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경영학의 흐름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페이지 129-134)

I. 들어가는 말

Ⅱ. 주요 경영학의 흐름

경영학 중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연구한 분야는 인사관리 혹은 인 적자원관리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경영학의 역사를 보면 많은 접근방법과 논의가 있었지만 Donnely, Gibson, and Ivancevich (1987)의 견해를 따르 면 고전적 접근방법(The Classical Approach), 행동주의적 접근방법(The behavioral Approach) 및 경영 과학적 접근방법(The Managem ent Science Approach)으로 구분한다.

고전주의적 접근방법은 조직의 성공을 가져오기 위하여 조직의 효율을 강 조한 경영 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3가지 영역, 즉 과학적 경영(Scientific management), 관리적 경영(Administrative m anagem ent) 및 관료적 경영 (Bureaucratic management)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프레드릭 테일러(Frederick W. Taylor), Frank & Lillian Gilbreth 및 Henry Grant로 대표되는 과학적 경영(Scientific Management)는 노동자로부터 최고의 생산량을 끌어내기 위 하여 어떻게 직무를 설계하는가에 관심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과학적 경영의 아버지라 불리운 프레드릭 테일러는 직무를 과학적으로 설계하여 노동자의 효율을 증가하는 것이 그의 연구목표였다. 따라서 그가 가정하고 있는 전제 조건은 일을 잘 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발견하여 실 무에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직무설계라는 미시적인 수준보다는 경영성과라는 보다 포괄 적인 수준에 관심을 가진 관리적 경영의 대표자는 프랑스의 헨리 페이욜 (Henry Fayol)을 들 수 있다. 페이욜이 제시한 경영학 이론의 일반적인 원칙 들, 분업, 권위, 명령 및 지시의 통일성, 종업원 대우의 공평성, 단체의 정신 (Esprit de corps) 등은 관리자 및 기본적인 관리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 문에 관리적 경영(managerial management)이라고 불리울 수 있으며 현재의 경영실무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관료적 경영(Bureaucratic management)은 규율, 위계 질서, 노동의 분업,

상세한 규칙과 과정에 기초한 시스템으로 독일의 사회 역사학자인 Max Weber (1864-1920)가 연구한 독일의 정부 관료제와 연관되어 있다. 관료주의 적 경영은 전체 조직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하 는 바 공식적인 규율체제, 종업원 처우에 있어서 규정과 객관적인 자료에 의 함,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보다 단순하고 전문화된 노동의 분화, 정교 한 위계질서, 위에 언급한 규정, 비인적인 감독(impersonal supervision), 노 동의 분화 및 위계질서에 기초한 권위 구조(authority structure), 평생직장으 로서의 고용형태, 합리성이 중시되는 경영 등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 다. 관료주의적 경영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경우로서는 (1) 대규모의 표준화된 정보가 처리되고 효율적인 처리 방법이 발견되어 있는 은행, 보험 회사, 교통법률위반 심판법정, 국세청(IRS), (2) 고객의 필요성이 알려지고 변 화가 클 것 같지 않은 분야 (운전사 등록소), (3) 맥도날드나 버거킹의 경우 처럼 기술수준이 일상적이고 변동이 없어 종업원들이 쉽고 재빠르게 기계를 운전하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경우, (4) 조직이 고객들에게 표준화된 서비스나 생산품을 배달하기 위하여 수많은 종업원들의 활동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UPS나 우체국의 경우이다. 고전적 접근방법의 세 가지 유형을 정리하면 아 래의 <표 Ⅳ-1>과 같다.

