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분과 내적

7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OP”가

07 벡터의 내적

1 ⑴ 4 ⑵ -4 ⑶ 4 ⑷ 0 ⑸ 8 ⑹ -4 2 ⑴ -2 ⑵ 0 3 ⑴ 1 ⑵ 4 4 5 ⑴ 2 ⑵ 8 6 6p

80 9

유제 pp. 224~226

⑴ △ABC에서 AB”=2, BC”=2이므로 AC”를 구하면

⑴ AC”=øπAB”¤ +BC”¤

="√2¤ +2¤ =2'2

⑴따라서 AB≥와 AC≥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이고,

|AB≥|=2, |AC≥|=2'2이므로 AB≥AC≥=|AB≥||AC≥| cos 45˘

=2_2'2_ =4

⑵ AE≥와 GC≥는 방향이 반대이므로 AE≥와 GC≥가 이루 는 각의 크기는 180˘이고, |AE≥|=|GC≥|=2이므로

AE≥GC≥=|AE≥||GC≥| cos 180˘

=2_2_(-1)=-4

⑶ AC”=AF”=CF”이므로 △AFC는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AC≥, AF≥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60˘이고,

|AC≥|=|AF≥|=2'2이므로 AC≥AF≥=|AC≥||AF≥| cos 60˘

=2'2_2'2_ =4

⑷ CG≥=BF≥이고 BD≥와 BF≥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90˘

이므로

BD≥CG≥=BD≥BF≥

=|BD≥||BF≥| cos 90˘

=0

⑸ AC≥와 AG≥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나타내면 △AGC에서

AC”=2'2 AG”="√(2'2)¤ +2¤

=2'3

∠ACG=90˘

이때 AC≥와 AG≥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cos h= = =

∴ AC≥AG≥=|AC≥||AG≥| cos h

=2'2_2'3_'2=8 '3 '2 '3 2'2 2'3 AC”

AG”

H F E

A B

C

G D

h 1

2 '2

2

1

벡터125 4_3¤ -4a¯b¯+1¤ =25

∴ a¯b¯=3

|a¯-2b¯|¤ 의 값을 구하면

|a¯-2b¯|¤ =|a¯|¤ -4 a¯b¯+4|b¯|¤

=3¤ -4_3+4_1¤ =1

∴ |a¯-2b¯|=1 (∵ |a¯-2b¯|æ0)

⑵ a¯b¯ 를 구하면

b¯=|a¯||b¯| cos 60˘

=|a¯|_1_ = |a¯| yy㉠

|a¯-3b¯|='ß13의 양변을 제곱하면

|a¯-3b¯|¤ =|a¯|¤ -6a¯b¯+9|b¯|¤

|a¯-3b¯|¤=|a¯|¤ -6_ |a¯|+9_1¤ (∵ ㉠)

|a¯-3b¯|¤=13

|a¯|¤ -3|a¯|-4=0 (|a¯|-4)(|a¯|+1)=0

∴ |a¯|=4 (∵ |a¯|æ0)

AB≥=a¯, AC≥=b¯라 하면

|a¯|=4, |b¯|=3 yy`㉠ㅇ

이때 두 벡터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이므로 b¯를 구하면

b¯=|a¯||b¯| cos 60˘=4_3_ =6 yy`㉡ㅇ 점 D는 BC”를 1:2로 내분한 점이므로

AD≥= = = a¯+

또 점 E는 BC”를 2:1로 내분한 점이므로

AE≥= = = a¯+

따라서 AD≥AE≥를 구하면

AD≥AE≥={ a¯+ b¯}{ a¯+ b¯ }

= a¯+ b¯+ b¯+

= |a¯|¤ + b¯+ |b¯|¤

= _4¤ + _6+ _3¤ (∵ ㉠, ㉡)

=

⑴ a¯b¯를 구하면

(2, x-1)(-3, x+2)

