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분 대응 목술관계 연어

Ⅳ. 한국어 교육용 연어의 한·중 대조 분석

3.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

3.1. 대응적 대조 관계의 목술관계 연어

3.1.2. 부분 대응 목술관계 연어

부분 대응 목술관계 연어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가 기본 의미 로 대역어인 중국어 술빈구의 구성 성분의 의미와 대응할 수 없고 다른 하나는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의미가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체언의 의미가 대응하고

용언의 의미가 대응하지 않는 연어와 용언의 의미가 대응하고 체언의 의미가 대 응하지 않는 연어와 같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목술관계 연어는 중국어와 의 미측면에서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관계를 이루는 원인은 중국어 대응 양상에서 한 어휘소의 어휘적 의미는 한국어와 기본의미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중국어 대응 표현에서 어휘소의 의미는 기본 의미 여부에 따라 다시 구체적인 대응 유형을 세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값을 깎다'와 '砍价' 중에서 용언 '깎 다'와 '砍'의 의미는 모두 '줄이다'라는 확장 의미이지만 어휘적 의미인 기본의 미는 각각 다른 의미로 서로 대응하지 못한다. '구두를 신다'의 중국어 대역어인 '穿皮鞋'에서 '穿'는 기본의미이지만 의미의 범위가 달라서 '신다'와 역시도 대응 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또한 '나이를 먹다'와 그의 대역어인 '长岁数'는 한국어 동사 '먹다'의 확장의미는 중국어 동사 '长'의 기본의미와 대응되고 있지만 반대 로 '长'의 기본의미는 '먹다'의 기본의미와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부 분 대응 목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을 분석할 때 의미가 대응하지 않는 위치와 비대응 요소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유형화할 것이다.

먼저, 한국어 연어에서 체언의 의미가 중국어와 직접 대응하고 용언의 의미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의 의미적 구성을 보면 다시 3가 지 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서 용언의 의미는 모두 비슷한 확장 의미로 대응되지만 어휘적 기본의미로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아래의 예를 보겠다.

(1) 값을 깎다 → 砍价

값→ 价

깎다: 기본의미- 칼 따위로 물건의 거죽이나 표면을 얇게 벗겨 내다.

확장의미- 값이나 금액을 낮추어서 줄이다.

砍: 기본의미- (도끼 따위로) 찍다. 패다.

확장의미- 감소하다. 줄이다. 취소하다.

'값을 깎다'의 구성요소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체언 '값'과 '价'는 기본의미로

직접 대응한다. 용언 '깎다' 와 '砍'는 비록 연어 구성에서 모두 '(가격, 값을) 줄 이다'와 같은 확장 의미로 대응하지만 어휘적 기본의미로 비교해 봤을 때 역시 차이가 난다. '깎다'는 '칼 따위로 물건의 거죽이나 표면을 얇게 벗겨 내다.'라는 기본 의미로 중국어에서 '砍'와 직접 대응하지 못하고 '削'와 대응해야 한다. 그 러나 '削'는 명사 '价'와 결합하면 '削价'와 같은 술빈구로 '가격을 줄이다'라는 의미를 표현할 수도 있지만 어휘 결합 관계에는 사용빈도가 낮고 조금 부자연스 러운 표현이다. 따라서 한국어 연어 '값을 깎다'는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은 구 성요소의 의미가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술빈구인 '砍价'이다. 두 표현에서 용언 ' 깎다'와 '砍' 사이에 비슷한 확장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기본의미로 인 해 비대응 관계를 이룬다.

교육용 연어 목록에서 이 경우에 해당하는 한·중 연어 대응 관계는 아래와 같 이 3개가 더 있다.

(2) 차를 세우다 → 停车

차 → 车

세우다: 기본의미 -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물건을) 한쪽 끝을 아래로 하고 다른 쪽 끝을 위로 올려 세로로 서게 하다.

확장의미 - (사람이 움직이던 것을) 멈추게 하다.

停: 기본의미 - 멎다. 서다. 멈추다. 정지하다. 중지하다.

확장의미 - (차가) 서다. 정거(停車)하다. 정박(停泊)하다.

(3) 게으름을 피우다 → 偷懒

게으름 → 懒

피우다:기본의미 - 꽃봉오리 따위를 벌어지게 하다. ‘피다’의 사동사.