<표 Ⅳ-1> 고전적 접근방법의 세 가지 유형

과학적 경영 관리적 경영 관료적 경영

특성

・일상적 일과 규칙에 대한 훈련

・재정적 동기부여

・관리기능의 정의

・노동에 대한 분업

・위계제도

・권위

・공정

・규칙 ・비정의성

(im p erson ality)

・노동의 분업,

・권위구조 ・평생직장

・합리성

초점 ・종업원 ・관리자 ・전체 조직

장점 ・생산성

・효율

・명백한 구조

・관리자 역할의 전문화

・일관성

・효율성

단점 ・사회적 필요성을 간과함

・내적 초점

・관리자의 합리적 행동을 과대강조

・경직성

・느림

행동주의적 접근방법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생산성 증가를 강조한 다. 이 접근방법의 옹호자들은 만약 관리자들이 조직원을 이해하고 그 조직 을 조직원에 맞게 운영한다면 조직의 성공은 으레 따라오게 될 것이라고 주 장한다. 행동주의적 접근방법의 효시는 시카고에 소재한 웨스턴 전기회사의 호오쏘온 작업장(Hawthorne Works)의 노동자의 행동과 태도를 연구하기 위 하여 1924년에서 1932년간에 걸쳐 행해진 일련의 연구이다.

호오쏘온 연구는 인간관계 운동(Human relations movement)에 자극을 주 었는 바, 조직내 사람의 상호작용이 조직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 단되는 사람 중심적인 경영학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접근방법의 궁 극적인 목적은 적절한 인간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조직의 성공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인간관계 운동은 경영학의 연구 및 실무에 크나큰 기여를 했다. 이 운동의 옹호자는 사람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인도주의적 방법을 사용할 필 요성을 강조하였다.

경영 과학적 접근방법(The Management Science Approach)은 관리자들이 과학적 접근방법과 계량적 테크닉을 사용하여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여 조 직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시한다. 경영 과학적 접근방법의 시초는 세계 제

2차 대전시 과학적 방법을 숙지한 과학자와 물리학자들에게 군대에서의 복 잡한 문제 해결을 도와주도록 요구받은 일에 거슬러 갈 수 있다. 나중에 Op erational research (OR) group s 이라고 알려진 이들은 과학적 방법을 사용 하여 문제를 해결하여 세계 제 2차 대전이 끝난 후 산업현장에서 경영과학 테크닉을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오늘날 관리자들은 재고 통 제 모형, 네트웍 모형, 확률 모형 등의 경영과학 도구를 사용하여 의사결정 에 참고하고 있다.

이외 시스템 접근법 (System Approach) 및 상황접근법 (Contingency Approach)이 20세기 후반 경영학 이론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시스템 접근법(System Approach): 위의 OR Groups은 직관이나 수학 및 경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들을 분석할 독창적인 방법을 개 발하기 시작하였다. 미국 및 영국에서는 제 2차 대전 동안 이러한 접근방법 을 더욱 개발하여 전시의 생산이나 군수물자 이동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하여 국방부, 우주 프로그램 및 민간 기업에까지 적용하게 되었다.

시스템 이론은 일반 시스템 이론(General system theory)에 기초하고 있는 바, Ludwig von Bertalanffy가 일반 시스템 이론의 창시자로 불리고 있다.

이 이론의 기본 가정은 전체의 운영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가 하 나의 시스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스템은 전체를 위하여 기능하 고 있는 상호의존적인 부분의 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영시스템은 투입물, 과정, 산출물, 피드백 및 환경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다 섯 가지 요소의 분석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상황 접근법(Contingency Approach)은 1960년 중반 전통적 접근법 및 시 스템 접근법을 경영문제에 적용하려 했으나 실패한 경영진 및 학자들에 의 하여 개발되었다. 상황접근법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전통적 접근법, 행동주의적 접근법 및 시스템 접근법을 필요에 따 라 독립적으로 혹은 조합하여 다룰 것을 제시한다. 상황 접근법은 상이한 경 영 스타일, 가이드라인, 혹은 테크닉의 유효성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접근법의 유용성은 전통주의자들이 주장하는 한가지 최선의 방 법만이 있다는 것과는 차별되는 진단적인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

법은 관리자들로 하여금 상황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해시킴으로써 조직, 과정 및 개인에 적합한 최상의 해결책을 선택케 하는데 있다.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페이지 129-134)