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간벡터의 성분

성분과 내적

06 공간벡터의 성분

17 ⑴ (10, 5, -6), '∂161 ⑵ 6

18 D(3, -2, -1) 19 최솟값: , 최댓값:'6 20 2 21 5 22 4

'ß42 3

유제 pp. 216~217

⑴ 2(a¯+b¯)-(a¯-b¯+c¯)를 간단히 한 후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성분으로 나타내면

2(a¯+b¯)-(a¯-b¯+c¯)

=a¯+3b¯-c¯

=(3, 1, -2)+3(1, 2, -1)-(-4, 2, 1)

=(10, 5, -6) 또 a¯+3b¯-c¯의 크기를 구하면

|a¯+3b¯-c¯|="√10¤ +5¤ +(-6)¤ ='∂161

⑵ 네 점 P, A, B, C의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7 1

점 P의 좌표를 P(x, y)로 놓고, 네 점 A, B, C, P의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O’A≥=(2, 3), OB≥=(4, 0) OC≥=(0, -1), OP≥=(x, y)

PA≥+PB≥+PC≥ 를 변형한 후 성분으로 나타내면 PA≥+PB≥+PC≥

=(O’A≥-OP≥)+(OB≥-OP≥)+(OC≥-OP≥)

=O’A≥+OB≥≥+OC≥-3OP≥

=(2, 3)+(4, 0)+(0, -1)-3(x, y)

=(6-3x, 2-3y)

주어진 조건에서 |PA≥+PB≥+PC≥|=6이므로

"√(6-3x)¤ +(2√-3y)¤ =6 æ≠9(x-2)¤ +9{y≠- }¤ =6 9(x-2)¤ +9{y- }¤ =36

∴ (x-2)¤ +{y- }¤ =4

즉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2,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의 길이는 2p¥2=4p

2 3 2

3 2 3 2 3

6

1

ka¯+c¯와 b¯+c¯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ka¯+c¯=k(-1, 2, 1)+(1, -3, -1)

=(-k+1, 2k-3, k-1) b¯+c¯=(-3, 5, 3)+(1, -3, -1)

=(-2, 2, 2)

(ka¯+c¯) // (b¯+c¯)이므로 ka¯+c¯와 b¯+c¯의 각 성분의 비가 일정함을 이용하면

= =

-2(2k-3)=2(-k+1), 2(k-1)=2(2k-3)

∴ k=2

`다른 풀이`

(ka¯+c¯) // (b¯+c¯)이므로 벡터의 평행 조건에서 (ka¯+c¯)=t(b¯+c¯) (단, t+0인 실수)

ka¯+c¯=(-k+1, 2k-3, k-1), b¯+c¯=(-2, 2, 2) 이므로

(-k+1, 2k-3, k-1)=t(-2, 2, 2)

=(-2t, 2t, 2t)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k+1=-2t, 2k-3=2t, k-1=2t

∴ t= , k=2

세 점 A, B, C의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O’A≥=(1, 5, -2), OB≥=(2, 4, 1) OC≥=(a, 3, b+2)

AB≥와 AC≥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AB≥=OB≥-O’A≥=(2, 4, 1)-(1, 5, -2)

=(1, -1, 3)

AC≥=OC≥-O’A≥=(a, 3, b+2)-(1, 5, -2)

=(a-1, -2, b+4)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AB≥ //AC≥이므 로 AB≥와 AC≥의 각 성분의 비가 일정함을 이용하면

= =

a-1=2, b+4=6

∴ a=3, b=2 ∴ a+b=5

`다른 풀이`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AC≥=t AB≥ (단, t+0인 실수) 이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a-1, -2, b+4)=t(1, -1, 3)

=(t, -t, 3t)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3 b+4 -1 -2 1

a-1

1 2

1 2

2 k-1 2

2k-3 -2

-k+1

0 2

정답과해설120

a-1=t, -2=-t, b+4=3t

∴ t=2, a=3, b=2

∴ a+b=5

점 P의 좌표를 P(x, y, z)로 놓고, 두 점 A, P의 위치 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OA≥=('3, 0, 1), OP≥=(x, y, z) AP≥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AP≥=OP≥-OA≥=(x, y, z)-('3, 0, 1)

=(x-'3, y, z-1)

주어진 조건에서 |OA≥||AP≥|=k이므로

"√('3 )¤ +0¤ +1¤ "√(x-'3 )¤ +y¤ +(z√-1)¤ =k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3)¤ +0¤ +1¤ } {(x-'3)¤ +y¤ +(z-1)¤ }=k¤

4 {(x-'3)¤ +y¤ +(z-1)¤ }=k¤

∴ (x-'3)¤ +y¤ +(z-1)¤ =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3, 0,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k>0)인 구이다.

