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분 대응 주술관계 연어

Ⅳ. 한국어 교육용 연어의 한·중 대조 분석

2.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

2.1. 대응적 대조 관계의 주술관계 연어

2.1.2. 부분 대응 주술관계 연어

부분 대응 주술관계 연어는 중국어에서 주술구와 대응하지만 연어 구성에서 구성요소중의 하나의 기본의미는 중국어 대역어의 의미와 비대응 관계를 형성하 는 연어이다.

(1) 눈이 높다 → 眼光高

눈: 확장 의미-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힘.

기본 의미 - 빛의 강약 및 파장을 받아들여 뇌에 시각을 전달하는 감각 기관.

眼光: 观察事物的能力;观点(사물을 관찰하는 능력, 안목,관점. ) 높다: 품질, 수준, 능력, 가치 따위가 보통보다 위에 있다.

高: 在一般标准或平均程度之上.(평균 정도 또는 일반 기준보다 높다.)

한국어 연어 '눈이 높다'와 중국어 주술구 '眼光高'는 모두 '안목이 높다'나 ' 정도 이상의 좋은 것만 찾는 버릇이 있다.'라는 뜻이지만 주어인 체언 '눈'은 '안 목'와 같은 확장적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어휘의 기본의미로 중국어에서 '眼光' 와 대응할 수 없고 '眼睛'와 대응해야 한다. 서술어인 동사 '높다'는 비록 '품질, 수준, 능력, 가치 따위가 보통보다 위에 있다.'라는 확장된 의미로 쓰이지만 '높 다'의 기본의미로 대응하는 중국어 '高'도 '평균 정도 또는 일반 기준보다 높다.' 와 같은 확장적 의미의 용법이 있기 때문에 두 어휘 간에 1대1의 대응관계를 형

성한다. 따라서 '눈이 높다'와 '眼光高'는 선행요소인 '눈'의 확장 의미로 인하여 부분 대응 관계를 이룬다.

(2) 키가 크다 → 个子高

키: 사람이나 동물이 똑바로 섰을 때에 발바닥에서 머리 끝에 이르는 몸의 길이.

个子: 人的身高(신장. 키).

크다: 사람이나 사물의 외형적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따위가 보통 정도를 넘다.

高: 높다.

'키가 크다'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영상인 '个子高'와 비교할 때 두 표현중의 선 행요소인 '키'와 '个子'는 의미적으로 완전히 대응하지만 후행요소인 '크다'와 ' 高'는 의미적으로 완전히 대응하지 않는다. '크다'의 기본 의미는 '사람이나 사물 의 외형적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따위가 보통 정도를 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중국어 형용사 '高'는 '높다.'라는 기본 의미로 사람이나 사물의 높이만 묘사할 수 있고 크기, 길이 등의 정도에 대해 묘사할 때 쓸 수 없다. 따라서 '크다'의 기 본의미의 범위는 '高'보다 훨씬 높다. '키가 크다'와 '个子高'는 후행요소인 형용 사의 의미 법위로 인해 부분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3) 구름이/안개가 끼다 → 乌云密布/ 大雾弥漫

구름→云/ 안개→雾

끼다: 안개나 연기 따위가 퍼져서 서리다.

密布: 充满;稠密分布;遮蔽整个表面.(구름 따위가) 짙게 덮이다[깔리다]. 빽빽하게 들어차다.

弥漫: 布满;到处充斥着.(연기나 안개가) 자욱하다. (물이) 가득 차다. 널리 퍼지다.

한국어 동사 '끼다'가 참여하는 주술관계 연어 '구름이 끼다'와 '안개가 끼다' 는 중국어에서 각각 주술구 '乌云密布'와 '大雾弥漫'와 대응한다. 두 언어의 표현 에는 체언은 기본의미가 완전히 대응하는 관계이지만 용언은 그렇지 않다. 한국 어 동사 '끼다'는 연어에서 '안개나 연기 따위가 퍼져서 서리다.'라는 뜻이다. 그 러나 중국어에는 '끼다'의 기본의미와 완전히 대응하는 어휘가 따로 없다. 의미 가 비슷한 어휘는 '密布'와 '弥漫'가 있는데 어휘적 결합 관계에 있어서 '密布'는

'乌云(먹구름)'과 공기할 수 있지만 '弥漫'는 앞에 나오는 주어에 대해 '大雾(짙 은 안개)'를 요구한다. 이를 보니 '密布'와 '弥漫'는 '끼다'와 비교할 때 결합 범 위가 작다. 따라서 한·중 어휘의 의미와 결합 범위로 인해 부분 대응적 연어 관 계를 형성한다.

(4) 기분이 상하다 → 心情差

기분 → 心情: 대상ㆍ환경 따위에 따라 마음에 절로 생기며 한동안 지속되는, 유쾌함이나 불쾌 함 따위의 감정.

상하다: 확장 의미 - (마음이나 기분이 어떤 일에) 언짢아지거나 불편해지다.

差: 不好 (나쁘다. 좋지 않다.)

'기분이 상하다'의 중국어 대역어에서 '心情'는 기본의미로 '기분'과 대응하는 명사이다. 그러나 연어 구성에서 '상하다'는 '마음이나 기분이 어떤 일에 언짢아 지거나 불편해지다.'라는 확장 의미로 중국어에서 의미가 대응되는 어휘를 찾지 못한다. '기분이 상하다' 의 전체 의미를 보면 '기분이 나쁘다'의 뜻과 비슷하다.

