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연구 대상과 방법

지금까지 국어학자들이 연어의 개념, 특성, 그리고 유형에 대해 논의할 때 쟁 점이 아직도 많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에 대한 대조 분석의 결과를 중국어인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연어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우선 연어의 개념에 대해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기존 국어학적 연구에서는 주로 연어 구조의 통사·의미적 특성이나 자유결합과 관용 표현 간의 차이점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연어의 정의와 대상 범위를 정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교육용 연어에 한정한다는 점에서 연어의 범위 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 있어서 어떤 연어 항목을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완벽한 의사소통 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꼭 배워야 할 연어 항목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교육해야 할 연어 항목을 연구 대상으로 본다.

그렇다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교육해야 할 연어 항목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 하는지를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우선 한국어 연어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 눌 수 있는데, 광의적 연어8)와 협의적 연어로 나눌 수 있다. 협의의 연어 중에는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를 포함하고 있다. 문법적 연어는 한국어 교육에는 보 통 문법 항목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에 어휘 교육의 범주에 있지 않다. 따라서 어휘적 연어는 본 연구의 연구 범위에 속한다. 어휘적 연어는 통사적 구조와 구 성요소 간의 의미 관계에 따라 다시 주술관계 연어, 목술관계 연어, '부사어+서 술어' 형 연어, '체언+ 관형격조사+ 체언'형 연어, '부사+용언'형 연어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중에서 앞에 제시한 3가지, 즉 '체언+용언'형 연어를 연구 대상으로 본다. 왜냐하면 임근석(2002)에 따라 국립국어원 350만 어절의 세종 말 뭉치에서 어휘적 연어를 추출한 결과를 보면 전체 연어 중에서 '체언+용언'형 연 어의 비중이 거의 78%에 달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사용 빈도 역시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체언+용언'형 연어의 실제 사용 양상을 보 면 동사 대치, 그리고 격조사의 누락이나 대치는 자주 범하는 오류 현상 중의 하 나이다.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들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어 연어와 대응 양상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하는 '체언+용언'형 연어

8) 임근석(2002)에 따라 광의적 연어는 모든 언어 단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전형적으로 결합되는 공기관계이다. 이와 달리 협의적 연어는 한 문장 안에서 어휘소 상호 간 또는 어휘소 와 문법소 간에 전형적으로 결합되는 공기관계이다, 협의적 연어의 하위 유형으로서 구성 중에 문법소의 유무에 따라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구분되어 있다.

의 오류율이 높은 편이다. 이승연・최은지(2007)에서 말뭉치 분석을 통해 학습자 의 연어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체언+용언’형의 결합 오류가 전체 오류의 41.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용언의 어휘적 오류가 36.9%이라고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목자(2018)에서도 중국인 학습자의 작 문 자료에서 발견된 연어 오류들을 통계적으로 분석을 하였는데 분석 결과를 살 펴보면 '체언+용언'형의 연어 오류는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고 주로 용언의 위 치에서 자주 발견되고 용언의 결합적 오류는 제일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연어의 사용에서 중국어 의 영향을 받아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경우가 전체 오류 원인의 57.1%에 해당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오류의 주요인으로 추정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유문명 (2018)에서는 통사 유형별 연어의 오류율을 통계 처리한 결과, 목술관계 연어의 오류율은 50.8%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뒤를 이어 주술관계는 36.7%를 차지하고 있고 부술관계 연어의 오류는 12.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제시하였다. 따라 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한·중 언어나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 '체언+용언'형 연어를 최종적인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런 연어 항목들을 교육용 연어 목록으로 구축한 다음에 구체적인 대조언어학적 비교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더 나아가 연구 결과를 한국 어 연어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시도해 보겠다.

이와 같이 연구 대상 및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나서,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존 연구 중에 존재한 문제점과 미흡한 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 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어 교육을 대조언어학의 이론과 연계시켜 새로운 출발점에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2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쟁점이 많은 연어의 개념을 다시 살펴보고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 교육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연어의 정의를 내릴 것이다. 기 존 연구에 있는 사변적이거나 단편적 논의와 달리 본 연구는 연어의 통사적·의 미적 본질적인 특성에서 출발하여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를 만족시키는 연어의 개념을 탐구할 것이다. 연어와 자유결합, 관용표현의 판별 문제도 구체적으로 논

의할 것이다.