확장의미 - ((일부 명사와 함께 쓰여)) 그 명사가 뜻하는 행동이나 태도를 나타내다.

偷: 기본의미 - 훔치다. 도둑질하다.

확장의미 - 틈[시간]을 내다.

(4) 관계를 맺다 → 建立关系

관계 → 关系

맺다: 기본의미 - (사람이 실이나 밧줄을) 얽어서 매듭지게 하다.

확장의미 - (사람이 다른 사람과 관계나 인연을) 이루거나 만들다.

建立: 기본의미 - 건립하다. 설치하다. 설립하다. 수립하다. 세우다. 건설하다.

확장의미 - 맺다. 이루다. 형성하다. 세우다. 확립하다

둘째,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서 용언의 의미는 모두 기본의미지만 언어의 문화적 차이나 의미 범위의 한계로 인해 서로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아래 예를 보겠다.

(1) 구두를 신다 → 穿皮鞋

구두 → 皮鞋

신다: 기본의미 - 신, 버선, 양말 따위를 발에 꿰다.

穿: 기본의미 - (옷을) 입다. (신발·양말 따위를) 신다.

'구두를 신다 '의 구성요소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체언 '구두'과 중국 어 명사 '皮鞋'는 기본의미로 직접 대응한다. 그러나 한국어 용언 '신다'와 중국 어 동사 '穿'는 비록 모두 착탈어이지만 각자의 의미에 따라 사용하는 범위가 다 르다. '穿'와 결합할 수 있는 명사는 신발, 양말뿐만 아니라 옷, 바지 등 의류 명 사도 되지만 '신다'와 같이 결합할 수 있는 명사는 신발류, 양말 등 명사만 한한 다. 따라서 어휘적 의미에서 볼 때 '신다'와 '穿'는 의미 범위의 차이로 인해 비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한국어 연어 '구두를 신다'는 구성요소의 의미가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중국어 술빈구 '穿皮鞋'와 대응한다.

교육용 연어 목록에는 이 경우에 해당하는 한·중 연어 대응 관계는 아래와 같 이 31개가 더 있다.

(2) 모자를 쓰다 → 戴帽子

모자 → 帽子

쓰다: 기본의미 - 모자 따위를 머리에 얹어 덮다.

戴: (머리·얼굴·가슴·팔·손 따위에) 착용하다. 쓰다. 이다.

(3) 안경을 쓰다 → 戴眼镜

안경 → 眼镜

쓰다:기본의미 - 얼굴에 어떤 물건을 걸거나 덮어쓰다.

戴: (머리·얼굴·가슴·팔·손 따위에) 착용하다. 쓰다. 이다.

(4) 안경을 끼다 → 戴眼镜

안경 → 眼镜

끼다: 무엇에 걸려 있도록 꿰거나 꽂다.

戴: (머리·얼굴·가슴·팔·손 따위에) 착용하다. 쓰다. 이다.

(5) 장갑을 끼다 → 戴手套

장갑 → 手套

끼다: 무엇에 걸려 있도록 꿰거나 꽂다.

戴: (머리·얼굴·가슴·팔·손 따위에) 착용하다. 쓰다. 이다.

(6) 양말을 신다 → 穿袜子

양말 → 袜子

신다: 기본의미 - 신, 버선, 양말 따위를 발에 꿰다.

穿: 기본의미 - (옷을) 입다. (신발·양말 따위를) 신다.

(1)~(6)에서 의미가 대응하지 않는 용언은 모두 착탈어에 해당한다. 한·중 착탈 어의 공통점은 모두 '착용하다'와 같은 기본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어에서 '穿(입다/신다)', '戴(쓰다/끼다)'와 같은 두 개의 동사를 위주로 '의 류, 신발, 장신구등을 착용하다'의 의미를 표현하는 반면 한국어 착탈어는 앞에 나오는 명사의 유형에 따라 의미적으로 더 세분화된다. 따라서 중국어 착탈어의 의미와 사용 범위는 보통 한국어 착탈어보다 더 넓기 때문에 두 언어에서 비대 응 관계를 형성한다.

(7) 돈을 쓰다 → 花钱

돈 → 钱

쓰다:어떤 일을 하는 데 시간이나 돈을 들이다.

