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5 ⑴ k<- 또는 k> ⑵ k=—

⑶ - <k< 16 3개

17 y= x— 18 y=-3x+6 또는 y=-3x-8

19 5'2 20

21 y=-'2x+'2 또는 y='2x-'2 22 4 23 12 24 5

9 2 '3å3

3 '3

3

'1å0 2 '1å0

2

'1å0 2 '1å0

2 '1å0

2

유제 pp. 88~92

타원의 방정식 2x¤ +y¤ =4와 직선의 방정식 y=kx+3 을 연립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나타내면

⋯2x¤ +(kx+3)¤ =4

⋯∴ (k¤ +2)x¤ +6kx+5=0 yy`㉠⋯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 =(3k)¤ -5(k¤ +2)

=4k¤ -10

=4 {k- } {k+ }

⑴ 타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교점이 2개이어야 하므로 D의 부호는

⋯D>0 Δ =4 {k- } {k+ }>0

⋯∴ k<- 또는 k>

⑵ 타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야 하므로 D 의 부호는

⋯D=0 Δ =4 {k- } {k+ }=0

⋯∴ k=—

⑶ 타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교점이 없어야 하므로 D의 부호는

⋯D<0 Δ =4 {k- } {k+ }<0

⋯∴ - <k< '1å0 2 '1å0

2

'1å0 2 '1å0

2 D

4 '1å0

2

'1å0 2 '1å0

2 D

4

'1å0 2 '1å0

2

'1å0 2 '1å0

2 D

4

'1å0 2 '1å0

2 D

4

5 1

타원의 방정식 x¤ +2y¤ =2와 직선의 방정식 y=x+k를 연립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나타내면

6

1

정답과해설054

⋯x¤ +2(x+k)¤ -2=0

⋯∴ 3x¤ +4kx+2k¤ -2=0 yy`㉠⋯

직선과 타원이 만나려면 교점이 1개 또는 2개이어야 하 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æ0 Δ =(2k)¤ -3(2k¤ -2)æ0, k¤ …3

⋯∴ -'3…k…'3

따라서 구하는 정수 k는 -1, 0, 1로 3개이다.

D 4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 식은

⋯y=mx—"√a¤ m¤ ç+≈b¤ yy`㉠⋯

타원의 방정식 3x¤ +2y¤ =6을 + =1의 꼴로 나 타내면

⋯ ⋯ + =1 Δ a¤ =2, b¤ =3 yy`㉡⋯

x축의 양의 방향과 30˘의 각을 이루는 접선의 기울기 m은

⋯ ⋯tan 30˘= Δ m= yy`㉢⋯

㉡, ㉢을 ㉠에 대입하면 y= x—æ2≠_{≠ }¤–+3

∴ y= x —'3å3 3 '3

3

'3 3 '3

3

'3 3 '3

3

3

2

7

1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 식은

⋯y=mx—"√a¤ m¤ +b¤ yy`㉠⋯

또한 + =1에서

⋯a¤ =5, b¤ =4 yy`㉡⋯

직선 x-3y+1=0, 즉 y= x+ 과 수직인 접선의 기울기 m은

⋯ ⋯ _m=-1 Δ m=-3 yy`㉢⋯

㉡, ㉢을 ㉠에 대입하면

⋯y=-3x—"√5_(-3)¤ +4

⋯∴ y=-3x—7 yy`㉣⋯

이때 접선 ㉣은 타원 + =1에 접하는 접선의 방정

식이므로 타원 + =1에 접하는 접선

의 방정식을 구하려면 접선 ㉣을 x축의 방향으로 -1만 (y-2)¤

4 (x+1)¤

5

4

5 1

3

1 3 1 3 (y-2)¤

4 (x+1)¤

5

8

1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해야 한다. 즉 y-2=-3(x+1)—7

∴ y=-3x+6 또는 y=-3x-8

직선 y=x+6에 평행한 접선의 기울기 m은⋯ ⋯m=1 타원의 방정식 + =1은 + =1의 꼴에서

⋯a¤ =9, b¤ =7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 m=1인 접선의 방 정식은

⋯y=mx—"√a¤ m¤ +b¤ Δ y=x—"√9¥1¤ +7

⋯∴ y=x—4 yy`㉠⋯

주어진 타원과 직선 y=x+6, 접선 ㉠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최대 거리는 접선 y=x-4와 직선 y=x+6 사이의 거리이다.