3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중 연어의 대조 연구의 범위 를 설정하기 위해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할 것이다. 먼저 교재 분석을 통해 중 국 현지의 한국어 연어 교육의 양상을 고찰한 다음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용 연어 목록을 추출할 것이다. 연어 목록을 선정할 때 연어의 빈도수, 학습 난이도 및 실용성을 원칙으로 한다.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먼 저 본 연구의 교육용 연어의 정의에 부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중국에서 출간 된 각 한국어 교재들에 수록된 '체언+용언'형 연어 목록을 추출한다. 추출된 연 어의 빈도수를 확보하기 위해 『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9)을 참고하 여 빈도가 높은 항목을 추출한다. 그 다음에 학습난이도를 확보하기 위해 추출한 연어 항목의 구성요소인 개별 어휘들이 <한국어 학습용 어휘 >의 범위에 있는 지를 확인할 것이다. 교육용 연어 목록의 구체적인 선정 방법을 다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에서 내린 연어의 개념을 기준으로 하여 교재 분석을 통 해 교재에서 제시하는 연어 항목을 추출한다. 추출된 연어의 빈도 유형은 <학습 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에서 제시하는 제1류나 제2류의 연어의 범위에 속 하는 동시에 해당 연어의 구성 요소는 모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 고서(2003)>에서 제시하는 학습 난이도 C급 이상인 어휘에 해당한다는 두 가지 의 조건에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이런 절차에 따라 최종적으로 중국어권 학습자 들을 위한 교육용 연어 목록이 선정되고 4장에서 한·중 대조 분석을 진행할 것 이다.

4장에서는 추출된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용 연어들을 중국어로 번역 하고 중국어와 대응시킨다. 대조언어학의 대조 분석 이론에서 대조되는 두 언어 는 주로 형태적, 통사적 측면에서 대조한다. 따라서 대조 분석하기 전에 한국어 연어 항목들을 통사적 구성에 따라 주술관계 연어, 목술관계 연어, '부사어+용언'

9)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은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2003)>에 실 린 어휘 중 명사류의 연어 구성을 <현대국어 사용빈도 조사2 (2005)>에 사용된 300만 어절 코 퍼스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이 자료에서는 각 연어를 연어 구성의 빈도 및 결합 강도 (PMI)를 바탕으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제1류는 빈도도 높고 결합 강도도 높 은 부류이다. 제2류는 빈도는 낮지만 결합 강도가 높은 부류이다. 제3-4류는 빈도와 결합 강도 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어 항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교재 제시 연어 항목에 대해 다시 제1류 와 제2류에 해당되는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연어 교육 목록으로 삼기로 했다.

형 연어와 같이 3가지의 유형으로 정리한다. 유형별로 대응된 중국어 표현은 의 미적으로 한국어 연어 항목과 일치시켜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와 통사적 측 면에서 대응양상을 살펴본다. 대응 양상을 살펴볼 때 대응적 연어와 비대응적 연 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대조언어학의 어휘 대조 원리인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10)의 개념에 따라 통사 구성이 일치하는 연어 항목에 대해 의미 측면의 공동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적 연어 는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의 개념에 따라 다시 완전 대응된 연어와 부 분 대응된 연어로 유형화할 수 있다. 부분 대응적 연어는 주로 연어의 구성요소

형 연어와 같이 3가지의 유형으로 정리한다. 유형별로 대응된 중국어 표현은 의 미적으로 한국어 연어 항목과 일치시켜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와 통사적 측 면에서 대응양상을 살펴본다. 대응 양상을 살펴볼 때 대응적 연어와 비대응적 연 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대조언어학의 어휘 대조 원리인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10)의 개념에 따라 통사 구성이 일치하는 연어 항목에 대해 의미 측면의 공동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적 연어 는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의 개념에 따라 다시 완전 대응된 연어와 부 분 대응된 연어로 유형화할 수 있다. 부분 대응적 연어는 주로 연어의 구성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