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 D

O E

A F

B

1 1 1 1

C D

O E 1

1

A F

B 1

C D

O E 1

A F

B

C D

O E

1

1 ⑴ DC≥, EF≥, H’G≥

⑵ '1å4, FD≥, AG≥, GA≥, BH≥, HB≥, CE≥, EC≥

⑶ FG≥, AD≥, BC≥, EH≥

⑷ H’G≥=a¯, H’E≥=-b¯, GC≥=-c¯, EG≥=d¯

유제 p. 184

⑴ 서로 같은 벡터는 시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크기와 방향이 같은 벡터이므로 AB≥와 크기와 방향이 같 은 벡터를 모두 찾으면

DC≥, EF≥, HG≥

⑵ DF≥의 크기는 세 모서리 의 길이가 각각 1, 2, 3 인 직육면체의 대각선 DF의 길이와 같으므로

⑵ |DF≥|=DF”

=øπE’H”¤ +EF”¤ +D’H”¤

="√2¤ +3¤ +1¤ ='∂14

⑵이때 직육면체의 대각선은 DF”, BH”, CE”, AG”이고, DF”=BH”=CE”=AG”='1å4

이므로 DF≥와 크기가 같 은 벡터는

FD≥

AG≥, GA≥, B’H≥, H’B≥, CE≥, EC≥

⑶ 역벡터는 크기가 같고 방 향이 반대인 벡터이므로 GF≥의 역벡터 및 역벡터와 같은 벡터를 모두 찾으면

FG≥, AD≥, BC≥, E’H≥

⑷ H’’G≥=AB≥=a¯

H’’E≥=D’A≥=-AD≥=-b¯

GC≥=E’A≥=-AE≥=-c¯

EG≥=AC≥=d¯

A

D C

H G

E F

B A

D C

G

E F

B H

1 3

2 A

D C

G

E 3

2

2 F

B H 1

A

D C

H G

E F

B

1

⑴ a¯+b¯=AB≥+AD≥=AB≥+BC≥=AC≥=c¯

⑵ c¯-b¯=AC≥-AD≥=DC≥=AB≥=a¯

⑶ c¯-a¯=AC≥-AB≥=BC≥=AD≥=b ¯

1

01

벡터의 정의

p. 183

개념check | 1 ⑴ FO≥, OC≥, ED≥

⑵ 2, D’A≥, BE≥, EB≥, CF≥, FC≥

⑶ DC≥, EO≥, OB≥, F’A≥

⑷ F’E≤=-a¯, CD≥=-b¯, DE≥=-c¯

02

벡터의 덧셈과 뺄셈

p. 187

개념check | 1 ⑴ c¯ ⑵ a¯ ⑶ b¯

벡터 1 벡터와

그 연산

정답과해설110

⑵ AB”=CD”이고, △AEO™△CFO,

△BEO™△DFO이므로

벡터111

△OMN에서 M”N≥을 구하면

M”N≥=O’N≥-O’M≥ yy㉠ㅇ 점 N은 OC”의 중점이므로

O’N≥= OC≥= yy㉡ㅇ

△OAB에서 AB≥를 구하면 AB≥=OB≥-O’A≥=b¯-a¯

이때 점 M은 AB”의 중점이므로 A’M≥= AB≥= (b¯-a¯) 따라서 △OAM에서 O’M≥을 구하면

O’M≥=OA≥+A’M≥

=a¯+ (b¯-a¯)= a¯+ yy㉢ㅇ

㉠에 ㉡, ㉢을 대입하면 MÚN≥=O’N≥-O’M≥

= c¯-{ a¯+ b¯}=- a¯- b¯+

이를 MÚN≥=ka¯+lb¯+mc¯와 비교하면 k=- , l=- , m=

k+l+m=-⑴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3a¯+3b¯+3x¯=9b¯-6a¯-2x¯

5x¯=-9a ¯+6b ¯ ∴ x¯=- a¯+

⑵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7a¯-7x¯-2b¯-2c¯=2x¯-2c¯

9x¯=7a¯-2b¯ ∴ x¯= a¯-

⑴g

㉠_2+㉡을 하면 x¯=2a¯-b¯

x¯=2a¯-b¯를 ㉠에 대입하면

2(2a¯-b¯ )-y¯=a¯ ∴ y¯=3a¯-2b¯

⑵g

㉠-2_㉡을 하면

7y¯=-3a¯-5b¯ ∴ y¯=- a¯-

y¯=- a¯-5b¯ 를 ㉠에 대입하면 7

3 7

5 7 3 7

2x¯+y¯=a¯-3b¯ yy㉠

x¯-3y¯=2a¯+b¯ yy㉡

2x¯-y¯=a¯ yy㉠

-3x¯+2y¯=-b¯ yy㉡

1 1

2 9 7 9

6 5 9 5

0 1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9

⑷ △EBO에서 OE≥를 구하면 OE≥=OB≥+BE≥=-BO≥-EB≥

=-{- a¯+ b¯}- a¯ (∵ ⑶, ⑴)

