이때 해당한 연어를 중국어의 방위구로 번역 할 수도 있지만 중국어에는 그 연어와 비슷한 의미인 어휘나 사자성어도 따로 있다. 복잡한 구 표현보다 번역된 내용의 간결성과 효율성을 감안하여 어휘로 직 접 한국어 연어의 의미를 나타나는 것도 제창할 만하다. 예를 들면, '눈에 띄다' 는 연어적 의미에 따라 '映入眼睛里'와 같은 방위구로 번역되는 것보다 '显眼、

明显、醒目'등 유의어로 번역하는 것은 훨씬 간단명료하고 효율적이다. 따라서 중국어에 연어의 의미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어휘가 있다면 구의 형식보다 단어를 대역어로 선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