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8 { } ∴ y¤ = {x-2} 3 16

3 3x-2

2 3y

2

03

포물선과 직선

14 ⑴ k<6 ⑵ k=6 ⑶ k>6 `15 5개 16 ⑴ y=-'3x+'3 ⑵

y=-3x-17 y=-x+2 또는 y=x-2 18 y=- x+5

19 1 20 y= x- 또는 y=-2x-6 21 6'3 22 ⑤ 23 P(6, 3)

2 3 2 3

1 2 27

2

유제 pp. 66~70

포물선의 방정식 x¤ =-6y와 직선의 방정식 y=2x+k 를 연립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나타내면

x¤ =-6(2x+k)

∴ x¤ +12x+6k=0 yy`㉠⋯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6-6k

⑴ 포물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교점이 2개이어야 하므로 D의 부호는

D>0Δ =36-6k>0 ∴ k<6

⑵ 포물선과 직선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로 D 의 부호는

D=0Δ =36-6k=0 ∴ k=6

⑶ 포물선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교점이 없어야 하므 로 D의 부호는

D<0ΔD=36-6k<0 ∴ k>6 4

D 4 D

4 D

4

4 1

m=0일 때, 포물선 y¤ =20x와 직선 y=0은 만난다.

¤ m+0일 때, 직선의 방정식 y=m(x+1)을 변형하면

x= yy`㉠⋯

포물선의 방정식 y¤ =20x와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 y-m

m

5

1

정답과해설042

하여 y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나타내면 y¤ =20¥{ }

∴ my¤ -20y+20m=0 yy`㉡⋯

직선과 포물선이 만나려면 교점이 1개 또는 2개이어 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æ0 Δ =(-10)¤ -20m¤ æ0 m¤ …5 ∴ -'5…m…'5 (m+0)

⁄, ¤에 의하여 -'5…m…'5

따라서 정수 m은 -2, -1, 0, 1, 2로 5개이다.

D 4 y-m

m

⑴ 포물선 y¤ =4px에 접하고 기울기가 m(m+0)인 접 선의 방정식은

⋯y=mx+ yy`㉠⋯

포물선의 방정식 y¤ =-12x를 y¤ =4px의 꼴로 나타 내면

⋯y¤ =4_(-3)x Δ p=-3 yy`㉡⋯

이때 x축의 양의 방향과 120˘의 각을 이루는 접선의 기울기 m은

⋯m=tan 120˘=-'3 yy`㉢⋯

㉡, ㉢을 ㉠에 대입하면

⋯y=-'3x+⋯∴ y=-'3x+'3

⑵ 포물선 x¤ =4py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 정식은

⋯y=mx-m¤ p yy`㉠⋯

포물선의 방정식 x¤ =6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 y Δ p= yy`㉡⋯

직선 3x+y-1=0, 즉 y=-3x+1에 평행한 접선 의 기울기 m은

⋯m=-3 yy`㉢⋯

㉡, ㉢을 ㉠에 대입하면

⋯y=-3x-(-3)¤ { }

⋯∴ y=-3x-27 2

3 2 3 2 3

2 -3 -'3 p m

6 1

Tip 두 직선의 위치 관계

두 직선 y=mx+n, y=m'x+n'에 대하여

⑴ 평행하다. Δ m=m', n+n'

⑵ 일치한다. Δ m=m', n=n'

⑶ 수직이다. Δ mm'=-1

⑷ 한 점에서 만난다. Δ m+m'

포물선 x¤ =4py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x=2p(y+y¡) yy`㉠⋯

포물선의 방정식 x¤ =-2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 }y Δ

p=-㉠`에 p=- , x¡=-2, y¡=2를 대입하면

⋯-2x=2_{- }(y+2)

⋯∴ y=2x-2 yy`㉡⋯

접선 ㉡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 m은

⋯2_m=-1

⋯∴

m=-기울기가 - 이고 점 (4,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x-4)+3

⋯∴ y=-1x+5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8 1

포물선의 방정식 y¤ =-8x에 x=-2를 대입하면 y¤ =16

∴ y=—4

따라서 포물선 y¤ =-8x와 직선 x=-2의 교점의 좌표는 (-2, 4), (-2, -4)