이때 주어진 조건에서 겉넓이가 16p 이므로 4p¥{k}¤ =16p ∴ k=4 (∵ k>0)

2 k 2

4

2 2

1 a¯+ b¯+ 2 ⑤ 3 {- , - , } 4 ② 5 4p 6 x=2, y=-2, 최솟값:'2 7 (1, -1, '2) 또는 (1, 1, '2) 8 ① 9 ④

10 11 AD≥+ AE≥

12 8 13 ② 14 ③ 3 7 6 7 2'ß30

5

2 3 1 3 2 3 2

3 2 9 1 9

pp. 219~221

연습 문제

점 P는 AB”를 2: 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P의 위치벡터 p¯는

p¯= = a¯+

yy㉠ 점 Q는 CP”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Q의 위치벡터 q¯는

q¯= = p¯+2c¯

3 1 3 p¯+2c¯

1+2

2 3 1 3 2b¯+a¯

2+1

C A

B P

Q O a

p q b

c 2 1 2

1

1

벡터121

`다른 풀이`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AC≥=t AB≥(단, t+0인 실수) 이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2, -3, q-6)=t(3, p-5, -3)

=(3t, tp-5t, -3t)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3t, -3=tp-5t, q-6=-3t

∴ t= , p= , q=4 ∴ pq=2

점 P의 좌표를 P(x, y, z)로 놓고, 네 점 A, B, C, P 의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OA≥=(1, 2, 3), OB≥=(3, -1, -2) OC≥=(-1, -2, -1), OP≥=(x, y, z) PA≥+PB≥+PC≥ 를 변형한 후 성분으로 나타내면

PA≥+PB≥+PC≥

=(OA≥-OP≥)+(OB≥-OP≥)+(OC≥-OP≥)

=OA≥+OB≥+OC≥-3 OP≥

=(1, 2, 3)+(3, -1, -2)+(-1, -2, -1) -3(x, y, z)

=(3-3x, -1-3y, -3z)

주어진 조건에서 |PA≥+PB≥+PC≥|=3이므로

"√(3-3x)¤ +(-√1-3y)¤ +(-3z)¤ =3 양변을 제곱하면

9(x-1)¤ +9 {y+ }¤ +9z¤ =9

∴ (x-1)¤ +{y+ }¤ +z¤ =1

즉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1, - , 0}이고, 반 지름의 길이가 1인 구이다.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의 겉넓이는 4p_1¤ =4p

xa¯+yb¯+c¯ 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xa¯+yb¯+c¯

=x(1, 2, 1)+y(2, 1, 2)+(1, -2, 3)

=(x+2y+1, 2x+y-2, x+2y+3)

|xa¯+yb¯+c¯ |를 구하면

|xa¯+yb¯+c¯ |

="√(x+2y+1)¤ +√(2x+y-2)¤ +√(x+2y+3)¤

="√6x¤ +12xy+9√y¤ +12y+14

="√6(x+y)¤ +3(y√+2)¤ +2

6

1 3 1

3 1 3

5

1 2 2 3

= { a¯+ b¯}+ c¯ (∵ ㉠)

= a¯+ b¯+

B’P¡” : P’¡C”=1 : 2이므로

A’P¡≥= = AB≥+ AC≥

∴ l= , m=

B’P™” : P™ÚC”=2 : 1이므로

AP≥™= = AB≥+ AC≥

∴ n= , k=

∴ l+m+n+k=2

a¯=(2, 3, 4), b¯=(2, 4, 7)이므로

3a¯-2b¯=3(2, 3, 4)-2(2, 4, 7)=(2, 1, -2) 이때 |3a¯-2b¯|를 구하면

|3a¯-2b¯|="√2¤ +1¤ +(-2)¤ =3

따라서 3a¯-2b¯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1인 벡터는 - = (-2, -1, 2)

={- , - , }

세 점 A, B, C의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OA≥=(-1, 5, 6), OB≥=(2, p, 3) OC≥=(1, 2, q)

AB≥와 AC≥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AB≥=OB≥-OA≥

=(2, p, 3)-(-1, 5, 6)

=(3, p-5, -3) AC≥=OC≥-OA≥

=(1, 2, q)-(-1, 5, 6)

=(2, -3, q-6)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AB≥ //AC≥이므 로 AB≥와 AC≥의 각 성분의 비가 일정함을 이용하면

= =

2(p-5)=-9, 3(q-6)=-6

∴ p= , q=4

∴ pq=2 1 2

-3 q-6 p-5

-3 3 2

4

2 3 1 3 2 3 1 3 3a¯-2b¯

|3a¯-2b¯|

3

2 3 1 3

2 3 1

3 2 AC≥+AB≥

2+1 1 3 2

3

1 3 2

3 AC≥+2 AB≥

1+2

2

2 3 2 9 1 9

2 3 2 3 1 3 1 3

이때 x, y는 실수이므로 (x+y)¤ æ0, (y+2)¤ æ0

따라서 x+y=0, y+2=0일 때, |xa¯+yb¯+c¯|는 최솟 값을 가지므로

x=2, y=-2일 때, 최솟값:'2

a¯의 성분을 (a¡, a™, a£)으로 놓으면 크기가 2이므로

|a¯|="√a¡¤ +a™¤ +a£¤ =2

∴ a¡¤ +a™¤ +a£¤ =4 yy`㉠ㅇ 한편 a¯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