=-6+(x-1)(x+2)=x¤ +x-8

5

80 9

2 9 5 9 2

9

2 9 5

9 2

9

2 9 1

9 4

9 2

9

2 3 1 3 1 3 2 3

2 3 1 3 2b¯+a¯

3 2AC≥+AB≥

2+1

1 3 2 3 b¯+2a¯

3 AC≥+2AB≥

1+2

1 2

4

1 2 1 2 1 2

⑹ AF≥와 ED≥는 시점이 일치하 지 않으므로 주어진 정육면체 를 세로로 연결하여 오른쪽 그 림과 같이 나타내면

AF≥=E’F'≥

따라서 두 벡터 E’F'≥과 E’D≥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EF'D에서 제이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F'”¤ =ED”¤ +E’F'”¤ -2ED”_E’F'”_cos h

yy`㉠ㅇ 이때 D’F'”은 직육면체 ABCD2E'F'G'H'의 대각선 이므로

D’F'”=øπAB”¤ +AD”¤ +B’F'”¤

="√2¤ +2¤ +4¤ =2'6

이를 ㉠에 대입하여 cos h의 값을 구하면

(2'6)¤ =(2'2)¤ +(2'2)¤ -2_2'2_2'2 cos h

∴ cos

h=-∴ AF≥ED≥=E’F'≥ED≥

=|E’F'≥||ED≥|cos h

=2'2_2'2_{- }=-4

⑴ OB≥ 와 BC≥ 는 시점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 를 평행이동하여 시점을 일 치시키면

BC≥=O’C'≥

이때 OB≥와 O’C'≥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120˘이고

|OB≥|=|O’C'≥|=2이므로 OB≥BC≥=OB≥O’C'≥

=|OB≥||O’C'≥|cos 120˘

=2_2_{- }=-2

⑵ 정사면체에서 꼬인 위치에 있는 두 모서리가 이루는 각 의 크기는 90˘이므로 OB≥와 AC≥가 이루는 각의 크기 는 90˘이다.

∴ OB≥AC≥=|OB≥||AC≥| cos 90˘=0

⑴ |2a¯-b¯|=5의 양변을 제곱하면

|2a¯-b¯|¤ =25

∴ 4|a¯|¤ -4a¯b¯+|b¯|¤ =25

|a¯|=3, |b¯|=1이므로

3

1 2

C C'

O

B 120˘

2

1 2 1

2

A B

D C

E F

G

E' F'

H' G' h H

08

두 벡터가 이루는 각

7 ⑴ p ⑵ 3'3 8 9 10

11 5 12 ⑴ - ⑵ x=3, y=-2, z=4

13 (-1, 3, -1) 14 - 15

16 해설 참조 17 해설 참조

7 2 5

9 1 2

11'2 2 1

2 p

3 2

3

유제 pp. 229~232

주어진 조건에서 a¯b¯=-2이므로 x¤ +x-8=-2, x¤ +x-6=0

(x+3)(x-2)=0 ∴ x=2 (∵ x>0)

⑵ a¯=(2, x-1, x+2)에서 |a¯|의 값을 구하면

|a¯|="√2¤ +(x-1)¤ +(x+√2)¤

="√2x¤ +2x+9

이때 주어진 조건에서 |a¯|='1å3이므로

"√2x¤ +2x+9='1å3 양변을 제곱하면

2x¤ +2x+9=13, x¤ +x-2=0

(x+2)(x-1)=0 ∴ x=1 (∵ x>0) 한편 a¯=(2, x-1, x+2), b¯=(2-x, x, 2)에 x=1을 대입하면

a¯=(2, 0, 3), b¯=(1, 1, 2)

∴ a¯b¯=2¥1+0¥1+3¥2=8

위치벡터를 이용하여 AC≥와 BC≥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AC≥=OC≥-OA≥=(x, y, 0)-(-2, 0, 1)

=(x+2, y, -1)