포물선 y¤ =4px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2p(x+x¡) yy`㉠⋯

포물선의 방정식 y¤ =-8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2)x Δ p=-2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에 p=-2, x¡=-2, y¡=4를 대입하면 4y=2_(-2)(x-2)

∴ y=-x+2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에 p=-2, x¡=-2, y¡=-4를 대입하면 -4y=2_(-2)(x-2)

∴ y=x-2

7 1

포물선의 방정식 y¤ =8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2x Δ p=2

따라서 초점의 좌표 F와 준선의 방정식은

⋯F(2, 0), x=-2

9

1

이차곡선043

기울기가 주어질 때의 공식 이용

포물선의 방정식 x¤ =6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 y Δ p=

포물선 x¤ =6y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 yy`㉠⋯

접선 ㉠`이 점 (-2, -2)를 지나므로 -2=-2m- m¤ , 3m¤ +4m-4=0 (3m-2)(m+2)=0

∴ m= 또는 m=-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 x- 또는 y=-2x-6 접점이 주어질 때의 공식 이용

포물선의 방정식 x¤ =6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 y Δ p=

포물선 x¤ =6y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x=2_ (y+y¡)=3(y+y¡) yy`㉠⋯

점 (-2, -2)는 접선 ㉠ 위의 점이므로

-2x¡=3(-2+y¡) yy`㉡⋯

접점 (x¡, y¡)은 포물선 x¤ =6y 위의 점이므로

x¡¤ =6y¡ yy`㉢⋯

㉡, ㉢`을 연립하여 풀면

x¡¤ +4x¡-12=0, (x¡-2)(x¡+6)=0

∴ x¡=2 또는 x¡=-6

∴ x¡=2, y¡= 또는 x¡=-6, y¡=6

x¡=2, y¡=2일 때, 접선의 방정식은 3

2 3 3 2

3 2 3

2 2 3 2 3

2 3

3 2 3 2

3 2 3

2

0 2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A(a, 2a)에서 초점 F까지의 거리와 준선까지의 거리는 4 로 같으므로

⋯a+2=4

⋯∴ a=2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A(2, 4)

포물선 y¤ =8x 위의 점 A(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y=2_2(x+2)⋯ ⋯∴ y=x+2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1이다.

x

x=-2 y

y

=8x

O 4

4 F(2, 0)

A(a, 2a)

포물선의 방정식 y¤ =9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 x Δ p=

포물선 y¤ =9x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2_ (x+x¡)= (x+x¡) yy`㉠⋯

점 (-3, 0)은 접선 ㉠ 위의 점이므로

⋯y¡_0= (-3+x¡)⋯ ⋯∴ x¡=3 yy`㉡⋯

접점 (x¡, y¡)은 포물선 y¤ =9x 위의 점이므로

⋯y¡¤ =9x¡ yy`㉢⋯

㉡`을 ㉢`에 대입하면

⋯y¡¤ =27⋯ ⋯∴ y¡=—3'3

따라서 두 접점은 (3, 3'3), (3, -3'3)이므로

⋯PQ”=|-3'3-3'3|=6'3 9

2

9 2 9

4

9 4 9

4

1 2

2x=3 {y+ } ∴ y=

x-¤x¡=-6, y¡=6일 때, 접선의 방정식은 -6x=3(y+6) ∴ y=-2x-6

판별식 이용

점 (-2, -2)를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2)-2

∴ y=mx+2m-2 yy`㉠⋯

포물선의 방정식 x¤ =6y와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하면 x¤ =6(mx+2m-2)

∴ x¤ -6mx-12m+12=0 yy`㉡⋯

포물선 x¤ =6y와 직선 ㉠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 Δ =(-3m)¤ -(-12m+12)=0 3m¤ +4m-4=0, (3m-2)(m+2)=0

∴ m= 또는 m=-2

m= 를 ㉠에 대입하면 y= x-m=-2를 ㉠에 대입하면 y=-2x-6

2 3 2 3 2

3 2 3

D 4

2 3 2 3 2

3

포물선의 방정식 y¤ =8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2x Δ p=2

포물선 y¤ =8x에 접하고, 기울기가 m(m+0)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 yy`㉠⋯

접선 ㉠이 점 A(-2, 1)을 지나므로 2

m

2 2

방법1

방법2

방법3

정답과해설044

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x¤ =12y 위의 점 P(a, b)에서 직선 y=x-5에 이르는 거리가 최소일 때의 점 P의 위 치는 직선 y=x-5에 평행하면서 포물선에 접하는 접선 과 포물선의 접점일 때이다.