이때 두 직선 y=x-4와 y=x+6 사이의 거리 d는 직선 y=x+6 위의 한 점 (0, 6)에서 직선 y=x-4, 즉 x-y-4=0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d= =10=5'2

'2

|-6-4|

"√1¤ +√(-1≈)¤

x y

O

+ =1 x™

9 y™ 7 y=x+6 y=x+4

y=x-4

3 6

-3 7

7

-최대 거리

7

9

7

9

9 1

타원 2x¤ +y¤ =6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x¡x+y¡y=6 yy`㉠⋯

㉠에 x¡=1, y¡=-2를 대입하면

⋯2x+(-2)y=6

이때 접선의 방정식은⋯ ⋯y=x-3 yy`㉡⋯

㉡`에 y=0을 대입하여 x축과 만나는 점 P를 구하면

⋯0=x-3⋯ ⋯∴ x=3⋯ ⋯∴ P(3, 0)

㉡`에 x=0을 대입하여 y축과 만나는 점 Q를 구하면

⋯y=0-3⋯ ⋯∴ y=-3⋯ ⋯∴ Q(0, -3) 따라서 △POQ의 넓이는

⋯ ⋯△POQ

= _PO”_OQ”

= _3_3

=9 2 1 2 1 2

- 6 - 3

6

3 x y

O

Q(0, -3) (1, -2)

P(3, 0) y=x-3 2x

+y

=6

0

2

이차곡선055

기울기가 주어질 때의 공식 이용

타원의 방정식 2x¤ +y¤ =1을 + =1의 꼴로 나타 내면

+y¤ =1 Δ a¤ = , b¤ =1

a¤ = , b¤ =1이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æ≠ m¤ +1 yy`㉠⋯

접선 ㉠이 점 (1, 0)을 지나므로

0=m—æ≠ m¤ +1 ∴ m=—'2 m=—'2를 ㉠에 대입하면

y='2x—'2 또는 y=-'2x—'2

이때 y='2x+'2와 y=-'2x-'2는 점 (1, 0)을 지 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x+'2 또는 y='2x-'2 접점이 주어질 때의 공식 이용 접점을 (x¡, y¡)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2x¡x+y¡y=1 yy`㉠⋯

접선 ㉠이 점 (1, 0)을 지나므로

⋯2x¡=1⋯ ⋯∴ x¡= yy`㉡⋯

접점 (x¡, y¡)이 타원 위의 점이므로

⋯2x¡¤ +y¡¤ =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x¡= , y¡= 또는 x¡= ,

y¡=-⁄ x¡= , y¡= 를 ㉠에 대입하면

x+ y=1 ∴ y=-'2x+'2

¤ x¡= , y¡=- 를 ㉠에 대입하면

x- y=1 ∴ y='2x-'2 판별식 이용

점 (1, 0)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y=m(x-1)

⋯∴ y=mx-m yy`㉠⋯

타원의 방정식 2x¤ +y¤ =1과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하면

⋯2x¤ +(mx-m)¤ =1

⋯∴ (2+m¤ )x¤ -2m¤ x+m¤ -1=0 yy`㉡⋯

타원 2x¤ +y¤ =1과 직선 ㉠이 접하려면 교점이 1개이어 '2

2 '2

2 1

2 '2

2 '2

2 1

2

'2 2 1

2 '2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 Δ =(-m¤ )¤ -(2+m¤ )(m¤ -1)=0

