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분과 내적

7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OP”가

09 직선의 방정식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구하면 (2, -1, 3)

`직선 g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1, 3)

따라서 점 A(1, -3,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u¯=(2, -1, 3)인 직선의 방정식은

= =

=-(y+3)=z-5

3 x-1

2

z-5 3 y-(-3)

-1 x-1

2

z+1 3 y+2

-1 x-2

2

1

정답과해설132

벡터 3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y축의 방향벡터를 단위벡터 e™≤=(0, 1, 0)으로 놓고 y 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0, 1, 0)

따라서 점 (2, 4,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0, 1, 0)인 직선의 방정식을

= =

과 같이 놓으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2, z=-3

직선 g에 평행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3, -2, 0)

점 (3, 2,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u¯=(3, -2, 0)인 직선의 방정식을

= =

와 같이 놓으면 직선의 방정식은

= , z=5 yy`㉠ㅇ

이때 직선 ㉠과 zx평면과의 교점의 y좌표는 0이므로 y=0을 ㉠에 대입하면

= , z=5

-2(x-3)=-6, y=0, z=5

∴ x=6, y=0, z=5

따라서 zx평면과의 교점은 (6, 0, 5)이므로 a+b+c=11

두 점 A(1, -3, 2), B(2, 4, 5)를 지나는 직선 AB의 방정식은

= =

∴ x-1= =

이때 점 C(3, 11, a)는 직선 AB 위에 있으므로

3-1= = ∴ a=8

`다른 풀이`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AC≥=kAB≥ (k+0인 실수) yy㉠ㅇ 가 성립하므로 AB≥, AC≥의 성분을 각각 구하면

a-2 3 11+3

7

z-2 3 y+3

7

z-2 5-2 y-(-3) 4-(-3) x-1

2-1

4

0-2 -2 x-3

3

y-2 -2 x-3

3

z-5 0 y-2

-2 x-3

3

3

z+3 0 y-4

1 x-2

0

2

1 =-(y+3)= 2 x=2, z=-3

3 11 4 8

5 ⑴ x=0, z=0 ⑵ x=3, y=0

⑶ x=3, y=6 ⑷ y=6, z=4

⑸ x=0, = ⑹ x-3=- , z=0

6 (5, 3, 8) 7

8 (1, 1, -1), { , - , -17} 11 7 11 5 11

1 3

y 2 z

2 y 3

z-5 3 x-1

2

유제 pp. 239~241

⑴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 =z-1

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3, 1)

⑵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z+1, y=2 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3, 0, 1) x-1

-3

y-1 3 x+1

2

1

09

직선의 방정식

p. 239

개념check | 1 ⑴ (2, 3, 1) ⑵ (-3, 0, 1)

Tip 좌표축의 방향벡터

⑴ x축의 방향벡터 e¡≤=(1, 0, 0)

⑵ y축의 방향벡터 e™≤=(0, 1, 0)

⑶ z축의 방향벡터 e£≤=(0, 0, 1)

벡터133 두 직선이 교점을 가지므로

2t+3=3s-1 Δ 2t-3s=-4 yy㉡

t+2=s+1 Δ t-s=-1 yy㉢

3t+5=6s-4 Δ t-2s=-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t=1, s=2

따라서 t=1을 ㉠에 대입하여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5, 3, 8)

직선

2x+a=y-2a= =t(t는 실수) 로 놓으면

x= , y=t+2a, z=

직선

x=y+2a= =s(s는 실수) 로 놓으면

x=s, y=s-2a, z=3s-2 두 직선이 서로 만나면 교점을 가지므로

=s Δ t-2s=a yy㉠

t+2a=s-2a Δ t-s=-4a yy㉡

=3s-2 Δ 3t-6s=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t=-9a, s=-5a 이를 ㉢에 대입하면