따라서 중국어로 옮길 때 '나쁘다'와 대응하는 형용사 '差'를 차용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기분이 상하다'와 '心情差' 한·중 언어 표현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 부분 대응적 연어 관계이다.

(5) 맛이 부드럽다 → 味道醇和

맛 → 味道

부드럽다:술이 독하지 아니하여서 목으로 넘기기 좋다.

醇和: 순정(純正)하고 온화하다.

맛이 부드럽다’와 '味道醇和'는 모두 술의 맛의 부드러운 특징에 대해 묘사할 때 쓰는 표현이다. 두 표현에서 명사는 모두 '맛'의 뜻으로 대응한다. 그러나 형 용사의 경우는, 한국어의 '부드럽다' 는 '술이 독하지 아니하여서 목으로 넘기기 좋다.'라는 의미로 중국어에서 대응어가 찾기 어렵다. 따라서 중국어에서 술의 부 드러운 맛을 비유하는 다른 형용사를 차용하여 번역하여야 한다.

(6) 소문이 나다 → 传闻传开

소문 → 传闻 : 사람들 입에 오르내려 전하여 들리는 말.

나다: 확장 의미-이름이나 소문 따위가 알려지다.

기본 의미- (어디에 안쪽의 것이) 표면 위로 나오다.

传开: 널리 전해지다. (사방에) 퍼지다.

'소문이 나다'와 '传闻传开'는 모두 '소문이 퍼지다.'라는 뜻이다. 체언 '소문' 는 중국어 명사 '传闻'와 대응한다. '나다'는 '표면 위로 나오다.'라는 기본 의미 로 중국어에서 '出,出现'와 대응해야 하는데 연어 구성에서 '이름이나 소문 따 위가 알려지다.'라는 확장 의미로 중국어에서 '传开'와 대응한다. 중국어의 '传开 '는 한국어에서 '퍼지다'와 직접 대응 관계를 형성할 수 있지만 위와 같은 연어 구성에 있지 않으면 '나다'와 직접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소문이 나다'와 '传 闻传开'는 동사 '나다'의 확장 의미로 인해 부분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7) 경기가 풀리다 → 经济复苏,经济状况好转

경기[景氣] → 经济状况

풀리다:(금지되거나 제한된 것을 할 수 있도록 터놓다)’의 피동사.

复苏: 被唤起,振奋(재생(하다). 회복(하다).)

好转: 从衰落中恢复(호전(되다))

한자어 '경기'는 '매매나 거래에 나타나는 호황ㆍ불황 따위의 경제 활동 상태.' 를 가리킨다. 그러나 현대 중국어에서 '景气'는 명사로 쓰이지 못하고 '경제 호 황이다'라는 의미로 용언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경기'는 중국어에서 ' 经济状况(경제 상황)'와 대응시켜야 한다. '풀리다'는 '(매이거나 감긴 것이) 제거 되어 그렇지 않은 상태로 되다.'라는 기본 의미로 중국어에서 '被解开'와 대응해 야 하는데 위의 연어 구성에 있어서 '경기가 불황의 상태로부터 호황을 향해 발 전된다'라는 의미로 중국어에서 '复苏'와 '好转'와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 가 풀리다'와 '经济复苏,经济状况好转'는 어휘의 확장 의미로 인해 형성한 부분 대응적 연어이다.

(8) 형편이 어렵다 → 处境困难、生活窘迫

형편: 살림살이의 형세.

处境: 所处的境地(多指不利的情况) (처해 있는 상태·상황·환경·처지) 어렵다 → 困难, 窘迫

'형편이 어렵다' 와 '处境困难'는 모두 '살림살이의 상황이 어렵다'라는 의미지 만 연어 표현을 구성한 '형편'과 '处境'의 기본 의미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부분 대응적 연어 관계를 형성한다.

이처럼 한·중 대응적 주술관계 연어는 총 16개가 있고 전체 주술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이다. 상당수의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는 중국어에서 통사 구성이 비슷한 주술구로 대응하지 않은 이유는 중국어 어휘 체 계에는 한국어 자동사의 성질과 같은 동사의 양이 비교적으로 적기 때문에 주술 구는 대부분 형용사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중 대응적 주술관계 연어에는 구성요 소의 의미가 완전 대응하는 연어는 9개가 있고 부분 대응적 연어는 8개가 있다.

부분 대응적 연어에는 '눈이 높다'과 '형편이 어렵다'와 같은 두 개의 선행요소 의 의미가 비대응적 관계인 연어 외에 나머진 6개는 모두 후행요소인 용언의 의 미는 두 언어에서 대응하지 않는 예시이다. 이는 한국어의 동사나 형용사는 명사 보다 의미가 확장되는 상황이 많고 중국어에서 기본의미로 대응하지 못하기 때 문이다. 그리고 부분 대응적 연어의 의미를 실제로 분석해 보면 한·중 두 언어에 서 연어를 구성하는 어휘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의미의 확장, 의미의 적 용 범위, 그리고 언어 간의 문화 차이와 관련된다. 이 중에서 의미의 확장은 부 분 대응적 연어 관계를 형성하는 주된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