⋯m¤ =2⋯ ⋯∴ m=—'2 m=—'2를 ㉠에 대입하면

⋯y=-'2x+'2 또는 y='2x-'2 D

4

방법1

방법2

방법3

타원의 방정식 kx¤ +y¤ =k를 + =1의 꼴로 나타 내면

⋯x¤ + =1 Δ a¤ =1, b¤ =k

a¤ =1, b¤ =k이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m¤ +k yy`㉠⋯

접선 ㉠`이 점 (2, 1)을 지나므로

⋯1=2m—"√√m¤ +k, 1-2m=—"√√m¤ +k 양변을 제곱하면

⋯1-4m+4m¤ =m¤ +k

⋯∴ 3m¤ -4m+1-k=0 yy`㉡⋯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m¡, m™라 하면 두 접선이 수직이 므로

⋯m¡m™=-1

이차방정식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m™=1-k=-1 ∴ k=4

3

k

2

2

x¡>0, y¡>0이라 하면 타원 + =1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1 yy`㉠⋯

접선 ㉠의 x절편은 이고,

y절편은 이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 S는

⋯S= _ _

=

이때 점 (x¡, y¡)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 ⋯ + =1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y¡¤

9 x¡¤

16

y¡¤

9 x¡¤

16 72 x¡y¡

9

16

1

2 x

y

O + =1 x™ 16

y™ 9

16

9

-4

-3 (x¡, y¡)

4 3 9

16

y¡y 9 x¡x

16

9

3

16

2

정답과해설056

⋯1= + æ2æ≠ ≠_ =

{단, 등호는 = 일 때 성립}

⋯∴ x¡y¡…6

⋯∴ S= æ =12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의 최솟값은 12이다.

`다른 풀이`

타원 + =1은 + =1 (a>0, b>0)의 꼴 에서

⋯a=4, b=3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의 최솟값은

⋯ab=4_3=12

9

16

72 6 72 x¡y¡

y¡¤

9 x¡¤

16 x¡y¡

6 y¡¤

9 x¡¤

16 y¡¤

9 x¡¤

16

타원의 방정식 + =1은 + =1의 꼴에서

⋯a¤ =4, b¤ =9

a¤ =4, b¤ =9이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4m¤ +9

두 접선 중 접선 y=mx+"√4m¤ +9가 x축과 만나는 점 을 A, y축과 만나는 점을 B라 하면

⋯A{- , 0}, B(0, "√4m¤ +9)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는

⋯AB”=æ≠ ≠+4m¤ +9

=æ≠13+4m¤ +

이때 4m¤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 계에 의하여

⋯4m¤ + æ2æ≠4m¤ _ =12

⋯{단, 등호는 4m¤ = 일 때 성립}

⋯∴ AB”=æ≠13+4m¤ + æ"√13+12=5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은 5이다.

9

9

9

9

9

9

4m¤ +9

"√4m¤ +9 m

9

4

4

2

1 + =1 2 + =1

3 ④ 4 2'5 5 ② 6 16x+9y=16

7 8 '3 9 9 10 ②

11 12 y= x {단, - <x< }

13 5'3 14 ④ 2

3'5 5 3'5

5 2

3 2+4'3å4

5 25

6

169

144 (y+2)¤

5 (x-1)¤

9

pp. 93~95

연습 문제

점 P의 좌표를 P(x, y)라 하면

⋯ ⋯P’AÚ+PB”=6

⋯"√(x+1)¤ √+(y+2)¤ +"√(x-3)¤ √+(y+2)¤ =6

⋯∴ "√(x+1)¤ √+(y+2)¤ =6-"√(x-3)¤ √+(y+2)¤

yy`㉠⋯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3"√(x-3)¤ √+(y+2)¤ =-2x+11 yy`㉡⋯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5(x-1)¤ +9(y+2)¤ =45