BC≥=OC≥-OB≥=(x, y, 0)-(0, 4, 3)

=(x, y-4, -3)

주어진 조건에서 AC≥BC≥=7이므로

AC≥BC≥=(x+2, y, -1)(x, y-4, -3)

=x(x+2)+y(y-4)+3=7

∴ (x+1)¤ +(y-2)¤ =9

점 C의 x좌표, y좌표가 위의 식을 만족하므로 점 C는 좌표공간의 xy평면에서 중심의 좌표가 (-1,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위를 움직인다.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길이는 2p_3=6p

6

정답과해설126

⑴ 두 벡터 a¯-2b¯, 2a¯+3b¯의 성분을 각각 구하면 a¯-2b¯=(1, 1, 0)-2(0, -1, -1)

=(1, 3, 2)

2a¯+3b¯=2(1, 1, 0)+3(0, -1, -1)

=(2, -1, -3)

a¯-2b¯, 2a¯+3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h…p) 라 하면

cos h=

=

=-따라서 h의 값을 구하면

h= p(∵ 0…h…p)

⑵ 두 벡터 a¯=(1, '3), b¯=(-3, k)의 크기를 각각 구하면

|a¯|="√1¤ +('3)¤ =2

|b¯|="√(-3)¤ +k¤ ="√k¤ +9 b¯=|a¯||b¯| cos 이므로

b¯=2"√k¤ +9¥ ="√k¤ +9 yy`㉠ㅇ b¯를 성분을 이용하여 구하면

b¯=(1, '3)(-3, k)

=1¥(-3)+'3k='3k-3 yy`㉡ㅇ

㉠=㉡에서 양수 k의 값을 구하면

"√k¤ +9='3k-3, 2k¤ -6'3k=0 k(k-3'3)=0

∴ k=3'3 (∵ k>0)

∠BAC는 두 벡터 AB≥, AC≥가 이루는 각이므로 AB≥, AC≥의 성분을 각각 구하면

AB≥=OB≥-O’A≥=(2, -1, -1)-(1, 2, 1)

=(1, -3, -2)

AC≥=OC≥-O’A≥=(4, 0, 2)-(1, 2, 1)

=(3, -2, 1)

이때 |AB≥|, |AC≥|, AB≥AC≥를 각각 구하면

|AB≥|="√1¤ +(-3)¤ +(-2)¤ ='ß14

|AC≥|="√3¤ +(-2)¤ +1¤ ='ß14 AB≥AC≥=(1, -3, -2)(3, -2, 1)

=3+6-2=7

8

1 2 p 3 2

3 1 2

1¥2+3¥(-1)+2¥(-3)

"√1¤ +3¤ +2¤ "√2¤ +(-1)¤ +(-3)¤

(a¯-2b¯)``(2a¯+3b¯)

|a¯-2b¯||2a¯+3b¯|

7

벡터127 AB≥AC≥=(-3, 4, 3)(-3, 4, 1)

=9+16+3=28 따라서 △ABC의 넓이를 구하면

△ABC= øπ|AB≥|¤ |AC≥|¤ -π(AB≥AC≥)¤

= "√34_26-28¤ = _10=5

⑴ 두 벡터 a¯+kb¯, 2a¯-b¯를 각각 성분으로 나타내면 a¯+kb¯=(1, -3)+k(-1, 0)=(1-k, -3) 2a¯-b¯=2(1, -3)-(-1, 0)=(3, -6) (a¯+kb¯)//(2a¯-b¯)일 때

a¯+kb¯=t(2a¯-b¯)(t+0인 실수) 이므로

(1-k, -3)=t(3, -6)=(3t, -6t)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k=3t, -3=-6t