=- a¯-

△OST에서 O’S≤를 구하면

O’S≤=OT≥+TS≥ yy㉠ㅇ

한편 △OPQ에서 OQ≥를 구하면 OQ≥=OP≥+PQ≥=p¯+q¯

또 주어진 정육각형에서 2OP”=TQ”이므로 TQ≥=2OP≥=2p¯

따라서 △OQT에서 OT≥를 구하면 OT≥=OQ≥+QT≥

=OQ≥-TQ≥

=p¯+q¯-2p¯=-p¯+q¯ yy㉡ㅇ TS≥=PQ≥이므로 TS≥=q¯ yy㉢ㅇ

㉠에 ㉡, ㉢을 대입하면

O’S≤=OT≥+TS≥=(-p¯+q¯)+q¯=-p¯+2q¯

△ABC에서 AC≥를 구하면 AC≥=BC≥-BA≥=b¯-a¯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를 삼 등분하는 한 점을 E라 하면

BE≥= BC≥=

이때 평행사변형 ABED에서 BD≥를 구하면

BD≥=B’A≥+BE≥

=B’A≥+ BC≥=a¯+

AC≥-BD≥=(b¯-a¯)-{a¯+ b¯}=-2a¯+

△AEM에서 A’M≥ 을 구하면 A’M≥ =AE≥+E’M≥

=AE≥+ EG≥=c¯+ EG≥ yy㉠ㅇ

△EFG에서 EG≥를 구하면

EG≥=EF≥+FG≥=AB≥+AD≥=a¯+b¯

이를 ㉠에 대입하면

A’M≥ =c¯+ EG≥=c¯+ (a¯+b¯ )

= a ≤+1b ≤+c ≤ 2 1 2

1 2 1

2

1 2 1

2

8

2 3 1

3 1 3 1

3 1 3 1

3 E

3b 1

A D

B C

b a

7 6

1 2 1 6

2 3 1 2 1 2

정답과해설112

2x¯+{- a¯- b¯}=a¯-3b¯

2x¯= a¯- b¯ ∴ x¯= a¯-

⑴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벡터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2p+q-1)x¯+(3p-2q-5)y¯=0¯

x¯+0¯, y¯+0¯, x¯∦y¯이고, 2p+q-1, 3p-2q-5는 실수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을 연립하여 풀면 p=1, q=-1

⑵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벡터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px¯+2qy¯=(2p+q)x¯+(p+q+2)y¯

x¯+0¯, y¯+0¯, x¯∦y¯이고, 2p+q, p+q+2는 실수이 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g ∴g

㉠, ㉡을 연립하여 풀면 p=-1, q=1 p¯+q¯와 q¯-r¯ 를 각각 구하면

p¯+q¯=(3a¯-4b¯)+(-a¯+2b¯)=2a¯-2b¯

q¯-r¯=(-a¯+2b¯)-(ta¯-2b¯)=(-1-t)a¯+4b¯

이때 p¯+q¯ 와 q¯-r¯ 가 서로 평행하므로 q¯-r¯=k(p¯+q¯ )(단, k+0인 실수)

∴ (-1-t)a¯+4b¯=2ka¯-2kb¯

위의 식에서 a¯+0¯, b¯+0¯, a¯∦b¯ 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t=2k, 4=-2k ∴ k=-2, t=3 ma¯+3b¯를 구하면

ma¯+3b¯=m(x¯+2y¯)+3(3x¯-y¯)

=(m+9)x¯+(2m-3)y¯

이때 ma¯+3b¯와 x¯+y¯가 평행하므로 ma¯+3b¯=k(x¯+y¯ ) (단, k+0인 실수)

∴ (m+9)x¯+(2m-3)y¯=kx¯+ky¯

위의 식에서 x¯+0¯, y¯+0¯, x¯∦y¯ 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9=k, 2m-3=k 두 식을 연립하여 m의 값을 구하면

m+9=2m-3 ∴ m=12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조건은

AC≥=kAB≥ (단, k+0인 실수) yy㉠ㅇ 이때 AC≥, AB≥를 구하면

5 1

4 1

3 1

p+q=0 yy㉠ p-q=-2 yyp=2p+q

2q=p+q+2

2p+q-1=0 yy㉠

3p-2q-5=0 yy㉡

[

2 1

8 7 5 7 16

7 10

7

5 7 3 7

AC≥=OC≥-OA≥=(2a¯+mb¯ )-a¯=a¯+mb¯

AB≥=OB≥-OA≥=(3a¯+b¯ )-a¯=2a¯+b¯

이를 ㉠에 대입하면 a¯+mb¯=k(2a¯+b¯ )