+(y+2)¤ =1

5 (x-1)¤

9

1

타원의 방정식 36x¤ +11y¤ =396을

+ =1 (a>0, b>0)의 꼴로 나타내면

⋯ ⋯ + =1⋯ ⋯∴ + =1

a='∂11, b=6에서 b>a>0이므로 초점은 y축 위에 있 고, 두 초점의 좌표를 F(0, c), F'(0, -c)(c>0)라 하 면 초점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c¤ =b¤ -a¤ Δ c¤ =6¤ -('∂11)¤ =25⋯ ⋯∴ c=5

⋯∴ F(0, 5), F'(0, -5)

두 초점 F(0, 5), F'(0, -5)는 y축 위의 점이므로 구 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 + =1 (단, q>p>0) 초점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c¤ =q¤ -p¤ Δ 5¤ =q¤ -p¤

⋯∴ 25=(q+p)(q-p) yy`㉠⋯

또한 장축과 단축의 길이의 차가 2이므로

⋯2q-2p=2 ∴ q-p=1 yy`㉡⋯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25=q+p yy`㉢⋯

㉡`과 ㉢`을 연립하여 풀면

('∂11)¤

36

11

2

이차곡선057

⋯p=12, q=13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 + =1 169

144

타원의 방정식 4x¤ +9y¤ +8x-36y+4=0을 + =1의 꼴로 변형하면

⋯4(x¤ +2x+1)+9(y¤ -4y+4)=36

⋯4(x+1)¤ +9(y-2)¤ =36

⋯ ⋯∴ + =1 yy`㉠⋯

타원 ㉠은 타원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m=-1, n=2

타원을 평행이동하여도 장축과 단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 으므로

⋯ ⋯ (장축의 길이)=2_3=6

⋯ ⋯ (단축의 길이)=2_2=4

⋯∴ p=6, q=4

⋯∴ m+n+p+q=(-1)+2+6+4=11

4

9

(y-2)¤

4 (x+1)¤

9 (y-n)¤

(x-m)¤

3

이때 두 점 F(0, 1), C(0, -1)이 주어진 타원의 초점 이고 두 점 A, B는 타원 위의 점이므로 △ABC는 다음 그림과 같다.

⋯ ⋯ ⋯ ⋯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C”+AF”=(장축의 길이)=2_2=4 BC”+BF” =(장축의 길이)=2_2=4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는

AB”+BC”+AC”=(AF”+BF”)+BC”+AC”

=(AC”+AF”)+(BC”+BF”)

=4+4=8 x y

- 3 O 3

B F(0, 1) 2 A

-2 C(0, -1) 4x

+3y

=12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나타내 면 오른쪽과 같다.

y= -1에 y=0을 대입하면

⋯x=2 Δ F(2, 0) y= -1에 x=0을 대입하면

⋯y=-1 Δ A(0, -1)

△OAF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AF”="√OA”¤ +OF”¤ ="√1¤ +2¤ ='5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AF”=2'5 x

2 x

2 x

y

O A

F y=--1

2

4

x

타원의 방정식 4x¤ +3y¤ =12를

+ =1 (a>0, b>0)의 꼴로 나타내면

⋯ ⋯ + =1, + =1

⋯∴ a='3<b=2 Δ 상하로 긴 타원

b>a>0이므로 초점은 y축 위에 있고, 두 초점의 좌표를 (0, —c)(c>0)라 하면 초점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c¤ =b¤ -a¤ Δ c¤ =2¤ -('3)¤ =1⋯ ⋯∴ c=1

⋯ ⋯∴ (0, 1), (0, -1)

('3)¤

4

3

5

두 접점 A, B의 좌표를 각각 A(x¡, y¡), B(x™, y™)라 하 면 두 접선의 방정식은

⋯4x¡x+3y¡y=16, 4x™x+3y™y=16 yy`㉠⋯

두 접선 ㉠`이 점 (4, 3)을 지나므로

⋯16x¡+9y¡=16, 16x™+9y™=16 yy`㉡⋯

이때 ㉡`은 직선 16x+9y=16이 두 점

⋯A(x¡, y¡), B(x™, y™)