∴ t= ,

k=-⑵ 세 벡터 a¯, b¯, c¯가 서로 수직이면 a¯⊥b¯, b¯⊥c¯, c¯⊥a¯

a¯⊥b¯에서 a¯b¯=0이므로 (x, 2, 1)(1, y, 1)=0

∴ x+2y+1=0 yy㉠

b¯⊥c¯에서 b¯c¯=0이므로 (1, y, 1)(-2, 1, z)=0 -2+y+z=0

∴ y+z-2=0 yy㉡

c¯ ⊥a¯에서 c¯a¯=0이므로 (-2, 1, z)(x, 2, 1)=0 -2x+2+z=0

∴ 2x-z-2=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x=3, y=-2, z=4

b¯ // c¯ 일 때, c¯=kb¯ (k+0인 실수)이므로

c¯=k(1, -2, -1)=(k, -2k, -k) yya¯=c¯+d¯ 에서 d¯=a¯-c¯이므로

d¯=(-1, 1, 3)-(k, -2k, -k)

=(-1-k, 1+2k, 3+k) yy㉡ b¯⊥d¯일 때, b¯d¯=0이므로

(1, -2, -1)(-1-k, 1+2k, 3+k)

=-1-k-2-4k-3-k=-6k-6=0

∴ k=-1

3 1

1 2 1

2

2 1

1 2 1

2 1 2

∴ cos (∠BAC)=

= =

0…∠BAC…p이므로 ∠BAC=

|a¯+b¯|=2'7의 양변을 제곱하면

|a¯|¤ +2a¯b¯+|b¯|¤ =28 yy㉠ㅇ

|a¯-b¯|=2'3의 양변을 제곱하면

|a¯|¤ -2a¯b¯+|b¯|¤ =12 yy㉡ㅇ

㉠-㉡을 하면

4a¯b¯=16 ∴ a¯b¯=4

㉠+㉡을 하면 2|a¯|¤ +2|b¯|¤ =40

∴ |a¯|¤ +|b¯|¤ =20 yy㉢ㅇ 한편 (a¯+b¯)(a¯-b¯)=12를 변형하면

|a¯|¤ -|b¯|¤ =12 yy㉣ㅇ

㉢, ㉣을 연립하여 |a¯|, |b¯|의 값을 각각 구하면

|a¯|¤ =16, |b¯|¤ =4 Δ |a¯|=4, |b¯|=2 따라서 cos h의 값을 구하면

cos h= = =

|O’A≥|¤ , |OB≥|¤ , O’A≥OB≥의 값을 각각 구하면

|O’A≥|¤ =(2'2)¤ +(-1)¤ =9

|OB≥|¤ =('2)¤ +5¤ =27 O’A≥OB≥

=(2'2, -1)('2, 5)

=4-5=-1

따라서 △OAB의 넓이를 구하면

△OAB= øπ|O’A≥|¤ |OB≥|¤ -π(O’A≥OB≥)¤

= "√9_27-(-1)¤ =

A(2, -2, -1), B(-1, 2, 2), C(-1, 2, 0)에서 AB≥ 와 AC≥를 각각 구하면

AB≥=OB≥-OA≥=(-3, 4, 3) AC≥=OC≥-OA≥=(-3, 4, 1)

|AB≥|¤ , |AC≥|¤ , AB≥AC≥의 값을 각각 구하면

|AB≥|¤ =(-3)¤ +4¤ +3¤ =34

|AC≥|¤ =(-3)¤ +4¤ +1¤ =26

1 1

11'2 2 1

2 1 2

y

A x 5 B

-1O

'2 2'2

0 1

1 2 4 4¥2

|a¯||b¯|

9

p 3 1 2 7 'ß14'ß14

AB≥AC≥

|AB≥||AC≥¯|

k=-1을 ㉠, ㉡에 각각 대입하여 c¯, d¯를 구하면 c¯=(-1, 2, 1), d¯=(0, -1, 2)

따라서 c¯-d¯의 성분을 구하면

c¯-d¯=(-1, 2, 1)-(0, -1, 2)

=(-1, 3, -1)