∴ a¯+mb¯=2ka¯+kb¯

위의 식에서 a¯+0¯, b¯+0¯, a¯∦b¯ 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2k, m=k ∴ m=;2!;

`다른 풀이`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조건은 OC≥=kOB≥+(1-k)O’A≥ (k+0인 실수)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2a¯+mb¯=k(3a¯+b¯ )+(1-k)a¯

∴ 2a¯+mb¯=(1+2k)a¯+kb¯

위의 식에서 a¯+0¯, b¯+0¯, a¯∦b¯ 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1+2k, m=k ∴ k= , m=

변 OA를 1:2로 내분하는 점이 M이므로

O’M≥= OA≥= yy㉠ㅇ

세 점 M, P, B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BP≥=tB’M≥(t+0인 실수) 가 성립하므로 위의 식을 변형하면

OP≥-OB≥=t(O’M≥-OB≥)

∴ OP≥=tO’M≥+(1-t)OB≥

= a¯+(1-t)b¯(∵ ㉠) yy`㉡ㅇ 또 변 OB의 중점이 N이므로

ON≥= OB≥= yy㉢ㅇ

세 점 A, P, N이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NP≥=sN’A≥ (s+0인 실수) 가 성립하므로 위의 식을 변형하면

OP≥-ON≥=s(O’A≥-ON≥)

∴ OP≥=sOA≥+(1-s)ON≥

=sa¯+(1-s)¥ (∵ ㉢) yy`㉣ㅇ

㉡=㉣이므로

a¯+(1-t)b¯=sa¯+(1-s)¥

위의 식에서 a¯+0¯, b¯+0¯, a¯∦b¯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s, 1-t=1-s 2 t

3

1 2 t

3

1 2 1 2 1 2

t 3

1 3 1 3

6 1

1 2 1

2

벡터113

1 x¯=a¯¯, y¯=a¯- 2 ④

3 (가) C (나) BA≥ (다) 0¯ 4 5 ①

6 ㄱ, ㄷ 7 평행사변형 8 6 9 ①

10 ② 11 0 m/초 12 5 13 45 11

6 5 1

2

pp. 197~199

연습 문제

㉠+㉡을 하면

4x¯=4a¯ ∴ x¯=a¯

x¯=a¯를 ㉡에 대입하면

a¯+2y¯=3a¯-b¯ ∴ y¯=a¯-

FE≥=BC≥, FD≥=AC≥이므로 △ABC에서 AB≥+FE≥+FD≥=(AB≥+BC≥)+AC≥

=AC≥+AC≥=2AC≥

이때 △ABC에서 AB”=BC”=2이고, ∠ABC=120˘

이므로 제이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C” ¤ =AB” ¤ +BC” ¤ -2AB” ¥ BC” cos 120˘

=2¤ +2¤ -2¥2¥2¥{- }=12

∴ AC”='1å2=2'3

∴ |AB≥+FE≥+FD≥|=|2AC≥|

=2|AC≥|

=2¥2'3=4'3

PB≥+PC≥+PD≥=PA≥에서 PC≥+PD≥=PA≥-PB≥

∴ PC≥+PD≥=

그런데 □ABCD는 직사각형이므로

=CD≥ ∴ PC≥+PD≥=CD≥

이때 CD≥=PD≥-PC≥이므로

PC≥+PD≥=PD≥-PC≥, PC≥=-PC≥

∴ PC≥+PC≥= (다)

(나)B’A≥

(나)B’A≥

A D

B P C

3

1 2

2

1 2

3x¯-2y¯=a¯+b¯ yy`㉠

x¯+2y¯=3a¯-b¯ yy`㉡

1

[

따라서 PC≥= 이므로 점 P는 꼭짓점 와 일 치한다.

세 점 C, D, E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CE≥=k CD≥ (k+0인 실수) yy㉠⋯

가 성립하므로 CE≥, CD≥를 구하면

CE≥=OE≥-OC≥=r(a¯+b¯)-3a¯=(r-3)a¯+rb¯

CD≥=OD≥-OC≥=2b¯-3a¯=-3a¯+2b¯

이를 ㉠에 대입하면

(r-3)a¯+rb¯=k(-3a¯+2b¯)

∴ (r-3)a¯+rb¯=-3ka¯+2kb¯

위의 식에서 a¯+0¯, b¯+0¯, a¯∦b¯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r-3=-3k, r=2k ∴ k= , r=

△ABM에서 B’M≥을 구하면

B’M≥=A’M≥-AB≥ yy`㉠ㅇ

△AHM에서 A’M≥을 구하면 A’M≥=A’H≥+H’M≥

=(AD≥+D’H≥)+ HF≥

=(A’D≥+AE≥)+ DB≥

=(A’D≥+AE≥)+ (AB≥-AD≥)

