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산 제품 관리 1) ( )

친환경 쌀을 생산하고 있는 농민들의 단위조직에서 과연 자신들에게 필요 한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하면 어느 정도인지 못하면 왜 그런지에 대한 분, , 석이 전체 친환경 쌀 마케팅의 분석에 필요하다.

생산자 마케팅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것은 친환경 쌀을 생산하고 있, 는 농민들이 자신이 원하는 쌀을 자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느냐 혹은 생산하, 고 있느냐이다.

기본적으로 친환경 쌀이라 하면 제도적으로 규정된 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그리고 최종 유기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일정 규정을 준수해야 한, 다 따라서. 4종류의 인증을 농민들이 원한다고 아무 때나 받을 수는 없다. 정부에서 정하고 있는 일정한 기간 일정한 조건하에서 쌀을 생산했을 경우, 에만 친환경 쌀(4종류 인증 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과 규정을 준수) . 하는 농민들의 경우 친환경 쌀의 생산에 관련된 또 다른 제한을 받지는 않는 다.

친환경 쌀을 생산함에 있어서 품종선택에도 제한은 없다 지역별로 농민들.

의 선호도에 따라 품종선택의 권리가 특별한 제약 없이 보장된다 물론 친환. 경 쌀 생산조직은 품질관리 판매 등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자율적으로 품종, 을 협의 결정하곤 한다 하나의 전략에 의해 일부 조직 구성 농민들의 품종, . 선택권이 제한될 수는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것이 농민들의 품종 선택권. 을 제한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표 친환경 생산조직별 품질개선 노력

< 4-16>

조직

명 내부등급화 품질개선 노력행태

1 ○ 재배방법 연구와 관련 기술교육 참가 퇴비와 미생물사용 확, 대 공동 종자 통일 구입 추진 도복벼 수매금지 자가건조 금, ( ) , , 지 등

2 × 다양한 농법 실험 관련 기술교육 참가 친환경 자재 사용 증, , 대 품종 통일 등,

3 ○ 자가퇴비 제조 추진 친환경 자재 사용 증대 품종 통일 등, , 4 ○ 품종 단일화 기능성 품종 도입 등.

5 × 고품질 품종 통일 흑미도입 기술센터 기술지도 등, , 6 × 품종의 단일화 흑미도입 친환경 자재 사용 증대 등, ,

7 ○ 통일 재배방법과 시비 객토 등 시행 품종 일원화 찰벼 흑미, , ( , 중심), 친환경 자재 사용 증대 등

8 × 품종 일원화 친환경 자재 사용 증대 등,

9 ○ 농법 통일 품종 일원화 퇴비와 영양제 등 공동구입 등, , 10 ○ 양질 퇴비 사용 건조와 저장기술 제고,

품종의 선택과 마찬가지로 어느 한 생산조직에서 스스로의 친환경 쌀의 생 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정한 계약에 의해 친환경 쌀을 생산하는 경우에라. 도 그 이상을 생산할 수는 있다 다만 해당 조직에서 결정한 판매루트를 활. 용할 수가 없을 뿐이다 사전에 친환경 쌀 생산조직은 당해연도 생산량을 결. 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친환경 쌀의 생산량을 농민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렇게 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개별 생산농민의. 차원에서 생산한 친환경 쌀을 처분하는 것이 결코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친환경 쌀의 생산에 참여하는 조직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바로 판매처 의 확보이다 게다가 여러 농민들이 생산한 친환경 쌀을 처분하는 데 주도적. 인 조직의 대표자 역시 개별적으로 변동되는 생산물량을 처리하기가 어렵다.

결국 생산조직 내 계획된 생산량을 초과한 친환경 쌀은 일반 쌀과 같은 경로

와 가격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친환경 쌀의 품질관리는 생산에서 그리고 가공과 포장 등에서 이뤄진다.

적어도 대부분 친환경 쌀을 생산하는 조직들은 나름대로 생산단계에서의 품 질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신이 생산하는 친환경 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농민들의 노력도 다양한데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품종 단일, 화와 양질의 퇴비 확보이다 표( 4-16).

품종 단일화를 통한 품질제고와 통일화는 모든 친환경 쌀 생산조직들이 지 향하는 바이다 지역에 따라 품종은 다르지만 추청 새추청 동진 등 지역 실. , , 정에 부합하다고 생각하는 품종들이 선발되고 있다.

두 번째는 양질의 퇴비 확보 제조 와 친환경 자재의 사용이다 이것은 공( ) . 동의 사업으로 여겨 조직원들의 행동을 통일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제. 조에서의 기술적 안정성과 안전성이 증명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친환경 자재가 빠르게 공급되고 있어 제품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농민으로서 는 한계가 있고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친환경 자재에 관련된 관리규정이, . 필요하고 아울러 여기에 대한 교육 관리가 필요한 이유이다, .

조직 내 외 농가 상호간 기술교류에도 적극적이다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 . 기술습득을 위해 타 관련조직을 방문하는 등의 품질제고 노력은 흔한 일이 다 결국 이 부분을 소홀히 할 경우 생산 후 판매가 어렵기 때문이다 친환경. . 쌀 생산에서의 품질관리는 비교적 공동의 노력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보아도 문제는 없다.