3(-9a)-6(-5a)=1 3a=1 ∴ a=

직선

x-1= =z+1=t (t는 실수) 로 놓으면

x=t+1, y=3t+1, z=t-1 yy㉠ 이를 x¤ +y¤ +z¤ =3에 대입하면

(t+1)¤ +(3t+1)¤ +(t-1)¤ =3 11t¤ +6t=0, t(11t+6)=0

∴ t=0 또는

t=-t=0, t=- 을 각각 ㉠에 대입하여 교점의 좌표를 구 하면

(1, 1, -1), { , - , -17} 11 7 11 5 11 6 11

6 11 y-1

3

8

1 3 3t-5

2 t-a

2

z+2 3

3t-5 2 t-a

2

2z+5 3

7

AB≥=(2, 4, 5)-(1, -3, 2)=(1, 7, 3) AC≥=(3, 11, a)-(1, -3, 2)=(2, 14, a-2) 이를 ㉠에 대입하면

(2, 14, a-2)=k(1, 7, 3)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k=2, 7k=14, 3k=a-2

∴ k=2, a=8

주어진 직육면체의 꼭짓점의 좌표를 모두 구하면 O(0, 0, 0), A(3, 0, 0), B(0, 6, 0), C(0, 0, 4) D(3, 6, 0), E(0, 6, 4), F(3, 0, 4), G(3, 6, 4)

⑴ 두 점 O(0, 0, 0), B(0, 6, 0)을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x=0, z=0 ◀y축

⑵ 두 점 A(3, 0, 0), F(3, 0, 4)를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x=3, y=0 ◀z축과 평행

⑶ 두 점 D(3, 6, 0), G(3, 6, 4)를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x=3, y=6 ◀z축과 평행

⑷ 두 점 E(0, 6, 4), G(3, 6, 4)를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y=6, z=4 ◀x축과 평행

⑸ 두 점 O(0, 0, 0), E(0, 6, 4)를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x-0=0, =

∴ x=0, = ◀yz평면에 포함

⑹ 두 점 A(3, 0, 0), B(0, 6, 0)을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 , z-0=0

∴ x-3=- , z=0 ◀xy평면에 포함

직선

=y-2= =t(t는 실수) 로 놓으면

x=2t+3, y=t+2, z=3t+5 yy㉠ 직선

=y-1= =s (s는 실수) 로 놓으면

x=3s-1, y=s+1, z=6s-4 z+4

6 x+1

3

z-5 3 x-3

2

6

y 2 y-0 6-0 x-3 0-3

z 2 y 3

z-0 4-0 y-0 6-0

5

정답과해설134

⑴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3, 1, -2), u’™≤=(-1, 2, 1) 이때 구하는 직선을 g£이라 하고 g£의 방향벡터를 u’£≤=(l, m, n)이라 하면

g¡⊥g£에서 u’¡≤⊥u’£≤이므로 u’¡≤``u’£≤=0 (3, 1, -2)``(l, m, n)=0

∴ 3l+m-2n=0 yy㉠

g™⊥g£에서 u’™≤⊥u’£≤이므로 u’™≤``u’£≤=0 (-1, 2, 1)``(l, m, n)=0

∴ -l+2m+n=0 yy㉡

㉠+2_㉡을 하면 l=-5m

l=-5m을 ㉡에 대입하면 n=-7m

∴ u’£≤=(-5m, m, -7m)

따라서 점 A(3, 2, 1)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5m, m, -7m)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⑵ 직선 g¡의 방정식에서 각 변을 6으로 나누면

= =z-5

∴ g¡: = =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이라 하면 u’¡≤=(3, -2, 1)

또 직선 g™의 방정식에서 t를 소거하면

g™: = =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3, -b, 1)

