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요약 .

ꊱ 많은 소비자들은 농약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친환경 농산물, 이라 하면 일단 대칭 개념으로 농약과 함께 불안전성을 떠올리고 있다 친환. 경 농산물의 연상 사상으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안전하고 깨끗한 농산물과 농촌을 마음속에 그리고 있다.

ꊲ 친환경 농산물과의 연상 색으로 초록의 비중은 무려 94.0%에 이르며 파, 랑과 흰색이 뒤를 잇고 있다 그런데 이. 3가지의 색깔은 모두 깨끗함과 안전 함에 연계된 것이다 특히 초록은 자연을 나타내는 색으로 마음속의 평화로.

움과 안정감을 주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ꊳ 친환경과 연관하여 소비자들은 오리와 우렁이 그 다음으로 소를 연상하, 고 있었다 전자 둘은 친환경 쌀 농법의 주 투입물로 각종 언론과 공공 홍보. 매체 등을 통해 많이 알려져 있고 쌀의 포장지에 이러한 그림이나 단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소가 지목된 것은 시골 농촌을 연상할. 때 많이 사용되는 동물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친환경 농산물. 가운데 가장 먼저 떠올리는 품목은 역시 쌀이었다.

ꊴ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그리 부정적이지는 않으나 그렇 다고 낙관할 정도도 아니다 신뢰한다는 비중이. 32.3%이며 브랜드나 취급점, 에 따라 다르다가 52.3%, 신뢰하지 않는다는 비중이 15.5%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확대에 대단히 중요한 걸림돌이다. . ꊵ 친환경 농산물의 상대적 고가에 적극적인 불만을 표시하는 소비자 비중은

에 불과하지만 약간의 불만을 포함하면 를 넘는다 그러나 생산의

2.7% 40% .

어려움과 비용의 상대적 높음을 소비자들에게 이해시킨다면 불만부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ꊶ 소비자들이 알고 있는 친환경 농산물 관련 조직과 브랜드는 풀무원 한살, 림 초록마을 농협유통 등인데 그 숫자가 많지 않다 이는 많은 소비자의, , , . 경우 자신의 이용매장만을 주로 이용하고 있고 나아가 관련 정보를 판매매, 장 공급자 포함( : 30.3%)이나 이웃(18.9%) 등 폐쇄적인 공간에서 얻고 있기 때문이다.

ꊷ 친환경 농산물의 브랜드 간 개별 특징이 없다는 응답이 약70%로 높은 데 결국 이러한 태도는 친환경 쌀의 상시이용 브랜드 비율을, 40%미만으로 유지하고 있고 브랜드로부터의 결코 높지 않은 만족도 만족 비율, ( 48.8%)와 브랜드에 대한 낮은 충성도 이웃 추천( : 42.3%, 구입불가 시 타매장이용 반 드시 구매비율: 8.1%)로 이어지고 있다 거꾸로 추론하면 만족도가 높지 않. 다보니 브랜드 간 특징을 구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현재의 친환경 쌀 브랜. 드를 다른 제품에 사용했을 경우 그 농산물을 친환경 제품이라 생각한다는 비율은 31.5%에 불과하다 그리 쉽게 신뢰할 수는 없다는 표현으로 보인다. . ꊸ 브랜드와 달리 공급자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는 상대적,

으로 강한 공급자 충성도 현재 애용공급처로부터 이용불가 시 기다리거나 타( 지역 동일 판매망 활용: 24.9%)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의 친환경 쌀 공급처. 에서 다른 농산물을 취급할 때에도 믿고 구매한다는 비율이 무려 65.1%에 이른다 나아가 친환경 쌀이라 하더라도 이름이 없는 소규모 매장에서 판매. 할 경우 못 믿겠다는 비율 불신( : 26.8%, 공급자에 따라 다름: 28.2%)이 높 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얼마나 공급자에 밀착하고 있는 지를 말해 준다.

ꊹ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는 알고 있지만 조금 안다 포( 함: 77.9%), 인증기관이 민간과 정부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비율은 상 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정부에서의 인증을 더 신뢰하는 비중이. 53.7%, 민 간을 신뢰하는 비중이 10.1%였다.

ꋃ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자들은 기본적인 표시요소 인증과 품질관련 마크, , 생산지와 생산년도 등을 확인하고 있지만 인증등급 간 구분에 그리 큰 관심 을 두지는 않았다 단지 구입 시 유기 와 무농약 쌀을 주로 구입하고 있었. “ " ” “ 다 전환기는 그 의미 자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저농약은 농약을. , 사용했다는 자체로 기피하고 있었다.

ꋄ 상대적으로 비싼 친환경 쌀의 가격이 소비자의 선택을 강하게 억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환경 쌀 가격이 일반 쌀과 비슷한 수준으로 하. 락했을 경우 오히려 믿을 수 없다 불신( : 23.5%, 공급자에 따라 다름:

는 반응이 적지 않음은 이를 말해 준다

32.2%) .

ꋅ 친환경 쌀은 대개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구입(57.0%)하고 있었다 그때. 그때 다르다는 경우(31.5%)도 많았다 쌀 브랜드에 지역 이름을 넣는 것은. 판매확대에 긍정적일 수도 있다는 응답이었다 아무래도 지역적 특성과 연계. 된 역사성을 지닌 지역명을 쉽게 기억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현실적으, . 로 “안성00”, “철원00”, “나주00”, “고창00”의 식의 브랜드가 대단히 많으며 소비자에게도 친숙해져 있다.

ꋆ 동네 재래시장이나 슈퍼 등 소규모 매장에서 판매할 경우 26.8%는 못 믿 는다는 응답인데 그 이유는, 90.0%가 가짜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라는 것 이다 공급자에 대한 의존도가 강했던 것을 참고할 경우 어느 매장에서 파느. 냐 역시 친환경 쌀에 대한 신뢰를 좌우하고 요소로 흥미롭다.

ꋇ 우리 소비자들의 해외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은 생산자 입장에서 그 리 낙관적이지 않다 외국의 친환경 농산물의 국내 시장 진입이 우리 농업에. 위협적이라 보는 비율이 45.6%(아니오: 27.5%, 응답보류: 26.9%)에 이르 며 그 이유로 응답자의, 77.2%는 외국 친환경 농산물의 낮은 가격이라 지적 하고 있다 국내산과의 가격차가. 30~40%사이에 있을 경우 응답자의 55.0%

는 외국산을 구입하겠다고 응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