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친환경 쌀 생산의 문제와 개선방안

요약 및 문제

< >

ꊱ 친환경 농법에 의한 평당 조곡생산량 오리농법( 1.84㎏, 우렁이 농법 1.80

쌀겨농법 은 일반농법 평당 의 수준대에 있어

, 1.65 ) ( 2.04 ) 80%~90%

㎏ ㎏ ㎏

서 생산성을 어떻게 끌어 올릴 것인가가 하나의 문제이다.

ꊲ 일반 농법에 의해 생산된 벼 조곡 1㎏당 판매가격은 1,464원이지만 친환 경 재배법에 의해 생산된 벼의 가격은 이보다 높은 1,843~2,040원이다 이. 로 인해 비록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작지만 조수입은 일반 농법의 90만원대

보다 많은 만원 만원 수준이다

(10a) 93 ~116 .

ꊳ 친환경 벼를 재배하는 경우 일반 재배방법에 비해 투입자재 비용이 많고 당 노동투입시간도 일반농법은 시간에 비해 시간 우렁이농

10a 34.5 56.7 (

법)~69.3시간 쌀겨농법 으로 많다( ) .

ꊴ 친환경 쌀의 10a당 소득은 모두 50만원을 넘고 있어 50만원이 안되는 일반농법에 비해 높다 이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적고 경영비 역시 높지. , 만 쌀겨 제외( ) 조수입 자체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ꊵ 자가 부분을 비용에 포함할 경우 순수익은 일반농법이 204,551원으로 쌀 겨농법 134,366원보다 많으며, 우렁이 농법(219,498원 과 비슷하다) . 단지 오리농법이 258,580원으로 많은데 오리농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두 가지 다, 른 친환경 농법에 비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고 판매가격이 높기 때문이 다.

ꊶ 친환경 농법을 실천하고 있는 농민들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일반 벼의

수준에 있는 생산성을 어떻게 끌어 올릴 것인가가 가장 큰 문제 80%~90%

이다.

ꊷ 친환경 농법을 실천하고 있는 농민들의 생산의 기술효율성 모두 일반 농 법 농가에 비해 작다 특히 중간과 하위수준 농가가 낮다 규모면에서 소규. . 모라는 점과 함께 투입물배분과 조합 등에 문제가 많다는 점이 그 이유가 된 다 농법별로 보면 오리와 우렁이 쌀겨 농법 순으로 효율적이었다. , .

ꊸ 친환경 농법을 실천하고 있는 농가 간 기술적 경영관리 수준의 차이가 심 하다 기술적으로 저위인 농가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상위 농가의 절반에. 불과한 경우도 있다.

ꊹ 토지와 노동 자본생산성의 경우 친환경농법과 일반농법 사이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친환경농법 간 즉 우렁이 오리 쌀겨농법. , , , 간 생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격차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ꋃ 농법내 주 자재투입량의 농가 간 투입량 차이가 심하다 이러한 격차는. 농가 개별의 정보와 기술적 경영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ꋄ 친환경농가의 생산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경영주 학력 유의( 수준 5%)과 환경농업경력 유의수준( 10%이내 이었다 이는 친환경농업을 하) . 는 경영주의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기술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높고 그것, 이 생산성 격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ꋅ 이외에도 친환경 농업의 생산농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가 있다.

구 분 문제점 애로사항,

개선방안

< >

친환경 쌀의 생산 측면에서만 볼 경우 당면한 목표는 역시 단위 면적당 생 산량의 증대와 생산 농가 간 기술적 경영능력 제고를 통한 효율성 증대로 볼 수 있다.

친환경 쌀 생산성 제고 친환경 적합

품종개발 공급, 농법별 표준화

기술체계 정립

맞춤식 개별 농가

교육과 기술교류 친환경 농자재

개발과 공급

ꊱ 가장 먼저 친환경 쌀을 위한 품종을 개발해야한다 개발 자체가 어렵다면. 기존의 품종을 대상으로 어느 품종이 보다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 검토가 필, 요하다.

ꊲ 친환경 농법별 표준화된 기술체계를 정립해야한다 기본적인 골격이 세워. 진 후 지역별 농가별 약간의 조정이나 수정이 있는 것이 합리적이다, .

ꊳ 농가에 대한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다 친환경 농법의 경우 실천 농가별. 기술과 경영능력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FSR&D가 필요하다 아울러 친환. 경 실천 농가들 상호 기술교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전문지도단과. 기술교류회 등은 좋은 방안 중 하나이다.

ꊴ 우수하고 과학화된 친환경 자재의 개발과 공급이 필요하다 정부 연구기. 관에서 이 부분을 지원해야하다 영세업자들에게 모두 맡기는 것은 무리이. 다 피해발생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

ꊵ 친환경 농업 쌀 생산에 관련 된 전문적인 친환경 농업기술, “ R&D센터 가(

칭 의 설립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국가적으로 강하게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 농업의 기술체계 정립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기술적 부분을 담당할 친환경. 품목별 농법별 중앙단위 농업기술, R&D센터가 필요하다 현재의 농업기술센. 터 내의 조직을 이러한 방향으로 조정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 이다.

ꊶ 정부의 친환경 육성 정책의 속도를 조절해야한다 수요증가를 웃도는 급. 격한 공급 확대는 자칫 이제 뿌리를 내리는 친환경 농업의 활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ꊷ 위 외에도 생산비의 절감과 판매 등의 경영적인 측면에서의 유리성 확보 를 위해 생력화를 도모하고 자재의 공동 구입 생산의 집단화 등을 해야 한, 다 당장 시급한 기술부분의 문제 예컨대 친환경 자재의 사용량과 시기에. , 관련된 기술만이라도 정리 보급해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