두 직선이 일치하면 u’¡≤ //u’™≤이므로

= =

∴ b=2

또 두 직선이 일치하면 직선 g¡ 위의 점 (1, 2, 5)는 직선 g™ 위에 있으므로

= =

=- ,

5-c=-∴ a=- , c=

∴ a+b+c=- +2+11=5 2 5

2 11

2 5 2

1 2 1

2 1+a

3

5-c 1 2-1

-2 1+a

3

1 1 -2 -b 3 3

z-c 1 y-1

-b x+a

3

z-5 1 y-2

-2 x-1

3 2-y

2 x-1

3

z-1 7 y-2

-1 x-3

5

z-1 -7m y-2

m x-3 -5m

1

10

두 직선이 이루는 각

1

9 10

11 ⑴ = = ⑵ 5 12 a+5

13 x-1=2-y=-z, '3

14 최댓값:'4å1+1, 최솟값:'4å1-1 15 2'2 3 z-1

7 y-2

-1 x-3

5 p 3 2'5

5

유제 pp. 243~246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2, 2, -1), u’™≤=(2, 0, 1)

|u’¡≤|, |u’™≤|와 u’¡≤``u’™≤의 값을 각각 구하면

|u’¡≤|="√2¤ +2¤ +(-1)¤ =3

|u’™≤|="√2¤ +0¤ +1¤ ='5

u’¡≤``u’™≤=(2, 2, -1)``(2, 0, 1)=3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cos h의 값을 구하면

cos h= = =

∴ sin h="√1-cos¤ h {∵ 0…h… }

=Æ…1- =

직선 g™의 방정식에서 각 변을 6으로 나누면 g™ : =y+3=

∴ g™ : = =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1, 2, 3), u’™≤=(-3, 1, -2)

|u’¡≤|, |u’™≤|와 u’¡≤``u’™≤의 값을 구하면

|u’¡≤|="√1¤ +2¤ +3¤ ='1å4

|u’™≤|="√(-3)¤ +1¤ +(-2)¤ ='1å4 u’¡≤``u’™≤=(1, 2, 3)``(-3, 1, -2)=-7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할 때, cos h 의 값을 구하면

cos h=

= =

∴ h= {∵ 0…h… } p 2 p

3

1 2

|-7|

'ß14 'ß14

|u’¡≤``u’™≤|

|u’¡≤||u’™≤|

z-2 -2 y+3

1 x-1

-3

2-z 2 1-x

3

0 1

2'5 5 1 5

p 2 1 '5 3

3_'5

|u’¡≤``u’™≤|

|u’¡≤||u’™≤|

9

벡터135 두 직선이 꼬인 위치에 있으면 평행하지도 않고 만나지도

않는다.

⁄ 두 직선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2, -2, 1), u’™≤=(1, 2, -1) 두 방향벡터 u’¡≤, u’™≤에 대하여

+ =

∴ u’¡≤+ku’™≤ (단, k는 실수) 따라서 두 직선 g¡, g™는 평행하지 않다.

¤ 두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g¡ : = =z-2=t (t는 실수)로 놓으면 x=2t+3, y=-2t-1, z=t+2 y㉠⋯

또 g™ : x= =-z+4=s (s는 실수)로 놓으면 x=s, y=2s-a, z=-s+4 y㉡⋯

㉠, ㉡에서 x, y, z를 소거하면

2t+3=s Δ 2t-s=-3 y㉢⋯

-2t-1=2s-a Δ 2t+2s=a-1 y㉣⋯

t+2=-s+4 Δ t+s=2 y㉤⋯

이때 ㉢, ㉤을 연립하여 구한 t=- , s=

이 ㉣을 만족하지 않으면 직선 g¡, g™는 만나지 않으 므로

2 {- }+2¥ +a-1 ∴ a+5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직선 g를 매개변수방정식으로 나타내면 x+1= = =t (단, t는 실수)

∴ x=t-1, y=2t+1, z=-t+2 점 H는 직선 g 위의 점이므로

H(t-1, 2t+1, -t+2) yy㉠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A’H≥⊥u¯이므로

A’H≥``u¯=0 yy㉡

A’H≥와 u¯를 각각 구하면 A’H≥=OH≥-O’A≥

=(t-1, 2t+1, -t+2)-(1, 2, 0)