(2a¯+b¯)⊥(a¯-2b¯)이므로 (2a¯+b¯ )(a¯-2b¯ )=0

∴ 2|a¯|¤ -3a¯b¯ -2|b¯|¤ =0 이때 |a¯|=2, |b¯|=3이므로

2¥2¤ -3a¯b¯ -2¥3¤ =0

∴ a¯

=-따라서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cos h= =

=-|a¯-b¯|=3의 양변을 제곱하면

|a¯-b¯|¤ =9 ∴ |a¯|¤ -2a¯b¯+|b¯|¤ =9 이때 |a¯|=3, |b¯|=2이므로

3¤ -2a¯b¯+2¤ =9 ∴ a¯b¯=2 yy㉠ㅇ (a¯+mb¯)⊥(a¯-b¯)이므로

(a¯+mb¯)(a¯-b¯)=0

|a¯|¤ +(m-1)a¯b¯-m|b¯|¤ =0 9+2(m-1)-4m=0(∵ ㉠) 7-2m=0

∴ m=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a¯, OB≥=b¯, OC≥=c¯라 하자.

도형 O-ABC는 정사면체이므로

|O’A≥|=|OB≥|=|OC≥|

Δ |a¯|=|b¯|=|c¯|

BC≥ 를 구하면

BC≥=OC≥-OB≥=c¯-b¯

O’A≥BC≥를 구하면

O’A≥BC≥=a¯(c¯-b¯)=a¯c¯-a¯

이때 |a¯|=|b¯|=|c¯|이고 a¯, b¯, c¯ 중 어느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도 60˘이므로

c¯-a¯b¯=|a¯||c¯| cos 60˘-|a¯||b¯| cos 60˘=0 따라서 O’A≥BC≥=0이므로 OA”⊥ BC”이다.

O

A

B C c a

b

6 1

7 2

5 1

5 9 -:¡3º:

2¥3

|a¯||b¯|

10 3

4 1

정답과해설1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에서 AB≥=b¯, AC≥=c¯

라 하면 점 M은 BC”의 중점이므로 A’M≥=

B’M”= BC”이므로

B’M≥= B’C≥= (c¯-b¯)

∴ |A’M≥|¤ +|B’M≥|¤

= +

=

= (|b¯|¤ +|c¯|¤ )

= (|AB≥|¤ +|AC≥|¤ )

∴ |AB≥|¤ +|AC≥|¤ =2(|A’M≥|¤ +|B’M≥|¤ )

∴ AB”¤ +AC”¤ =2(A’M”¤ +B’M”¤ ) 1

2 1 2

|b¯|¤ +2b¯c¯+|c¯|¤ +|c¯|¤ -2c¯b¯+|b¯|¤

4

|c¯-b¯|¤

4

|b¯+c¯|¤

4

1 2 1 2 1 2

b¯+c¯

2 B

A

M C b c

7 1

1 ② 2 '7 3 4 ④

5 (1, -2, 2) 또는 (-1, 2, -2) 6 ①

7 ③ 8 - 9 C{0, , }

10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11 ⑤

12 { , } 13 - 14 2

3 1

3 7

5 14

5

3 2 3 'ß33 2

33 1 2

pp. 233~235

연습 문제

AB≥=(-1, 2)-(1, 1)=(-2, 1) AC≥=(3, -2)-(1, 1)=(2, -3)

∴ AB≥AC≥=(-2, 1)(2, -3)