= AB≥+ AD≥+AE≥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B’M≥={ AB≥+ AD≥+AE≥}-AB≥

=- a¯+ b¯+c¯

이를 B’M≥=la¯+mb¯+nc¯와 비교하면 l=- , m= , n=1

∴ l+m+n=- + +1=1

주어진 전개도로 정육면체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A, I

D F

K C, E ,G J, L

H, M, N

B

6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5

6 5 3 5

4

(가)C

(다)

두 식을 연립하면 s= , t=

∴ O’P≤= a¯+2

5 1 5

3 5 1 5

정답과해설114

OB≥=3a¯+2b¯

OC≥=a¯+3b¯

주어진 조건에서 OC≥=m O’A≥+n OB≥이므로 a¯+3b¯=m(-a¯+2b¯ )+n(3a¯+2b¯ )

∴ a¯+3b¯=(-m+3n)a¯+(2m+2n)b¯

위의 식에서 a¯+0¯, b¯+0¯, a¯∦b¯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3n=1, 2m+2n=3

∴ m= , n= ∴ m-n=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를

□OADB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잡 으면 △OAD는 직각삼각형이므로

|a¯|=|OD≥|cos 45˘= |OD≥|

이때 |a¯|=|c¯|이고 세 점 O, C, D는 한 직선 위에 있 으므로

c¯= OD≥= (a¯+b¯)= a¯+

∴ m= , n=

∴ m¤ +n¤ = + =1

배의 진행 벡터를 O’A≥, 강 물의 진행 벡터를 OB≥라 하고, 이를 그림으로 나타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실제로 배가 진행하는 방향은 북쪽이므로 두 벡터 O’A≥, OB≥의 합을 OC≥라

하면 OC≥의 방향은 북쪽 방향이고 실제 배의 속력은 OC≥

의 크기이므로 직각삼각형 OBC에서

|OC≥|="√13¤ -5¤ =12 (m/초)

따라서 배와 무선 조정 비행기의 진행 방향과 속력은 각각 북쪽, 12 m/초로 같으므로 배 안에 있는 사람이 바라본 무 선 조정 비행기는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구하는 상대속력은 0 m /초이다.

세 점 O, M, P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OP≥=kO’M≥ (k+0인 실수) yy`㉠ㅇ 가 성립하므로 △OBP에서 OP≥를 구하면

OP≥=OB≥+BP≥

=OB≥+ BC≥=OB≥+ OA≥=2a¯+b¯

3 2 3 2

3

2 1

B A C

O 13 m/

(북)

5 m/ (동)

1 1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D

O

45˘ A

C B

c a b

0 1

1 4 5

8 7 8

∴ AE≥=AC≥=AG≥

=IÆC≤=IÆE≤=IÆG≤

=JÆD≤=LD≥

따라서보기에서 AE≥와 같은 벡터는 ㄱ. AC≥, ㄷ. IÆC≤이다.

두 벡터의 차를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OA≥+OC≥=OB≥+OD≥, OA≥-OD≥=OB≥-OC≥

∴ D’A≥=CB≥

D’’A≥=CB≥에서 두 벡터 D’’A≥, CB≥는 크기가 같고 한 벡터를 평행이동하여 다른 벡터에 겹칠 수 있으므로

BC”=AD”, BC” // AD”

따라서 사각형 ABCD는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 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벡터의 뺄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좌변을 변형하면 A’P¡≥+A’P™≥+A’P£≥+A’P¢≥+A’P∞≥+A’P§≥

=(O’P¡≥-O’A≥)+(O’P™≥-O’A≥)+y+(O’P§≥-O’A≥)

=O’P¡≥+O’P™≥+y+O’P§≥-6OA≥ yy`㉠ㅇ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P™,

P£, y, P§은 원의 둘레를 6등분하 므로

O’P¡≥=-O’P¢≥

O’P™≥=-O’P∞≥

O’P£≥=-O’P§≥

∴ O’P¡≥+O’P™≥+y+O’P§≥=0¯

이를 ㉠에 대입하면

A’P¡≥+A’P™≥+A’P£≥+A’P¢≥+A’P∞≥+A’P§≥

=-6OA≥=6AO≥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은 k=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영벡터 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 은 두 벡터 a¯, b¯ 를 잡고, O’A≥, OB≥, OC≥를 a¯, b¯를 이용하여 각각 나타내면

O’A≥=-a¯+2b¯

B C

A

O a b

9

P™

P∞

O

8

D A

C B

7

Tip 사각형이 평행사변형이 될 조건

⑴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할 때

⑵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을 때

⑶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

⑷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할 때

⑸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을 때

벡터115

∴ O’M≥=(1-t)OA≥+tOQ≥

=(1-t)a¯+t¥ yy`㉢ㅇ

5…|AP≥|…10, 3…|AQ≥|…12

이므로 점 R가 존재하는 영역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