=(t-2, 2t-1, -t+2) z-2

-1 y-1

2 A(1, 2, 0)

H

g:x+1= 2 = y-1

-1 z-2

3 1

7 3 1 3

7 3 1 3

y+a 2 y+1

-2 x-3

2

1 -1 -2

2 2 1

2

1

u¯=(1, 2, -1)

이를 ㉡에 대입하면

(t-2, 2t-1, -t+2)``(1, 2, -1)=0 (t-2)+2(2t-1)-(-t+2)=0 6t-6=0 ∴ t=1

t=1을 ㉠에 대입하여 점 H의 좌표를 구하면 H(0, 3, 1)

이때 두 점 A(1, 2, 0), H(0, 3, 1)을 지나는 직선 AH의 방정식은

= =

∴ x-1=2-y=-z

한편 점 A에서 직선 g에 내린 수선의 길이는 A’H”의 길 이와 같으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A’H”="√(0-1)¤ +(3-√2)¤ +(1-0)¤ ='3

구의 중심을 C, 구의 반지름의 길 이를 r라 하고, C에서 직선 g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CH”=d라 할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 위 의 임의의 점 P에서 직선 g에 이 르는 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최댓값)=d+r, (최솟값)=d-r

주어진 구의 중심 C와 반지름의 길이 r를 구하면 C(3, 6, 2), r=1

직선 g : =y+1= =t (t는 실수)로 놓으면 직선 g 위의 임의의 점 H는

H(2t, t-1, 4t)

이때 직선 g의 방항벡터를 u¯라 하면 CH≥⊥u¯이므로

CH≥``u¯=0 yy㉠

CH≥와 u¯를 각각 구하면 CH≥=OH≥-OC≥

=(2t, t-1, 4t)-(3, 6, 2)

=(2t-3, t-7, 4t-2) yy㉡ u¯=(2, 1, 4)

이를 ㉠에 대입하면

(2t-3, t-7, 4t-2)``(2, 1, 4)=0 2(2t-3)+(t-7)+4(4t-2)=0 21t-21=0 ∴ t=1

t=1을 ㉡에 대입하여 CH≥를 구하면 CH≥=(-1, -6, 2)

이때 d=|CH≥|이므로

|CH≥|="√(-1)¤ +(-6)¤ +2¤ ='ß41 z

4 x

2

C H P

P d r

g r 최대점

최소점

4 1

z-0 1-0 y-2 3-2 x-1

0-1

1 ④ 2 ⑤ 3 4 5 ⑤

6 P(-1, 4, 2) 7 해설 참조 8 {0, , - }

9 9 10 ④ 11 '5 12 40'3 2

13 2 1 2 4'3

3 p

6

pp. 247~249

연습 문제

두 점 A(2, -1, 4), B(1, -3, 6)을 지나는 직선 g의 방정식은

1

정답과해설136

따라서 구 위의 임의의 점 P와 직선 g 사이의 거리의 최 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면

(최댓값)='∂41+1 (최솟값)='∂41-1

g:x-1= = =t (t는 실수)로 놓으면 직선 g 위의 점 Q는

Q(t+1, 2t+1, 2t+1) yy`㉠ㅇ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OQ≥⊥u¯이므로

OQ≥u¯=0 yy`㉡ㅇ

OQ≥=(t+1, 2t+1, 2t+1), u¯=(1, 2, 2)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t+1, 2t+1, 2t+1)(1, 2, 2)

=(t+1)+2(2t+1)+2(2t+1)=9t+5=0

t=-t=- 를 ㉠에 대입하여 점 Q의 좌표를 구하면

Q{ , - , - } 이때 OQ”의 길이를 구하면

OQ”=æ≠{ }2 +{- }2 +{≠- }2 =

한편 주어진 직선 g의 방정식에 z=0을 대입하여 직선 g 와 xy평면의 교점 P의 좌표를 구하면

P{ , 0, 0}

∴ OP”=æ≠{ }2 +0¤ +0¤ =

따라서 ∠OQP=90˘이므로 직각삼각형 POQ에서 cos (∠POQ)의 값을 구하면

cos (∠POQ)= =2'2 3 OQ”