=-4-3=-7

|a¯+b¯|=2의 양변을 제곱하면

|a¯+b¯|¤ =4

|a¯|¤ +2a¯b¯+|b¯|¤ =4 이때 |a¯|='2, |b¯|=1이므로

('2)¤ +2a¯b¯+1¤ =4

∴ a¯b¯=1 yy㉠ㅇ

2

2

1

벡터129 b¯를 구하면

b¯=|a¯||b¯| cos =

한편 a¯+b¯와 a¯-2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cos h= yy㉠

이때 |a¯+b¯|와 |a¯-2b¯|의 값을 각각 구하면

|a¯+b¯|¤ =|a¯|¤ +2a¯b¯+|b¯|¤

=1¤ +2_ +1¤ =3

∴ |a¯+b¯|='3 (∵ |a¯+b¯|æ0) yy㉡

|a¯-2b¯|¤ =|a¯|¤ -4a¯b¯+4|b¯|¤

=1¤ -4_ +4_1¤ =3

∴ |a¯-2b¯|='3 (∵ |a¯-2b¯|æ0) yy㉢ 또 (a¯+b¯)(a¯-2b¯)의 값을 구하면

(a¯+b¯)(a¯-2b¯)=|a¯|¤ -a¯b¯-2|b¯|¤

=1¤ - -2_1¤

=- yy㉣

㉠에 ㉡, ㉢, ㉣을 대입하면

cos h=

=-△ABC에서 ∠B=90˘이므로

BA≥⊥BC≥ ∴ BA≥BC≥=0 yy`㉠ㅇ 이때 BA≥, BC≥의 성분을 구하면

BA≥=OA≥-OB≥=(x, 3x, 9)-(1, 2, 3)

=(x-1, 3x-2, 6)

BC≥=OC≥-OB≥=(-1, 4, 2)-(1, 2, 3)

=(-2, 2, -1)

이를 ㉠에 대입하여 x의 값을 구하면 (x-1, 3x-2, 6)(-2, 2, -1)

=-2x+2+6x-4-6=4x-8=0

∴ x=2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를 구하면

G{ , , }

∴ G{ , , }

△ABD의 무게중심 H의 좌표를 구하면

H{ , , }0+1+1

3 1+1+1

3 1+0+1

3 2 3 2 3 2 3

0+1+1 3 1+1+0

3 1+0+1

3

8 7

1 2 -;2#;

'3_'3 3 2 1 2 1 2 1 2 (a¯+b¯)(a¯-2b¯)

|a¯+b¯||a¯-2b¯|

1 2 p 3

6

내적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2a¯-b¯|¤ 을 변형하면

|2a¯-b¯|¤ =4|a¯|¤ -4a¯b¯+|b¯|¤

=4_('2)¤ -4_ +1¤ (∵ ㉠)

=8-2+1=7

∴ |2a¯-b¯|='7 (∵ |2a¯-b¯|æ0)

|O’A≥|¤, |OB≥|¤ , O’A≥OB≥의 값을 각각 구하면

|O’A≥|¤ =1¤ +2¤ =5

|OB≥|¤ =2¤ +3¤ =13

O’A≥OB≥=(1, 2)(2, 3)=2+6=8 따라서 △OAB의 넓이를 구하면

△OAB= øπ|O’A≥|¤ |OB≥|¤ -π(O’A≥OB≥)¤

= "√5_13-8¤ =

△ABC와 △BCD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MÚAÚ=MÚDÚ= _2='3

또 AD”=2이므로 △AMD에서 ∠AMD=h라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 h=

= =

∴ MÚA≥MÚD≥=|MÚA≥||MÚD≥| cos h

='3_'3_ =1

구하는 벡터를 v¯=(x, y, z)라 하면 a¯⊥v¯에서 a¯¯v¯=0이므로

(2, 2, 1)(x, y, z)=0

∴ 2x+2y+z=0 yy㉠

또 b¯⊥v¯에서 b¯v¯=0이므로 (2, -3, -4)(x, y, z)=0

∴ 2x-3y-4z=0 yy㉡

주어진 조건에서 |v¯|=3이므로

|v¯|="√x¤ +y¤ +z¤ =3

∴ x¤ +y¤ +z¤ =9 yy㉢

㉠, ㉡에서 x= , y=-z 이를 ㉢에 대입하면 z=—2

∴ x=—1, y=–2, z=—2 (복부호 동순)