루는 각의 크기가 60˘이므로 cos 60˘=

a¡=2 cos 60˘

∴ a¡=1 yy`㉡ㅇ

또 a¯가 z축의 양의 방향과 이 루는 각의 크기가 45˘이므로

cos 45˘=

a£=2 cos 45˘

∴ a£='2 yy`㉢ㅇ

㉠에 ㉡, ㉢을 대입하면 1¤ +a™¤ +('2)¤ =4, a™¤ =1

∴ a™=—1

따라서 구하는 a¯의 성분은

(1, -1, '2) 또는 (1, 1, '2)

`다른 풀이`

공간벡터 a¯가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라 하고 a¯와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cos 60˘, cos h, cos 45˘) 이때 벡터의 크기가 1이므로

cos¤ 60˘+cos¤ h+cos¤ 45˘

={ }2 +cos¤ h+{ }2 =1

∴ cos h=—

a¯=(a¡, a™, a£)이라 하면 a¡=|a¯|cos 60˘=2_ =1 a™=|a¯|cos h=2_{— }=—1

a£=|a¯|cos 45˘=2_ ='2 따라서 벡터 a¯의 성분을 구하면

(1, -1, '2) 또는 (1, 1, '2) '2

2 1 2 1 2 1 2

'2 2 1

2

|a¯|

|a|

O z

(a¡, a™, a£)

45˘

|a¯|

|a|

60˘

O x

(a¡, a™, a£)

7

정답과해설122

3 P’A≥+3 PB≥+4 PC≥=0¯ 에서 -3 P’A≥=3 P’B≤+4 P’C≤

∴ 3AP≥=7¥ =7¥

이때 =PD≥라 하면 점 D는 BC”를 4: 3으 로 내분하는 점이다.

또 3AP≥=7PD≥에서

|AP≥| : |PD≥|=7 : 3

이므로 점 P는 AD”를 7: 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과 같으므로 △PCD의 넓이를 3S라 하면

△PBD=4S

△PAC=7S

∴ △PAC : △PBC

=△PAC : (△PBD+△PCD)

=7S : (4S+3S)=1 : 1

m+n…3에서

+ …1 yy`㉠ㅇ

주어진 식 OP≥=mO’A≥+nOB≥를 변형하면

OP≥= (3O’A≥)+ (3OB≥) yy`㉡ㅇ

㉠, ㉡에서 점 P가 존재하는 영역은 다음 그림과 같이 3OA”, 3OB”를 두 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둘레와 내부이다.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_(9-3)_3=9

|O’A≥|, |OB≥|의 값을 구하면

|O’A≥|="ç2¤ =2

|OB≥|="√('5)¤ +2¤ =3

0 1

1 2

O 1 3

1 3

A B

9 y

x n

3 m

3 n 3 m

3

9

A B

P D C

4 7

3 3 4 P’C≤+3 P’B≤

7

4 PC≥+3 PB≥

4+3 4 PC≥+3 PB≥

7

8

Tip 좌표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에 따른 벡터의 성분

영벡터가 아닌 공간벡터 a¯=(a¡, a™, a£)이 x축, y축, z축 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 c라 하면

a¡=|a¯| cos a, a™=|a¯| cos b, a£=|a¯| cos c

벡터123

∴ AP≥=kAE≥+(1-k)AB≥

=k AE≥+(1-k)¥ AD≥

= (1-k)AD≥+k AE≥ yy㉠ 또 세 점 C, P, D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CP≥=l CD≥ (단, l+0인 실수) AP≥-AC≥=l(AD≥-AC≥)

∴ AP≥=lAD≥+(1-l)AC≥

=l AD≥+(1-l)¥3 AE≥

=l AD≥+3(1-l)AE≥ yy㉡

㉠, ㉡에서 AD≥∦AE≥, AD≥+0¯, AE≥+0¯이므로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k)AD≥+k AE≥=lAD≥+3(1-l)AE≥

(1-k)=l, k=3(1-l)

∴ k= , l=

=nAD≥+3(1-n)AE≥ yy㉡

㉠, ㉡에서 AD≥∦AE≥, AD≥+0¯, AE≥+0¯이므로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m)AD≥+mAE≥=nAD≥+3(1-n)AE≥

(1-m)=n, m=3(1-n)

∴ m= , n=6

AB”:AC”=BP”:PC” B C

P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