OP”

1 2 1

2 1

2

'2 3 1 9 1

9 4

9 1 9 1 9 4 9 5 9

5 9

z-1 2 y-1

5

2

1

= =

∴ = =

위의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점 P의 z좌표는 0이므로 z=0을 대입하면

= =-2

x-2=2, y+1=4, z=0

∴ x=4, y=3, z=0 따라서 P(4, 3, 0)이므로

a+b+c=7

주어진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2, -3, 5), u’™≤=(-1, 2, -4)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를 u¯=(l, m, n)이라 하면 u’¡≤⊥u¯에서 u’¡≤``u¯ =0이므로

(2, -3, 5)``(l, m, n)=0

∴ 2l-3m+5n=0 yy㉠

u’™≤⊥u¯에서 u’™≤``u¯ =0이므로 (-1, 2, -4)``(l, m, n)=0

∴ -l+2m-4n=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l=2n, m=3n

∴ u¯=(2n, 3n, n) 따라서 방향벡터

u¯=(2n, 3n, n)=(2, 3, 1)

이고, 점 A(5, 3,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z+4

이므로 보기 중 위의 직선이 지나는 점은 ⑤ (9, 9, -2) 이다.

두 직선의 방정식에서 t를 소거하면

g¡: = =

g™: = =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3, 4, 5), u’™≤=(-1, 7, 10)

|u’¡≤|, |u’™≤|와 u’¡≤``u’™≤의 값을 구하면

|u’¡≤|="√3¤ +4¤ +5¤ =5'2

|u’™≤|="√(-1)¤ +7¤ +10¤ =5'6 u’¡≤``u’™≤=(3, 4, 5)``(-1, 7, 10)=75 이때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라 하면

z-1 10 y-3

7 x -1

z+2 5 y-1

4 x 3

3

y-3 3 x-5

2

2

y+1 -2 x-2

-1

z-4 2 y+1

-2 x-2

-1

z-4 6-4 y-(-1)

-3-(-1) x-2

1-2

벡터137 -3+a=6, 5-c=-2

∴ a=9, c=7

∴ a+b+c=18

점 A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직선 x+1= =2-z=t (t는 실수)

로 놓으면 점 H는 직선 위의 점이므로

H(t-1, 2t+1, -t+2) yy`㉠ㅇ 이때 주어진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AH≥⊥u¯이므로

AH≥``u¯=0 yy`㉡ㅇ

AH≥와 u¯를 각각 구하면 AH≥=OH≥-O’A≥

=(t-1, 2t+1, -t+2)-(1, 2, 0)

=(t-2, 2t-1, -t+2) u¯=(1, 2, -1)

이를 ㉡에 대입하면

(t-2, 2t-1, -t+2)``(1, 2, -1)=0 t-2+2(2t-1)-(-t+2)=0, 6t-6=0

∴ t=1

t=1을 ㉠에 대입하여 점 H의 좌표를 구하면 H(0, 3, 1)

이때 점 P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점 H는 AP”의 중 점이므로

=0, =3, =1

∴ a=-1, b=4, c=2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P(-1, 4, 2)이다.

세 점 A, B, P의 위치벡터를 각각 a¯, b¯, x¯라 하고, AP≥+BP≥를 구하면

AP≥+BP≥

=(OP≥-O’A≥)+(OP≥-OB≥)

=2 OP≥-O’A≥-OB≥

=2x¯-a¯-b¯

주어진 조건에서 |AP≥+BP≥|=6이므로

|2x¯-a¯-b¯|=6 2|x¯- |=6

∴ |x¯- |=3

따라서 점 P의 자취는 선분 AB의 중점을 원의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다.