∴ v¯=(1, -2, 2) 또는 v¯=(-1, 2, -2) z

2

5

1 3

1 3 ('3)¤ +('3)¤ -2¤

2_'3_'3 MÚAÚ ¤ +MÚDÚ ¤ -A’DÚ ¤

2_MÚAÚ _MÚDÚ '3

2

4

1 2 1

2 1 2

3

1 2

H{ , 1, } c¯=a¯-b¯=(x¡-x™, y¡-y™) 주어진 조건에서 a¯b¯=0이므로

|OP≥|="√(x¡+x™)¤ +(y¡+y™≈)¤

="√x¡¤ +x™¤ +y¡¤ +y™¤ +√2(x¡x™+y¡y™)

벡터13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정육

면체를 꼭짓점 H가 원점, HE”, HG”, H’D”가 각각 x축, y축, z 축에 오도록 좌표공간에 놓으면 점 A, B, F, H의 좌표는

A(1, 0, 1), B(1, 1, 1) F(1, 1, 0), H(0, 0, 0)

이때 점 P는 대각선 BH 위의 한 점이므로 HP≥=kHB≥ (단, 0…k…1인 실수)

∴ HP≥=k(1, 1, 1)=(k, k, k) 이때 AP≥, FP≥를 구하면

AP≥=HP≥-H’’A≥=(k, k, k)-(1, 0, 1)

=(k-1, k, k-1)

FP≥=HP≥-HF≥=(k, k, k)-(1, 1, 0)

=(k-1, k-1, k) 따라서 AP≥F’P≤를 구하면

AP≥F’P≤=(k-1, k, k-1)(k-1, k-1, k)

=(k-1)¤ +k(k-1)+(k-1)k

=3{k }2

-그런데 0…k…1이므로 k= 일 때, AP≥F’P≤는 최솟 값 - 을 갖는다.

다음 그림과 같이 O’A≥=a¯, OB≥=b¯라 하고 점 A에서 직 선 O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O’A≥의 직선 OB 위로의 정사영의 크기는

|OH≥|=|O’A≥| cos h=|a¯| cos h

이때 a¯b¯=|a¯||b¯| cos h 에서 cos h= 이므로

|OH≥|=|a¯| = yy㉠ㅇ

b¯, |b¯|의 값을 구하면

b¯=(-2, 3, 1)(1, 2, -2)

=-2+6-2=2

|b¯|="√1¤ +2¤ +(-2)¤ =3 이를 ㉠에 대입하면 |OH≥|=2

3

|b¯|

|a¯||b¯|

|a¯||b¯|

h B(1, 2, -2)

A(-2, 3, 1)

O H

b a

4 1

1 3

2 3 1 3 2 3

H F E

A B

C

G 1 1

1 D

O P

x

y

3

z A(1, 0, 1), G(0, 2, 0)

1

C(0, 2, 1), F(1, 2, 0) 이때 AG≥와 CF≥의 성분을 구하면

AG≥=H’G≥-H’A≥=(-1, 2, -1) CF≥=H’F≥-H’C≥=(1, 0, -1) 따라서 AG≥와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h…180˘)라 하면

cos h=

=

= = =0

∴ h=90˘ (∵ 0˘…h…180˘)

`다른 풀이`

주어진 직육면체를 가로로 연결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나타내면 CF≥=A’E'≥

이고 AG≥와 A’E'≥이 이루 는 각의 크기를

h(0˘…h…180˘)라 하면

△AE'G에서 제이코사인법칙에 의하여

E’'G”¤ =A’E'”¤ +AG”¤ -2A’E'”¥AG” cos h yy`㉠ㅇ 이때 A’E'”, AG”, E’'G”의 길이를 각각 구하면

A’E'”="√1¤ +1¤ ='2, AG”="√1¤ +2¤ +1¤ ='6 E’'G”="√2¤ +2¤ =2'2

이를 ㉠에 대입하면

(2'2)¤ =('2)¤ +('6)¤ -2'2¥'6 cos h 8=2+6-4'3 cos h ∴ cos h=0

∴ h=90˘ (0˘…h…180˘)

