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완전 대응 주술관계 연어

Ⅳ. 한국어 교육용 연어의 한·중 대조 분석

2.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

2.1. 대응적 대조 관계의 주술관계 연어

2.1.1. 완전 대응 주술관계 연어

한국어의 주술관계 연어는 중국어와 비교할 때 대응양상이 주술관계로 동일하 다. 또 두 구성 요소의 기본의미가 일치하는 경우 완정 대응 주술관계 연어로 볼 수 있다. 교육용 연어 목록 중에서 완전 대응 주술관계 연어는 아래와 같이 9개 가 있다.

(1) 배가 고프다 → 肚子饿

연어 '배가 고프다'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도 주술관계 형용사구이며 구성 요소의 의미는 모두 한국어의 기본 의미와 일치한다. '肚子'는 '배'와 같이 모두 '복부'를 가리키고 '饿'의 의미는 '고프다'의 기본의미와 마찬가지로 '배 속이 비 어 음식을 먹고 싶다.'라는 뜻을 나타난다. 따라서 '배가 고프다'와 '肚子饿'는 완전 대응적 주술관계 연어이다.

(2) 감기가 낫다 → 感冒痊愈、感冒好了

'감기'는 '주로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걸리는 호흡 계통의 병.'의 이름으로 중국 어에서 '感冒'로 표현한다. 동사 '낫다'는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라는 기본 의미로 중국어에서 '痊愈'와 대응된다. 따라서 '感冒'와 '痊愈'는 모두 기본 의미를 유지하며 축자의미로 형성된 동사구는 '감기가 낫다'와 1대1

대응 관계를 이룬다. 따라서 '感冒痊愈'와 '감기가 낫다'도 통사 구조와 구성 요 소의 의미가 일치한 주술관계 연어의 대응 관계이다. 한편 '낫다'는 중국어에서 '痊愈'뿐만 아니라 '好'와 대응할 수 있다. '好'는 동사로 쓰일 때 '痊愈(병이 낫 다. 완쾌되다.)'의 뜻도 있다. 따라서 한국어 '낫다'의 의미와 일치한다. 그러나 ' 感冒好'라는 표현보다는 문말에 완료의 의미를 나타나는 조사 '了'를 붙이는 '感 冒好了'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낫다'의 의미는 중국어의 '痊愈 '나 '好'와 모두 비슷하지만 세 개 어휘 간의 차이점은 '낫다'와 '痊愈'는 '병이 나아지고 완치되었다'라는 결과를 강조하지만 '好'는 결과의 의미가 없다. 따라 서 조사 '了'를 첨가한 후 동사 '好'의 보어로 '완치되는 결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感冒好了'는 주술 관계로 봐도 상관없지만 술보관계인 '好了'의 구성을 보 면 [주어+술보구]형 복잡구로 보아도 된다.

(3) 목소리가/목이 쉬다 → 嗓音/嗓子沙哑

‘목소리’와 '목'은 중국어에서 각각 '嗓音'와 '嗓子'로 대응하며 이 두 명사의 뒤에 나타나는 동사 '쉬다'는 '목청에 탈이 나서 목소리가 거칠고 맑지 않게 되 다.'라는 기본 의미로 중국어에서 '沙哑'와 1대1의 대응 관계를 이룬다.

(4) 몸이 떨리다 → 身体颤抖、发抖、哆嗦

명사 '몸'은 중국어에서 '身体'와 1대1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동사 '떨리다'는 중국어에서 같은 의미로 '颤抖、发抖、哆嗦'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표현이 있다.

따라서 '身体颤抖/发抖/哆嗦'는 '몸이 떨리다'외 완전히 대응하는 축자적 의미로 형성한 주술관계의 동사구이다. 한편 중국어에서 '颤抖、发抖、哆嗦'등 동사 자 체의 의미에서 '身体'라는 잠재적 주어를 내부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주어인 ' 身体'를 생략하여 동사만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몸이 떨리다'는 중 국어에서 한 동사와 대응하는 상황도 있다.

(5) 시간이 흐르다 → 时光流逝

'시간'은 중국어 실사 '时间'나 '时光'와 대응한다. '흐르다'는 '시간이나 세월 이 지나가다.'라는 기본의미로 중국어에서 '流逝, 流走'와 대응할 수 있다. 중국어 의 사용 습관에 따라 가장 어울리는 대역어는 '时光流逝'이다.

(6) 체중이 줄다 → 体重下降

한자어 '체중'은 한자와 같이 중국어에서도 '体重'와 대응한다. '줄다'는 '무게 가 이전보다 작은 상태로 되다.'라는 기본의미로 중국어 동사 '下降'와 대응한다.

연어 '체중이 줄다'의 통사 구성과 의미 구성과 같이 중국어 동사구 '体重下降' 도 명사와 동사의 기본의미로 형성하는 주술관계의 구이다.

(7) 골치가 아프다 → 头疼;伤脑筋

'골치'는 '머리'의 유의어임으로써 중국어에서 '头'와 대응 관계를 이룬다. '아 프다'도 연어 구성에서 '몸의 어느 부분이 다치거나 맞거나 자극을 받아 괴로움 을 느끼다.'라는 기본의미로 중국어 형용사 '疼'와 대응한다. 따라서 '골치가 아 프다'는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은 '头疼'에 해당한다. 그러나 '골치가 아프다'는 문맥에서의 사용 환경에 따라 '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가 성가시거나 어렵다.'와 같은 경우를 묘사할 때 '어떤 문제가 머리를 아프게 한다'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골치가 아프다'는 중국어에서 완전 대응 관계인 주술관계 구 '头 疼'와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를 아프게 한다'로 이해하는 목술관계 구 '伤脑筋'와 대응할 수도 있다. '伤脑筋'의 통사 구조는 '골치가 아프다'와 다 르면서 구성요소의 의미도 모두 다르다.

(8) 책임감이 강하다 → 责任感强

연어 구성 중에서 '책임감'과 '강하다'는 모두 중국어와 직접 대응하는 한자어 이다. 따라서 '责任感强'와 같은 구로 한국어 연어와 직접 완전 대응하는 연어

관계를 형성한다.

(9) 향이 배다 → 香味浸透

'향'과 '香味'는 기본 의미가 완전 대응하는 명사이고 '배다'와 '浸透'는 모두 '스며들거나 스며나오다.'라는 의미인 동사이다. 따라서 '향이 배다'와 '香味浸透' 는 통사와 의미에서 모두 대응하는 연어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