친환경 쌀의 생산 후 품질관리는 대부분 친환경 쌀을 생산한 농민들의 몫 이 아니다 생산한 친환경 쌀을 생산자들이 직접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생산된 친환경 쌀의 대부분은 중간 유통업. 자 내부 조직원도 포함 에 판매되고 이들이 가공 선별 포장을 하게 된다( ) , , , . 품질을 등급화하고 관리하는 것도 그들의 몫이다 따라서 친환경 쌀을 생산. 한 농민조직들이 최종 소비단계까지의 품질관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생산. 단계의 품질관리와 유통과정의 품질관리 소비단계에서의 품질관리 간 괴리, 로 인한 신뢰도에 문제의 가능성이 있다.

자체적인 품질 제고를 위해 동일한 인증 친환경 쌀이라 하더라도 내부적으

로 등급화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등급화에 의한 수매. 가격의 차등화를 시행하고 있다 비록 이 구분에 의한 분리 수매가 최종 소. 비에 연결되지는 않으나 생산 단계의 품질제고의 방책으로 점차 확대되는 경 향이 있다.

한편 생산된 친환경 쌀을 어떻게 보관하는가 역시 품질문제와 관련이 된 다 그것의 주체가 생산 조직이든 유통조직이든 무관하다 친환경 쌀을 중간. . 유통주체가 수매해도 현지에 있는 저장시설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시. 도정하여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친환경 쌀 생산조직이 직접 가공하여. 판매하는 경우 혹은 장기간 보유상태에서 연중 판매하는 경우에도 일정 장, 소에 보관해야한다 조사대상. 10개소 가운데 8개소에서 일반 창고를 이용한 보관이었다 일부를 싸이로에 저장하는 경우가. 3개소 였으며 한군데에서만, 예냉 저온 저장시설을 이용한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이곳은 직접 가공하여. 판매하는 조직이다 대체로 친환경 쌀의 건조 후 보관은 관행적 생산 쌀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행태는 보관비용의 과다에 따른 것으로 일본의 경. 우와 같이 현미상태의 저온 저장고 보관과 같은 품질 보전을 위한 적절한 보 관은 아직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표( 4-17).

표 친환경 쌀 보관 방법

< 4-17>

조직명 쌀 판매전 후 보관방법․

1 일반창고 보관, 3개월내 출하 2 일반창고 보관

3 정농회에 바로 출하 농협창고 보관,

4 예냉저온저장시설 활용, (비용 판매대금중: 200,000원 조곡/ 110kg를 제외한 비용으로)

5 산물벼 출하 보관없음 농협, . RPC

6 30t싸이로 보관 친환경농업육성대규모사업( (2002) 지원) 7 일반창고(300t, 보관비용 124원 일/ ), 농협창고(600t 탱크) 8 농협창고

9 일반창고 보관 10 일반창고 보관

가격관리

협을 통한 처분의 경우 생산자의 대표들이 가격결정과정에 참여하지만 기본 적으로 대부분의 생협이 소비자 중심이다 생산 농민들의 조직은 생산량의. 확보와 생협 소비자들의 신뢰확보 등의 강화를 위한 외곽조직의 성격이기 때 문이다 수량화할 수는 없지만 생산자의 비중은 작을 수밖에 없다 지역 농. . 협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 군데에서는 자신의 관내 생산 친환경 쌀 처. 분에 소극적이었다 취급을 하는 경우에도 행정기관의 강한 요구에 의한 경. 우로 보인다 왜냐하면 가격결정시 그 수준이 상대적으로 대단히 낮기 때문. 이다 표( 4-18).

대표자 개인이 구입과 판매행위를 하는 경우 역시 생산 농민들의 의견이 무시되지는 않으나 수집 후 판매할 때의 기준이 되는 가격이 이미 결정되어 있어 생산자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여지는 협소하다 그리고 이러한 가. 격결정과정에서 생산자의 영향력은 더욱 작아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의. 강력한 공급확대정책으로 인한 공급과잉과 소비자 힘의 확대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친환경 쌀을 생산 판매할 경우 농가 판매가격에 대한, , 농민들의 의견이 전혀 무시되지는 않고 있다 개별 농민 단위에서는 불가능. 하겠지만 생산 조직화된 상황에서 친환경 쌀 생산조직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판매가격의 결정 시 제시하고 있다고 봐야한다 그러나 일반 공산품 제조업. 자동차 가전제품 등 에서의 판매가격 결정 시 생산자 의견 반영정도와는

( , )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이다 미약하다는 것이다. .

그렇다면 왜 이렇게 일반 공산품 제조업에 비해 생산자들의 판매가격 결정 기여정도가 낮은 것인가 본질적으로 친환경 쌀이라 하더라도 농산물과 농업.

그렇다면 왜 이렇게 일반 공산품 제조업에 비해 생산자들의 판매가격 결정 기여정도가 낮은 것인가 본질적으로 친환경 쌀이라 하더라도 농산물과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