점 H는 OQ” 위의 점이므로 OH≥=k OQ≥=(4k, 2k)

(단, 0…k…1인 실수) 이때 HP≥를 구하면

HP≥=OP≥-OH≥

=(2, 3)-(4k, 2k)

=(2-4k, 3-2k)

따라서 HP≥⊥OQ≥일 때, HP≥OQ≥=0이므로 (2-4k, 3-2k)(4, 2)

=4(2-4k)+2(3-2k)=0 ∴ k=

∴ OH≥=(4k, 2k)={ , 7} 5 14

5

7 10 y

x H(4k, 2k) Q(4, 2) P(2, 3)

O

2 1

H

F F' E

h

E' A A'

1 1

1

B B'

C

G

D 2

'6

2'2 0

2'3 -1+0+1

'6_'2

(-1, 2, -1)(1, 0, -1)

"√(-1)¤ +2¤ +(-1)¤ "√1¤ +0¤ +(-1)¤

AG≥CF≥

|AG≥||CF≥|

직선 g의 방정식의 각 변을 6으로 나누면

= =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구하면 (2, -1, 3)

`직선 g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1, 3)

따라서 점 A(1, -3,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u¯=(2, -1, 3)인 직선의 방정식은

= =

=-(y+3)=z-5

3 x-1

2

z-5 3 y-(-3)

-1 x-1

2

z+1 3 y+2

-1 x-2

2

1

정답과해설132

벡터 3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y축의 방향벡터를 단위벡터 e™≤=(0, 1, 0)으로 놓고 y 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0, 1, 0)

따라서 점 (2, 4,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0, 1, 0)인 직선의 방정식을

= =

과 같이 놓으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2, z=-3

직선 g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3, -2, 0)

점 (3, 2,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u¯=(3, -2, 0)인 직선의 방정식을

= =

와 같이 놓으면 직선의 방정식은

= , z=5 yy`㉠ㅇ

이때 직선 ㉠과 zx평면과의 교점의 y좌표는 0이므로 y=0을 ㉠에 대입하면

= , z=5

-2(x-3)=-6, y=0, z=5

∴ x=6, y=0, z=5

따라서 zx평면과의 교점은 (6, 0, 5)이므로 a+b+c=11

두 점 A(1, -3, 2), B(2, 4, 5)를 지나는 직선 AB의 방정식은

= =

∴ x-1= =

이때 점 C(3, 11, a)는 직선 AB 위에 있으므로

3-1= = ∴ a=8

`다른 풀이`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AC≥=kAB≥ (k+0인 실수) yy㉠ㅇ 가 성립하므로 AB≥, AC≥의 성분을 각각 구하면

a-2 3 11+3

7

z-2 3 y+3

7

z-2 5-2 y-(-3) 4-(-3) x-1

2-1

4

0-2 -2 x-3

3

y-2 -2 x-3

3

z-5 0 y-2

-2 x-3

3

3

z+3 0 y-4

1 x-2

0

2

1 =-(y+3)= 2 x=2, z=-3

3 11 4 8

5 ⑴ x=0, z=0 ⑵ x=3, y=0

⑶ x=3, y=6 ⑷ y=6, z=4

⑸ x=0, = ⑹ x-3=- , z=0

6 (5, 3, 8) 7

8 (1, 1, -1), { , - , -17} 11 7 11 5 11

1 3

y 2 z

2 y 3

z-5 3 x-1

2

유제 pp. 239~241

⑴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 =z-1

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3, 1)

⑵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z+1, y=2 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3, 0, 1) x-1

-3

y-1 3 x+1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