를 지남을 의미하는데 서로 다른 두 점 A, B를 지나는 직 선은 오직 하나뿐이므로 직선 AB의 방정식은

⋯16x+9y=16

6

타원의 방정식 5x¤ +9y¤ =45를

+ =1 (a>0, b>0)의 꼴로 나타내면

⋯ ⋯ + =1

⋯∴ a=3>b='5 Δ 좌우로 긴 타원

a>b>0이므로 초점은 x축 위에 있고, 두 초점의 좌표를 F(c, 0), F'(-c, 0)(c>0)이라 하면 초점 구하는 공식 에 의하여

⋯c¤ =a¤ -b¤ Δ c¤ =3¤ -('5 )¤ =4 ∴ c=2

⋯ ⋯∴ F(2, 0), F'(-2, 0)

한 초점 F(2, 0)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 l은

⋯l:x=2

타원 5x¤ +9y¤ =45에 x=2를 대입하여 y의 값을 구하면

⋯5¥2¤ +9y¤ =45 ∴ y=—

따라서 직선 l과 타원의 두 교점 A, B를 5 3

('5 )¤

7

정답과해설058

⋯ ⋯△PFF'= _mn_sin

= _4_'3='3

⋯ ⋯PF”+P’F'”+F’F'”=18

⋯2a+2"√a¤ -9=18 (∵ ㉠, ㉡)

이차곡선059

⋯100=64+2ab⋯ ⋯∴ ab=18

⋯ ⋯∴ △PFF'= ¥PF”¥P’F'”=1ab=9

⋯PA”+PB”=2a=2_5=10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정답과해설060

장축의 길이가 16이고, 단축 의 길이가 10인 주어진 반 타원을 중심이 원점이 되도 록 좌표평면 위에 올려 놓으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반타원의 방정식은

⋯ ⋯ + =1(단, yæ0) yy`㉠⋯

이때 이 반타원에 내접하도록 직사각형을 그려 넣으려면 직사각형의 한 변의 중점이 원점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8이므로 직사 각형의 가로의 끝점의 x좌표는 —4이다.

㉠에서 x=4일 때 y의 값은

⋯ ⋯ + =1, y¤ = _25=75 4 3

4

x y

-8 -4 O

-5 4 5

8

3 1

핼리 혜성의 궤도인 타원을 다음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 나타내고, 장축의 길이를 8a, 단축의 길이를 2a, 태양의 위치를 (c, 0)(c>0)이라 하자.

⋯ ⋯ ⋯ ⋯

이때 핼리 혜성과 태양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의 거 리는 4a+c, 가장 가까이 떨어져 있을 때의 거리는 4a-c 이다.

이때 태양의 위치 (c, 0)은 타원의 초점이므로

⋯c¤ =(4a)¤ -a¤ =15a¤

⋯∴ c='1å5a yy`㉠⋯

한편 핼리 혜성이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의 거 리가 53억 km이므로

⋯4a+c=53⋯ ⋯∴ c=53-4a yy`㉡⋯

㉠, ㉡`을 연립하여 풀면

⋯'1å5a=53-4a, (4+'1å5)a=53

⋯∴ a=53(4-'1å5)

따라서 핼리 혜성이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을 때의 거리는

⋯4a-c=4a-(53-4a)

=8a-53

=8_53(4-'1å5)-53

=53(31-8'1å5)억(km) x y

O a

-a

-4a 53

가장 멀리

4a 가장 가까이

태양의 위치 c

4 1

⋯∴ y=

따라서 구하는 직사각형의 다른 한 변의 길이는 5'3이다.

2 5'3

⋯y= x 2

그런데 타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교점 이 2개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 D의 부호는

⋯D>0 Δ =(-3k)¤ -5¥3(k¤ -2)>0

⋯∴ k¤ <5

⋯∴ -'5<k<'5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 <x= k<

이므로 구하는 자취의 방정식은

⋯y= x {단, - <x<3'5} 5 3'5

5 2

3

3'5 5 3 5 3'5

5 D

4 2 3

이차곡선061

이차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