⋯ ⋯ ⋯ ⋯

포물선의 방정식 x¤ =12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3y Δ p=3

직선 y=x-5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포물선 x¤ =12y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m¤ p=1¥x-1¤ ¥3

⋯∴ y=x-3

이때 접점은 포물선 x¤ =12y와 접선 y=x-3의 교점이 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6, y=3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P(6, 3)이다.

x y

P(a, b)

-5 x

=12y y=x-5

최단 거리 O

3 2

⋯1=-2m+⋯∴ 2m¤ +m-2=0 yy`㉡⋯

이때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이 포물선 y¤ =8x 밖의 한 점 A(-2, 1)에서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에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두 근의 곱)= =-1

즉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두 접선은 서로 수 직이다.

따라서 두 접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이다.

-2 2 2 m

1 ② 2 3 a=-2, b=-1

4 (y-1)¤ =-8(x-5) 또는 (y-1)¤ =8(x-1)

5 ① 6 ② 7 y= x 8 ④ 9 24

10 12+6'2 11 (4, 4) 12 x=-p 13 9 14 ④

2

1 2 15

4

pp. 71~73

연습 문제

초점이 x축 위에 있고, 꼭짓점이 원점이므로 구하는 포물 선의 방정식의 꼴은

y¤ =4px yy`㉠⋯

이때 초점의 좌표가 F(2, 0)이므로 p=2

p=2를 ㉠에 대입하면 y¤ =8x

이때 직선 x=2와 포물선 y¤ =8x의 교점을 구하면 y¤ =8_2

∴ y=—4

따라서 구하는 교점의 좌표는 (2, -4)또는 (2, 4)

1

포물선의 방정식 y¤ =5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 x Δ p=

이므로 초점의 좌표 F와 준선의 방정식은 F{ , 0},

x=-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P에서 초점까지의 거리와 준선까지의 거리 는 5로 같다.

따라서 y축과 준선 x=- 사이

의 거리는 이므로 점 P에서 y축 에 내린 수선의 길이는

5- =15 4 5 4 5 4

5 4 5 4 5

4

5 4 5

4

2

x y

O 4 5

4 5

P

x=--y™ 5 =5x

5 F -, 0

포물선 (x-a)¤ =8(y+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x-a-2)¤ =8(y+1-b) yy`㉠⋯

이때 포물선 ㉠은 x¤ =8y에

⋯x 대신 x-(a+2), y 대신 y-(b-1) 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x¤ =8y를 x축의 방향으로 (a+2)만큼, y축의 방향으로 (b-1)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다.

따라서 x¤ =8y를 이용하여 포물선 ㉠의 초점의 좌표를 구 하면 다음과 같다.

초점 (a+2, b+1)이 원점이 되었으므로

⋯a+2=0, b+1=0

⋯∴ a=-2, b=-1

3

방정식 x¤ =8y (x-a-2)¤ =8(y+1-b)

초점 (0, 2) (a+2, b+1)

x축:a+2 y축:b-1

이차곡선045 초점 F(3, 1)에서 y축에 평행한 준선 l까지의 거리가 4

인 포물선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다.

⁄ ¤

따라서 준선의 방정식은

⋯x=7 또는 x=-1

이때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 점 P에서 준선 l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PF”=PH”

준선의 방정식이 x=7일 때

PF”=PH” Δ "√(x-3)¤ √+(y-1)¤ =|x-7|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1)¤ =-8(x-5)

¤준선의 방정식이 x=-1일 때

PF”=PH” Δ "√(x-3)¤ √+(y-1)¤ =|x+1|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1)¤ =8(x-1)

x y

x=-1

F(3, 1) l

H P(x, y) x O

y l

O

H x=7 F(3, 1)

P(x, y)

4

포물선 (y+1)¤ =4(x-2)는 포물선 y¤ =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다.