a¯+b¯

2 a¯+b¯

2

7

c+0 2 b+2

2 a+1

2

y-1 2

6

cos h= = = =

∴ h= {∵ 0…h… }

점 A와 직선 g 사이의 거리는 점 A 에서 직선 g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AH”의 길이와 같다.

g : = =z-2=t(t는 실수)로 놓으면 직선 g위의 점 H는

H(2t+3, -t-1, t+2)

이때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AH≥⊥u¯이므로

AH≥``u¯=0 yy㉠

AH≥ 와 u¯를 각각 구하면 AH≥=OH≥-O’A≥

=(2t+3, -t-1, t+2)-(1, -2, 3)

=(2t+2, -t+1, t-1) yy㉡ u¯=(2, -1, 1)

이를 ㉠에 대입하면

(2t+2, -t+1, t-1)``(2, -1, 1)=0 2(2t+2)-(-t+1)+(t-1)=0 6t+2=0 ∴

t=-t=- 을 ㉡에 대입하여 A’H≥를 구하면 A’H ≥={ , , - }

∴ A’H”=|A’H≥|=æ≠{ }¤ +{ }¤ +≠{- }¤ =

직선 g¡의 방정식에서 t를 소거하면

g¡ : = =

직선 g™의 방정식에서 각 변을 6으로 나누면

g™ : = =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3, b, -1), u’™≤=(3, 2, -1) 두 직선이 일치하면 u’¡≤ //u’™≤이므로

= = ∴ b=2

또 두 직선이 일치하면 직선 g™ 위의 점 (-3, 2, 5)가 직선 g¡ 위에 있으므로

= =5-c -1 2+2

2 -3+a

3

-1 -1 b 2 3 3

z-5 -1 y-2

2 x+3

3

z-c -1 y+2

b x+a

3

5

4'3 3 4 3 4

3 4 3 4 3 4 3 4 3 1 3

1 3 y+1

-1 x-3

2

4

p 2 p

6

'3 2 75 50'3 75

5'2¥5'6

|u’¡≤``u’™≤|

|u’¡≤||u’™≤|

A(1, -2, 3) H

g

정답과해설138

주어진 직선 g : =y-1= 과 점 (3, 2, 1)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대칭이동 한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1, 3)

또 직선 g 위의 한 점 (1, 1, 1)을 점 (3, 2, 1)에 대하 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점 (a, b, c)는 대칭이동한 직선 위의 점이다.

이때 점 (3, 2, 1)은 두 점 (1, 1, 1)과 (a, b, c)를 이 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3, =2, =1

∴ a=5, b=3, c=1

따라서 방향벡터가 u¯=(2, 1, 3)이고, 점 (5, 3,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

이때 위의 직선이 yz평면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0이므 로 x=0을 대입하면

=y-3=

x=0, 2(y-3)=-5, 2(z-1)=-15 x=0, y= ,

z=-∴ {0, , - }

직선 x-2a= =z-2a=t(t는 실수)로 놓으면 x=2a+t, y=a+2t, z=2a+t

구의 중심 O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주어진 직선 위의 점이므로

H(2a+t, a+2t, 2a+t) yy`㉠ㅇ 이때 주어진 직선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OH≥⊥u¯이므로

OH≥``u¯=(2a+t, a+2t, 2a+t)``(1, 2, 1)

=(2a+t)+2(a+2t)+(2a+t)

=6a+6t=0

∴ t=-a

t=-a를 ㉠에 대입하면 H(a, -a, a)이므로 OH”="√a¤ +(-a)¤ +a¤ ="≈3a¤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 형 OHA에서

AH”=ø πOA”¤ -OH”¤

="√9-3a¤

AB”=2AH”=2"√9-3a¤

O 3 A

'3a¤

B H y-a

9

2

13 2 1 2

13 2 1

2 z-1

3 0-5

2

z-1 3 x-5

2

c+1 2 b+1

2 a+1

2

z-1 3 x-1

8

2 따라서 △AOB의 넓이를 S라 하면

S= ¥AB”¥OH”

= ¥2"√9-3a¤ "≈3a¤

=3"√3a¤ -a›

=3æ≠-{a¤ - }2 +

이때 S의 최댓값은 a¤ = 일 때 이다.