花:(돈,시간을) 쓰다

(8) 우산을 쓰다 → 打伞

우산 → 伞

쓰다:기본의미 - 우산이나 양산 따위를 머리 위에 펴 들다.

打: 쳐들다. 펴들다. 내걸다.

(9) 컴퓨터를 치다 → 玩电脑

컴퓨터 → 电脑

치다: 일정한 장치를 손으로 눌러 글자를 찍거나 신호를 보내다.

玩: 놀다. 놀이하다. 장난하다.

(10) 가방을 메다 → 背书包

가방 → 书包

메다: 기본의미 -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背: 업다. (등에) 짊어지다.

(11) 높이를 맞추다 → 调整高度,对高度

높이 → 高度

맞추다:기본의미 - (사람이 열이나 간격 따위를) 가지런히 하여 어긋남이 없게 하다.

调整:조정[조절](하다).

对:두 개를 맞추다[맞대다]. 접촉시키다.

(12) 뚜껑을 닫다 → 盖盖子

뚜껑→ 盖子

닫다:기본의미 - 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를 도로 제자리로 가게 하여 막다.

盖:덮다. 씌우다.

(13) 세탁기를 돌리다 → 开动洗衣机

세탁기 → 洗衣机 돌리다:굴리다

开动: (기계 따위를) 가동시키다[운전하다].

(14) 소리를 내다 → 出声、发出声响

소리 → 声、声响

내다: 소리, 냄새 따위를 밖으로 드러내다. ‘나다’의 사동사.

出: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나오다].

(15) 요금을 내다 → 交费、缴纳费用

요금 → 费、费用

내다: 기본의미- (사람이 회비나 세금 따위의 돈을) 주거나 바치다.

交: 넘기다. 건네다. 내다. 제출하다. 바치다. 주다.

缴纳: 납부하다. 납입하다.

(16) 줄을 서다 → 排队

줄 → 队

서다: 기본의미 - (사람이 줄 따위를) 지어 이루다.

排: 차례로 놓다. 배열하다.

(17) 대출을 받다 → 得到/获得贷款

대출 → 贷款

받다:(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받은 돈이나 물건 따위를) 응하여 자기의 것으로 가지다.

得到/获得:손에 넣다. 되다. 얻다/ 획득하다. 얻다

(18) 부탁을 들어주다 → 答应请求、接受委托

부탁 → 请求、委托

들어주다: 부탁이나 요구 따위를 받아들이다.

答应: 동의하다. 승낙하다. 허락하다.

接受: 받아들이다. 수락하다. 받다. 접수하다.

(19) 잔치를 치르다 → 摆宴

잔치 → 宴

치르다:무슨 일을 겪어 내다.

摆:놓다. 벌여 놓다. 배열하다. 진열하다. 배치하다.

(20) 제사를 지내다 → 举行祭祀

제사 → 祭祀

지내다:혼인이나 제사 따위의 관혼상제 같은 어떤 의식을 치르다.

举行:거행하다. 개최하다. 실시하다.

(7)~(20)는 한·중 언어 표현의 차이로 인해 연어의 용언이 중국어 대역어와 비 대응 관계를 이루는 상황이다. 이런 한국어 연어의 용언을 중국어로 직접 번역하 는 방법을 통해 얻은 표현은 어색하거나 중국어 어법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뚜껑을 닫다', '세탁기를 돌리다'에서 용언은 중국어로 직접 번 역하면 각각 '关(닫다)'와'转(돌리다)'가 된다. 그러나 이 두 동사로 이루는 중국어 표현 '关盖子' '转洗衣机'는 문법적인 문제가 없지만 어휘 결합에 있어서 어색하고 실생활에서 거의 쓰지 않는 표현이다. 이는 한·중 언어 사이에 표현상 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의미인 구를 표현할 때 의미 차이가 있는 용언 을 택하는 상황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인 '关(닫다)'와'转(돌리다)' 대신에 '盖子(뚜껑)'나 '洗衣机(세탁기)'와 결합하면 휠씬 자연스러운 동사 '盖(덮 다)' 와'开(动)(켜다, 가동하다)'로 바꿔야 한다.

(21) 춤을 추다 → 跳舞

(21) 춤을 추다 → 跳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