즉 포물선 (y+1)¤ =4(x-2)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 =4x가 된다.

따라서 포물선 (y+1)¤ =4(x-2) 위의 점 A(6, 3)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 동하면 점 B(4, 4)가 되고, 점 B는 포물선 y¤ =4x 위의 점이다.

이때 포물선 y¤ =4x 위의 점 B(4, 4)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을 구하면

⋯4y=2(x+4)⋯ ⋯∴ y= (x+4) yy`㉠⋯

따라서 포물선 (y+1)¤ =4(x-2) 위의 점 A(6, 3)에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로

⋯y-(-1)=1(x+4-2) 2

1 2

y™

=4x (y+1)™

=4(x-2) x

y B(4, 4)

A(6, 3) (2, -1) O

y=-(x+4) 2 1

y=-x2 1

7

포물선 y¤ =4x와직선 y=-x+k가만나는두점 A, B의 좌표를각각

A(a, -a+k), B(b, -b+k) 라 하면 두 식을 연립하여 얻은 이차방정식

(-x+k)¤ =4x Δ x¤ -2(k+2)x+k¤ =0 의 두 근이 a, b이다.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k+2), ab=k¤ yy`㉠⋯

한편 AB”=2에서 AB”¤ =4이므로

AB” ¤ =(a-b)¤ +{(-a+k)-(-b+k)}¤

=2(a-b)¤

=2{(a+b)¤ -4ab}

=2(a+b)¤ -8ab=4 yy`㉡⋯

㉠``을 ㉡에 대입하면 2 {2(k+2)} ¤ -8k¤ =4

∴ k=-7 8

5

주어진 두 포물선과 공통접선의 방정식은

y¤ =8x yy`㉠⋯

x¤ =8y yy`㉡⋯

y=ax+b yy`㉢⋯

6

포물선의 방정식 ㉠`과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하여 y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정리하면

y¤ =8 { }⋯ ⋯∴ ay¤ -8y+8b=0 yy`㉣⋯

포물선 ㉠`과 직선 ㉢`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 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Δ =(-4)¤ -8ab=0

∴ ab=2 yy`㉤⋯

포물선의 방정식 ㉡`과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정리하면

x¤ =8(ax+b)⋯ ⋯∴ x¤ -8ax-8b=0 yy`㉥⋯

포물선 ㉡`과 직선 ㉢`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 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Δ =(-4a)¤ -(-8b)=0

∴ b=-2a¤ yy`㉦⋯

㉤`과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 a+b=-3 D

4 D

4 y-b

a

정답과해설046

⋯∴ y=1x 2

점 P는포물선 x¤ =8y 위의점이므로 P(a, b)라고 하면

a¤ =8b yy`㉠⋯

점 Q는 OP”의 중점이므로 점 Q의 좌표를 Q(x, y)라고 하면

x= , y=

∴ a=2x, b=2y yy`㉡⋯

㉡`을 ㉠에 대입하면

(2x)¤ =8_2y ∴ x¤ =4y b

2 a 2

8

다음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DF”=k로 놓자.

DF” : CF”=1 : 2이므로 CF”=2k

⋯∴ CD”=DF”+CF”=3k yy`㉠⋯

이때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D”=DF”=k, BC”=CF”=2k 또한 AD”=BH”=k이고, BC”=2k이므로

⋯CH”=k yy`㉡⋯

△D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DH”="√ CD”¤ -CH”¤

=øπ(3k)¤ -k¤ (∵ ㉠, ㉡)

=2'2k (∵ k>0)

따라서 사다리꼴 ABCD의 넓이가 192'2이므로 _(k+2k)_2'2k=192'2

k¤ =64 ∴ k=8(∵ k>0)

∴ CD”=3k=24 1

2

x y

A

B H O

D

C k

k l

k 2k k

F

9

포물선의 방정식 y¤ =12x를 y¤ =4px의 꼴로 나타내면

⋯y¤ =4_3x Δ p=3 이므로 초점 F의 좌표는

⋯ ⋯F(3, 0)