직선 g™의 방정식에서 각 변을 2로 나누면 g™ : =y=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u’¡≤=(2, 1, -1), u’™≤=(2, 1, -1)

이때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 u’¡≤, u’™≤는 평행하므로 g¡ //g™

따라서 △ABC에서 AB”를 밑변이라 하면 높이 h는 두 직선 g¡, g™ 사이의 거리로 일정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g™ 위 의 한 점 O(0, 0, 0)에서 직선 g¡에 그은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직선

g¡ : =y-2= =t(t는 실수) 로 놓으면

x+2=2t, y-2=t, z-4=-t

∴ x=2t-2, y=t+2, z=-t+4 점 H는 직선 g¡ 위의 점이므로

H(2t-2, t+2, -t+4) yy㉠ 이때 O’H≥⊥u’¡≤이므로 O’H≥``u’¡≤=0에서

(2t-2, t+2, -t+4)``(2, 1, -1)

=2(2t-2)+t+2-(-t+4)=6t-6=0

∴ t=1

t=1을 ㉠에 대입하면 H(0, 3, 3)

∴ h=O’H”="√0¤ +3¤ +3¤ =3'2 따라서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S= AB”¥h= ¥4¥3'2=6'2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두 직선에 모두 수직인 공통 수선의 길이임을 이용한다.

두 직선 g¡, g™ 위의 임의의 점을 각각

P, Q라 하고

P

Q g™

1 1

1 2 1

2

z-4 -1 x+2

2

O C

A

H B

g™

h z

-1 x

2

0 1

9 2 3 2 9 4 3 2 1

2 1 2

벡터139 g¡ : = =z-2=t(t는 실수)

g™ : x= = =s (s는 실수) 로 놓으면

P(2t+3, -2t-1, t+2) yy㉠

Q(s, 2s, -s+4) yy㉡

이때 두 직선 g¡, g™의 방향벡터를 각각 u’¡≤, u’™≤라 하면 PQ≥⊥u’¡≤, PQ≥⊥u’™≤이므로

PQ≥``u’¡≤=0 yy㉢

PQ≥``u’™≤=0 yy㉣

PQ≥ 와 u’¡≤, u’™≤를 각각 구하면 PQ≥=OQ≥-OP≥

=(s, 2s, -s+4)-(2t+3, -2t-1, t+2)

=(s-2t-3, 2s+2t+1, -s-t+2) u’¡≤=(2, -2, 1), u’™≤=(1, 2, -1) 이를 ㉢, ㉣에 대입하면

(s-2t-3, 2s+2t+1, -s-t+2)``(2, -2, 1)=0 2(s-2t-3)-2(2s+2t+1)+(-s-t+2)=0

∴ 3t+s+2=0 yy㉤

(s-2t-3, 2s+2t+1, -s-t+2)``(1, 2, -1)=0 (s-2t-3)+2(2s+2t+1)-(-s-t+2)=0

∴ t+2s-1=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t=-1, s=1

t=-1, s=1을 ㉠, ㉡에 대입하여 두 점 P, Q의 좌표 를 구하면

P(1, 1, 1), Q(1, 2, 3)

따라서 두 직선 g¡, g™ 사이의 거리는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PQ”="(√1-1)¤ +(2-1)¤ √+(3-1)¤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 서 직선 g에 내린 수선의 발 을 H라 할 때, 직선

g : x+1=

= =t (t는 실수) 로 놓으면

x+1=t, y+2=-t, z-1=2t

∴ x=t-1, y=-t-2, z=2t+1 점 H는 직선 g 위의 점이므로

H(t-1, -t-2, 2t+1)

직선 g의 방향벡터를 u’¡≤이라 하면 A’H≥⊥u’¡≤이므로 z-1

2 y+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