다음 그림과 같이 FH”=a라고 하면 ∠PFH=45˘이므로

⋯PH”=FH”=a

⋯∴ P(3+a, a)

0 1

이때 점 P(3+a, a)는 포물선 y¤ =12x 위의 점이므로

⋯a¤ =12(3+a), a¤ -12a-36=0

⋯∴ a=6+6'2 (∵ a>0)

△PF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PF”='2a='2(6+6'2)=12+6'2 x a a y

O

P(3+a, a)

F(3, 0) 45˘

H y™

=12x

포물선의 방정식 x¤ =4y를 x¤ =4py의 꼴로 나타내면 x¤ =4_1¥y Δ p=1

이므로 초점의 좌표 P와 준선의 방정식은

⋯P(0, 1), y=-1

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위의 선착장 A에서 준선 y=-1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A”=AH”

∴ PA”+AQ”=AH”+AQ” yy`㉠⋯

이때 세 점 H, A, Q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AH”+AQ”

의 값이 최소이므로

⋯ ⋯AH”+AQ”æQH” yy`㉡⋯

따라서 ㉠, ㉡에 의하여

PA”+AQ”=AH”+AQ”æQH”

PA”+AQ”의 값이 최소일 때 점 A는 선분 QH 위에 있으 므로 점 A의 x좌표는 점 Q(4, 5)의 x좌표와 같다.

∴ (점 A의 x좌표)=4 x=4를 x¤ =4y에 대입하면

16=4y⋯ ⋯∴ (점 A의 y좌표)=4 따라서 선착장의 위치는 (4, 4)이다.

Q(4,5)

H H x

=4y

y=-1 y

O

A

A x P(0,1)

1 1

점 P(a, b)를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m+0)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a)+b

이때 직선의 방정식 y=m(x-a)+b와 포물선의 방정식

2

1

이차곡선047 y¤ =4px를 연립하면

y=m { -a}+b

∴ my¤ -4py-4p(am-b)=0 yy`㉠⋯

직선과 포물선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로 이차 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 Δ =(-2p)¤ +4pm(am-b)=0 4pam¤ -4pbm+4p¤ =0 yy`㉡⋯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m¡, m™라 하면 두 접 선이 수직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_m™= =-1 ∴ a=-p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P(-p, b)이므로 점 P의 자취의 방정식은

x=-p

즉 점 P(a, b)의 자취는 포물선의 준선이다.

x y

O

y™

=4px

x=-p P

F(p, 0) 4p¤

4pa D

4

4p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고, ∠POR=h라 하자.

∠POQ=2h이고, 부채꼴 OPQ의 넓이가 3p이므로

3p= _3¤ _2h

∴ h=p 3 1 2

3 1

x y y™

=kx x™

+y™

=9

-3 O -3

3 P

Q R 3

h

좌표평면 위에 다리의 상판을 x축, 두 교각의 정중앙을 지나고 상판에 수직인 직선을 y축이라 하여 케이블을 나 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이때 두 교각의 정중앙의 케이블과 다리의 상판을 연결하 는 쇠줄의 길이가 2 m이므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0, 2)이다.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을 x¤ =4p(y-2)

로 놓을 수 있고 x=100일 때, y=22이므로 100¤ =4p(22-2) ∴ p=125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은

x¤ =500(y-2) yy`㉠⋯

정중앙으로부터 50 m 떨어진 지점에서 케이블과 상판을 연결한 쇠줄의 길이를 구하려면 ㉠에서 x=50일 때의 y 의 값을 구하면 되므로

⋯50¤ =500(y-2)⋯ ⋯∴ y=7 따라서 쇠줄의 길이는 7 m이다.

x y

O (0, 2)

(100, 22)

50 100 -100 -50

x

=4p(y-2)

교각 교각

4 1

따라서 ∠POR= 이므로 △ORP에서

OR”=OP” cos =3_ = PR”=OP” sin =3_ =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P{ , }이고, 점 P는 포물선 y¤ =kx위의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를 y¤ =kx에 대입하면

{ }2 =k_ ∴ k=9 2 3

2 3'3

2

3'3 2 3 2

3'3 2 '3

2 p

3

3 2 1 2 p 3 p 3

정답과해설048

정답과해설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